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222B1 - 배터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222B1
KR100629222B1 KR1020040079938A KR20040079938A KR100629222B1 KR 100629222 B1 KR100629222 B1 KR 100629222B1 KR 1020040079938 A KR1020040079938 A KR 1020040079938A KR 20040079938 A KR20040079938 A KR 20040079938A KR 100629222 B1 KR100629222 B1 KR 100629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lding member
height
stacks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087A (ko
Inventor
히가시노다츠야
미야모토다케시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Fuel Cell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복수의 편평한 전지가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스택을 평면에 배열하는 복수의 전지 스택과, 복수의 전지 스택을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전지 스택에 대해 가압하는 편평한 홀딩부재를 구비하는 배터리로서, 각 전지 스택의 높이가 상기 홀딩부재의 변형에 의해 조정된다.

Description

배터리{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의 사시도로서, 전지의 적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전지의 두께에 따라 분류한 전지의 배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히트 싱크의 변형의 분포, 또는 전지 스택의 높이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선 A-A 단면도이다.
도 5는 전지 1개당 압축 변형값과 전지 위의 압력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실시 형태 1).
도 6은 개략 조정용 심(shim)과 미세 조정용 심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히트 싱크의 변형의 분포, 또는 전지 스택의 높이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심이 채워진 상태의 배터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전지 1개당 압축 변형값과 전지 위의 압력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실시 형태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터리 150 : 전지
200 : 중간 히트 싱크 250, 250A 내지 250F : 전지 스택
260A : 개략 조정용 심 260B : 미세 조정용 심
270 : 심 300A, 300B : 히트 싱크
310A 내지 310D : 고정 볼트
본 발명은, 고 에너지 밀도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높아지는 환경 의식에 의해, 자동차의 동력원으로서,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엔진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모터로 이행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모터의 전력원이 되는 배터리와 전지의 기술은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는, 소형 경량으로, 큰 전력을 빈번히 충방전가능한 것이 요구된다. 이 배터리는 양호한 내진성과 방열성이 요구된다.
일본국 특개 2000-l95480호 공보에 개시된 배터리는, 복수의 편평한 전지가 외측 프레임 부재에 배열되는 것이다. 각 전지 사이에 소정 공간을 구비하여, 전지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각 전지가 양호한 방열 특성을 갖게 하여, 배터리의 사이클 특성과 레이트(rate) 특성(방출 특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배터리는, 축전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배터리이다. 생산 효율이 불량하며, 그 각종 부품으로 인해 체적 효율이 낮다. 또한, 각 전지 에 인가되는 압력이 불균일하다. 따라서, 빈번하게 반복된 충방전 이후, 일부의 전지는 전지 내부의 가스 발생에 의해 용량이 감소되고 수명이 단축된다.
전술한 배터리를 차량 탑재용 배터리로 사용하기 위해서, 배터리는 연속 진동하에서 안정 동작을 확보하기 위한 내진성을 추가로 갖고, 전지를 초고밀도로 배열하는 경우에도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동력원으로 최적으로 구성되는 소형 경량의 고에너지 밀도 배터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복수의 편평한 전지가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스택을 평면에 배열하는 복수의 전지 스택과, 복수의 전지 스택을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전지 스택에 대해 가압하는 편평한 홀딩부재를 구비하는 배터리로서, 각 전지 스택의 높이가 상기 홀딩부재의 변형에 조정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 설명하며,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대상을 지시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배터리는, 9개의 편평한 전지(이하, 간단히 전지라 기재한다)의 다수 층을 그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에 3개씩 각각 배열하고 있 다. 배열한 전지의 층을 전지의 두께 방향(전지의 편평한 표면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적층한다. 전지의 양면이 히트 싱크로 두께방향으로 가압하여, 적층된 전지를 일체로 유지한다. 이 실시 형태의 배터리는, 전지의 세로방향과 가로방향 위치가 각 전지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므로, 변형된 히트 싱크에서도 동일한 압력이 모든 전지에 인가된다.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00)에서, 전지 스택(250)의 두 배열이 하부 히트 싱크(300A)와 상부 히트 싱크(300B) 사이에 끼워진다. 중간 히트 싱크(200)는 전지 스택(250)의 두 배열 사이에 끼워진다. 하부 싱크와 중간 히트 싱크(300A, 200) 사이의 전지 스택(250)의 하부 배열에서, 전지(150)가 두께방향(도 1의 Z방향)으로 4층으로 적층된다. 각 층에서, 전지(150)는 세로방향(도 1의 X방향)으로 3열, 가로방향(도 1의 Y방향)으로 3열로 (총 9개 전지로) 각각 배열되어 있다.
