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890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890B1
KR100629890B1 KR20040084974A KR20040084974A KR100629890B1 KR 100629890 B1 KR100629890 B1 KR 100629890B1 KR 20040084974 A KR20040084974 A KR 20040084974A KR 20040084974 A KR20040084974 A KR 20040084974A KR 100629890 B1 KR100629890 B1 KR 100629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olar
solar panel
piec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8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545A (ko
Inventor
니시하라타쿠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판넬부를 실외기에 견고하게 설치 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의 수광면을 갖는 태양전지판넬 2A를 갖는 횡장방형상의 태양전지판넬부 2와, 이 태양전지판넬부 2의 좌우양단부에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판넬지지구 11, 11과, 실외기 1에 설치되어 상기 각 판넬지지구 11, 11에 고정되는 한쌍의 판넬다리고정구 10, 10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2는, 그것의 주연부에 하향의 걸림편 19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걸림편 19중, 서로 대향하는 장변측의 2변의 걸림편 19에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 20을 형성하고, 상기 각 판넬지지구 11, 11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협지편 25, 25, 26, 26을 형성하고, 이 한쌍의 협지편 25, 25, 26, 26이 상기 각 절곡편 20을 협지한 상태로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2에 각 판넬지지구 11, 11을 고정한다.
실외기, 태양전지판넬장치, 걸림편, 절곡편 협지편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ING EQUIPMENT}
도 1은 태양전지판넬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의 뒤쪽에서 본 외관사시도를 나타냄.
도 2는 동일 실외기의 측면도를 나타냄.
도 3은 동일 실외기의 정면도를 나타냄.
도 4는 태양전지판넬부와 판넬지지구와를 고정할때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태양전지판넬부의 이면도를 나타냄.
도 5는 판넬지지구의 이면도를 나타냄.
도 6은 태양전지판넬장치의 일부 확대측면도를 나타냄.
도 7은 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블럭도를 나타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외기 2 : 태양전지판넬장치
2A : 태양전지판넬 10 : 판넬다리고정구
11 : 판넬지지구 12 : 태양전지판넬부
19 : 걸림편 20 : 절고편
21, 24 : 취부편 25, 26 : 협지편
27 : 절곡편
본 발명은, 태양전지판넬에서 발전 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태양전지판넬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공기조화장치는,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본체에 상기 태양전지판넬을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 되어 있다.(특허문헌 1참조)
그리고, 태양광의 수광면을 태양전지판넬부와, 이 태양전지판넬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판넬지지구와, 각 판넬지지구에 연결됨과 동시에 공기조화장치에 설치되는 한쌍의 판넬다리고정구와를 구비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 2002-168498호
그러나, 상기 태양전지판넬부에 한쌍의 판넬지지구를 고정 하는경우, 이 판넬지지구의 하부에 넓어진 궁형부(弓形部)의 위가장자리부가 태양전지판넬부의 뒤측의 단변측의 절곡편에 측방으로부터 고정 하고 있으므로, 특히 바람이 강한 날등에는 태양전지판넬부가 바람을 받아서, 판넬지지구나 판넬다리고정구가 꺽어 지다든지 하여, 때로는 파손되는 일이 있었다.
