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851B1 -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 Google Patents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851B1
KR100626851B1 KR1020060014501A KR20060014501A KR100626851B1 KR 100626851 B1 KR100626851 B1 KR 100626851B1 KR 1020060014501 A KR1020060014501 A KR 1020060014501A KR 20060014501 A KR20060014501 A KR 20060014501A KR 100626851 B1 KR100626851 B1 KR 100626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egetation
inclined surface
box
vegeta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웅호
Original Assignee
송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웅호 filed Critical 송웅호
Priority to KR102006001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851B1/ko
Priority to JP2008555150A priority patent/JP2009526545A/ja
Priority to CN2007800054616A priority patent/CN101384165B/zh
Priority to PCT/KR2007/000793 priority patent/WO2007094615A1/en
Priority to US12/279,305 priority patent/US2010015430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Abstract

식물뿌리 부분에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고 측면을 통하여도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며 다수개의 식생상자들로 소망하는 형태의 조경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이 식생상자는 배수공(35)이 형성된 바닥판을 가지는 최하부모듈(30)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모듈(20) 및 최상단모듈(10)이 지지대(40)에 의해서 상호 일정간격 유지되어 배양토를 수용시키는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며, 최하부모듈(30), 중간모듈(20) 및 최상단모듈(10)은 각각 상호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내부공간의 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공기통로(201)를 형성시키고, 마주하는 경사면 중 하측 경사면의 상단은 상측 경사면의 하단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경사면을 가지는 복수의 모듈을 통하여 배양토의 누출을 방지시키면서 식생상자의 측면 공기통로를 통하여 식물뿌리에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식생상자 측면의 공기통로를 통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폭 넓은 조경을 할 수 있게 하며, 공기통로의 경사면에 식물이 지지될 수 있게 하여 안정된 식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각 최상단모듈의 상단자리 경사도가 다르고 배양토의 경사도가 다른 복수의 식생상자를 인접하여서 자연의 구릉과 같은 조경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식생상자, 뿌리, 산소, 공기통로

Description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box for growing plant and green system}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식생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측면도,
도 6은 도 1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배양토를 수용시키고 식물을 식생한 상태의 관망도,
도 9는 식생상자의 요부 단면도,
도 10은 공기통로를 통한 식생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조경시스템을 설명하는 식생상자들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식생상자에 식물을 식생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최상부모듈 20...중간모듈
30...최하부모듈 100...배양토
201...공기통로
본 발명은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물뿌리 부분에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고 측면을 통하여도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며 다수개의 식생상자들로 소망하는 형태의 조경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뿌리는 생장을 위하여 수분과 영양분 흡수 이외에도 호흡이라는 큰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식생상자의 구성에 있어서 이러한 뿌리의 호흡 기능을 극대화하고자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특허등록 제 0479212호에 개시된 식생상자 및 조경시스템은 식생상자의 측면에 통기구멍을 내어 뿌리의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기술은 식생상자의 측면에 통기구멍을 내고 조립식 식재 상자를 다수로 연결 및 결합하여 조경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블록 형태로 된 다수의 상자를 연결했을 때 상자간의 접합 면에는 통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통기구멍이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통기가 가능하나 식재에 사용된 토양이 누출되거 나 상부에서 물을 공급하였을 경우 식생상자 측면의 통기구멍을 통하여 누수가 됨으로써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 제 0377569호에 개시된 실내정원은 팬을 화분에 설치하여 통기를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서, 이는 공기가 화분의 외부로부터 송풍 팬을 이용하여 강제 유입시켜 화분의 하부에서 상부로 기류를 만듦으로써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물을 담는 플랜터와 송풍 팬의 부착으로 제작비용과 전체적 크기, 기구의 전기사용에 따른 사용부담과 팬에 의한 오염가스의 발생 및 고장율, 소음 등의 부담이 실용에 많은 제약을 가져온다.
