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950B1 -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950B1
KR100625950B1 KR1020050017899A KR20050017899A KR100625950B1 KR 100625950 B1 KR100625950 B1 KR 100625950B1 KR 1020050017899 A KR1020050017899 A KR 1020050017899A KR 20050017899 A KR20050017899 A KR 20050017899A KR 100625950 B1 KR100625950 B1 KR 10062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braille
key
input ke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665A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9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를 표현할 수 있는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미설정함으로써 시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편리하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점자에 대응시킨 문자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점자모드 입력키와, 점자 일람표에서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이 이루는 배치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배치되는 6개의 점 입력키와, 점자입력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가 돌기 또는 홈임을 나타내기 위한 돌기 또는 홈 입력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가 선택되고 상기 돌기 또는 홈 입력키의 값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에서 다른 하나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를 저장부에서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자, 돌기, 홈, 문자, 인식

Description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braille in mobile phone}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도 1 의 제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 는 점자 체계를 나타내는 점자 일람표.
도 5 는 도 1 의 키입력부에 구비된 점자모드 입력키, 점 입력키, 돌기 또는 홈 입력키 및 특수문자 입력키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점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저장부
120 : 제어부 121 : 이동통신처리부
122 : 키 인식부 123 : 점자 생성부
124 : 문자 검출부 125 : 문자표시 처리부
126 : 음성 출력부 130 : 표시부
140 : 키입력부 150 : 카메라
161 : 음성메모리 162 : 음성처리부
163 : 착신음 발생부 164 : RF부
165 : 스피커 166 : 마이크로폰
본 발명은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자입력모드로의 설정을 위한 점자모드 입력키, 점자일람표의 배치구조와 동일한 배치구조를 갖는 6개의 점 입력키, 입력된 점 입력키를 돌기 또는 홈으로 나타내기 위한 돌기 또는 홈 입력키를 조작하여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편리하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지 않으면 일반인도 편리하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점자입력방법에 관하여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03-0044669호 "이동통신단말기의 점자 키패드구조 및 그 입력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공개특허를 포함한 종래기술은 점자 키패드의 키가 눌리면 눌린 키에 대응한 점자체계의 숫자열로 변환하고, 상기 눌린 키 이전에 2점입력키가 눌렸는지를 판단하여 참이면 변환된 상기 숫자열과 이전 숫자열을 읽어들여 정렬하며, 상기 정렬된 숫자열로 오토마타를 수행하여 해당 문자를 만들고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점자 키패드에 구비된 1점 입력키, 2점 입력키 및 3점 입력키를 장애인이 인식하고 사용해야 하므로, 점자 일람표를 알고 있는 시각 장애인일지라도 1점 입력키, 2점 입력키 및 3점 입력키에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인이 1점 입력키, 2점 입력키 및 3점 입력키에 익숙해지지 않는 한 편리하게 조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이므로, 일반인이 사용할 경우에 문자 입력이 불편하여 사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도 이동통신서비스를 사용하고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범용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요구된다.
그리고,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이동통신단말기는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버튼에 할당된 문자를 국제 표준형 점자로 표기시킨 형태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는 키버튼 상의 좁은 공간 내에서 12개의 돌기 또는 홈으로 조합된 점자패턴, 또는 숫자표 패턴을 제외한 6개의 돌기 또는 홈으로 조합된 점자패턴을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점자패턴을 구성하는 돌기들 또는 홈들의 크기가 작아질 뿐만 아니라 그 간격이 좁아지는 문제로 인하여 시각 장애인이 키버튼을 인식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점자입력모드로의 설정을 위한 점자모드 입력키, 점자일람표의 배치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6개의 점 입력키와, 입력된 점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으로 나타내기 위한 돌기 또는 홈 입력키를 조작하여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편리하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자를 표현할 수 있는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미설정함으로써, 시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편리하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점자에 대응시킨 문자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점자모드 입력키와, 점자 일람표에서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이 이루는 배치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배치되는 6개의 점 입력키와, 점자입력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가 돌기 또는 홈임을 나타내기 위한 돌기 또는 홈 입력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가 선택되고 상기 돌기 또는 홈 입력키의 값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에서 다른 하나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를 저장부에서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모드 입력키의 선택횟수에 따라 한글, 영문자,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모드 입력키의 선택횟수를 인식하고, 해당 점자입력모드로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점 입력키와 돌기 또는 홈 입력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돌기 또는 홈 입력키의 값에 따라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에서 다른 하나로 인식하는 키인식부와; 상기 키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돌기 및/또는 홈을 이용하여 점자를 생성하는 점자 생성부와; 상기 점자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부에서 검출하는 문자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고 변환시킨 해당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문자표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입력부는 