그래서 본발명은, 태양전지판넬부를 실외기에 견고하게 설치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제 1의 발명은, 태양전지판넬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사용가능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태양광의 수광면을 갖는 태양전지판넬을 갖는 횡장방형상의 태양전지판넬부와, 이 태양전지판넬부의 좌우양단부에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판넬지지구와,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각 판넬지지구에 고정되는 한쌍의 판넬다리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판넬부는, 그것의 주연부에 하향의 걸림편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걸림편 중, 서로 대향하는 장변측의 2변의 걸림편에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을 형성하고, 상기 각 판넬지지구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협지편을 형성하고, 이 한쌍의 협지편이 상기 각 절곡편을 협지한 상태로 상기 태양전지판넬부에 각 판넬지지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가 각 판넬지지구의 양단부에 형성한 각각 한쌍의 협지편의 적어도 한쪽에 취부구멍을 개설하여, 이 각 판넬지지구의 취부구멍에 상기 절곡편에 개설한 취부구멍에 합치시킨 상태로 나사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판넬부에 각 판넬지지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의 발명은, 제 1 또는 제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지지구의 일부를, 상기 태양전지판넬부에 있어서의 단변측의 2변의 걸림편에 눌른 상태로 하여, 상기 태양전지판넬부에 각 판넬지지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발명을 실시 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 하여 설명한다. 도 1는 태양전지판넬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동일 실외기의 측면도, 도 3은 동일 실외기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내지 도 3에 있어서, 1은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이며, 이 실외기 1의 상방에는 태양전지판넬 2A를 갖는 태양전지판넬장치(이하, 「판넬장치」라 함) 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 1내의 후부에는 냉동싸이클을 구성하는 응축기 3이 배설되며, 이 응축기 3의 전방에는 구동모터로 운전되는 응축기냉각용송풍기(이하, 「송풍기」라 함) 4가 배설되고, 상기 응축기 3에 인접 설치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62가 배설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62의 후방위치의 실외기체의 이면에는 취부판 5가 설치되며, 상기 응축기 3의 후방위치의 실외기체의 이면에는 흡입구 6을 갖는 흡입용판넬 7이 설치되어 있으며, 실외기체의 전면에는 취출구 8이 개설 되어 있다.
상기 판넬장치 2는, 2매의 판넬다리고정구 10, 10과, 2매의 판넬지지구 11, 11과,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상의 태양전지판넬 2A를 갖는 태양전지판넬부(이하, 「판넬부」라 함) 12로부터 된다.
상기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은 대략 사다리형상의 2매 한쌍의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이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의하부에 형성된 나사구멍 14A 및 실외기체의 좌우의 측판 13, 13 상부의 나사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나사 14로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판넬다리고정구 10, 10에는, 실외기 1의 실외기체의 조립용나사 15 (특히 천판을 고정하는 나사)를 피하기 위한 긴구멍 16이 각각 형성 되어 있다. 다시, 상기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의 전 상부에는 각각 지점축고정용나사구멍 17, 17 이 설치되고, 후 상부에는 상기 판넬지지구 11, 11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 18, 1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판넬지지구 11, 11은 2매 한쌍의 금속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12 및 상기 판넬다리고정구 10, 1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태양전지판텔부 12의 이면측의 장변측의 2변에는 걸림편 19로부터 각각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편 20이 형성 됨과 동시에 그 장변측의 절곡편 20의 모서리부에는 각각 취부구멍 21, 21이 형성 되어 있다.
한편, 판넬지지구 11, 11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바와 같이, 평판부 22의 장변측의 소정위치로부터 소정각도를 두고 절곡된 취부판부 23, 23을 다시 절곡하여 취부구멍 24를 갖는 한쪽의 협지편 25, 25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협지편 25, 25와는 간격을 두어 높이 수준이 서로 다른(상기 절곡편 20의 두께보다 조금큰 간격을 두고 있음) 다른쪽의 협지편 26, 26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12를 뒤집은 상태로, 각 판넬지지구 11, 11의 장변측을 절곡편 20에 대하여 경사지게(양자를 직각의 관계는 아니고, 경사짐) 하면서,각 판넬지지구 11, 11을 장변측의 절곡편 20을 한쪽의 폅지편 25와 다른쪽의 협지편 26과의 사이에 위치 시켜서, 미끄러지게 하면서 상기 평판부 22의 외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절곡편 27을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12의 단변측의 걸림편 19에 눌러덮어서, 절곡편 20과 각 판넬지지구 11 11의 장변측과가 수직이 되도록 하여,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12의 취부구멍 21, 21과 판넬지지구 11, 11의 취부구멍 24, 24와를 합치시켜서 도시 하지 아니한 나사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판넬지지구 11, 11을 간단하게 또한 견고하게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12에 취부 할 수가 있다.
