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126B1 - 분말체의 정량 공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말체의 정량 공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126B1
KR100629126B1 KR1020007010013A KR20007010013A KR100629126B1 KR 100629126 B1 KR100629126 B1 KR 100629126B1 KR 1020007010013 A KR1020007010013 A KR 1020007010013A KR 20007010013 A KR20007010013 A KR 20007010013A KR 100629126 B1 KR100629126 B1 KR 100629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edicine
storage chamber
powdered
d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1766A (ko
Inventor
마쯔기히데오
마끼노유지
도히마사히꼬
우에지마야스히데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5Bulb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말약제 다회투여기는, 다회투여분의 약제저장실 (5a) 의 저면 하부에 단회투여분의 약제수용실 (5b) 이 설치되고, 약제도출부 (2) 가 상기 저면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충전위치와 투여위치를 이동한다. 충전위치에서는 약제수납부는 약제저장실로 개구하여 약제가 충전된다. 충전위치에서 투여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약제수용부의 분말약제는 비벼 끊어서 계량된다. 투여위치에서는 약제수납부의 약제는 펌프부 (3) 의 조작에 의해 필터 (6) 를 거쳐 관 (2g,2d,2c) 을 통해 분사된다.

Description

분말체의 정량 공급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a constant amount of powder body}
본 발명은 분말체의 정량 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형적인 예로서, 분말약제의 다회투여기에 적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본체장치내에 저장된 복수회 투여조작분의 분말약제를 미량의 단회 투여조작분의 분말약제로 정량성이 좋게 분할 칭량(秤量)하여 분무할 수 있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회 투여조작분의 분말약제를 연속적이면서 정밀도 좋게 분할하여 비강, 구강, 기관, 기관지, 폐포 등의 체강내(體腔內) 혹은 그 외의 환부에 분무 또는 흡입투여하기 위한 위생적이고, 휴대하기 편리하면서 사용시의 조작이 간편하고, 또한 비교적 저렴한 분말약제 다회투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말상의 약제가 체강, 예컨대 비강, 구강, 기도 등에 분무 혹은 흡입에 의해 투여되고 있다. 예컨대, 코 알레르기 환자에 대하여 분말상의 약제가 비강내에 분무투여되고, 천식 환자에 대해서는 흡입에 의해 기도에 투여되고 있다. 또한, 구내염 환자에 대해서는 구강내에 분무투여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비강, 폐 등의 점막을 통해 약물을 전신혈류에 흡수시키는 드래그 딜리버리 시스템 이 주목받고 있으며, 분말상의 약제를 이들 점막으로 투여하는 것도 시도되고 있다. 예컨대, 인슐린, 칼시토닌 등의 펩티드·단백질성 약물이나 편두통약 등의 즉효성을 필요로 하는 약물 등은 주사제를 대신하는 간편한 제제로서 분말상의 경비제 혹은 흡입제 등의 연구개발이 실시되고, 경구제 등보다 흡수성이 양호한 것이 다수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분말약제의 투여에 있어서는 분말상 약제투여기가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투여기는 분말약제의 흡수방식에 따라 다음 2 가지로 크게 구별된다.
첫째, 단회 투여조작분의 양의 분말약제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투여기 그 자체 혹은 캡슐 등의 적당한 용기에 수납하고, 각 투여조작에 의해 단회조작분의 분말약제만 투여할 수 있는, 소위 단회투여기라 불리는 것이다. 이중에는 단회투여조작마다 폐기가능한 디스포저블 타입의 것도 있다.
둘째, 복수회 (다회) 의 투여조작분의 분말상 약제를 적당한 용기에 집합하여 수납하고 있으며, 이 용기에서 단회조작분의 분말약제를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는 다회투여기라 불리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분말약제의 단회 투여조작분의 양을「단회투여량」이라, 또한 복수회 투여조작분의 양을「다회투여량」이라 한다.
분말약제의 단회투여기의 예로서는, 비강내에 분무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34267 호 등에 공개되어 있다. 이들 투여기에서는 일반적으로 분말약제의 단회투여량이 캡슐 등의 용기에 수납되어 있으며, 이 용기의 유지부, 이 용기를 천공하는 수단 및 이 용기에서 분말약제를 환자의 비강 내 등에 분무하기 위한 공기류의 도입수단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포저블 단회투여기의 예로서는,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2-500172 호에 미세분말약제가 봉입되며 또한 그 두부에는 약제의 분무 또는 흡입용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지지부와 공기도입수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지지부의 저부가 약물불투과성 통기성 격막을 통해 공기도입수단과 연이어 형성되어 있는 투여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리고, WO 97/04826 호 명세서중에는 이것을 개량한 투여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기도내에 흡입되는 분말약제의 단회투여기로서는 많은 것이 공개되어 있다. 예컨대, 약학적으로 통상 사용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흡입용 투여기이다. 이 캡슐에는 투입되는 단회투여량의 분말약제가 수용되어 있으며, 각각의 투여기에 의해 이 캡슐을 천공하는 각각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분말약제는, 캡슐 천공후에 사용자에 의한 흡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류에 의해 투여된다. 이 때, 흡입시의 공기류와 캡슐의 상태에 각각의 투여기에 특징이 있으며, 미국특허 제 3,906,950 호 공보 그리고 동 제 4,013,075 호 공보에는 캡슐의 양단을 천공하고 흡입시 그 캡슐이 정지한 상태로 되는 것, 또한 동 제 3,807,400 호 공보에는 흡입시에 캡슐이 이동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다회투여기의 예로서는, 분무투여가능한 것으로서 WO 94/26338 호 명세서가 공개되어 있다. 동명세서에는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탈착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면서 약제의 다회투여량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과, 단회투여량의 용량을 가진 수용실을 가지며 충전위치에서 저장실과 수용실을 연이어 통하게 하여 그 수용실의 약제를 투여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치 본체에 가동으로 부착된 약물분배수단과, 충전위치에서 그 수용실을 통해 저장실로 공기를 분사하여 저장실내의 약제를 교반하는 펌프수단을 구비하고, 교반후의 일정량의 분말약제를 펌프수단에 의한 흡인력 혹은 중력에 의해 저장실에서 수용실로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나아가서 비강내용 투여기의 예로서는, 유럽 특허공개 제 0744188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으며, 분말약제를 분무하기 위한 공기류의 수동식 공급원과, 다회 투여량의 분말약제의 저장실과, 분말약제의 유출관과, 다회투여량의 분말약제를 단회투여량으로 분배하기 위한 설비로 이루어지는 비강 애플리케이터인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 분말약제의 설비는 드럼형 분말약제 저장실과, 그 내측에 복수의 단회투여량의 약제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구비한 회전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기도내에 흡입투여되는 분말약제의 투여기로서는, 유럽 특허공개 제 0211595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이 투여기에는 장치내부에 원반형상의 퍽이 충전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 퍽에는 그 주위에 가까운 위치에서 일련의 기포가 서로 그리고 팩의 중심에서 등거리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기포에는 일정량 (단회투여량) 의 분말상 약제가 수용된다. 이 팩은 그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원형 트레이에 놓인다. 이 트레이에는 개개의 기포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개의 기포가 적당한 개봉장치에 의해 터지는 소정 위치로 이동하면 분말상 약제가 꺼내져서 흡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유럽 특허공개 제 0069715 호 공보에는 다음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투여기는 일정량의 약제를 수용한 용기와, 이 용기내에 수용한 분말약제를 꺼내서 투약을 준비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취출투약 준비장치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소정 개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이 플레이트는, 관통공의 일부가 용기에서 꺼내진 분말약제로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채워지는 위치에서, 약제가 채워진 구멍이 통로내에 위치결정되는 또 하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이 통로와 연이어 통하는 흡입구를 통해 일어나는 흡인의 결과, 공기가 통로내로 들어가서 관통공을 통해 분말약제를 꺼낸다. 스크레이퍼 장치도 설치하여 플레이트에 형성한 관통공내의 분말약제의 용기측을 향한 측을 고르게 한다. 이 명세서에 의하면, 이 스크레이퍼 장치에 의해 관통공의 완전한 충전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일정한 사용량을 보증할 수 있다. 이 명세서에는 이 스크레이퍼 장치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기재되어 있으나, 흡입투여기가 적정한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이 스크레이퍼가 없으면 복용량은 극단적으로 다른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사용하는 분말상 약제는 유동성이 부족한 것이 많아서 개개의 관통공이 분말약제에 의해 완전히 채워지지 않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많은 투여장치가 고안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에는 과제가 인정된다.