특수문자에 해당하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한 특수문자 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점자모드 입력키의 선택횟수에 따라 한글, 영문, 숫자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된 점자입력모드를 실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해당 점자입력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와, 상기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으로 나타내기 위한 돌기 또는 홈 입력키를 입력받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 의해 입력받은 돌기 또는 홈 입력키의 값에 따라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에서 다른 하나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를 저장부에서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 단계는 상기 점자모드 입력키의 선택횟수에 따라 결정된 한글, 영문자,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점자입력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점자모드 입력키의 선택횟수를 인식하고, 해당 점자입력모드로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점 입력키와 돌기 또는 홈 입력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돌기 또는 홈 입력키의 값에 따라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에서 다른 하나로 인식하는 키인식단계와; 상기 키인식단계에 의해 인식된 돌기 및/또는 홈을 이용하여 점자를 생성하는 점자 생성단계와; 상기 점자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부에서 검출하는 문자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고 변환시킨 해당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문자 검출단계에 의해 검출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문자표시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제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자입력장치(100)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설명하고 있으나, 일반전화기, 팩시밀리 등과 같은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입력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점자모드 입력키(이하, '제 1 입력키'라 한다), 점 입력키(이하, '제 2 입력키'라 한다), 돌기 또는 홀 입력키(이하, '제 3 입력키'라 한다), 특수문자 입력키(이하, '제 4 입력키'라 한다) 등을 포함하는 키입력부(140)와, 적어도 하나의 점자와 그 점자에 대응시킨 문자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10)와, 점자입력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입력된 제 2 입력키와 돌기 또는 홈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3 입력키를 입력받으면, 제 3 입력키의 값에 따라 제 2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제 2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에서 다른 하나로 인식하여 생성된 점자를 문자로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외부 화면창 및/또는 내부화면창을 제공하는 표시부(130)와, 카메라(150)와, 음성 메모리(161)와, 음성 처리부(162)와, 착신음 발생부(163)와, RF부(164)와, 스피커(165)와, 마이크로폰(16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저장부(110)에는 도 4 의 점자 일람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6개의 점들로 구성된 점자와, 그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가 대응시켜 저장된다. 점자는 6개의 점으로 구성되는 시각장애인의 문자체계이다.
또한, 저장부(110)에는 제어부(12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 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저장부(110)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제어부(12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 1 입력키, 입력할 문자에 해당하는 제 2 입력키, 제 2 입력키를 돌기 또는 홈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3 입력키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제 3 입력키의 값에 따라 제 2 입력키에 해당하는 점들을 이용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를 문자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절차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제 1 입력키의 선택횟수에 따라 한글, 영문,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되도록 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한글 점자를 입력하기 위해 제 1 입력키를 1회 선택하여 점자입력모드로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입력키와 선택된 제 2 입력키를 돌기 또는 홈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3 입력키를 선택받으면, 제 3 입력키의 값에 따라 선택된 제 2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제 2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다른 하나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부(110)에서 검출하여 검출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면서 그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을 스피커(165)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ㄱ'을 입력할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점자 설정버튼이 1회 선택되어 한글 전용 점자입력모드를 실행한 상태에서, 입력할 "ㄱ"에 해당하는 제 2 입력키(예를 들면, 2번)와 2번을 돌기로 표시하기 위해 제 3 입력키(예를 들면, 6번)가 선택되면, 선택된 2번에 상응하는 점을 돌기로 인식하고, 나머지 1번, 4번, 5번, 7번, 8번은 홈으로 인식하여 인식된 돌기 및/또는 홈을 이용하여 'ㄱ'에 해당하는 점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부(110)에서 검출하여 검출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면서 그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을 스피커(165)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영문 점자를 입력하기 위해 제 1 입력키를 2회 선택하여 영문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실행된 상태에서 또는 숫자 점자를 입력하기 위해 제 입력키를 3회 선택하여 숫자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실행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할 문자에 해당하는 제 2 입력키와 제 3 입력키를 선택하여 해당 점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 4 입력키가 선택되고 입력할 특수문자에 해당하는 제 2 입력키와 그 제 2 입력키를 돌기 또는 홈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 3 입력키를 선택하여 해당 점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에 해당하는 특수문자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점자입력모드 실행시 사용자로부터 소정시간(예를 들면, 1분)동안 문자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다시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일반모드로 전환되어,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제 1 입력키를 선택하여 해당 점자입력모드로 다시 설정해야 한다.
