KR100910351B1 - 치약 자동공급기 - Google Patents

치약 자동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351B1
KR100910351B1 KR1020080001093A KR20080001093A KR100910351B1 KR 100910351 B1 KR100910351 B1 KR 100910351B1 KR 1020080001093 A KR1020080001093 A KR 1020080001093A KR 20080001093 A KR20080001093 A KR 20080001093A KR 100910351 B1 KR100910351 B1 KR 10091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withdrawal
spring
automatic feeder
block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291A (ko
Inventor
신상규
Original Assignee
신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규 filed Critical 신상규
Priority to KR102008000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3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칫솔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치약을 칫솔모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치약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작동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된 치약인출작동부와, 욕실의 벽면 등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와 상·하부 플레이트 및 스프링을 지지하는 중공형파이프로 이루어진 고정부와, 치약을 수납하는 치약수납부와, 상기 치약수납부에 내장된 치약을 랙크와 피니언의 메카니즘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치약인출부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스위치의 작동으로 스프링의 강력한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켜 치약수납부에 저장된 치약을 치약인출부를 통해 칫솔모에 자동적으로 적당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장치, 치약, 치약튜브, 자동공급기, 치약자동공급

Description

치약 자동공급기{The Toothpaste Automatic Feeder}
본 발명은 치약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칫솔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치약을 칫솔모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치약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의 강력한 탄성반발력을 이용하여 치약 저장부에 저장된 치약을 치약공급수단을 통해 칫솔모에 자동적으로 적당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구강을 청결하게 하고 치아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치약이고, 이러한 치약은 사용하고자 하는 대상 즉, 어린이용, 성인용 또는 환자용 등등 여러 대상으로 하여 그 사용되는 치약의 성분 등도 매우 다양하다.
보통 치약은 그 성분이 다양하지만 이를 저장하여 사용되는 용기로 단일 튜브형태로 하여 뚜껑을 구비한 치약튜브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치약튜브에 저장된 치약을 사용할 경우, 치약튜브에 구비된 치약뚜껑을 열고 튜브몸체의 일정 부위를 손으로 눌러 튜브의 인출구멍을 통해 빠져나온 치약을 칫솔모에 묻혀 사용한 후, 치약튜브는 다시 뚜껑을 닫아두게 된다.
이때 치약튜브를 손으로 눌러서(또는 쥐어짜서) 치약을 짜내 사용할 경우, 치약튜브의 끝단부를 눌러 순차적으로 짜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치약튜브의 몸체의 일부분(손에 잡히는 부분)을 눌러서 치약을 짜내는 것이 일반적인 습관으로 되어 있다.
치약튜브의 일정부위를 눌러 치약을 짜낼 경우, 이를 반복사용하게 되면 치약튜브의 바닥부 즉 끝단부에서부터 차례로 치약이 소모되지 않고 상단부나 중간부 등 임의 부분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일정회수 이상 사용한 후 다시 바닥부 즉 끝단부에 있는 치약튜브를 눌러 짜야 되는 등 그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또 치약튜브가 찌그러져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치약튜브를 사용하게 되면 치약튜브의 내부에 일정량의 치약이 남아 있어도 이를 짜내기가 불편하여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치약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약튜브의 끝단부를 롤 형태로 말아서 돌리거나 칫솔의 손잡이 등과 같은 단단한 물체를 치약튜브 끝단부에서부터 치약인출구 쪽으로 밀어 내장된 치약을 완전히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법을 통해 낭비되는 치약이 최소화 되도록 하여 치약튜브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일정한 힘을 치약튜브에 가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 기타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에게는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또 치약튜브를 눌러 주는 힘이 사용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인출되는 치약의 양이 일정치 않아 치약의 낭비가 심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약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공지되어 있는바, 이 자동치약 공급장치는 전동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웜과 웜휠의 메카니즘을 통해 치약튜브에 압력을 가하여 치약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는 구동수단으로 전력을 이용하여야 하고,또 이 시스템은 욕실과 같은 습기가 많은 곳에 설치되는 바, 누전의 위험이 있고 또 각종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비용 및 그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치약 자동 디스펜서"가 등록번호 제 10-0629970호 공지되어 있는바, 상기 디스펜서의 구조를 간단하게 인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등록특허인 상기 치약자동장치는 도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치약튜브(500)가 수납되는 형태의 치약수납공간(514)과 치약이 인출되는 치약인출공간(515)을 각각 구획되게 상부와 하부에 위치시키되 치약 인출공(516a)이 형성된 치약인출관(516)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출관(516)을 치약인출공간(515)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치약하우징부(510)와;