즉, 각 판넬지지구 11, 11의 절곡편 20을 한쪽의 협지편 25와 다른쪽의 협지편 26과로 협지 시킨 상태로,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12의 취부구멍 21, 21 과 판넬지지구 11, 11의 취부구멍 24, 24와를 합치시켜 나사로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12와 각 판넬지지구 11, 11과 고정하도록하였음으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 할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각 판넬지지구 11, 11의 절곡편 27을 태양전지판넬부 12의 이면측의 단변측의 2변의 걸림편 19에 눌러덮은 상태로 하여 태양전지판넬부 12와 각 판넬지지구 11, 11과를 고정하도록 하였음으로, 양자가 용이하게 위치를 결정 할수 있으며, 이 위치결정된 상태로 고정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협지편 25, 25에 취부구멍 24를 형성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한쌍의 협지편 26, 26에 취부구멍을 형성하여 나사로 고정하여도 좋으며, 더욱이 협지편 25, 25 및 26, 26에 취부구멍을 형성하여 판넬지지구 11, 11을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12에 고정 하여도 좋다.
또, 판넬지지구 11, 11의평판부 22의 상기 절곡편 27과 마주하는 쪽에는, 상기 절곡편 27과 반대방향으로 절곡한 원호형의 궁형부 28을 형성하고, 다시 궁형부 28의 절곡기단부의 중간위치에는 コ자 형상의 벤자리를 두고 이 궁형부 28과는 직교하도록 되접어 꺽은후, 이 궁형부 28의 평면부와 소정간격을 둔 평행한 협지편 29를 형성하여 꽂음부 30을 형성한다.
더욱이, 판넬지지구 11, 11의 궁형부 28에는, 각각 전부에 지점축 31(나사로 구성)이 끼워지는 끼움구멍 32 및 후부에 조정나사 34가 끼워지는 원호형상의 조정구멍 33이 형성된다. 이 조정구멍 33의 가장자리 주변에는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12의 수광면 12A의 앙각(仰角)(수평면과 수광면과의 각도)을 표시하는 각도지시 라벨 35가 첨부 되어 있다.(도 6참조). 상기 원호형상의 조정구멍 33은 끼움구멍 32를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반경은 상기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의 전 상부의 지점축고정용나사구멍 17, 17과 나사구멍 18, 18과의 간격과 같은 치수이다.
그리고, 상기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을 실외기체에 고정하고, 한쪽 판넬지지구 11, 11을 상기 태양전지판넬부 12에 고정한상태에서, 상기 판넬다리고정구 10, 10에 판넬지지구 11, 11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실외기체에 태양전지판넬부 12를 고정 할수 있다. 즉, 상기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의 상부를 판넬지지구 11, 11의 꽂음부 30에 꽂은 상태로 하여, 상기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의 전 상부의 지점축고정용나사구멍 17, 17과 판넬지지구 11, 1의궁형부 28의 끼움구멍 32와를 합치시켜 진점축 31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의 나사구멍 18, 18과 판넬지지구 11, 11의 궁형부 28의 조정구멍 33과 합치시켜 조정나사 34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판넬다리고정구 10, 10에 판넬지지구 11, 11을 고정 할수 있다.