히트 싱크(300A, 300B)는 압력조정기능을 갖는 네 개의 고정볼트(310A 내지 310D)에 의해 네 모서리에 서로 연결하고 있다. 고정볼트(310A 내지 310D)를 체결함으로써, 히트 싱크(300A, 300B)를 통해 전지 스택(250)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전지 스택(250)이 일체로 유지된다.
전지 스택(250)에서, 제1 층의 전지(150)는 제2 층의 전지에 병렬로 연결되며, 제3 층의 전지(150)는 제4 층의 전지에 병렬로 연결되는 점에 주목할 것이다. 또한, 전지(150) 사이에, 종방향으로 동일 열로 배열되는 3개의 전지가 서로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100)에서, 층에서 각 전지(150)의 위치는, 히트 싱크(300A, 300B)를 4개의 고정볼트(3l0A 내지 310D)로 체결할 때에, 히트 싱크(300A, 300B)에 발생하는 변형(도 1 참조)을 고려하여, 각 전지(150)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변형이라 함은, 고정 볼트가 고정되는 히트 싱크의 네 모서리 중 하나의 기준 포인트에 대해, 두께방향으로(도 3 참조) 히트 싱크의 내면의 변위를 의미한다.
각 전지(150)는, 예컨대 3.3 mm ±0.1 mm의 범위에 그 두께를 갖도록 제조된다. 그 결과, 비변형성 전지(150) 사이에 3.4 mm의 두께와 3. 2 mm의 두께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100)를 제조하기 전에, 전지(150)를 등급 A, B, C로 분류하고, 공차의 상한에 가까운 (두께가 3.4 mm에 가깝다) 전지를 A 등급에, 공차의 중앙에 가까운 (두께가 3.3 mm)의 전지를 B 등급에, 공차의 하한에 가까운 (두께가 3.2 mm에 가깝다) 전지를 C 등급으로 각각 분류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 등급에 분류된 전지(150)는 히트 싱크(300A, 300B)의 최고 변형이 커지는 A 영역(중앙부분)에 적층한다. B 등급에 분류된 전지(150)는 히트 싱크(300A, 300B)의 A 영역의 다음에 변형이 커지는 B 영역에 적층한다. C 등급에 분류된 전지(150)는 변형이 가장 작게 되는 C 영역에 적층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하는 4개의 B 영역과 C 영역에서 전지 스택의 높이의 편차는 약 30㎛ 이하의 범위로 유지한다.
기술한 바와 같이, 전지를 그 두께에 따라 분류하여, 등급으로 분류된 전지를 각기 소망의 영역에 적층한다. 이로써, 적층된 전지의 높이 분포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히트 싱크(300A, 300B)의 중앙부분에서 가장 크며, 4 모서리 에 가까울수록 작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영역에 형성되는 전지 스택(250A 내지 250F)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정하는 경우, 배터리(100)를 구성하는 모든 전지(150)에 균일한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특히, 전지 스택(250A 내지 250C)의 상부면의 위치와 전지 스택(250D 내지 250F)의 하부면의 위치를 히트 싱크(300A, 300B)를 고정볼트(3l0A 내지 3l0D)로 체결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변형에 따른 높이로 조정하면 히트 싱크(300B, 300A)의 절곡된 내부면을 따라 각각 배열하도록 전지 스택(250A 내지 250F)의 높이가 조정된다. 도 4는, 상부 히트 싱크(300B)와 중간 히트 싱크(200)가 고정볼트(310A 내지 3l0D)의 체결에 의해 변형하고 있는 상태를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 하부 및 상부 히트 싱크(300A, 300B)의 강성이 동일한 경우, 하부 히트 싱크(300A)는 상부 히트 싱크(300B)가 상부 히트 싱크(300B)와 대략 동일량으로 변형하는 방향에 역방향으로 변형하고, 하부 및 상부 히트 싱크(300A, 300B)는 중간 히트 싱크(200)의 평면에 관해서 대칭이다. 또한, 도 4에서는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히트 싱크와 전지 스택 사이의 갭(gap)이 존재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히트 싱크의 변형은 전지(150)의 두께 방향의 변형량 이하가 미소한 변형이기 때문에, 갭은 생기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편평한 전지의 경우, 외부 케이싱 부재가 내부의 전극을 에워싸는 것이 약하기 때문에, 충방전을 빈번히 반복하면 전지 내부에 발생하는 가스가 전극 사이에 축적한다. 따라서, 사이클 열화(충방전의 주기 이후의 전지 성능의 열화)를 발생하여, 수명이 짧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적층된 각 전지 스택을 인가되는 압력이 동일하고 균일한 경우, 모든 전지에 적절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가스가 전극 사이에 축적하는 것을 방지한다.