상기 치약하우징부(5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손잡이 하우징(522)과 상기 치약하우징부(510)의 내부면에 구비된 가압하우징(523)을 상호 연결되게 결합시켜 상기 손잡이하우징(522)과 가압하우징(523)이 일체로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가압하우징(523)의 내부에 상호 대응되게 결합시킨 가압롤러(524), 상기 치약튜브(500)의 외주면을 압박하도록 하는 가압부와;
상기 치약하우징부(510)의 치약인출공간(515)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534)에 의해 인출관(516)의 인출공(516a)을 폐쇄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는 인출개방블럭(531)의 상부면에 원동기어(531a)를 형성시키고 이와 대등 되도록 종동기어(532a)를 형성시킨 인출차단블럭(532)을 인출개방블럭(531)의 상부에 대향되게 위치시킨 다음 치차기어(533)를 통하여 원동기어(531a)와 종동기어(532a)를 치차 결합하여 치약을 적정량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인출부(5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치약 자동공급 디스펜서"는 상기 치약 하우징부(522)를 한 손으로 작동시켜 하부로 눌러주면 상기 가압 하우징(523)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롤러(524)가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치약 튜브(500)를 가압하면서 치약이 상기 인출관(516)으로 충진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관(516)에 충진된 치약은 인출개방블럭(531)에 의해 막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지지되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때 다른 한 손으로 칫솔(300)을 화살표 방향 상기 인출개방블럭(531)내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칫솔(300)의 끝단부가 상기 인출개방블럭(531)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534)을 압축하면서 상기 원동기어(531a)가 후방으로 밀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치차기어(533)가 회동된다. 상기 치차기어가 회동 되면서 이와 맞물려진 상기 종동기어(532a)가 움직이면서 상기 치약인출차단블럭(532)이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치약 인출관(516)의 인출공(516a)을 막아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인출관(516)에 충진된 치약이 상기 칫솔(300)의 칫솔모에 인출되어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약 자동 공급장치는 구동전력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욕실 등과 같은 습기가 많은 곳에 사용되는 치약공급장치의 본래의 특성상 누전의 위험이 많고, 전력공급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며 유지관리 비용 또한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상기 치약 자동 공급 디스펜서는 이용자가 한 손으로 치약튜브를 가압하고 다른 한 손으로 칫솔을 사용하여야 하는 등 양손으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동공급이라는 개념이 별 의미가 없고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한 손이 불편한 사람은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약 자동공급디스펜서는 보다 다양한 치약튜브를 사용할 수 없고, 일정한 형태의 인출구를 갖는 치약튜브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그 사용상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치약 자동 공급장치나 기타 다른 치약자동공급 디스펜서는 치약이 칫솔모에 떨어질 때 단순히 자중(自重)에 의지하여 떨어지기 때문에 그 끊어짐이 가래떡을 자르듯 명쾌하지 않아 일부의 치약 찌꺼기가 치약 인출 블럭 등에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해당 장치가 상당히 불결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동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치약을 자동으로 짜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작동 메카니즘을 단순화시키고, 유지관리비 또한 줄여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노약자나 어린이 및 한 손이 불편한 사용자도 용이하게 사용가능하게 하여 사용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치약 자동 공급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약 자동공급기는 하부면은 개방되고 상부면은 작동스위치가 구비된 중공(中空)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의 상부면에서 하방으로 설치된 4개의 스프링지지바아(bar)와, 상기 몸체 내벽의 하단부에서 원주면을 따라 일정 높이로 형성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치약 인출작동부와;
욕실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와, 중앙에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 주변에서 일정간격으로 상기 스프링지지바아가 끼워질 수 있도록 4개의 끼움구멍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끼움구멍으로 삽입된 상기 스프링지지바아가 끼워 들어가고 스프링이 바깥쪽으로 수납되는 중공형파이프가 상기 끼움구멍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연결고정하는 연결브라켓트와, 상기 연결브라켓트와 일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트와 교호적으로 끼워져 고정핀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는 탈부착브라켓트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상부면을 가압덮개로 하고 하부면을 그 중앙에 치약이 빠져나가는 치약배출구를 구비하여 치약을 내장하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진 치약수납부와;