한편, 통상의 화분이나 식재 상자는 바닥 면과 경사 없이 수평으로 토양을 쌓아 다듬고 그 위에 식물들의 뿌리를 심는 방식으로서, 화분에 심어진 지피류 식물을 비롯한 키가 작은 식물들은 어린이와 같이 보는 사람의 키가 작을 경우는 화분에 가려져 잘 보이질 않게 되어 식물의 관상적 효과를 떨어뜨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배양토 및 배양수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측면을 통하여 식물의 뿌리측에 외부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수 있도록 한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수용된 배양토의 측면을 통하여서도 식물을 안정하게 지지하면서 식생 할 수 있도록 한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자연의 구릉과 같이 자연스러운 조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식물이 식생될 수 있도록 배양토를 수용시키는 식생상자에 있어서,
바닥판을 가지는 최하부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모듈 및 최상단모듈이 상호 일정간격 유지되어 상기 배양토를 수용시키는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며,
상기 최하부모듈, 중간모듈 및 최상단모듈은 각각 상호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상기 내부공간의 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공기통로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식생상자는 상기 마주하는 경사면 중 하측 경사면의 상단은 상측 경사면의 하단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거나 그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 식생상자는 상기 최상부모듈(10)의 상단부 가장자리가 그 하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망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식생상자들을 상호 인접시켜서 소망하는 형태의 조경을 조성하는 식생상자를 이용한 조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생상자들은 바닥판을 가지는 최하부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모듈 및 최상단모듈이 상호 일정간격 유지되어 상기 배양토를 수용시키는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며,
상기 최하부모듈, 중간모듈 및 최상단모듈은 각각 상호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상기 내부공간의 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공기통로를 형성시키고,
상기 마주하는 경사면 중 하측 경사면의 상단은 상측 경사면의 하단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거나 그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며,
상기 각 군락상자들 중 각 최상부모듈의 상단부 가장자리는 그 하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망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각 식생상자들의 배양토를 경사지게 배토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각 식생상자들을 상호 인접하여서 각 식생상자에 식생된 식물들이 높낮이를 갖는 구릉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배양토의 누출을 방지시키면서 식생상자의 측면 공기통로를 통하여 산소공급을 가능하게 하므로 식물의 생장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통로를 통하여 식물이 안정되게 지지되면서 생장될 수 있도록 하며, 상단가장자리의 경사도가 다르고 배양토의 경사도가 다른 복수의 식생상자를 인접하여서 자연의 구릉과 같은 조경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식생상자(300)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식물(300)이 식생될 수 있도록 배양토(100)를 수용시키며,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 식생상자(300)는 배수공(35)이 형성된 바닥판을 가지는 최하부모듈(30)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모듈(20) 및 최상단모듈(10)이 지지대(40)에 의해서 상호 일정간격 유지되어 상기 배양토(100)를 수용시키는 내부공간(310)을 형성한다.