히트 싱크(300A, 300B)의 변형을 고려하지 않고서 모든 전지 스택의 높이를 균일하게 한 경우, 고정볼트(3l0A 내지 3l0D)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전지 스택에 가장 큰 압력이 인가되고, 히트 싱크(300A, 300B)의 중앙부분의 전지 스택에 가장 작은 압력이 인가되는 것으로 된다. 히트 싱크(300A, 300B)의 네 모서리를 고정볼트(310A 내지 310D)로 체결하는 것만으로 모든 전지 스택에 같은 압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히트 싱크(300A, 300B)의 강성을 상당한 범위까지 증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강성이 증가하면, 히트 싱크(300A, 300B)의 두께가 증가하여 그 중량이 무겁게 된다.
한편, 히트 싱크(300A, 300B)의 강성을 증가하지 않고서 모든 전지 스택에 동일 압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고정볼트의 수를 증가하여 보다 많은 포인트를 고정해야 한다. 고정하는 포인트의 수를 증가하면, 고정볼트의 부착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히트 싱크(300A, 300B)의 면적이 더욱 커진다.
본 실시예와 같이, 히트 싱크(300A, 300B)의 변형을 고려하여 전지 스택의 높이를 조정하면, 히트 싱크(300A, 300B)의 강성을 증가하지 않고, 고정볼트의 부착 포인트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배터리(l00)을 구성하는 모든 전지에 균일한 압력을 인가할 수가 있다. 이처럼, 배터리(100)의 소형,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도 5는 전지 1개당의 압축 변형값(δc)과 전지의 압력(P)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지의 두께를 3 등급으로 분류하여, 전지 스택의 높이 분포를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배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지 1개당의 압축 변형값(δc)은 대략 0.12 ∼ 0.15 mm의 범위(δc1) 내로 유지한다. 또한, 각 전지에 인가되는 압력(P)은 0.75 ∼ 2.1 Kgf/cm2 (74 내지 206 KPa)의 범위(P1)로 조정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변형값(δc)이 범위(δc1) 내에 있는 때에는, 접촉압력(P)은 범위 P1 내에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목표 압력을 얻기 위해서, 각 전지의 압축 변형은 목표 압력에 대응하는 전지 1개당 압축 변형값이 되도록 전지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히트 싱크의 변형에 대한 전지 스택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전지에 인가되는 압력을 전지에 최적 압력으로 조정할 수가 있고, 히트 싱크의 강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 고정볼트의 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배터리의 경량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적절한 두께를 갖는 전지를 선택함으로써 전지 스택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의 배터리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전지와 거의 같다. 전지 스택의 높이 조정을 심(shim)에 의해서 행하고 있는 점이 상이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전지를 그 두께에 따라서 분류하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심을 이용하여 높이를 조정하기 때문에, 실시 형태 1보다도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심은, 도 6a에 도시하는 것 같은 개략 조정용 심(260A)과 미세 조정용 심(260B)이다. 