하부면은 폐쇄되고 상부면은 그 중앙부에 상기 치약수납부의 치약배출구가 삽설되는 끼움구멍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치약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치약이 수납되는 치약수납저장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끼움구멍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에 수납된 치약을 밀어주는 가압차단블럭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차단블럭과 반대로 작동되면서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에 수납된 치약을 칫솔모로 인출하는 치약인출차단블럭으로 이루어진 치약인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치약 자동공급기는 우선 상기 치약인출작동부의 몸체 내부에 상기 고정부를 내장시켜야 되는 바,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공형 파이프의 외측에 구비된 압축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스프링지지바아가 상기 중공형파이프 내부로 끼워지게 된다. 이어 치약이 저장된 치약수납부가 수납되는데, 이때 상기 치약수납부의 하단부에 상기 치약인출부가 끼워지고 상기 치약인출부의 외측에 구비된 체결돌기가 상기 치약인출작동부의 하단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걸려져 체결됨으로써 상기 치약수납부가 상기 치약인출작동부의 몸체 내부에 수납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치약 자동공급기를 욕실 벽면 등에 상기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한 다음, 상기 치약인출작동부의 상단에 구비된 작동스위치를 눌러주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치약인출작동부가 이탈되고, 이어 상기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상부로 올라가면서 치약수납부의 상부에 구비된 가압덮개가 가압되면서 눌려주고 이 힘에 의해 치약이 치약배출구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치약인출차단블럭을 칫솔로 밀어주면 상기 치약배출 공간에 수납된 치약이 인출되어 칫솔모로 떨어져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약 자동공급기는 단순히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치약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전원으로 인한 누전의 위험이 전혀 없고 유지비 또한 매우 저렴하며, 간단하게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어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한 손이 불편한 사람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치약저장부에 내장된 치약을 완벽하게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치약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고, 또 칫솔모에 떨어지는 치약을 신속하고 깔끔하게 잘라주어 치약의 일부가 공급기 내부 달라붙는 것을 막아줄 수 있어 매우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 그 효용성이 한층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치약자동공급기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치약 자동공급기(1)는 도1과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면에 구비된 작동스위치(11)와,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中空)형의 치약공급기몸체(12)와, 상기 몸체(12)의 내부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스프링지지바아(13), 상기 몸체(12)의 내벽 하단부에서 원주면을 따라 일정 높이로 형성된 걸림턱(14)으로 이루어지는 치약인출작동부(10)와;
욕실 등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21)와, 중앙에는 상기 작동스위치(11)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착탈걸림턱(22)이 구비되고 상기 착탈걸림턱(22)의 주변에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되 상기 각 스프링지지바아(13)가 끼워지는 끼움구멍(23)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24)와, 상기 끼움구멍(23)으로 끼워진 상기 스프링지지바아(13)가 내부에 삽설되고 인장 스프링(25)이 바깥쪽으로 수납되는 중공형파이프(26)가 설치된 하부플레이트(27)와, 상기 상부플레이트(24)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7)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브라켓트(28)와, 상기 연결브라켓트(28)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트(21)와 교호적으로 끼워져 고정핀(1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탈부착브라켓트(29)로 이루어지는 고정부(20)와;
상부면은 힘을 가하면 내부로 밀려 들어갈 수 있도록 밀봉되는 가압덮개(31)를 구비하고 하부면은 중앙부에 치약이 배출되는 치약배출구(32)를 구비하되 몸체(33)를 이루는 중앙부에는 치약이 내장되는 치약수납부(30)와;