상기 각 모듈(10)(20)(30) 및 지지대(40)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못이나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각 모듈(10)(20)(30)들은 원형의 고리형상 또는 다각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실시예의 모듈(10)(20)(30)들은 사각의 고리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최하부모듈(30), 중간모듈(20) 및 최상단모듈(10)은 각각 상호 마주하는 가장자리에는 상기 내부공간(310)의 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12)(21,22)(31)이 형성되어 공기통로(201)를 형성시킨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마주하는 경사면(12)(21,22)(31) 중 하측 경사면(21)(31)의 상단은 상측 경사면(12)(22)의 하단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거나 그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점선 "A" 참조) 이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내부공간(310)에 배양토(100)를 수용시키더라도 배양토(100)가 공기통로(201)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아니하며, 또한 상부로부터 식생수가 공급되더라도 공기통로(201)를 통하여 누수(漏水)되지 아니하고 식생상자(300)의 아랫부분에까지 식생수가 자연스럽게 공급 및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식생상자(300)는 상기 최상부모듈(10)의 상단부 가 장자리가 그 하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망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경우 수용된 배양토(100)의 상면을 소망하는 각도, 예를 들어 20도 내지 60도 정도로 경사지게 배토할 수 있게 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수평위치에서도 식생상자(300)에 식재된 전체 식물을 관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최상단모듈(10)에는 상단가장자리가 수평한 조정모듈(1)들을 얹혀서 식생상자(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식생상자(300)는 도 9에서와 같이 측면의 공기통로(201)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배양토(100)를 통하여 뿌리(111)부분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하고, 도 10에서와 같이 공기통로(201)를 통하여 다른 식물의 생육을 가능하게 하며 이때 경사면(31)의 단부에 식물(110)이 지지되어 안정된 생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식생상자(300)의 최상단부 모듈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배양토(100)를 경사지게 배토함으로써, 수평위치에서도 전체식물을 관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의 조경 시스템을 나타낸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이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식생상자(300)들을 소망하는 패턴으로 인접시켜서 조경한 것으로서, 최상단모듈(10)들의 상단 가장자리 경사도가 상호 다른 식생상자(300)들을 인접시켜서 식생된 식물들의 높낮이를 상호 다르게 하여 자연의 구릉(丘陵)을 구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호 인접된 식생상자(300)들은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기통로 (201)들이 상호 접하게 됨으로써 다른 식생상자들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측에 위치한 식생상자(300a)에까지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내측 식생상자(300a)에서도 식물뿌리에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경사면을 가지는 복수의 모듈을 통하여 배양토의 누출을 방지시키면서 식생상자의 측면 공기통로를 통하여 식물뿌리에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식생상자 측면의 공기통로를 통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폭 넓은 조경을 할 수 있게 하며, 공기통로의 경사면에 식물이 지지될 수 있게 하여 안정된 식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각 최상단모듈의 상단자리 경사도가 다르고 배양토의 경사도가 다른 복수의 식생상자를 인접하여서 자연의 구릉과 같은 조경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복수의 식생상자를 상호 인접시키더라도 경사면을 가지는 공기통로에 의해서 내부에 위치된 식생상자에도 측면을 통한 식물뿌리에의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한다.

Claims (4)

  1. 식물이 식생될 수 있도록 배양토를 수용시키는 식생상자에 있어서,
    바닥판을 가지는 최하부모듈(30)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모듈(20) 및 최상단모듈(10)이 상호 일정간격 유지되어 상기 배양토를 수용시키는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며,
    상기 최하부모듈(30), 중간모듈(20) 및 최상단모듈(10)은 각각 상호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상기 내부공간의 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공기통로(201)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모듈(10)의 상단부 가장자리는 그 하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망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
  3. 식생상자들을 상호 인접시켜서 소망하는 형태의 조경을 조성하는 식생상자를 이용한 조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생상자들은 바닥판을 가지는 최하부모듈(30)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모듈(20) 및 최상단모듈(10)이 상호 일정간격 유지되어 상기 배양토를 수용시키는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며,