예컨대, 단회투여기와 다회투여기를 비교한 경우, 편리성, 시장성 등의 점에 서 다회투여기측이 요망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것은 단회투여기의 경우,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 59-34267 호 등과 같은 장치에서는, 단회투여량의 약제가 미리 봉입되어 있는 캡슐 등의 용기가 필요하며, 또한 그 장치내에는 그 용기를 천공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투여기의 사용법에 준하여 분말약제가 들어간 용기를 장착하고 또한 이것을 천공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편리성이 좋은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는 투여에 대비하여 투여장치와 분말약제가 들어간 용기를 더욱 휴대할 필요가 있어서 이것 역시 편리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WO 97/04826 호 명세서에는 투여조작을 간소화한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 복수회의 투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는 복수개의 단회투여량의 약제가 봉입된 투여기를 필요로 하여 휴대성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남아 있다.
한편, 다회투여기의 경우, 상술한 단회투여기의 결점인 편리성 등은 해결되어 있지만, 다른 중요한 과제가 존재한다. 즉, 다량의 집합한 분말약제로부터 단회의 투여조작에 필요한 분말약제를 연속이면서 정량적으로 분할하여 투여하는 것은 집합한 분말약제의 밀도의 변화, 치우침 등의 물성의 면에서 매우 어렵다.
이 과제에 대하여 지금까지 여러 가지 고안이 이루어져 왔다. 예컨대, 상술한 유럽 특허공개 제 0069715 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것, 소정 용량의 관통공에 연속적으로 분말약제를 스크레이퍼 등으로 누르면서 채우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서도 예컨대 투여기 전체에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분말약제의 부피밀도가 변화하여 소정 용량의 관통공에 충전되는 약제의 실질적인 양이 변 화하며, 그 결과 생체에 투여되는 약제량이 일정해지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유럽 특허공개 제 0744188 호 공보에서도 약제를 정량적으로 분할하는 수단으로서, 드럼형 분말약제 저장실과, 그 내측에 복수의 단회투여량의 약제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구비한 회전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나, 비교적 복잡하면서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성형의 어려움이나 그에 따른 비용상승 등이 문제시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8376 호에는 다량의 집합한 분말약제를 압축하고, 그 결과 생긴 분말약제 압축체를 연속적으로 정량 분할하여 비벼서 벗기는 다회투여기가 나타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분말약제를 압축함으로써 분할하는 약제의 정량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나, 이 방법에서도 투여기 전체에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분말약제 압축체의 부피밀도가 변화하며, 그 결과 비벼 벗겨지는 분말약제 압축체의 중량이 변화하며, 그 결과 생체에 투여되는 약제량이 일정해지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이들 분말약제를 균일하게 분할하기 위한 수단은 비교적 복잡하며, 실제로 임상 사용하기 위해서는 성형의 어려움이나 그에 따른 비용상승 등의 과제도 함께 발생한다.
또한 WO 94/26338 호 명세서 등의 다회투여기는, 각 분할조작 직전에 저장실내의 집합한 분말약제로 공기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집합한 약제를 저장실내 공간에서 이동시켜서 분말약제의 밀도의 변화를 방지하고, 단회투여량의 분말약제를 흡인력 및/또는 중력에 의해 분말약제의 수용실에 수용함으로써, 연속이면서 정량적으로 단회투여량의 약제를 분할 또한 투여할 수 있으나, 저장부, 단회투여량분의 약 제수용실, 약제정량 분할수단, 펌프수단 등으로 구성되고, 또한 분말약제를 밀도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복잡한 부품을 필요로 하면서 휴대에 불편한 큰 사이즈의 투여기로 되는 것을 과제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분말투여약제에 있어서는 투여되는 약제가 투여기에서 멀어졌을 때에 약제를 구성하는 분말 일차입자에 분산되어 투여부위에 침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입자에 따라서는 보존중 응집을 일으켜 이차입자가 생성되고, 일차입자와는 입도분포가 보다 큰 편으로 치우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분말약제가 투여기에서 멀어질 때에는 예컨대 투여기내에서 저장중에 응집을 일으켜도 투여기의 구조상의 고안으로 일차입자로까지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제수용실에서 정용적적으로 단회분의 약제를 분할하는 방식에서는, 만약 분말약제의 부피밀도가 약제의 로트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에는 분할되는 약제의 중량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약제의 부피밀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투여되는 약제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종래의 분말약제 투여기는 투여약제량의 정량성, 소형화에 의한 휴대성, 조작의 간편성, 조작의 신속성, 제조공정의 간이성, 구성부품의 단순성, 제조에 관한 저비용성, 분말약제입자의 분산성 등의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은 없는 것이 현상이다.
발명의 개시
이상 설명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 그리고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 은 다음과 같은 분말약제 다회투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정량 분무성, 소형화 (휴대성), 조작의 간편성·신속성·제조공정의 간이성, 분말약제의 분산성, 물품의 최소화, 저비용화 등을 겸비한 분말약제 다회투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회 투여조작분의 분말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약제저장실을 규정하는 수단과, 상기 약제저장실 저면의 하부에 설치한 단회 투여조작분의 분말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약제수용부와, 상기 약제저장실의 저면과의 사이에서 접촉을 유지하면서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충전위치에서 개구수단에 의해 상기 약제수용부를 상기 약제저장실에 대하여 개구하고, 투여위치에서 상기 약제수용부를 상기 약제저장실에 대하여 폐쇄함과 동시에 관을 통해 상기 약제수용부를 장치의 외부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약제도출부와, 이 약제도출부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외부에서 조작하는 수단과, 상기 약제수용부의 저부에 설치한 필터를 통해 이 약제수용부로 공기를 보낼 수 있는 펌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도출부는 충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약제저장실내의 분말약제가 상기 개구수단을 통해 상기 약제수용부내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충전위치에서 투여위치로 이동할 때에 이 약제수용부내의 분말약제가 단회 투여조작분으로 비벼 끊어서 계량하고, 투여위치에서 상기 펌프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약제수용부내의 분말약제가 공기와 함께 상기 관을 통해 장치 외부로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약제도출부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약제도출부가 충전위치에 있을 때에 약제저장실내의 분말약제가 약제도출부에 설치된 개구수단을 통해 약제수용부내로 낙하하여 충전된다. 약제도출부를 충전위치에서 투여위치로 이동할 때에 약제수용부내의 분말약제가 이 약제수용부의 용량에 상당하는 단회조작분의 분량으로 비벼 끊어서 계량된다. 그 후에는 약제수용부는 자체에 의해 폐쇄된다. 약제도출부가 더욱 이동하여 투여위치에 오면, 약제도출부의 상기 관의 개구부가 약제수용부와 정합하는 위치로 된다. 여기서, 펌프부를 조작함으로써 약제수용부내로 공기가 압입되어 약제수용부내의 분말약제가 공기와 함께 상기 관을 통해 장치 외부로 분사된다.
상기 약제저장실과 상기 약제수용부는 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장치 본체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으로써, 약제저장실과 약제수용실을 포함하는 장치 본체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또한 제조가 용이한 것으로 된다.
상기 약제도출부는, 하부의 원반형상부분과, 이 원반형상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기둥형상부분이 수지로 일체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수단은 원반형상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관은 일단이 상기 원반형상부분의 저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기둥형상부분의 상단에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제도출부의 구조를 수지의 일체성형품으로 함으로써, 개구수단 및 관을 이 약제도출부 자체를 사용하여 분말약제의 충전 및 투여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는 대략 원통형이며, 상기 약제도출부의 상기 원반형상부분은 상기 본체의 약제저장실의 내경 이하의 직경을 갖고, 이 약제도출부는 충전위치와 투여 위치 사이를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으로써, 회전조작만으로 약제도출부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약제저장부의 상부에 뚜껑부를 구비하고, 이 뚜껑부는 중앙에 상기 약제도출부의 기둥형상부분을 통과시키기 위한 축구멍을 갖고, 이 뚜껑부, 상기 약제저장부 및 상기 약제도출부에 의해 약제저장실의 밀폐성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으로써, 약제저장실의 밀폐성이 확보되며, 부주의한 분말약제의 누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약제도출부의 원반형상부분의 저면이 약제저장실의 저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기둥형상부분에 상기 뚜껑부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한 접합부에 의해, 상기 약제도출부의 상하위치가 규제됨과 동시에 상기 약제도출부의 원반형상부분의 저면이 약제저장실의 저면에 대하여 밀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으로써, 약제도출부의 원반형상부분의 저면과 약제저장실의 저면의 밀착이 유지되어 분말약제의 정확한 계량과 정확한 동작이 확보된다.