하부면은 폐쇄되고 상부면은 그 중앙부에 상기 치약배출구(32)가 삽설되는 끼움배출구멍(4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치약배출구(32)와 상기 끼움배출구멍(41)을 통해 배출되는 치약이 수납저장되는 치약수납저장공간(42)이 구비되며,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의 상부에는 치약이 배출되는 상기 끼움배출구멍(41)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에 수납된 치약을 밀어 신속하게 치약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차단블럭(43)이 설치되고,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차단블럭(43)과 상호 반대로 작동되면서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에 저장된 치약을 칫솔을 수납하는 칫솔수납구(44)로 인출하여 주는 치약인출차단블럭(45)으로 이루어진 치약인출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작동스위치(11)는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탄력적으로 눌려지고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복원될 수 있도록 스프링(16)이 구비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기부(1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17)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 한지(18)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벌려질 수 있도록 끝단부에 체결턱이 구비된 체결구(19)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지지바아(13)의 상단부는 상기 스프링지지바아(13)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단부(130)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지지바아(13)의 외부에 상기 스프링(25)이 끼워 설치될 때 그 끝단부가 안착되면서 압축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치약공급기몸체(12)의 내부는 그 하단부에서부터 일정높이까지 일정넓이의 돌출고정부(120)가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또 하단부에는 길이(수직)방향 끼움홈(121)과 이와 직각되는 원주방향 끼움홈(12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주방향 끼움홈(122)에 의해 이루어지는 원주방향의 상기 걸림턱(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치약공급기몸체(12)의 일측에는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상기 고정부(20)에 구비된 상기 연결브라켓트(28)가 삽설되는 길이방향의 슬롯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20)는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24) 와 하부플레이트(27)의 각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양단부에 롤러가 구비된 아령형상의 회동롤러(241)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7)의 하부면 중앙에는 아래로 볼록한 형상의 볼록홈(2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플레이트(24)와 하부플레이트(27)를 연결시켜주는 상기 연결브라켓트(28)는 그 하단부에서부터 일정높이까지 슬롯홈(280)이 형성되어 상기 치약수납부(30)의 상기 몸체(33)가 상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브라켓트(29)에는 끼움구멍(290)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상기 고정브라켓트(21)에 형성된 끼움구멍(210)과 일직선으로 하여 상기 고정핀(15)을 삽입시켜 줌으로써 상기 고정부(20)가 상기 고정브라켓트(21)에 의해 욕실 벽 등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치약수납부(30)는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33)의 외부면에 일정간격으로 오목홈(330)이 형성되어 상기 치약공급기몸체(12) 내부로 상기 몸체(33)가 삽입될 때, 상기 치약공급기의 몸체(12)에 형성된 상기 돌출고정부(120)에 상기 몸체(33)에 형성된 상기 오목홈(330)이 끼워지게 되어 상기 치약수납부(30)가 상기 치약공급기몸체(12)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삽입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33)의 내벽면에는 상기 고정부(20)의 하부플레이트(27)가 상기 가압덮개(31)를 가압하면서 상기 몸체(33)의 내부로 삽입되어 하강할 때 그 하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롤러(240)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홈 (331)이 길이/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의 하부플레이트(27)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몸체(33) 의 상부면에 구비된 상기 가압덮개(31)에는 그 하부면에 가압돌기부(31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압덮개(31)가 하단부까지 가압되어 내려갔을 때 상기 치약배출구(32)의 내부까지 밀려내려가 치약이 완전하게 밀어내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치약배출구(32)가 구비된 치약덮개(34)는 상기 치약인출부(40)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아랫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원주방향의 압착돌기부(3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치약배출구(32)의 외주면은 일반적인 치약튜브에 구비된 것과 같이 약간의 힘으로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치약인출부(40)는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면이 상기 치약수납부(30)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치약덮개(34)가 원활하게 밀착되어 밀봉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그 중앙 부위에 상기 치약배출구(32)가 삽입되는 상기 끼움배출구멍(41)과 상기 치약덮개(34)의 상기 압착돌기부(340)가 끼워 맞추어지는 압착요홈부(41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약인출부(40)는 상기 끼움배출구멍(41)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상기 가압차단블럭(43)과 상기 칫솔수납구(44)로 치약을 인출하거나 차단하는 상기 치약인출차단블럭(45)의 각 일측면에 랙크(430,450)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는 상기 랙크(430,450)와 맞물리는 피니언(46)이 구비되어 랙크와 피니언 메카니즘이 적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칫솔수납구(44)의 안쪽에 구비된 상기 치약인출차단블럭(45)의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치약인출차단블럭(45)의 