이와같이,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이 실외기 1의 양측판 13, 13에 고정된후,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의상부를 태양전지판넬부 12에 고정한 판넬지지구 11, 11의 꽂음부 30에 꽂은상태로, 판넬다리고정구 10, 10과 판넬지지구 11, 11과를 고정 함으로,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이 실외기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 이상과 같이 판넬다리고정구 10, 10, 판넬지지구 11, 11 및 태양전지판넬부 12가 고정되면, 본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풍속 50 미터의 바람을 실외기 1에 맞게 하여도, 판넬지지구 11, 11이나 판넬다리고정구 10, 10이 구부러 지는일이 없으며, 파손 되는 일도 없다. ,
이와같이 고정 하는경우, 태양전지판넬부 12 및 판넬지지구 11, 11을 수광면 12A가 실외기 1의 정면측 경사 상방으로 향하여지어, 수평에 대하여 15도 ~ 40도의 범위에서 변경 조정 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조화장치 1의판넬장치 2는, 정면을 태양광이 입사하는 방각(북향을 제외한 方角)으로 향하여 설치 한다. 다음에 , 각도지시라벨 35의 표시에 따라서 판넬지지구 11, 11을 조정나사 34 및 지점축 31을 풀면 지점축 3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시킬수 있으며, 수광면 12A의 경사각도(15도 ~ 40도의 범위)를 조정한다. 이 조정후, 조정나사 34 및 지점축 31로 좋임으로서, 수광면 12A에 의해 많은 태양광을 받아 들일수 있다.
40은 태양전지판넬 2A에서 발전된 직류의 전압을 승압하는 DC-DC 콘버터나 비교회로등을 포함하는 파워콘트롤러 41등이 탑재된 프린트기판을 내장한 전장상자로, 직방체형상을 나타낸 좌우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공기유통구멍 42가 개설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장상자 40은 실외기체의 이면의 취부판 5위에, 이 전장상자 40의 취부측의 면이 취부판 5의 상부 주변가장자리에 돌설한 돌기부 5A에 의해 취부판 5의 평면부 5B와 적은 간격 S를 둔 상태로 상부 및 하부의 취부편 39(하부의 취 부편은 도시하지 아니함)에 개설한 취부구멍을 개재하여 나사 43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전장상자 40의 일부는 그 상부에 있어서 취부판 5의 돌기부 5A와 접하고, 또 전장상자 40의 하단에 형성한 간격자 44에 의해, 상술한바와 같이, 전장상자 40의 취부측의 면이 취부판 5의 평면부 5B와 적은 간격 S를 둔 상태로 실외기체의 취부판 5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취부판 5(실외기체)로부터 전장상자 40으로의 열전달이 극력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 5A는 평면으로 보아 コ자 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지만, 이 형상에 한정 되지 않으며, 상기 전장상자 40과 취부판 5와의 접촉면적이 작으면, 열전도가 극력 감소 하는 것임으로, 여러 가지의 실시형태가 상정 된다. 예를들면, 돌기부를 점재(点在)시키도록 하여, 접촉면적을 작게 하여도 좋다.
또, 전장상자 40의 일부가 흡입용판넬 7의 흡입구 6위에 걸치듯이 배설하여 고정한다. 이때문에, 구동모터에 의해 송풍기 4가 운전되면 흡입용판넬 7의 흡입구 6을 통하여 실외기체내에 공기가 도입되어 응축기 3을 냉각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실외기체의 전면의 취출구 8보다 전방에 배기 될 때에, 전장상자 40의 바깟쪽의 측면의 공기유통구멍 42로부터 이 전장상자 40내에 공기가 유입된후, 안쪽의 측면의 공기유통구멍 42를 통하여, 상술한바와 같이, 흡입용판넬 7의 흡입구 6을 통하여 실외기체내에 도입되는 것에 의해 DC-DC 콘버터를 포함하는 파워콘트롤러 41이나 프린트기판이 냉각 되든가, 흡입용판넬 7의흡입구 6에로 공기가 도입될때에 전장상자 40 자체도 냉각 되느것으로 된다.
따라서, 발열하는 DC-DC콘버터를 포함하는 파워콘트롤러 41을 비록하여, 그 것이 탑재된 프린트기판이나 전장상자 40-도 냉각 되게 된다.
다음에, 도 7의 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블럭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50은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로, 여러 가지의 제어에 관한 전자부품이 탑재된 프린트기판 51을 내장한다. 그리고, 이 프린트기판 51과 가옥의 벽면의 외측에 배설되는 환기장치인 흡배기장치 52와는 릴레이스위치 53을 개재하는 DC 12볼트의 전선 54나 전선 55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흡배기장치 52는,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에 긍급이 가능하며, 또 반대로 실내의 더러워진 공기를 실외로 배기가 가능하다.