상기 약제도출부는 기둥형상부분의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 상기 뚜껑부의 축구멍에 끼워맞춰지는 원형단면의 축부를 갖고, 그 상부에 단면이 비원형인 축부를 더욱 갖고, 약제도출부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외부에서 조작하는 상기 수단은,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로서, 이 전환장치는 상기 약제도출부의 기둥형상부분의 상기 비원형 단면의 축부 (2k) 에 끼워맞춰지는 비원형구멍을 갖고, 상기 약제도출부는 상기 전환장치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충전위치 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으로써,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를 장치 외부에서 회전시키는 것만의 조작으로, 약제도출부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용이한 작업이 확보된다.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는, 직경이 큰 원통부분과 직경이 작은 원통부분이 수지로 일체성형된 것으로서, 직경이 큰 원통부분의 외주가 회전조작부를 형성하고, 직경이 작은 원통부분은 내부에 분말약제의 통과경로를 규정함과 동시에 기부에 상기 비원형구멍을 가지며, 선단은 분무구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환장치의 직경이 큰 원통부분으로 전환조작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직경이 작은 원통부분은 분말약제의 통과경로의 일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분말약제를 장치의 최선단의 위치로 분무구까지 반송할 수 있으므로 분말약제를 환부 가까이에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약제도출부에서 착탈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으로써, 전환장치가 본체 및 약제도출부에서, 즉 투여기 자체에서 분리되어 세정 등을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투여기 자체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약제도출부의 원반형상부분 저면의 중앙부에는 중심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약제저장실의 저면 중앙에는 중심구멍에 끼워맞춰지는 축으로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의 회전을 안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으로써, 조작도출부의 회전을 안정하게 하고,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의 회전조작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약제도출부는 원반형상부분의 저면에 상기 중심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홈을 갖고, 약제저장부는 저면에 상기 원호상 홈에 삽입할 수 있는 돌기를 가지며, 이들에 의해 상기 약제도출부 및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의 회전범위가 규제되고, 상기 돌기가 원호상 홈의 일단에 위치할 때에 분말약제의 충전위치를 규정하고, 타단에 위치할 때에 분말약제의 투여장치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제도출부는 원반형상부분의 저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수단의 중심과 상기 관의 개구부의 중심의 각도 (x) 가, 원호상 홈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각도 (y) 와 동일 또는 아주 약간 작고 (x ≤y), 60 도 ∼ 180 도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제도출부의 원반형상부분의 약제저장실측의 각도는, 이 원반형상부분의 저면에 대하여 15 도 ∼ 45 도의 범위에서 각도 (α) 로 주변부에서 중심부를 향해 상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제도출부에 설치한 상기 관은 이 약제도출부의 저면에 대하여 20 도 ∼ 70 도의 범위에서 각도 (β,γ) 로 상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펌프부를 조작하여 약제수용실내의 분말약제를 분사할 때에 분말약제는 관내를 원활하게 흐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약제도출부의 상기 개구수단은 원반형상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멍은 상기 원반형상부분의 저면에 있어서의 개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저장실에 면하는 측에 있어서 개구부의 크기가 상기 관측 으로 커져 있어서 포켓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가 약제저장실내의 분말약제를 약제도출부의 충전·투여의 전환동작중에 상기 약제수용실로 원활하게 옮겨넣도록 보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오목부의 크기인데, 약제저장실측에 면하는 면적으로서는, 상기 구멍의 원반형상부분의 저면에 면하는 개구면적의 0.1 배 내지 2.5 배의 범위이고, 0.5 배 내지 1 배의 크기를 갖는 경우가 약제를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의 작동시에 약제수용실로 원활하게 옮겨넣는 것을 보조하는 효과가 높아서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구멍의 약제수용실측 개구직경을 변경하지 않으면 어느 정도 깊어도 상관없지만, 실제는 성형상의 난이도도 있으므로 이 구멍의 깊이의 10 내지 80 %,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이다.
또한, 오목부는 약제도출부 원반형상부분의 두께를 줄이는 의미도 가지며, 이 두께를 줄이는 것은 성형시에 약제도출부의 열의 변화로 인한 수축이나 팽창의 방지에 기여하여 본 분말약제 다회투여기의 특징인 정밀도가 높은 분무성의 실현에 공헌하는 것이다.
상기 약제도출부의 상기 기둥형상부분의 외측에 1 장 또는 복수장의 날개를 갖고, 이 약제도출부가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약제저장실내의 분말약제를 교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약제도출부가 갖고 있는 날개란, 약제도출부와 동일한 재질로 단일부품으로서 성형된 것이나, 그 형상이나 두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성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것이어도 된다. 또한, 날개와 도출부의 약제통과경로의 중심 선이 이루는 각도는 평행, 즉 0 도 내지 수직, 즉 90 도의 어느 범위여도 무방하나, 0 도 내지 45 도에 있는 것이 이 전환장치의 회전작동시의 약제의 이 약제저장실내의 교반효율이 높아서 바람직하다. 또한, 날개를 설치하는 경우, 그 수는 1 개보다 2 개가 전환장치의 회전작동시의 약제의 약제저장실내의 교반효율이 높아서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부는 내부에 공기실을 규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의 수지로 구성되고, 이 펌프부의 개구부분이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이 펌프부를 가압·이완함으로써 공기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약제수용실로 분사하고, 상기 관을 통해 분말약제를 장치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는 상기 약제수용실에 면한 측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약제수용실의 용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필터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크기, 필터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약제수용실의 용적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단회투여분의 분말약제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약제도출부가 폴리카보네이트, ABS, 하이임팩트 폴리스티렌 및 환상 올레핀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고분자재료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치의 일부에 건조제를 탑재하고, 이 분말약제 투여기를 디스포저블한 것으로 하고, 또한 용도로서 체강내 투여용, 비강내 투여용 혹은 폐내 흡입투여용으로 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분말약제 다회투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체 (1) 중 약제저장부 (5)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체 (1) 중 뚜껑부 (4)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약제도출부 (2) 의 전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약제도출부 (2) 의 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펌프부 (3)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체커버 (9)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원기둥형상의 돌기를 형성한 필터 (6) 를 포함하는 약제수용실 (5b)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원기둥형상의 돌기를 형성한 필터 (6)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부근의 도면으로서, 관 (2g) 의 각도를 나타낸다.
도 12 는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부근의 도면으로서, 관 (2g) 의 방향을 변경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 은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부근의 도면으로서, 관 (2g) 의 각도를 변경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약제도출부
2c : 통과경로 2d : 통과경로
2e : 저면 2f : 구멍
2g : 관 2h : 분무구
2i : 면 2j : 원형단면의 축부
2k : 비원형단면의 축부 2l : 날개
2m : 오목부 3 : 펌프부
4 : 뚜껑부 5 : 약제저장부
5a : 약제저장실 5b : 약제수용실
6 : 필터 7 : 돌기
8 : 돌기 (축) 9 : 본체커버
10 : 접합부 11 : 축구멍
12 : 홈 12a : 홈의 일단
12b : 홈의 일단 13 :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a : 직경이 큰 원통부분 13b : 직경이 작은 원통부분
13c : 비원형구멍 14 : 구멍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이하, 투여기라 하는 경우가 있음) 는, 도 3 에 나타내는 뚜껑부 (4) 와 도 2 에 나타내는 약제저장부 (5) 로 이루어지는 본 체 (1), 이 본체 (1) 에 가동으로 부착된 도 4 에 나타내는 약제도출부 (2), 이 약제도출부 (2) 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선단에 분무구 (2h) 를 갖는 도 6 에 나타내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약제도출을 위한 수동 압축공기원으로 되는 그 벽부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의 용기 내지 주머니체로 구성된 도 7 에 나타내는 펌프부 (3), 상기 분무구 (2h) 를 수용하는 도 8 에 나타내는 본체커버 (9) 및 약제수용실 (5b) 을 나누는 도 2 및 도 10 에 나타내는 필터 (6) 로 이루어지며, 이하 (Ⅰ) 내지 (Ⅵ) 의 구성을 갖는다.
(Ⅰ) 상기 본체 (1) 가 뚜껑부 (4) 와 약제저장부 (5) 로 구성되며, 이 뚜껑부 (4) 는 그 중앙에 약제도출부 (2) 를 상기 본체 (1) 로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11) 을 갖고, 상기 뚜껑부 (4), 상기 약제저장부 (5) 그리고 상기 약제도출부 (2) 에 의해 약제저장실 (5a) 내의 밀폐성을 가능하게 한다.
(Ⅱ) 상기 약제저장부 (5) 가 그 내부에 다회투여조작이 가능한 양의 분말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약제저장실 (5a) 과, 이 약제저장실의 저면에 단회 투여조작분의 분말약제의 용량을 갖는 약제수용실 (5b) 을 가지며, 이 약제수용실 (5b) 의 저면으로 공기를 유통시키지만 분말약제는 유통시키지 않는 필터 (6) 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필터부분이 상기 펌프부 (3) 에 연결을 갖는 공기연락구로 이루어지고, 약제도출시에 상기 펌프부 (3) 를 가압·이완함으로써 공기가 보내진다.