상부측에는 상기 랙크(450)가 형성된 부분의 연장선상으로 치약차단부(452)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451)의 탄성복원력으로 치약이 상기 칫솔수납구(44)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치약차단부(452)의 하부면에는 인출되는 치약이 차단될 때 그 끊어지는 현상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잘라줄 수 있도록 치약절단선(45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치약인출부(40)의 외벽에는 양측에 체결돌기(47)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치약인출부(40)가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의 하단부에 체결될 때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47)를 상기 끼움홈(121)으로 끼워 올려주고 상기 끼움홈(122)에 이르러 좌우로 회동시키면 상기 끼움홈(122)에 의해 형성된 상기 걸림턱(14)에 상기 체결돌기(47)가 걸려져 상기 치약인출부(40)가 상기 몸체(12) 하단부에 견고하게 체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상기 치약자동공급기(1)는 도1과 도2를 근거로 하여 조립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2와 도3의 분리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먼저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의 상기몸체(12)의 내부로 상기 고정부(20)를 삽입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중공형 파이프(26)의 외부에 상기 스프링(25)을 끼우되 상기 스프링(25)은 상기 중공형 파이프(26)의 중간 부위에 구비된 스프링걸림턱(260)에 지지된다. 이어 상기 스프링지지바아(13)는 상기 고정부(20)의 상기 상부플레이트(24)에 형성된 상기 끼움구멍(23)내부로 끼워지면서 상기 중공형파이프(26)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중공형파이프(26)의 외측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25)이 상기 스프링지지바아(13)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단부(130)에 압축되면서 지지된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24)의 윗측에 구비된 상기 착탈걸림턱(22)이 상기 작동스위치(11)에 구비된 상기 체결구(19)에 체결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19)는 상기 착탈걸림턱(22)에 체결될 때 상기 힌지(18)와 상기 스프링(16)에 의거 양측으로 벌려지고 다시 오므려지면서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의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치약이 충진된 상기 치약 수납부(30)가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의 몸체(12) 내부로 끼워지는데, 이때 상기 몸체(12) 내부에 형성된 돌출고정부(120)가 상기 치약수납부(30)의 몸체(33) 외부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홈(330)에 끼워 맞추어 지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33)가 상기 몸체(12) 내부에서 견고하게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2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하부플레이트(27)가 상기 치약수납부(30)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가압덮개(31)와 밀착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치약인출부(40)를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의 상기 몸체(12) 내부로 밀어 넣어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치약인출부(40)의 외주변에 구비된 상기 체결돌기(47)를 상기 몸체(12) 내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121)으로 삽입하여 상기 끼움홈(122)까지 밀어 넣은 후 좌우로 돌려주면 상기 끼움홈(122)에 의해 형성된 상기 걸림턱(14)으로 상기 체결돌기(47)가 걸려져 견고하게 상기 치약인출부(40)가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의 상기 몸체(12)에 체결 고 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고정브라켓트(21)와 상기 고정핀(15)을 매개로 상기 고정부(2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탈부착브라켓트(29)와 끼움·체결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욕실 벽면 등에 고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치약자동공급기(1)는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의 몸체(12) 내부에 상기 고정부(20)와 상기 치약수납부(30) 및 상기 치약인출부(40)가 차례로 삽입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 상기 치약자동공급기(1)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욕실 등의 벽면(52)에 고정설치된 상기 치약자동공급기(1)를 사용하기 위해, 도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에 의해 구비된 상기 작동스위치(11)를 화살표 "가"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스프링(16)이 압축되고, 이어 상기 돌기부(17)에 의해 상기 체결구(19)가 눌려지면서 상기 힌지(18)의 회동에 의해 벌어진다. 그러면 상기 체결구(19)에 상기 스프링(25)의 압축 탄성력으로 장착된 상기 착탈걸림턱(22)이 탈착되게 되고 그 순간 상기 스프링(25)의 반발력이 화살표"나" 방향으로 발생되어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의 몸체(12)를 상부로 밀어 올려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의 몸체(12)는 화살표"다"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20)는 벽면(5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12)와 연결된 상기 치약수납부(30)와 상기 치약인출부(40)도 상기 몸체(12)와 함께 상승 된다.