개략 조정용 심(260A)은 인청동 등 의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그 재료에는 탄성이 없기 때문에 전지 스택의 높이를 개략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개략 조정용 심(260A)을 사용하고 있다. 미세 조정용 심(260B)은 수지 또는 고무재료 등의 탄성재료로 제조된다. 그 재료는 용이하게 변경가능하기 때문에, 전지에 인가되는 압력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한 바 같이, 개략 조정용 심(260A)은 전지 스택(250)의 아래(히트 싱크(300A)측)에, 미세 조정용 심(260B)은 전지 스택(250)의 상면(히트 싱크(300B)측)에 설정되고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심(270)은, 개략 조정용 심(260A)과 미세 조정용 심(260B)을 일체로 적층한 것이다. 이 심(270)은 전지 스택(250)의 하면(히트 싱크(300A)측)의 공간에 채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개의 전지의 두께에 관계 없이 전지(150)를 적층한 후, 9개의 전지 스택(250)의 높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전지 스택의 높이의 분포가, 히트 싱크(300A, 300B)의 중앙 부분에서 가장 크며, 네 모서리를 향해서 작아지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되도록 각각의 전지 스택에 대하여 심을 선택한다. 높이 조정시, 도 6a에 도시한 분리형의 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터리(1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 8에 도시한 것 같이, 전지 스택(250A 내지 250F)의 하면에 개략 조정용 심(260A)을, 상면에 미세 조정용 심(260B)을 설정시킨다. 전지 스택(250A 내지 250F)의 하면에 개략 조정용 심(260A)을 설정시키는 이유는, 이 심(260A)은 비탄성체이기 때문에 높이 조정 기능이 크기(대략의 높이 조정을 할 수 있다)때문이다. 또한, 전지스택(250A 내지 250F)의 상측에 높이 미세 조정용 심(260B)을 설정시키는 이유는, 이 심(260B)은 탄성체이기 때문에 높이 조정 기능이 작기 때문이다. 한편, 도 8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6b에 도시한 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지 스택(250A 내지 250F)의 하면에 심(270)을 설정시킨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영역에 형성되는 전지 스택(250A 내지 250F)의 높이를 적절한 두께를 갖는 심을 선택하는 경우, 배터리(100)를 구성하는 모든 전지(150)에 균일한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특히, 전지 스택(250A 내지 250C)의 상부면의 위치와 전지 스택(250D 내지 250F)의 하부면의 위치를 히트 싱크(300A, 300B)를 고정볼트(3l0A 내지 3l0D)로 체결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변형에 따른 높이로 조정하면 히트 싱크(300B, 300A)의 절곡된 내부면을 따라 각각 배열하도록 전지 스택(250A 내지 250F)의 높이가 조정된다. 도 8은, 상부 히트 싱크(300B)와 중간 히트 싱크(200)가 고정 볼트(310A 내지 3l0D)의 체결에 의해 변형하고 있는 상태를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 하부 및 상부 히트 싱크(300A, 300B)의 강성이 동일한 경우, 하부 히트 싱크(300A)는 상부 히트 싱크(300B)가 상부 히트 싱크(300B)와 대략 동일량으로 변형하는 방향에 역방향으로 변형하고, 하부 및 상부 히트 싱크(300A, 300B)는 중간 히트 싱크(200)의 평면에 관해서 대칭이다. 또한, 도 8에서는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히트 싱크와 전지 스택 사이의 갭이 존재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히트 싱크의 변형은 전지(150)의 두께 방향의 변형량 이하가 미소한 변형이기 때문에, 갭은 생기지 않는다.