(Ⅲ) 분무구 (2h) 를 갖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와 상기 본체내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약제도출부 (2) 가 모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접속되고,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는 상기 본체 (1) 의 약제수용실 (5b) 를 통해 상기 펌프부 (3) 에서 보내지는 분말약제와 공기의 통과경로 (2c) 를 중앙에 가지며, 용이하게 상기 본체 (1) 및 약제도출부 (2) 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세정할 수 있다.
(Ⅳ) 상기 약제도출부 (2) 가 상기 본체 (1) 의 약제수용실 (5b) 을 통해 상기 펌프부 (3) 에서 보내지는 공기와 분말약제의 통과경로 (2d) 를 갖고, 또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이 상기 약제저장부 (5) 의 내경 이하의 원반형상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저면 (2e) 은 상기 약제저장실 (5a) 과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나누는 기능을 갖는다.
(Ⅴ)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의 일부분에는, 상기 약제저장실 (5a) 과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연결하기 위한 상기 약제수용실 (5b) 보다 구경이 큰 구멍 (2f) 과, 상기 약제수용실 (5b) 과 상기 본체 (1) 의 약제수용실 (5b) 를 통해 상기 펌프부 (3) 에서 보내지는 분말약제와 공기의 통과경로 (2d) 를 연결하기 위한 관 (2g) 을 갖고 있다.
(Ⅵ) 상기 약제도출부 (2) 를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우선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의 구멍 (2f) 을 상기 본체 (1) 의 약제수용실 (5b) 에 맞추고, 상기 약제저장실 (5a) 과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약제저장실 (5a) 내의 분말약제가 상기 약제수용실 (5b) 에 충전되고, 이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를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에 연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이 상기 약제수용실 (5b) 상의 약제분말을 비벼 끊음으로써 상기 약제수용실 (5b) 내의 분말약제가 일정량으로 되며, 그리고 상기 약제도출부 (2) 를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에 연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약제수용실 (5b), 상기 관 (2g), 상기 통과경로 (2d) 및 상기 분무구 (2h) 가 연결되며, 상기 펌프부 (3) 로부터 공기를 넣음으로써 일정량으로 칭량된 약제분체가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분무구 (2h) 를 통해 분무된다.
본 발명의 투여기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조립할 수 있다.
우선, 필터 (6) 를 본체 (1) 의 저부 외측에 설치된 약제수용실 (5b) 로 외측에서 밀어넣어 설정위치에 설치한다 (도 2 의 상태). 설정위치는 본체 (1) 성형시에 약제수용실 (5b) 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규정된다. 이어서, 약제도출부 (2) 를 얻고, 상기 약제도출부 저면 (2e) 에 설치된 원호형상의 홈 (12) 이 상기 약제저장실 (5a) 의 내부 저면에 설치된 돌기 (7) 에 수납되는 위치에서 약제저장부 (5) 내로 삽입하고,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의 중심구멍 (14) 을 본체내부 저면의 중심에 있는 돌기 (8) 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분말약제의 다회투여조작의 필요량을 본체 (1) 내 약제저장실 (5a) 에 장전한다. 이어서, 뚜껑 (4) 을 잡고 중심구멍 (11) 으로 도출부 (2) 를 통과시켜 본체 (1) 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이어서, 분무구 (2h) 를 갖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를 잡고, 도출부 (2) 의 선단을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도출부의 축과 맞춤으로써 본체 (1) 에 고정한다. 이어서, 펌프부 (3) 를 잡고 본체 (1) 하부에 접속하여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본체커버를 분무구 (2h) 를 덮도록 본체 (1) 에 접속하여 본 투여기를 완성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구성부품의 재료에 대하여 기재한다.
본체 (1), 약제도출부 (2),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뚜껑부 (4) 및 본체커버 (9) 는 통상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폴리머 (A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폴리머 (ABS), 폴리카보네이트, 하이임펙트 폴리스티렌 및 환상 폴리올레핀코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폴리머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약제도출부 (2) 와 본체 (1) 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약제도출부 (2) 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폴리머 (ABS), 폴리카보네이트, 하이임펙트폴리스티렌 및 환상 폴리올레핀코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폴리머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수용실 (5b) 의 일단에 설치되는 필터 (6) 로서는, 분말약제를 구성하는 약물 및 부형제 (약물만의 경우도 있음) 의 입자 크기에 맞게 체용 망 및 멤브레인 필터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비강내 분무용이라면 눈의 크기가 50 ㎛ 이하인 멤브레인 필터, 체용 망이 사용되며, 이들의 구멍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5 ∼ 38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5 ㎛ 이고, 기도내 분무용이라면 눈의 크기가 1 ㎛ 이하인 멤브레인 필터가 사용된다. 이 체용 망으로서 예컨대 나일론, 스테인리스제 등의 것을, 상기 멤브레인 필터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코튼, 레이온, 유리섬유, 소결필터제 등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펌프부 (3) 는 분말약제를 (분무 내지 흡입) 투여하는 데 필요한 공기를 가압하기 위한 요소이나, 이러한 펌프로서는 가요성 재료 또는 벽부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가압·이완함으로써 약제수용실 (5b) 에 수용된 분말약제의 분무, 흡입가능하다면 닫는 기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펌프부 (3) 의 전체를 이러한 가요성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나 혹은 예컨대 이 펌프부 (3) 중 상기 본체 (1) 와의 접합부 부근을 제외한 부분을 가요성 재료로 구성하고, 그 이외는 비가요성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이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및 천연 혹은 합성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말약제는, 예컨대 약물과 락토오스, 전분,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폴리머 등 종래 공지의 부형재로 구성할 수도 있고, 혹은 약물 단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의 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물을 적절히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물로서는, 폭넓게 여러 가지 약물에 대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소염 스테로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약, 진통소염약, 진정제, 우울증 치료약, 진해거담약, 항히스타민약, 항알레르기약, 제토제, 수면도입약, 비타민제, 성스테로이드호르몬약, 항종양약, 항부정맥약, 고혈압약, 항불안약, 향정신약, 항궤양약, 강심약, 진통약, 기관지확장약, 비만치료약, 혈소판응집억제약, 당뇨병약, 근이완약, 편두통약 및 항류머티즘약 등의 비펩티드·단백질성 약물 을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호르몬류, 사이토카인류, 항체류, 백신류 등의 펩티드·단백질성 약물이나 안티센스나 유전자 등의 핵산류 등의 그 구체예로서 들 수 있다.