이와 동시에 고정부(20)에 구비된 상기 하부플레이트(27)는 상기 치약수납부(30)의 상부면에 구비된 상기 가압덮개(31)를 가압 즉 눌러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가압덮개(31)는 눌려지면서 이와 밀봉된 상기 치약수납부(30)의 상기 몸체(33)는 상기 고정부(20)의 슬롯홈(28)을 따라 상부로 올라가게 되고, 상기 치약수납부(30)에 내장된 치약(51)은 상기 가압덮개(31)가 눌러주는 힘(스프링(25)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치약배출구(32)를 통해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으로 배출된 치약은 상기 스프링(45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치약인출차단블럭(45)에 구비된 상기 치약차단부(452)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0)에 구비된 상기 회동롤러(240)는 상기 몸체(33)가 상승될 때 그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홈(331)에 끼워 들어가 상기 몸체(33)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작동스위치(11)는 한번 작동(누름)시키고 손을 떼면 상기 스위치(11)에 구비된 상기 스위치(16)의 복원력으로 복원되며 이로 인해 상기 체결구(19)도 당연히 원래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한번 상기 작동스위치(11)를 작동시키면 상기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치약이 항상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까지 배출된 상태 로 유지되는바, 이때 사용자가 도10와 도11에서와 같이, 칫솔(50)을 상기 칫솔수납구(44)로 밀어 넣으면 상기 치약인출차단블럭(45)이 상기 스프링(451)을 압축하면서 후방으로 밀려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피니언(46)이 회동되면서 이와 맞물려 있던 상기 가압차단블럭(43)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치약배출구(32)를 막아주고, 상기 치약차단부(452)는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을 개방하게 되며, 그 순간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에 수납된 치약이 상기 칫솔(50)의 칫솔모에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치약이 칫솔(50)에 떨어진 후 상기 칫솔(50)을 상기 칫솔수납구(44)에서 빼내는 순간 상기 스프링(451)의 복원력과 상기 피니언(46)의 반대방향의 회동에 의해 상기 가압차단블럭(43)은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상기 치약배출구(32)를 열어 다음 치약이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치약차단부(452)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치약의 상기 칫솔수납구(44)로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치약차단부(452)가 차단되면서 칫솔모로 인출되는 치약을 잘라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치약차단부(452)의 하단부에 구비된 상기 치약절단선(453)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깨끗하게 치약이 잘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치약이 상기 치약인출차단부(45)에 묻어서 지저분해지는 것을 막아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덮개(31)가 상기 하부플레이트(27)에 의해 완전히 바닥까지 밀고 내려가게 되면 상기 가압덮개(31)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가압돌기(310)가 상기 치약배출구(32)의 내부까지 밀고 들어가게 되고 이어 상기 하부플레이트(27) 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볼록홈(270)에 의해 더욱 끝까지 상기 가압돌기(310)를 밀어 상기 치약배출구(32)에 남아있는 마지막 치약까지 완벽하게 밀어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의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의 확대 분리사시도이고,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의 치약인출작동부 단면도와 평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의 고정부 단면도와 평명도이고,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의 치약수납부의 단면도와 평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의 치약인출부 단면도와 요부확대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의 조립사시도이고,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의 최초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이고,
도10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가 작동된 상태에서 치약을 칫솔모로 인출되는 단면상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자동공급기에서 치약이 인출된 후의 단면상태도이고,
도12은 종래의 치약자동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치약자동공급기 10:치약인출작동부 11:작동스위치
12: 치약공급기몸체 13:스프링지지바아 14:걸림턱 15:고정핀
16:스프링 17:돌기부 18:힌지 19:체결구 130:단부
120:돌출고정부 121,122:끼움홈 52:벽면 51:치약 50:칫솔
20:고정부 21:고정브라켓트 22:착탈걸림턱 23:끼움구멍
24:상부플레이트 25:스프링 26:중공형파이프 27:하부플레이트