음성 메모리(161)는 음성 통화 또는 착신음, 멜로디를 포함하여 각종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키 입력부(140)는 도 5 에서 보듯이 한글, 영문,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 1 입력키(A)와,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일람표의 배치구조와 동일한 배치구조를 갖는 6개의 제 2 입력키(B)와, 선택된 제 2 입력키를 돌기 또는 홈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 3 입력키(C)와, 특수문자에 해당하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 4 입력키(D)와, 메뉴키(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2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제 2 입력키(B)는 점자 일람표에서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과 매칭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 2 입력키에 해당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3 입력키는 2개의 입력키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돌기로 표시하기 위한 돌기표시 입력키이고 다른 하나는 홈으로 표시하기 위한 홈표시 입력키이다.
전술된 돌기표시 입력키에는 돌기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키임을 시각장애인이 인식할 수 있도록 점자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홈표시 입력키에는 홈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키임을 시각장애인이 인식할 수 있도록 점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6개의 제 2 입력키에도 시각장애인이 입력키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좌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돌기는 소정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덮개를 덮더라도 그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얇은 두께를 갖는 돌기이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키 입력부(140)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에 따라 해당 메뉴를 저장부(11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즉, 키 입력부(140)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제 1 입력키, 제 2 입력키, 제 3 입력키, 제 4 입력키, 메뉴키, 숫자키 등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함으로써, 키 입력부(140)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메뉴 표시 모드로의 진입 및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20)에서 해당 키 입력에 따른 메뉴를 저장부(110)에서 독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 1 입력키가 선택된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 입력을 돌기 또는 홈으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를 문자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 1 입력키를 선택하지 않으면 종래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가 화면상에 출력되어 일반인도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RF부(164)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 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164)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62)는 마이크로폰(microphone)(166)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64)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음성 메모리(161)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165)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착신음 발생부(163)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발생한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제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처리부(121)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입력을 인식하는 키 인식부(122)와, 키 인식부(122)에 의해 인식된 돌기 및/또는 홈을 이용하여 점자를 생성하는 점자 생성부(123)와, 점자 생성부(123)에 의해 생성된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부(110)에서 검출하는 문자 검출부(124)와, 검출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문자표시 처리부(125)와, 문자 검출부(124)에서 검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켜 변환된 해당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처리부(121)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무선 자원을 활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공지의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동작함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키 인식부(122)는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 1 입력키(A)의 선택횟수를 인식한다. 이때, 키 인식부(122)에 의해 1회 인식된 경우 한글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되도록 하고, 2회 인식된 경우 영문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되도록 하고, 3회 인식된 경우 숫자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되도록 한다.
또한, 키인식부(122)는 점자 일람표에서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이 이루는 배치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배치되는 6개의 제 2 입력키(B)를 통해 입력할 문자에 해당하는 입력키가 선택되고 제 3 입력키(C)의 값이 입력되면, 제 2 입력키(B) 중에서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다른 하나로 인식한다.
점자 생성부(123)는 키인식부(122)를 통해 인식된 돌기 및/또는 홈을 이용하여 점자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문자 검출부(124)는 점자 생성부(123)에 의해 생성된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부(110)에서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저장부(110)에는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가 대응시켜 저장되어 있다.
문자표시 처리부(125)는 문자 검출부(124)에 의해 검출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음성 출력부(126)는 문자 검출부(124)에서 검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고 변환시킨 음성을 스피커(165)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출력된 음성을 듣고 시각장애인이 입력한 문자가 정확한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 를 참조하여 도 1 에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점자입력방법을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점자에 대응시킨 문자를 저장부(110)에 저장해 놓은 상태이다(S100).
다음,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제 1 입력키가 1회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상기 S102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제 1 입력키가 1회 선택된 경우, 제어부(120)는 한글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되도록 한다(S104).
상기 S102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제 1 입력키가 1회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제 1 입력키가 2회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상기 S103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제 1 입력키가 2회 선택된 경우, 제어부(120)는 영문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되도록 한다(S105).