비펩티드·단백질성 약물로서는, 이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토약, 수면도입약, 비타민약, 성스테로이드호르몬약, 편두통약 및 진통약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것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비펩티드·단백질성 약물로서 상세하게는, 예컨대 히드로코르티존, 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베크로메타손, 플루티카손, 모메타손, 플루오코르틴, 브데소니드, 설브타몰, 설메테롤 등의 소염 스테로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약 ; 아세토아미노펜, 페나세틴, 아스피린, 아미노필린, 술피린, 페닐부타존, 메페남산, 플루페남산, 이브페낙, 이브프로펜, 아르크로페낙, 디클로페낙, 인도메타신 등의 진통소염약 ; 스코포라민 등의 진정제 ; 이미프라민 등의 우울증 치료약 ; 크로모글릭산나트륨, 인산코데인, 염산이소프로테레놀 등의 진해거담약 ; 디펜히드라민, 트리프롤리딘, 이소티펜질, 클로르페닐라민 등의 항히스타민약 ; 안레퀴사녹스, 아젤라스틴, 오자클레르, 트라니라스트, 케토티펜 등의 항알레르기약 ; 온단세트론, 글라니세트론, 메토클로프라미드, 시사프리드, 돈페리돈 등의 제토약 ; 브로티졸람, 메라토닌 등의 최면도입약 ; 사이노코발아민, 메코발라민 등의 비타민제 ;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리올, 프로게스테론, 테스트스테론 등의 성스테로이드호르몬약 ; 타목시펜, 테가풀 등의 항종양약 ; 프로프 라노롤, 아테노롤 등의 항부정맥약 ; 니카르디핀 등의 고혈압약 ; 디아제팜 등의 항불안약 ; 니트라제팜 등의 향정신약 ; 시메티딘, 라니티딘 등의 항궤양약 ; 도파민 등의 강심약 ; 모르핀, 프프레놀핀 등의 진통약 ; 옥시트로피움, 오자클레르 등의 기관지확장약 ; 마진돌 등의 비만치료약 ; 베라프로스트, 카르바시클린 등의 혈소판 응집억제약 ; 아카르보스, 소르비닐 등의 당뇨병약 ; 피나베륨, 이나페리존 등의 근이완약 ; 에르고타민, 이미글란, 아르니디탄 등의 편두통약 ; 아크타릿, 프라토닌 등의 항류머티즘약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비펩티드·단백질성 약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펩티드·단백질성 약물로서는, 예컨대 황체형성호르몬 방출 호르몬류, 성장호르몬 방출 인자류, 소마토스타틴유도체류, 바소프레신류, 옥시토신류, 히르딘유도체류, 엔케파린류, 부신피질자극 호르몬유도체류, 브라디키닌유도체류, 칼시토닌류, 인슐린류, 글루카곤유도체류, 성장호르몬류, 성장호르몬 방출 호르몬류, 황체형성호르몬류, 인슐린과 같은 성장인자류, 칼시토닌유전자 관련 펩티드류, 심방성 나트륨 이뇨펩티트유도체류, 부갑상선호르몬류, 부갑상선호르몬 방출 호르몬, 프로락틴, 갑상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 안지오텐신류, 인터페론류, 인터로이킨류, 에리트로포에틴, 과립구 콜로니형성 자극인자 및 매크로퍼지형성 자극인자 등의 호르몬류, 사이토카인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펩티드·단백질성 약물로서는 상기 구체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백신류로서는 백일해백신, 디프테리아백신, 파상풍백신, 인플루엔자백 신 등을 들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구성부품의 치수 및 용적 등에 대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의 본체 (1) 의 내부공간인 약제저장부 (5) 의 용적은 조작성이 좋고 또한 가능한 한 최소로 되도록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약제저장부 (5) 내부 저면상의 돌기 (7 및 8), 약제수용실 (5b) 의 개구부, 약제도출부 (2) 등의 크기, 접속되는 펌프부 (3) 의 크기와 그 접속방법,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조작부분 (손가락을 대고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분) 의 크기나 저장되는 약제의 양에 따라 규정된다.
본 발명의 투여기에 저장되는 약제의 양은 약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예컨대 한쪽 비강에 1 회 15 ㎎ 의 분말약제를 양비강에 1 회씩 1 일 2 회 투여하였다고 한 경우 (4 회/일), 2 주일분 저장하게 되면 분말약제량 (중량) 은 15 ×4 ×14 = 840 ㎎ 으로 된다. 분말약제의 부피밀도를 0.6 이라 하면 용적은 1.4 ㎖ 로 된다. 따라서, 본체 (1) 의 내부를 깊이 25 ㎜, 직경 16 ㎜ 의 용적 (약 5 ㎖) 을 부여해 두면 내부에 수용되는 약제도출부 (2) 와 뚜껑부 (4) 의 접합부 (10) 를 고려하여도 이 약제를 충분히 저장할 수 있게 되어 소형의 투여기로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본체 (1) 내부의 약제수용실 (5b) 의 용적은 각각 1 회 사용량의 분말약제의 체적 및 필요로 되는 투여가능회수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분말약제의 겉보기비중이 약 0.1 ∼ 3.0 이고, 또한 분말약제의 1 회의 사용량이 약 5 ∼ 200 ㎎ 인 것을 고려하면, 이 약제수용실 (5b) 의 체적은 약 2 ∼ 2000 ㎣ 이다.
상기 약제수용실 (5b) 의 용적은 필터 (6) 에 용적이 다른 오목부 혹은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 오목부나 이 볼록부의 용적을 분말약제의 부피밀도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분말약제의 부피밀도의 변화에 따라 정량·분할되는 약제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오목부 및 볼록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원기둥, 원추 혹은 반구 등을 들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필터 (6) 에 형성하는 볼록부 (6a) 의 형상을 원기둥형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펌프부 (3) 의 크기는, 이 펌프부 (3) 를 1 ∼ 수 내지 10 회 누름으로써, 예컨대 상기 약제수용실 (5b) 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약제를 거의 전부 배출할 수 있는 정도의 공기의 배출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를 기재한다.
본 발명의 투여기는 약제저장실 (5a) 내의 약제를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에 연동하여 약제도출부 (2) 를 회전시킴으로써 약제수용실 (5b) 에 수납하며, 그리고 상기 약제도출부 (2) 를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킴으로써 비벼 끊어서 단회투여분의 약제를 상기 약제수용실 (5b) 내에 분리함으로써, 스크레이퍼 등의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보존중에 일어날 수 있는 분말약제의 부피밀도의 변화나 치우침에 대해서는 공기를 유통시켜 밀도변화를 방지하는 등의 수단 없이 약제저장실 (5a) 내에 저장된 복수회투여분의 분말약제로부터 단회투여분의 약제를 간단하면서 정확하게 분리·정량할 수 있다. 이 때, (가) 뚜껑부 (4) 를 본체 (1) 에 장착함으로써 약제도출부 (2) 를 약제저장실 (5a) 에 밀착시켜 상기 약제도출부 (2) 와 상기 약제저장실 (5a) 의 틈을 통해 약제가 새나가는 것을 없앤 점, 또한 약제저장실 (5a) 내가 밀폐되기 때문에 약제분말의 물리적 성상이 변화하기 어려운 점, (나) (가) 에서 설명한 밀착된 상태에서 약간의 저항을 갖고 상기 약제도출부 (2) 를 회전시킴으로써 분말약제에 적당한 진동을 부여하여 분말약제의 밀도변화를 방지하고 있는 점, (다)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설치된 약제저장실 (5a) 과 약제수용실 (5b) 을 연결하는 구멍 (2f) 이 상기 약제수용실 (5b) 보다 구경을 크게 함으로써 약제의 상기 약제수용실 (5b) 로의 수용을 보다 확실하게 한 점, (라)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상기 약제저장실 (5a) 측의 면 (2i) 에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대하여 각도 (α) 를 부여하여 상기 약제도출부 (2) 가 회전할 경우의 분말에 적당한 진동, 운동을 부여하여 유동성을 증가시켜 상기 약제수용실 (5b) 로의 수용을 확실하게 한 점 등이 약제수용실 (5b) 에 수용되는 분말약제의 양의 균일성에 기여하고 있다.