28:연결브라켓트 29:탈부착브라켓트 210:끼움구멍 240:회동롤러
270:볼록홈 260:스프링걸림턱 280:슬롯홈 290:끼움구멍
30:치약수납부 31:가압덮개 32:치약배출구 33:몸체 310:가압돌기부
330:오목홈 331: 가이드홈 34:치약덮개 340:압착돌기부
40:치약인출부 41:끼움배출구멍 42:치약수납저장공간
43:가압차단블럭 44:칫솔수납구 45:치약인출차단블럭
410:압착요홈부 46:피니언 47:체결돌기 430,450: 랙크 451: 스프링
452:치약차단부

Claims (12)

  1. 치약이 저장된 치약저장부에서 칫솔의 칫솔모로 일정양의 치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치약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작동스위치(11)와, 내부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스프링지지바아(13)가 구비되고 내벽 하단부에 원주면을 따라 일정 높이로 걸림턱(14)이 형성되되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中空)형의 치약공급기몸체(12)로 이루어지는 치약인출작동부(10)와;
    상기 스프링지지바아(13)가 끼워지는 끼움구멍(23)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24)와, 상기 끼움구멍(23)으로 끼워진 상기 스프링지지바아(13)가 내부에 삽설되고 인장 스프링(25)이 수납되는 하부플레이트(27)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24)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7)가 상호 일체화 되도록 연결시켜 주는 연결브라켓트(28)로 이루어지는 고정부(20)와;
    내부로 밀려 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 측에 구비된 가압덮개(31)와 치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 측에 구비된 치약배출구(32) 및 치약이 내장되는 몸체(33)로 이루어지는 치약수납부(30)와;
    상기 치약배출구(32)가 삽설될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배출구멍(41)과, 상기 치약배출구(32)을 통해 배출되는 치약이 수납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치약수납저장공간(42)과, 치약이 배출되는 상기 끼움배출구멍(41)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에 수납된 치약을 밀어 신속하게 치약이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 된 가압차단블럭(43) 및 상기 가압차단블럭(43)과 상호 반대로 작동되면서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에 저장된 치약이 칫솔수납구(44)로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 치약인출차단블럭(45)으로 이루어진 치약인출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위치(11)는 가압 되는 작동력을 해제하면 복원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스프링(16)을 구비하고, 걸림부가 형성된 체결구(19)를 힌지(18)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에 돌기부(17)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스위치(11)를 눌러줌으로써 상기 체결구(19)로부터 상기 고정부(20)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의 상기 상부플레이트(24) 윗면 중앙부에는 상기 체결구(19)에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착탈걸림턱(22)이 구비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의 치약공급기몸체(12) 내부 윗쪽에는 상기 스프링지지바아(13)의 외부에 구비되는 스프링(25)의 한쪽 끝이 지지 압 축될 수 있도록 단부(130)가 구비되고, 아랫쪽에는 상기 치약인출부(40)가 체결될 수 있는 끼움홈(121,122)과 걸림턱(1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공급기몸체(12)의 내벽에는 상기 치약수납부(30)가 수납될 때 그 외부에 형성된 오목홈(330)에 끼워져 상기 치약수납부(30)가 원주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일정높이의 돌출고정부(120)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에는 벽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브라켓트(21)에 끼움구멍(210,290)을 통해 고정핀(15)을 매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된 탈부착브라켓트(2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에 구비된 상기 연결브라켓트(28)에는 상기 치약수납부(30)의 몸체(33)가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슬롯홈(2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에 구비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24,27)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덮개(31)를 가압하여 하강할 때 이를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개의 회동롤러(240)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27)의 하부면에는 상기 가압덮개(31)를 끝까지 밀어 치약이 상기 치약수납부(30)에 남아있지 않도록 하는 볼록홈(2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수납부(30)에 구비된 상기 가압덮개(31)의 밑면에는 상기 가압덮개(31)가 하강하였을 때 상기 볼록홈(270)에 의해 눌리어지면서 상기 치약배출구(32) 내부로 밀려 들어가 상기 치약배출구(32) 내부에 있는 