상기 S103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제 1 입력키가 2회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숫자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되도록 한다(S107).
다음, 제어부(120)는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 1 입력키의 선택횟수에 따라 결정된 점자입력모드를 실행한 상태에서 입력할 문자에 해당하는 제 2 입력키를 선택받는다(S106). 이때, 제 2 입력키는 점자 일람표에서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이 이루는 배치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배치되는 6개의 입력키이 다.
다음, 제어부(120)는 선택받은 제 2 입력키에 해당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3 입력키를 입력받는다(S108).
다음, 제어부(120)는 입력받은 제 3 입력키의 값에 따라 제 2 입력키에 해당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제 2 입력키를 돌기 또는 홈 중 다른 하나로 인식한다(S110).
다음, 제어부(120)는 이와 같이 인식된 돌기 및/또는 홈을 이용하여 점자를 생성하고(S112), 생성된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부(110)에서 검출한다(S114).
다음, 제어부(120)는 저장부(110)에서 검출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면서 그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켜 변환시킨 음성을 스피커(165)를 통하여 출력한다(S116).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부에 구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을 조작하여 점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의 (a)에서 보듯이 '김'입력시에 사용자로부터 제 1 입력키(A)를 1회 선택받아 한글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 2 입력키(B)인 2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이 선택되면 'ㄱ'가 생성되고, 연이어서 제 2 입력키(B)인 1번, 5번, 7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이 선택되면 '기'가 생성되며, 연이어서 제 2 입력키(B)인 1번, 5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이 선택되면 '김'이 생성된다. 이때, 하나의 점자 생성시마다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부(110)에서 검출하여 검출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면서 음성으로 출력시킨다.
다음, 도 6의 (b)에서 보듯이 '재미'입력시에도 사용자로부터 제 1 입력키(A)를 1회 선택받아 한글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 2 입력키(B)인 2번, 8번이 선택되면 'ㅈ'이 생성되고, 연이어서 제 2 입력키(B)인 2번, 8번과 제 3 입력키(C)인 9번이 선택되면 '재'가 생성되고, 연이어서 제 2 입력키(B)인 1번, 5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이 선택되면 '재ㅁ'이 생성되며, 연이어서 제 2 입력키(B)인 1번, 5번, 7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이 선택되면 '재미'가 생성된다.
이때, 제 2 입력키(B)인 1번, 5번, 7번과 제 3 입력키(C)인 9번이 선택되더라도 똑같이 '재미'가 생성된다. 즉, 돌기로 표시되는 부분과 홈으로 표시되는 부분이 같을 경우에는 돌기표시를 위한 입력키 또는 홈표시를 위한 입력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돌기로 표시되는 부분이 홈으로 표시되는 부분보다 많을 경우 홈에 해당하는 제 2 입력키를 선택한 후 홈표시를 위한 입력키를 선택하고, 돌기로 표시되는 부분이 홈으로 표시되는 부분보다 적을 경우, 돌기에 해당하는 제 2 입력키를 선택한 후 돌기표시를 위한 입력키를 선택하면 점자 입력을 위한 선택횟수를 줄일 수 있다.
다음은 영문을 입력하는 방법이다.
도 6의 (c)에서 보듯이 'ABC'입력시에 사용자로부터 제 1 입력키(A)를 2회 선택받아 영문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 2 입력키(B)인 1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이 선택되면 'A'가 생성되고, 연이어서 제 2 입력키(B)인 1번, 4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이 선택되면 'AB'가 생성되며, 연이어서 제 2 입력키(B)인 1번, 2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이 선택되면 'ABC'가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점자 생성시마다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부(110)에서 검출하여 검출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면서 음성으로 출력시킨다.
다음, 도 6의 (d)에서 보듯이 'CPO'입력시에도 사용자로부터 제 1 입력키(A)를 2회 선택받아 영문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 2 입력키(B)인 1번, 2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이 선택되면 'C'가 생성되고, 연이어서 제 2 입력키(B)인 5번, 8번과 제 3 입력키(C)인 9번이 선택되면 'CP'가 생성되며, 연이어서 제 2 입력키(B)인 8번과 제 3 입력키(C)인 9번이 선택되면 'CPO'가 생성된다. 이때, 제 2 입력키(B)인 1번, 2번, 4번, 5번, 7번과 제 3 입력키(C)의 8번을 선택해서도 'O'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생성할 경우에는 제 2 입력키를 여섯번을 선택해야 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입력키(B)인 8번과 제 3 입력키(C)인 9번을 선택하여 'O'를 생성하는 두 번의 선택과정을 점자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이다.