본 발명의 투여기에 있어서, 부품수를 적게 한 것은 장치 전체의 최소화에 기여하고 있음은 물론이나, 그 외 예컨대 통과경로 (2d) 가 약제도출부 (2) 의 축중심에 설치되어 있는 점 등이 투여기 전체의 치수 (높이) 의 최소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휴대에도 적합한 크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투여기는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원호상의 홈 (12) 을 갖고, 또한 상기 약제저장실 (5a) 내부 저면에 상기 홈 (12) 에 삽입가능한 돌기 (7) 를 가지며, 그럼으로써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회전이 억 제되고, 또한 상기 홈 (12) 의 최단부에 상기 돌기 (7) 가 왔을 때에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의 구멍 (2f) 과 상기 본체 (1) 의 약제수용실 (5b) 이 겹쳐서 상기 약제수용실 (5b) 에 분말약제가 충전되고, 또한 상기 홈 (12) 의 반대측 최단부에 돌기가 왔을 때에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관 (2g) 과 상기 약제수용실 (5b) 이 연접하여 상기 약제수용실 (5b) 내의 분말약제가 분무가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조작하기 쉽다. 그리고 약제를 충전하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회전의 폭의 일단에 충전위치, 타단에 분무위치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보다 조작하기 쉬워지며 오조작을 방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호상의 홈 (12) 혹은 이 홈 (12) 에 삽입가능한 돌기 (7) 의 일부분 이상에 요철 등, 이 홈 (12) 에 상기 돌기 (7) 를 삽입하여 사용할 때에 상기 홈 (12) 의 양단을 확인할 수 있는 로크형태의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충전위치와 분무위치를 인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로크형태의 구조를 조작할 때에 발생하는 적당한 진동이 분말약제에 적당한 진동, 운동을 부여하여 유동성을 증가시켜 상기 약제수용실 (5b) 로의 약제의 수용을 확실하게 하며 또한 정량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설치된 약제저장실 (5a) 과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연결하기 위한 상기 약제수용실 (5b) 보다 구경이 큰 구멍 (2f) 의 중심과 이 관 (2g) 의 중심의 각도 (x) 는 원호상의 홈 (12) 의 각도 (y) 와 동일 또는 약간 작고 (x ≤y), 60 도 ∼ 180 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 도 ∼ 120 도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약제도출부 (2) 의 약제저장실 (5a) 측의 면 (2i) 은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대하여 15 도 ∼ 45 도 범위의 각도 (α) 로 중심부에서 주변부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약제정량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도 내지 35 도의 범위이다. 또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관 (2g) 은 저부에서 상측을 향해 통로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져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대하여 20 도 ∼ 60 도 범위의 각도 (β,γ) 를 갖는 것이 약제분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도 (β) 는 약제도출부 (2) 의 주변측 관 (2g) 의 내벽의 각도이고, 각도 (γ) 는 중심 근처의 관 (2g) 의 내벽의 각도이다. 모두 (β,γ)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도 내지 40 도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투여기에는, 분말약제를 습기에 의한 부피밀도의 변화 등을 회피하거나 약제분무시의 분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통상 사용되는 건조제를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여기는 디스포저블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투여기에 의해 분말약제를 투여할 수 있는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비강 혹은 폐 등의 체강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 은 본 발명의 분말약제 다회투여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직경 3.5 ㎜, 깊이 3.3 ㎜ 의 약제수용실 (5b) 을 갖는 약제저장실 (5) 의 내경이 15 ㎜ 인 도 2 에 나타내는 원통형상의 본체 (1) 를 환상 올레핀코폴리머로 성형가공하여 제조한다. 또한, 분무구 (2h) 의 직경이 4 ㎜, 뚜껑부 (4) 와 본체 (1) 에 접속하는 내경 18 ㎜ 의 저부를 갖는 도 6 에 나타내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를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가공하여 제조한다. 또한, 저면이 직경 15 ㎜ 의 원반형상이고,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에 접속되는 기둥형상부분의 높이가 27.5 ㎜ 인 도 4 에 나타내는 약제도출부 (2) 를 환상 올레핀코폴리머로 성형가가공해서 제조하여 본체에 부착한다. 약제도출부 (2) 에서는 저면 (2e) 에 형성한 홈 (12) 의 각도 (y) 및 구멍 (2f) 과 관 (2g) 각각의 중심간의 각도 (x,y) 를 각각 115 도로 한다. 또한, 면 (2i) 의 저면 (2e) 에 대한 각도 (α) 는 30 도, 관 (2g) 의 저면 (2e) 에 대한 각도는 외측 (β) 이 35 도, 내측 (γ) 이 40 도로 한다. 또한, 약제도출부 (2) 의 선단 (10) 이 삽입되는 직경 5.0 ㎜ 의 구멍 (11) 을 갖는 도 3 에 나타내는 뚜껑부 (4) 를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가공하여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본체부 (1) 에 눈 크기 5 ㎛ 의 폴리프로필렌제 멤브레인 필터 (6) 와 폴리에틸렌제 펌프부 (3) 를 부착하고, 상기 약제저장부 (5) 에 입자직경이 38 ∼ 150 ㎛ 인 분말약제를 1000 ㎎ 충전하고, 상기 본체 (1) 에 상기 뚜껑부 (4) 를 삽입한 후,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를 본체 (1) 에 부착하고, 마지막으로 분무구 (2h) 에 폴리프로필렌제 본체커버 (9) 를 씌워서 (장치 전체 높이는 약 85 ㎜, 직경은 약 24 ㎜) 본 발명의 투여기로 한다.
[대조예 1]
실시예 1 에서는 본체 (1) 와 약제도출부 (2) 를 환상 올레핀코폴리머로 성 형가공하였으나, 이들 2 종의 부품을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가공하고, 그 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대조예 1 로 한다. 이들 실시예 1 및 대조예 1 에 입도가 49 ∼ 150 미크론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99.8 %) 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 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분체 (부피밀도 = 0.50) 를 1 g 얻어 약제저장부 (5) 에 넣는다.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를 충전위치 및 분무위치로 번갈아 왕복시켜 분무위치에서 펌프를 누름으로써 연속적으로 상기 혼합분체를 분무하고, 투여기의 전중량을 매회 측정함으로써 단회투여분의 분무량을 기록한다. 30 회에 걸쳐 분무한 결과, 실시예 1 에서는 평균 16.7 ㎎ (CV = 2.2 %) 라는 매우 안정되고 균일한 분무량이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왕복운동도 원활하여 문제는 없었다. 한편, 대조예 1 에서는 평균 16.0 ㎎ (CV = 28 %) 이라는 실시예 1 과 거의 동일한 정도의 분무균일성이기는 했으나, 20 회째부근부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왕복운동에 저항이 있었다. 30 회 분무가 끝난 상태에서 1 일 방치하면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는 회전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본체내부 저면과 약제도출부 (2) 사이에 혼합분체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대조예 1 의 본체 (1) 와 약제도출부 (2) 의 치수에 성형에 사용한 고분자재료에 의거하는 오차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라고 관찰되었다.
[실시예 2 ∼ 4, 대조예 2]
본체 (1) 와 약제도출부 (2) 를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ABS 및 하이임펙트 폴리스티렌으로 성형가공하고, 그 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한 실시예 2 ∼ 4 및 본체 (1) 와 약제도출부 (2) 를 폴리에틸렌으로 성형가공하고, 그 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한 대조예 2 의 4 종에 대하여 대조예 1 의 항에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한다. 대조예 2 에서는 대조예 1 과 동일하고, 실시예 2 ∼ 4 에서는 실시예 1 과 거의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5 ∼ 6, 대조예 3 ∼ 4]
실시예 1 의 각도 (β,γ) 는 각각 35, 40 도로 유지한 채로, 각도 (α) 를 0 도 내지 50 도까지 변화시킨 실시예 5 ∼ 6, 대조예 3 ∼ 4 에 대하여 (표 1 참조) 실시예 1 과 동일한 분무시험을 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각도 (α) 가 15 ∼ 45 도의 범위에서 양호한 분무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각도(α) 가 다른 약제도출부가 분말약제 분무성에 미치는 영향
대응도면 각도α (°) 각도β (°) 각도γ (°) 평균분무량(㎎) CV* (%) Max. Min.
실시예 1 도 11 30 35 40 16.7 2.2 17.1 14.8
실시예 5 도 11 15 35 40 16.9 2.8 17.4 14.7
실시예 6 도 11 45 35 40 16.8 2.5 17.5 15.0
대조예 3 도 13 0 35 40 15.8 8.7 17.5 11.3
대조예 4 도 11 50 35 40 14.9 7.5 18.0 10.3
CV* : 변동계수 = 표준편차 / 평균치
[실시예 7 ∼ 9, 대조예 5 ∼ 7]
실시예 1 의 각도 (α) 는 30 도로 유지한 채로, 각도 (β,γ) 를 15 도 내지 90 도까지 변화시킨 실시예 7 ∼ 9, 대조예 5 ∼ 7 (표 2 참조) 에 대하여 단회로 분무되는 양 및 분무구 (2h) 에서 나오는 분말약제의 입도분포를 레이저회절식 입도분포 측정기로 측정하여 입경 300 미크론 이상의 분획 (응집분) 을 측정한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대조예 5, 7 에서는 분무량의 감소가 대조예 6 에서는 입자의 분산성 악화가 인정된다.
각도(β및 γ) 가 다른 약제도출부가 분말약제 분무성에 미치는 영향
대응도면 각도α (°) 각도β (°) 각도γ (°) 평균분무량 (㎎) 300 미크론 이상의 분획(%)
실시예 1 도 11 30 35 40 16.7 5.0
실시예 7 도 11 30 60 60 16.8 7.0
실시예 8 도 11 30 20 20 16.6 4.7
실시예 9 도 11 30 70 70 16.8 6.8
대조예 5 도 12 30 90 90 13.0 7.3
대조예 6 도 11 30 75 75 16.8 13.2
대조예 7 도 11 30 15 15 13.5 7.8
[실시예 10 ∼ 13]
필터 (6) 의 요철에 의한 단회분무량의 제어
표측 (돌기면) 의 용적이 0.00335 ㎤ 이고 이면이 플랫 (요철없음) 한 필터 (A) 와, 표측 (볼록면) 의 용적이 0.00670 ㎤ 이고 이면 (오목면) 의 용적이 0.00335 ㎤ 인 필터 (B) 를, 약제수용실 (5 b) 의 용적이 0.0314 인 본 발명의 일례인 약제 다회투여기에 각각 표면, 이면으로 장착하여 약제분체의 분무시험을 실시한다. 즉, 필터 (A) 의 표면을 약제수용실 (5b) 을 향해 장착한 경우 (실시예 10) 수용실의 용적은 0.0314 - 0.00335 = 0.02805 ㎤ 로 되며, 마찬가지로 필터 (A) 의 이면을 약제수용실 (5b) 을 향해 장착한 경우 (실시예 11) 0.0314 ㎤, 필터 (B) 의 표면을 약제수용실 (5b) 을 향해 장착한 경우 (실시예 12) 수용실의 용적은 0.0314 - 0.00670 = 0.02470 ㎤ 로 되며, 마찬가지로 필터 (B) 의 이면을 약제수용실을 향해 장착한 경우 (실시예 13) 0.0314 + 0.00335 = 0.03475 ㎤ 로 된다.