    상기 최하부모듈(30), 중간모듈(20) 및 최상단모듈(10)은 각각 상호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상기 내부공간의 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공기통로(201)를 형성시키고,
    상기 마주하는 경사면 중 하측 경사면의 상단은 상측 경사면의 하단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거나 그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며,
    상기 각 군락상자들 중 각 최상부모듈(10)의 상단부 가장자리는 그 하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망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각 식생상자들의 배양토를 경사지게 배토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각 식생상자들을 상호 인접하여서 각 식생상자에 식생된 식물들이 높낮이를 갖는 구릉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하는 경사면 중 하측 경사면의 상단은 상측 경사면의 하단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거나 그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
KR1020060014501A 2006-02-15 2006-02-15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100626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501A KR100626851B1 (ko) 2006-02-15 2006-02-15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JP2008555150A JP2009526545A (ja) 2006-02-15 2007-02-14 植生箱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造景物
CN2007800054616A CN101384165B (zh) 2006-02-15 2007-02-14 植物箱和使用该植物箱的园艺方法
PCT/KR2007/000793 WO2007094615A1 (en) 2006-02-15 2007-02-14 Vegetation box and gardening method using the same
US12/279,305 US20100154301A1 (en) 2006-02-15 2007-02-14 Vegetation box and garden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501A KR100626851B1 (ko) 2006-02-15 2006-02-15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851B1 true KR100626851B1 (ko) 2006-09-20

Family

ID=3763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501A KR100626851B1 (ko) 2006-02-15 2006-02-15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54301A1 (ko)
JP (1) JP2009526545A (ko)
KR (1) KR100626851B1 (ko)
CN (1) CN101384165B (ko)
WO (1) WO20070946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6545A (ja) * 2006-02-15 2009-07-23 ウンホ ソン, 植生箱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造景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0871B1 (fr) * 2013-01-15 2017-03-17 Richard Charles Rouin Creation d'une structure de culture pour vegetaux permettant l'agencement d'un jardin modulable
ITMI20132122A1 (it) * 2013-12-18 2015-06-19 Novital Srl Insieme componibile per giardinaggio
CN105724091A (zh) * 2016-03-02 2016-07-06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透气花盆
CN105960874A (zh) * 2016-06-21 2016-09-28 苏州乐聚堂电子科技有限公司 地下透气系统
CN107247436A (zh) * 2017-08-14 2017-10-13 广东技术师范学院 植物共享柜和植物共享系统
CN107787708A (zh) * 2017-09-21 2018-03-13 北京名南科技发展有限公司 具有植物攀爬结构的植物种植机
US11006582B2 (en) * 2019-05-29 2021-05-18 Patricia Arroyo Interlocking tongue and groove vegetation planting assembly
US11672215B2 (en) 2020-01-12 2023-06-13 Sentient Design, Inc.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1023A (en) * 1972-05-15 1974-10-15 R Carlyon Display apparatus for potted plants
JPS5118285Y2 (ko) * 1972-09-19 1976-05-15
US3990179A (en) * 1975-04-17 1976-11-09 Rick S. Johnson Multisection hanging pot and method
US3965614A (en) * 1975-11-28 1976-06-29 Kienholz Karl E Apparatus for sprouting seeds
JPS52102132A (en) * 1976-01-14 1977-08-26 Kouji Ebisu Combined pot
JPS5541Y2 (ko) * 1976-10-19 1980-01-05
US4145841A (en) * 1976-11-05 1979-03-27 Woolpert John C Extendable planter
US4419843A (en) * 1981-03-20 1983-12-13 Johnson Sr Hugh A Self-irrigating, multi-tier vertical planter
US4779378A (en) * 1984-02-13 1988-10-25 Mason Jr Stanley I Integrable, modular stackable multi-plant holder
US4614056A (en) * 1985-01-22 1986-09-30 F.F. Plastics R.D. Inc. Stacking planters
US4736543A (en) * 1985-03-18 1988-04-12 Von Bertrab Erdmann Guillermo Horticultural tree
JPS62285732A (ja) * 1986-06-04 1987-12-11 建林 二郎 植木鉢の通気構造とその補助具