치약을 모두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압돌기부(310)가 구비되고, 상기 치약수납부(30)의 몸체(33) 내벽에는 상기 상하부플레이트(24,27)에 구비된 상기 회동롤러(240)를 안내하는 다수개의 길이방향 가이드홈(3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인출부(40)는 상기 치약배출구(32)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가압차단블럭(43)과 상기 치약수납저장공간(42)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치약인출차단블럭(45)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압차단블럭(43)과 상기 치약인출차단블 럭(45)을 상호 대향되도록 하여 각기 한쪽 면에 랙크(430,450)를 형성하고 상기 각 랙크(430,450) 사이에 피니언(46)을 설치하여 상기 가압차단블럭(43)과 상기 치약인출차단블럭(45)이 랙크, 피니언 및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호 반대 방향으로 작동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치약인출차단블럭(45)의 차단부를 형성하는 치약차단부(452)의 밑면에는 인출되는 치약을 잘라주는 치약절단선(453)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인출부(40)의 상부면에는 상기 치약수납부(30)의 바닥면 하부에 구비된 압착돌기부(340)가 끼워져 상기 치약수납부(30)가 상기 치약인출부(40)에 견고하게 밀착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압착요홈부(4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인출작동부(10)의 치약공급기몸체(12)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20)에 구비된 상기 연결브라켓트(28)가 삽설되는 길이방향의 슬롯홈(12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기.
KR1020080001093A 2008-01-04 2008-01-04 치약 자동공급기 KR100910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093A KR100910351B1 (ko) 2008-01-04 2008-01-04 치약 자동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093A KR100910351B1 (ko) 2008-01-04 2008-01-04 치약 자동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291A KR20090075291A (ko) 2009-07-08
KR100910351B1 true KR100910351B1 (ko) 2009-08-04

Family

ID=4133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093A KR100910351B1 (ko) 2008-01-04 2008-01-04 치약 자동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7620A (zh) * 2018-05-15 2018-09-28 太仓市麦哲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自动化牙膏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16B1 (ko) * 2013-08-30 2014-12-11 이문수 치약 자동 공급 장치
KR102254604B1 (ko) * 2020-12-08 2021-05-21 권이성 분말형 치약용 디스펜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87Y1 (ko) 2002-06-14 2002-09-09 김현철 치약 인출장치
KR100785342B1 (ko) 2007-02-16 2007-12-17 김상훈 절약형 치약 배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87Y1 (ko) 2002-06-14 2002-09-09 김현철 치약 인출장치
KR100785342B1 (ko) 2007-02-16 2007-12-17 김상훈 절약형 치약 배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7620A (zh) * 2018-05-15 2018-09-28 太仓市麦哲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自动化牙膏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291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970B1 (ko) 치약 자동 디스펜서
KR100910351B1 (ko) 치약 자동공급기
CN210541372U (zh) 一种滚动地拖底座及其清洁装置
KR20060097420A (ko) 치약 배출기
KR20190097462A (ko) 튜브형 치약 내장형 칫솔
KR100755489B1 (ko)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KR20070000361U (ko) 칫솔 수납대를 구비한 치약 압출기
KR100815541B1 (ko)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및 치약인출 작동방법
JP2008120460A (ja) 中空体
KR20060101586A (ko) 자동 치약 분배기
CN112545695B (zh) 一种电动牙刷智能充电消毒设备
KR200273886Y1 (ko) 치약 가압장치
KR200451728Y1 (ko) 치약 추출장치
KR100982704B1 (ko)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KR200389179Y1 (ko) 치약 배출기
CN215555564U (zh) 一种定量的自动挤牙膏装置
CN214632453U (zh) 一种智能刷牙机
KR100666333B1 (ko) 치약 토출기
KR200349031Y1 (ko) 치약 배출기
KR100894543B1 (ko) 치약 자동 압출장치
KR200392871Y1 (ko) 치약 토출기
CN215227132U (zh) 一种卫生纸智能出纸装置
KR200495657Y1 (ko) 치약튜브 압착장치
CN211459184U (zh) 一种自动进牙膏的牙刷盒
KR20140033605A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