이들 경우에 약제분체 650 ㎎ 을 약제저장실에 충전하고, 각 n = 6 으로 분 무한 경우의 평균분무량 및 CV % 를 표 3 에 나타낸다.
필터 (6) 의 요철에 의한 평균분무량 및 CV %
분체로트번호 88041 88042 88051 8A121 8A151 96281
성긴 부피밀도 0.456 0.441 0.493 0.441 0.525 0.442
빽빽한 부피밀도 0.570 0.553 0.606 0.555 0.645 0.553
실시예 10 13.38 (0.25%) 12.60 (1.34%) 12.98 (0.98%) 12.94 (2.72%) 13.52 (1.48%) 10.56 (1.91%)
실시예 11 15.12 (2.11%) 14.72 (0.92%) 15.82 (1.48%) 14.92 (1.86%) 16.44 (2.25%) 13.56 (1.72%)
실시예 12 9.76 (0.85%) 9.82 (1.43%) 10.44 (2.19%) 10.26 (3.12%) 10.70 (2.53%) 8.16 (1.83%)
실시예 13 16.74 (0.91%) 16.26 (1.88%) 16.92 (1.41%) 16.70 (2.36%) 18.30 (0.81%) 15.42 (1.92%)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가 편리하고 사용시의 조작이 간편하고 일정 분량의 분말약제를 정확하게 분무·흡입투여가능하며 또한 비교적 저렴한 분말약제 다회투여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1 회의 사용량이 미량인 분말약제의 복수회분의 양을 용기내에 수납한 투여기로서 적합하다.

Claims (26)

  1. 다회 투여조작분의 분말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약제저장실 (5a) 을 규정하는 수단과,
    상기 약제저장실 (5a) 저면의 하부에 설치한 단회 투여조작분의 분말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약제수용실 (5b) 과,
    상기 약제저장실 (5a) 의 저면과의 사이에서 접촉을 유지하면서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충전위치에서 개구수단 (2f) 에 의해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상기 약제저장실 (5a) 에 대하여 개구하고, 투여위치에서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상기 약제저장실 (5a) 에 대하여 폐쇄함과 동시에 관 (2g,2d) 을 통해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장치의 외부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약제도출부 (2) 와,
    이 약제도출부 (2) 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외부에서 조작하는 수단 (13) 과,
    상기 약제수용실 (5b) 의 저부에 설치한 필터 (6) 를 통해 이 약제수용실로 공기를 보낼 수 있는 펌프부 (3) 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도출부 (2) 는 충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약제저장실 (5a) 내의 분말약제가 상기 개구수단을 통해 상기 약제수용실 (5b) 내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충전위치에서 투여위치로 이동할 때에 이 약제수용실 (5b) 내의 분말약제를 단회 투여조작분으로 비벼 끊어서 계량하고, 투여위치에서 상기 펌프부 (3) 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약제수용실 (5b) 내의 분말약제가 공기와 함께 상기 관 (2g,2d,2c) 을 통해 장치 외부로 분사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약제저장실 (5a) 과 상기 약제수용실 (5b) 은 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장치 본체 (1) 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는, 하부의 원반형상부분과, 이 원반형상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기둥형상부분이 수지로 일체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수단 (2f) 은 원반형상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관 (2g,2d,2c) 은 일단이 상기 원반형상부분의 저면 (2e) 에 개구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기둥형상부분의 상단에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1) 는 원통형이며,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상기 원반형상부분은 상기 본체의 약제저장실 (5a) 의 내경 이하의 직경을 갖고,
    이 약제도출부 (2) 는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미리 정해진 각도 범위에서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1) 는, 약제저장부 (5) 의 상부에 뚜껑부 (4) 를 또한 구비하고, 이 뚜껑부는 중앙에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기둥형상부분을 통과시키기 위한 축구멍 (11) 을 갖고, 이 뚜껑부, 상기 약제저장부 (5) 및 상기 약제도출부 (2) 에 의해 약제저장실 (5a) 의 밀폐성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원반형상부분의 저면 (2e) 이 약제저장실 (5a) 의 저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기둥형상부분에 상기 뚜껑부 (4) 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한 접합부 (10) 에 의해,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상하위치가 규제됨과 동시에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원반형상부분의 저면이 약제저장실 (5a) 의 저면에 대하여 밀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는 기둥형상부분의 상기 접합부 (10) 의 상부에 상기 뚜껑부 (4) 의 축구멍 (11) 에 끼워맞춰지는 원형단면의 축부 (2j) 를 갖고, 그 상부에 단면이 비원형인 축부 (2k) 를 또한 갖고,
    약제도출부 (2) 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외부에서 조작하는 상기 수단은,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로서, 이 전환장치 (13) 는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기둥형상부분의 상기 비원형 단면의 축부 (2k) 에 끼워맞춰지는 비원형구멍 (13c) 을 갖고,
    상기 약제도출부 (2) 는 상기 전환장치 (13) 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는, 직경이 큰 원통부분 (13a) 과 직경이 작은 원통부분 (13b) 이 수지로 일체성형된 것으로서,
    직경이 큰 원통부분의 외주가 회전조작부를 형성하고, 직경이 작은 원통부분은 내부에 분말약제의 통과경로 (2c) 를 규정함과 동시에 기부에 상기 비원형구멍 (13c) 을 가지며, 선단 (2h) 은 분무구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는, 상기 본체 (1) 및 상기 약제도출부 (2) 로부터 착탈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원반형상부분 저면 (2e) 의 중앙부에는 중심구멍 (14) 이 형성되고, 상기 약제저장실 (5a) 의 저면 중앙에는 중심구멍 (14) 에 끼워맞춰지는 축으로서의 돌기 (8) 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회전을 안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는 원반형상부분의 저면 (2e) 에 상기 중심구멍 (14)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홈 (12) 을 갖고, 약제저장실 (5a) 은 저면에 상기 원호상 홈에 삽입할 수 있는 돌기 (7) 를 가지며, 이들에 의해 상기 약제도출부 (2) 및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회전범위가 규제되고,
    상기 돌기 (7) 가 원호상 홈 (12) 의 일단에 위치할 때에 분말약제의 충전위치를 규정하고, 타단에 위치할 때에 분말약제의 투여장치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는 원반형상부분의 저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수단 (2f) 의 중심과 상기 관 (2g) 의 개구부의 중심의 각도 (x) 가, 원호상 홈 (12) 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각도 (y) 와 동일 또는 아주 약간 작고 (x ≤y), 60 도 ∼ 180 도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원반형상부분의 약제저장실 (5a) 측의 각도는, 이 원반형상부분의 저면 (2e) 에 대하여 15 도 ∼ 45 도의 범위에서 각도 (α) 로 주변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상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에 설치한 상기 관 (2g) 은 이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대하여 20 도 ∼ 70 도의 범위에서 각도 (β,γ) 로 상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상기 개구수단 (2f) 은 원반형상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 (2f)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2f) 은 상기 원반형상부분의 저면 (2e) 에 있어서의 개구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저장실 (5a) 에 면하는 측에 있어서 개구부의 크기가 상기 관 (2g) 의 개구부측으로 커져 있어서 포켓형상의 오목부 (2m) 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 (2m) 가 약제저장실 (5a) 내의 분말약제를 약제도출부 (2) 의 충전·투여의 전환동작중에 상기 약제수용실 (5b) 에 원활하게 옮겨넣도록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상기 기둥형상부분의 외측에 1 장 또는 복수장의 날개 (21) 를 갖고, 이 약제도출부 (2) 가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약제저장실 (5a) 내의 분말약제를 교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 (3) 는 내부에 공기실을 규정하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가요성의 수지로 구성되고, 이 펌프부 (3) 의 개구부분이 본체 (1) 의 하부에 결합되고, 이 펌프부 (3) 를 가압·이완함으로써 공기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필터 (6) 를 통해 상기 약제수용실 (5b) 에 분사하고, 상기 관 (2g,2d,2c) 을 통해 분말약제를 장치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 (6) 는 상기 약제수용실 (5b) 에 면한 측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약제수용실 (5b) 의 용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가 폴리카보네이트, ABS, 하이임팩트 폴리스티렌 및 환상 올레핀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고분자재료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장치의 일부에 건조제를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폐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3. 제 1 항에 있어서, 체강내(體腔內)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4. 제 1 항에 있어서, 비강내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5. 제 1 항에 있어서, 폐내 흡입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6. 삭제