US5136807A (en) * 1990-01-26 1992-08-11 Gro-Max Systems, Inc. Arrangement for growing plants
JP2507251Y2 (ja) * 1990-03-02 1996-08-14 株式会社キャラック 植木鉢
US5309671A (en) * 1992-05-13 1994-05-10 Byun Bok K Stack type plant-pots
JPH06141685A (ja) * 1992-11-04 1994-05-24 Sumikin Kozai Kogyo Kk システムプランター
IL105601A (en) * 1993-05-04 1997-06-10 N C A Ltd Plant holder
US5404672A (en) * 1994-01-04 1995-04-11 Duraco Products, Inc. Modular column planter
US5438797A (en) * 1994-04-25 1995-08-08 Lendel; George Vertical planter
US5533302A (en) * 1994-07-21 1996-07-09 Lynch; Carroll L. Modular planting system
US5484234A (en) * 1994-09-30 1996-01-16 Worden; Leonard A. Building module for plantable walls with a bulk filling material
CN2235708Y (zh) * 1995-11-28 1996-09-25 张嘉平 叠层式花卉栽种箱
US6105309A (en) * 1997-06-13 2000-08-22 E.T. Harvest Co., Ltd.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930951A (en) * 1997-10-29 1999-08-03 Wong; Toh-Hing Sectional planting pot
US6016627A (en) * 1998-04-03 2000-01-25 Nobile; John R. Composite mushroom growing tray
EP0958736A1 (en) * 1998-05-12 1999-11-24 Garden Systems in 't kort GARSY Assembly of stacked plant containers
EP1072722B1 (de) * 1999-07-27 2004-12-01 Voith Paper Patent GmbH Trockenpartie
KR100316370B1 (ko) * 1999-09-13 2001-12-22 변복구 작물의 공중채묘용 육묘장치
JP2002058348A (ja) * 2000-06-07 2002-02-26 Kenji Hamada 植物栽培具
US6536157B2 (en) * 2000-12-18 2003-03-25 Grietje Wijbenga Portable greenhouse
US6612073B1 (en) * 2001-11-09 2003-09-02 Gregory S. Powell Intensive plant growing stacking container system
US7043877B1 (en) * 2002-11-15 2006-05-16 Daugs, Ammon Stackable planter
US6840008B1 (en) * 2003-10-09 2005-01-11 Chester C. Bullock Vertical planting system
US7096623B2 (en) * 2003-12-03 2006-08-29 Cardamone Lisa P Floral design container system
KR100520420B1 (ko) * 2004-02-04 2005-10-11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인공지반녹화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JP2005229827A (ja) * 2004-02-17 2005-09-02 Gifu Plast Ind Co Ltd 緑化を行う緑化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緑化工法
US6993869B2 (en) * 2004-02-19 2006-02-07 Waters S Collar Stackable planting containers with capillary watering
CN1301054C (zh) * 2004-06-30 2007-02-21 宁波德安城市生态技术集团有限公司 一种可自动补水的花木培养箱
US7055282B2 (en) * 2004-08-11 2006-06-06 Mb3, L.L.C. Hydroponic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0626851B1 (ko) * 2006-02-15 2006-09-20 송웅호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6545A (ja) * 2006-02-15 2009-07-23 ウンホ ソン, 植生箱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造景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4615A1 (en) 2007-08-23
CN101384165B (zh) 2011-01-19
JP2009526545A (ja) 2009-07-23
CN101384165A (zh) 2009-03-11
US20100154301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851B1 (ko)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US6247269B1 (en) System for plant growing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20210141029A (ko) 원예작물 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KR101576724B1 (ko) 주머니형 식물 재배기
US20100083573A1 (en) System for growing plants
KR102281940B1 (ko)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JP7236704B2 (ja) 苔の培養方法
KR20100004168U (ko) 공기통공을 구비한 육묘용 연결포트
KR101012127B1 (ko) 도자기 화분
KR100747515B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JP3136390U (ja) 寄せ植え用容器
CN220023657U (zh) 一种透气型花盆
WO2022114099A1 (ja) 沢わさび栽培システム及び栽培方法
WO2015186830A1 (ja)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KR200257482Y1 (ko) 다기능 화분
JP3076746U (ja) 園芸用トレー
JPH0410757Y2 (ko)
JP2824472B2 (ja) 植物栽培用人工床
KR20230016115A (ko) 지피포트를 이용한 저면관수식 육묘방법 및 저면관수장치
KR200435434Y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JP3167711U (ja) 植木鉢
KR20240022367A (ko) 공기 흐름을 개선한 난초 화분
JPH0521642U (ja) 蘭等の植物栽培用ポツトとその保持トレー
KR20100056939A (ko) 투명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