실시 형태 1과 같이,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히트 싱크(300A, 300B)의 강성을 증가하지 않고, 고정 볼트의 부착 포인트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배터리(100)를 구성하는 모든 전지에 균일한 압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이처럼, 배터리 (100)의 소형,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도 9는 전지 1개당 압축 변형값(δc)과 전지의 압력(P)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전술한 것 같이, 각 전지 스택의 높이를 심을 이용하여 조정하므로, 전지 스택의 높이 분포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지 1개당의 압축 변형값(δc)은 대략 0.127 내지 0.l5 mm의 범위(δc2) 내로 유지한다. 또한, 각 전지에 인가되는 압력(P)은 1.1 내지 2.l Kgf/cm2 (108 내지 206 KPa)의 범위(P2)로 조정하였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변형값(δc)이 범위(δc2) 내에 있는 때에는, 접촉압력(P)은 범위 P2 내에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목표 압력을 얻기 위해서, 각 전지의 압축 변형은 목표 압력에 대응하는 전지 1개당 압축 변형값이 되도록 전지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히트 싱크의 변형에 대한 전지 스택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전지에 인가되는 압력을 전지에 최적 압력으로 조정할 수가 있고, 히트 싱크의 강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 고정 볼트의 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배터리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적절한 두께를 갖는 심을 선택함으로써 전지 스택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배터리는, 복수의 편평한 전지(150)가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각각의 전지 스택을 평면에 배열하는 복수의 전지 스택(250)과, 전지(150)의 두께방향으로 전지 스택(250)의 양면으로부터 배열된 전지 스택(250)을 플레이트형 홀딩부재(300A, 300B)로 가압함으로써 전지 스택(250)을 일체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배터리(100)에서는, 각 전지 스택(250)의 높이가 홀딩부재(300A, 300B) 의 변형을 고려하여 조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결과적으로 전지(150)의 위치에 관계 없이 모든 전지(150)에 균일한 접촉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충방전을 빈번하게 반복하는 경우에도, 전지 내부에 발생된 가스에 의한 전지의 용량과 수명의 감소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00)의 내구성을 향상한다. 이처럼, 이 배터리를 차량에 장착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예시적일 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실행되거나 구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로 지시하며, 청구범위의 의미 내에서 모든 변형이 본원에 포함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2003년 10월 1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번호 제2003-351753호에 포함된 주제에 관한 것으로, 그 개시 내용이 본원에 명시적으로 내재되어 있다.

Claims (9)

  1. 삭제
  2. 평면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지 스택으로서, 상기 각 전지 스택은 서로 적층된 복수의 편평한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지 스택; 및
    상기 복수의 전지 스택을 일괄하여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지 스택에 대해 가압되는 편평한 홀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전지 스택 높이는, 상기 홀딩부재의 변형을 고려하여, 다른 두께를 갖는 전지들을 적층함으로써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 제2항에 있어서, 각 전지 스택의 높이는 전지 스택과 홀딩부재와의 사이에 심(shim)을 개재함으로써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은, 전지 스택의 높이를 개략적으로 조정하는 비탄성재료로 구성된 제1 심, 및/또는 전지 스택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탄성재료로 구성된 미세 조정용 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심은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전지 스택에 대하여 상기 홀딩 부재를 가압하는 바인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인딩부재가 접속되는 상기 홀딩 부재 상의 지점에 대한 상기 홀딩부재의 변형이 더 큰 영역에서, 상기 전지 스택의 높이가 더 커지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부재는 외주(peripheral) 가장자리에서 홀딩부재에 접속되며,
    상기 전지 스택의 높이는, 상기 홀딩 부재의 외주 영역에서보다 상기 홀딩 부재의 중앙 영역에서 더 커지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복수의 전지 스택을 냉각하는 히트 싱크(heat sin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9. 평면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지 스택으로서, 상기 각 전지 스택은 서로 적층된 복수의 편평한 전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지 스택; 및 상기 복수의 전지 스택을 일괄하여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지 스택에 대해 가압되는 편평한 홀딩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각각의 전지 스택 높이를, 상기 홀딩부재의 변형을 고려하여, 다른 두께를 갖는 전지들을 적층함으로써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조립 방법.