그리고, 태양전지판넬 2A로부터의 전압이 DC12볼트 이상이 되면, 전선 63을 통하여 실내기 50의 프린트기판 51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선 55를통하여 흡배기장치 52를 운전 가능하게 한다.한편, DC 12볼트 미만의 경우에는, 단상 100볼트의 상용전원을 통하여 프린트기판 51에서 DC 12볼트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스위치 53이 닫아지는 것에의해, DC 12볼트의 전력이 공급되고, 흡배기장치 52를 운전 가능하게 한다.
또, 실내기 50의 프린트기판 51은 실외기 1에 내장되는 프린트기판 56에 탑재되는 정류평활회로 57에 릴레이스위치 58을 개재하는 단상 100 볼트의 전선 59 및 신호선 60, 60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61은 인버터회로로,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압축기 62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회로이다.
그리고, 태양전지판넬 2A로부터의 전압을 파워콘트롤러 41에 포함되는 DC-DC콘버터가 승압되어, 비교회로에 의해 DC 300볼트 이상으로 될경우에는, 전선 64를 통하여 실외기 1의 프린트기판 56에 전력을 공급하여 인버터회로 61에 의해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소비전력이 큰 압축기 62를 운전 가능하게 한다.
한편, DC 300볼트미만의 경우에는, 단상 100볼트의 상용전원을 정류평활회로 57에 의해 평활정류하여 승압하고 DC 280볼트로 변환한다. 그리고, 스위치 58이 닫히는 것에 의해, 인버터회로 61에 DC280 볼트의 전력이 공급되고, 인버터회로 61에 의해 직류로부터 교류로 변환되어 압축기 62를 운전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태양전지판넬 2A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실외기 1에 있어서는, 압축기 62의 운전에 이용하도록 하였지만, 동일 실외기 1내에 배설되는 송풍기 4의 구동모터의 운전에 이용하여도 좋으며, 실내기 50에 있어서는 흡배기장치 52의 구동원에 한정되지 않으며,실내기 50에 있어서 모든 전력을 이용하는 것에 이용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 하였지만, 상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대체예, 수정 또느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상술한 여러 가지의 대체예,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 하는 것이다.
제 1의 발명에 의하면, 각 판넬지지구의 절곡편을 한쪽의 협지편과 다른쪽과에서 협지시킨 상태로, 태양전지판넬부와 각 판넬지지구와를 고정하도록 하였음으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 할수 있는 것이다.
또 제 2의 발명에 의하면, 각 판넬지지구의 절곡편을 한쪽의 협지편과 다른 쪽의 협지편과로 협지시킨 상태로, 상기 각 판넬지지구의 양 단부에 형성한 각각 한쌍의 협지편의 적어도 한쪽에 개설된 취부구멍과 상기 절곡편에 개설한 취부구멍에 합치시킨 상태로 나사에 의해 태양전지판넬부와 각 판넬지지구와를 고정하도록 하였음으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수 있다.
더욱이, 제 3의 발명에 의하면, 각 판넬지지구의 일부를 태양전지판넬부의 이면측의 단변측의 2변의 걸림편에 눌른 상태로 하여 태양전지판넬부와 각 판넬지지구와를 고정하도록 하였음으로, 양자가 용이하게 위치가 결정된상태로 고정 할수 있다.