KR1020007010013A 1999-01-14 2000-01-14 분말체의 정량 공급장치 및 방법 KR100629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86399 1999-01-14
JP99-7863 1999-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766A KR20010041766A (ko) 2001-05-25
KR100629126B1 true KR100629126B1 (ko) 2006-09-27

Family

ID=1167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013A KR100629126B1 (ko) 1999-01-14 2000-01-14 분말체의 정량 공급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488648B1 (ko)
EP (1) EP1066849B1 (ko)
JP (1) JP4020589B2 (ko)
KR (1) KR100629126B1 (ko)
CN (1) CN1204935C (ko)
AT (1) ATE337812T1 (ko)
AU (1) AU773040B2 (ko)
BR (1) BR0004134B1 (ko)
CA (1) CA2323739C (ko)
CY (1) CY1106261T1 (ko)
DE (1) DE60030362T2 (ko)
DK (1) DK1066849T3 (ko)
ES (1) ES2272252T3 (ko)
ID (1) ID28302A (ko)
IS (1) IS2574B (ko)
NZ (1) NZ506767A (ko)
PT (1) PT1066849E (ko)
TW (1) TW523414B (ko)
WO (1) WO2000041755A1 (ko)
ZA (1) ZA2000047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1300A1 (de) * 1999-12-18 2001-06-21 Asta Medica Ag Vorratssystem für Arzneimittel in Pulverform und damit ausgestatteter Inhalator
US6651655B1 (en) * 2000-01-18 2003-11-25 Quadrant Technologies Limited Inhaled vaccines
EP1291031B1 (en) * 2000-06-12 2006-06-07 Teijin Limited Powdered medicine multi-dose administering device
GB2367756B (en) * 2000-10-12 2003-01-08 Bespak Plc Dispensing apparatus
US20030041860A1 (en) * 2001-08-29 2003-03-06 Verona Steven N. Particulate dispenser
US7258118B2 (en) * 2002-01-24 2007-08-21 Sofotec Gmbh & Co, Kg Pharmaceutical powder cartridge, and inhaler equipped with same
ES2393473T3 (es) 2002-07-16 2012-12-21 Teijin Limited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producción de un dosificador múltiple para medicinas pulverulentas
AU2003250210A1 (en) 2002-08-06 2004-02-25 Glaxo Group Limited A dispenser
DE10244795A1 (de) * 2002-09-26 2004-04-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ulverinhalator
FI20031158A (fi) * 2003-08-15 2005-02-16 Perlos Oyj Inhalaattori
DE102004041524B4 (de) * 2004-08-27 2013-03-21 Sanofi Sa Inhalator für pulverförmige, insbesondere medizinische Substanzen
US7841338B2 (en) * 2006-04-13 2010-11-3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Dispensing device
JP2009533104A (ja) * 2006-04-13 2009-09-17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マイクロパーツ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計量投与器具
EP2112923A1 (en) 2007-01-22 2009-11-04 Targacept Inc. Intranasal, buccal, and sublingual administration of metanicotine analogs
ES2538082T3 (es) 2007-02-11 2015-06-17 Map Pharmaceuticals Inc Método de administración terapéutica de DHE para permitir el rápido alivio de migraña mientras que se minimiza el perfil de efectos secundarios
GB2472327B (en) 2009-07-31 2013-03-13 Shin Nippon Biomedical Lab Ltd Intranasal granisetron and nasal applicator
WO2012105236A1 (en) 2011-01-31 2012-08-09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delivery devices
CN104258489B (zh) * 2014-10-10 2016-08-24 王玉春 一种粉剂药物定量喷施器
CN104258498B (zh) * 2014-10-10 2016-12-07 顾玉奎 一种方便粉剂药物定量喷施器
CN108686285A (zh) * 2015-05-16 2018-10-23 苏州汉方医药有限公司 由手动悬浮微颗粒发生器和银杏或银杏黄酮苷组成的药盒
CN106178204B (zh) * 2016-07-11 2019-05-10 赵彧 一种喷洒粉剂止血药物肠镜用导管
US11744967B2 (en) 2017-09-26 2023-09-05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delivery devices
CN111110996A (zh) * 2020-02-10 2020-05-08 南阳市中心医院 一种耳鼻喉头颈外科用鼻部给药设备
CN111643797B (zh) * 2020-05-08 2022-06-17 南京汉尔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口腔溃疡用冰硼散投药器
CN113058120B (zh) * 2021-03-15 2022-09-09 无锡圣马科技有限公司 一种可控的药用电动喷粉器
WO2023135237A1 (en) 2022-01-14 2023-07-20 Cybin Irl Limited Tryptamine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23156453A1 (en) 2022-02-15 2023-08-24 Cybin Irl Limited Phenethylamine derivative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WO2023156450A1 (en) 2022-02-15 2023-08-24 Cybin Irl Limited Therapeutic phenethylami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WO2023186963A1 (en) 2022-03-31 2023-10-05 Cybin Irl Limited Combination of nitrous oxide and 5-ht2a receptor agonis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8087A1 (en) * 1991-06-14 1992-12-16 Miat S.P.A. Multi-dose insufflator for medicaments in powder form
US5394868A (en) * 1992-06-25 1995-03-07 Schering Corporation Inhalation device for powdered medicamen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0750B (it) * 1990-04-12 1993-12-17 Chiesi Farma Spa Dispositivo per la somministrazione di sostanze medicamentose in polvere
DK198591D0 (da) * 1991-12-10 1991-12-10 Novo Nordisk As Apparat
SE9201411D0 (sv) * 1992-05-05 1992-05-05 Astra Ab Dosage inhalator with indicating/interupting means
WO1994026338A1 (en) 1993-05-12 1994-11-24 Teijin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powdered medicine in multiple doses
NZ293269A (en) * 1994-09-16 1998-07-28 Glaxo Wellcome Lab Inhaled medicament dispenser comprises movable metering recess which communicates with reservoir and outlet
DE19518810A1 (de) * 1995-05-26 1996-11-28 Bayer Ag Nasal-Applikator
JP3434396B2 (ja) * 1995-06-30 2003-08-04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鼻腔用投薬器
SE9700944D0 (sv) * 1997-03-14 1997-03-14 Astra Ab Powder inhaler VI
JP3883653B2 (ja) * 1997-07-16 2007-02-21 帝人株式会社 粉末薬剤マルチドーズ投与デバイス
SE9801114D0 (sv) * 1998-03-30 1998-03-30 Astra Ab Inhal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8087A1 (en) * 1991-06-14 1992-12-16 Miat S.P.A. Multi-dose insufflator for medicaments in powder form
US5394868A (en) * 1992-06-25 1995-03-07 Schering Corporation Inhalation device for powdered medica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400A (en) 2000-08-01
ATE337812T1 (de) 2006-09-15
DE60030362D1 (de) 2006-10-12
US6488648B1 (en) 2002-12-03
AU773040B2 (en) 2004-05-13
ZA200004745B (en) 2001-05-16
CN1204935C (zh) 2005-06-08
EP1066849B1 (en) 2006-08-30
BR0004134A (pt) 2000-11-21
DK1066849T3 (da) 2007-01-02
IS2574B (is) 2010-02-15
NZ506767A (en) 2003-10-31
DE60030362T2 (de) 2007-06-21
KR20010041766A (ko) 2001-05-25
EP1066849A1 (en) 2001-01-10
ES2272252T3 (es) 2007-05-01
ID28302A (id) 2001-05-10
IS5625A (is) 2000-09-12
CY1106261T1 (el) 2011-10-12
BR0004134B1 (pt) 2009-08-11
CN1296419A (zh) 2001-05-23
TW523414B (en) 2003-03-11
PT1066849E (pt) 2007-01-31
CA2323739A1 (en) 2000-07-20
WO2000041755A1 (fr) 2000-07-20
EP1066849A4 (en) 2004-07-28
JP4020589B2 (ja) 2007-12-12
CA2323739C (en) 200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126B1 (ko) 분말체의 정량 공급장치 및 방법
KR100527649B1 (ko)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RU2650035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оставки сухих порошковых лекарств
RU2531455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оставки сухих порошковых лекарств
CN104491962B (zh) 干粉吸入器和用于药物输送的系统
JP4497730B2 (ja) 複合薬剤用の粉末吸入器
JP2003175103A (ja) 粉末薬剤多回投与器
JP3883653B2 (ja) 粉末薬剤マルチドーズ投与デバイス
CN111315432A (zh) 吸入器和用于吸入器的网格
JP2003175093A (ja) 粉末薬剤多回投与器
MXPA00008779A (en)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a constant amount of powder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