KR1020040079938A 2003-10-10 2004-10-07 배터리 KR100629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1753A JP3972885B2 (ja) 2003-10-10 2003-10-10 組電池
JPJP-P-2003-00351753 2003-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87A KR20050035087A (ko) 2005-04-15
KR100629222B1 true KR100629222B1 (ko) 2006-09-27

Family

ID=3430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938A KR100629222B1 (ko) 2003-10-10 2004-10-07 배터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93609B2 (ko)
EP (1) EP1523058B1 (ko)
JP (1) JP3972885B2 (ko)
KR (1) KR100629222B1 (ko)
CN (2) CN2788366Y (ko)
DE (1) DE60200402639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2273B2 (ja) * 2004-03-31 2008-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EP1970982A4 (en) * 2005-10-03 2010-01-13 Tdk Lambda Corp BATTERY PACK
KR100949331B1 (ko) * 2006-06-09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5638183B2 (ja) * 2006-07-13 2014-12-10 株式会社Gsユアサ 扁平形電池の複数個を積層した組電池
JP2009026703A (ja) * 2007-07-23 2009-02-05 Toyota Motor Corp 組電池の製造方法
TW200937704A (en) * 2008-02-26 2009-09-01 Anor Prec Ceramic Ind Co Ltd Ceramic plate capable of increasing working area
JP4587055B2 (ja) 2008-03-06 2010-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CN101364652B (zh) * 2008-09-05 2010-11-03 西安新竹动力电池有限公司 一种镍氢蓄电池
JP5490406B2 (ja) * 2008-12-27 2014-05-14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DE102010031462A1 (de) * 2010-07-16 2012-01-19 Sb Limotive Company Ltd. Batteriezellenmodul, Batterie und Kraftfahrzeug
CN102088123B (zh) * 2010-12-27 2012-12-05 高宾 具有散热系统的动力电池组
AT511669B1 (de) * 2011-06-30 2015-06-15 Avl List Gmbh Wiederaufladbare elektrische batterie
US9797664B2 (en) * 2012-02-20 2017-10-24 Neograf Solutions, Llc Composite heat spreader and battery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KR102193268B1 (ko) * 2013-03-14 2020-12-23 에네베이트 코포레이션 전기화학 전지 스택을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JP5974983B2 (ja) * 2013-06-06 2016-08-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5928441B2 (ja) * 2013-12-19 2016-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CN104183863B (zh) * 2014-08-07 2017-01-11 长丰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软包锂离子电池模块
US20160093854A1 (en) * 2014-09-26 2016-03-3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Prismatic battery cell energy density for a lithium ion battery module
CN105163572B (zh) * 2015-05-04 2018-03-02 株洲南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压接机上模高度调节装置、系统及方法
JP6376406B2 (ja) 2015-05-29 2018-08-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製造方法
WO2017047064A1 (ja) * 2015-09-16 2017-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電池、蓄電システム及び充放電方法
JP2017069486A (ja) * 2015-10-01 2017-04-06 太陽誘電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ユニット
JP7089678B2 (ja) * 2019-03-27 2022-06-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KR20220037245A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1695A (en) 1992-02-10 1998-12-22 C & D Technologies, Inc. Recombinant lead-acid cell and long life battery
US5558949A (en) 1993-12-27 1996-09-2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Battery box
US5547777A (en) 1994-02-23 1996-08-20 Richards Engineering Fuel cell having uniform compressive stress distribution over active area
JP3799463B2 (ja) 1998-12-28 2006-07-19 大阪瓦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3937839B2 (ja) 2001-12-28 2007-06-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3058B1 (en) 2010-04-07
US20050079407A1 (en) 2005-04-14
JP2005116438A (ja) 2005-04-28
CN1284253C (zh) 2006-11-08
CN2788366Y (zh) 2006-06-14
DE602004026392D1 (de) 2010-05-20
US7393609B2 (en) 2008-07-01
EP1523058A1 (en) 2005-04-13
CN1606182A (zh) 2005-04-13
JP3972885B2 (ja) 2007-09-05
KR20050035087A (ko) 200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222B1 (ko) 배터리
US7625665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end-plate used in the same
US8703316B2 (en) Battery module
KR101150247B1 (ko) 모듈의 구조 설계에 유연성을 가진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4639583B2 (ja) 燃料電池
WO2020004039A1 (ja) 電池モジュール用緩衝シート
CN214706144U (zh) 电池模块夹紧装置以及电池组
KR101813234B1 (ko) 이차 전지용 셀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2024095749A (ja) 電池パック及び電気自動車
JP4239780B2 (ja) 組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101381098B1 (ko) 저속 충격 하중에 대한 손상성 및 수리성을 향상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JP2020061210A (ja) 電池モジュール
JP7083773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7367188B2 (ja) 改善された結合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KR20220137543A (ko) 차량용 전지 팩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하는 차량
US11489224B2 (en) Battery pack
KR20210110046A (ko) 전지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
JP2022551616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11561B2 (ja) 組電池
US20220384838A1 (en) Battery module for a traction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P422083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CN219457851U (zh) 电池模组外壳及包含其的电池模组
KR102267587B1 (ko) 배터리 팩
CN209786042U (zh) 一种电池包
CN115528362A (zh) 电池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