Claims (3)

  1. 태양전지판넬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사용가능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태양광의 수광면을 갖는 태양전지판넬을 갖는 횡장방형상의 태양전지판넬부와, 이 태양전지판넬부의 좌우양단부에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판넬지지구와,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각 판넬지지구에 고정되는 한쌍의 판넬다리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판넬부는, 그것의 주연부에 하향의 걸림편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걸림편 중, 서로 대향하는 장변측의 2변의 걸림편에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을 형성하고, 상기 각 판넬지지구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협지편을 형성하고, 이 한쌍의 협지편이 상기 각 절곡편을 협지한 상태로 상기 태양전지판넬부에 각 판넬지지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지지구의 양단부에 형성한 각각 한쌍의 협지편의 적어도 한쪽에 취부구멍을 개설하여, 이 각 판넬지지구의 취부구멍에 상기 절곡편에 개설한 취부구멍에 합치시킨 상태로 나사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판넬부에 걱 판넬지지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지지구의 일부를, 상기 태양전지판넬부에 있어서의 단변측의 2변의 걸림편에 눌른 상태로 하여, 상기 태양전지판넬부에 각 판넬지지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20040084974A 2003-11-27 2004-10-22 공기조화장치 KR100629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7417A JP4198036B2 (ja) 2003-11-27 2003-11-27 空気調和装置
JPJP-P-2003-00397417 2003-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545A KR20050051545A (ko) 2005-06-01
KR100629890B1 true KR100629890B1 (ko) 2006-09-29

Family

ID=3472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84974A KR100629890B1 (ko) 2003-11-27 2004-10-22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98036B2 (ko)
KR (1) KR100629890B1 (ko)
CN (1) CN132227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399A (ja) * 2009-06-22 2011-01-06 Honda Kogyo Kk ソーラーパネルの環境試験装置
JP6092766B2 (ja) * 2013-12-26 2017-03-08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DE102018109604B4 (de) 2018-04-20 2019-10-31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anordnung mit Sicherheitsfunktion sowie ein entsprechendes Verfahr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7118A (ja) 1998-05-29 1999-12-10 Sharp Corp 空気調和機
JP2003201990A (ja) 2001-12-20 2003-07-18 Adda Corp ソーラーパネル付き扇風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06419Y (zh) * 1994-07-29 1995-08-30 李丹 房间空调器的防雨防晒装置
JPH11159809A (ja) * 1997-11-28 1999-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コン室外機の日除け屋根
US6134902A (en) * 1999-01-14 2000-10-24 Curry; Carline Battery operated air conditioner
CN2392118Y (zh) * 1999-09-20 2000-08-16 青岛市家用电器研究所 一种空调室外机用遮阳装置
JP4480260B2 (ja) * 2000-11-29 2010-06-16 三洋電機株式会社 ソーラーパネル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7118A (ja) 1998-05-29 1999-12-10 Sharp Corp 空気調和機
JP2003201990A (ja) 2001-12-20 2003-07-18 Adda Corp ソーラーパネル付き扇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545A (ko) 2005-06-01
CN1322276C (zh) 2007-06-20
CN1621756A (zh) 2005-06-01
JP2005156058A (ja) 2005-06-16
JP4198036B2 (ja)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891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629890B1 (ko) 공기조화장치
JP201916387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063716B2 (ja) 屋外設置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装置
EP3745034B1 (en) Electrical component module
WO2017037820A1 (ja) 室外機
KR20070069772A (ko) 공기조화기
CN209184922U (zh) 一种励磁整流柜散热结构
CN220250169U (zh) 一种空调外风机隔板组件
CN213146780U (zh) 一种空调室外机防水结构及空调
KR100680621B1 (ko) 공기조화기
CN219141024U (zh) 空气处理机组
AU2019211903B2 (en) Electrical component module
JP718239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19128118A (ja) 電装品モジュール
JP2019163914A (ja) 電装品モジュール
KR0128927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CN215597430U (zh) 空调室内机
CN215446652U (zh) 空调室内机
JP6601580B1 (ja) 電装品モジュール
WO2023029132A1 (zh) 空调室内机
KR100469788B1 (ko) 에어컨의 실외기
KR100262635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결합장치
KR100247802B1 (ko) 스크롤과 증발기커버가 일체로 형성되는 창문형 에어콘
KR200159555Y1 (ko) 룸 에어컨의 실내 유닛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