도 6의 (e)에서 보듯이 '137'입력시에는 사용자로부터 제 1 입력키(A)를 3회 선택받아 숫자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 2 입력키(B)인 1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이 선택되면 '1'이 생성되고, 연이어서 제 2 입력키(B)인 1번, 2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이 선택되면 '13'이 생성되며, 연이어서 제 2 입력키(B)인 7번, 8번과 제 3 입력키(C)인 9번이 선택되면 '137'이 생성된다.
다음은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도 6의 (f)에서 보듯이 '!'입력시에 사용자로부터 제 4 입력키(D)를 선택받아 특수문자 전용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 2 입력키(B)인 1번, 4번, 7번과 제 3 입력키(C)인 6번 또는 9번이 선택되면 '!'가 생성된다. 이때, 6번 또는 9번을 선택하는 이유는 돌기로 선택되는 부분과 홈으로 선택되는 부분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할 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한 문자를 시각장애인이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점자입력모드로의 설정을 위한 제 1 입력키, 점자일람표의 배치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6개의 제 2 입력키와, 입력된 제 2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3 입력키를 조작하여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편리하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이 이미 익숙해져 있는 점자일람표와 동일한 구조로 제 2 입력키를 배치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친숙하게 입력키들을 조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점자를 표현할 수 있는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미설정함으로써, 시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편리하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입력키의 선택횟수에 따라 한글, 영문, 숫자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점자에 대응시킨 문자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점자입력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점자모드 입력키와, 점자 일람표에서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이 이루는 배치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배치되는 6개의 점 입력키와, 점자입력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가 돌기 또는 홈임을 나타내기 위한 돌기 또는 홈 입력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가 선택되고 상기 돌기 또는 홈 입력키의 값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에서 다른 하나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를 저장부에서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모드 입력키의 선택횟수에 따라 한글, 영문자,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점자입력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모드 입력키의 선택횟수를 인식하고, 해당 점자입력모드로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점 입력키와 돌기 또는 홈 입력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돌기 또는 홈 입력키의 값에 따라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에서 다른 하나로 인식하는 키인식부와;
    상기 키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돌기 및/또는 홈을 이용하여 점자를 생성하는 점자 생성부와;
    상기 점자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부에서 검출하는 문자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고 변환시킨 해당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문자표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특수문자에 해당하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한 특수문자 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장치.
  6.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점자모드 입력키의 선택횟수에 따라 한글, 영문, 숫자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된 점자입력모드를 실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해당 점자입력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와, 상기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으로 나타내기 위한 돌기 또는 홈 입력키를 입력받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 의해 입력받은 돌기 또는 홈 입력키의 값에 따라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에서 다른 하나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를 저장부에서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상기 점자모드 입력키의 선택횟수에 따라 결정된 한글, 영문자,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점자입력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점자모드 입력키의 선택횟수를 인식하고, 해당 점자입력모드로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점 입력키와 돌기 또는 홈 입력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돌기 또는 홈 입력키의 값에 따라 상기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입력키에 상응하는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 하나로 인식하고 점 입력키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점들을 돌기 또는 홈 중에서 다른 하나로 인식하는 키인식단계와;
    상기 키인식단계에 의해 인식된 돌기 및/또는 홈을 이용하여 점자를 생성하는 점자 생성단계와;
    상기 점자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부에서 검출하는 문자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고 변환시킨 해당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문자 검출단계에 의해 검출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문자표시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방법.
KR1020050017899A 2005-03-03 2005-03-03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2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899A KR100625950B1 (ko) 2005-03-03 2005-03-03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899A KR100625950B1 (ko) 2005-03-03 2005-03-03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665A KR20060098665A (ko) 2006-09-19
KR100625950B1 true KR100625950B1 (ko) 2006-09-20

Family

ID=3763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899A KR100625950B1 (ko) 2005-03-03 2005-03-03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485B1 (ko) 2008-08-22 2010-11-24 정종수 점자 라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136A (ja) 1998-12-28 2000-07-18 Yoshihiro Kaneda 操作ボタン装置
JP2001045135A (ja) 1999-07-27 2001-02-16 Ddi Corp 点字形式によるダイヤルキー文字入力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KR20030042272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맹인용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KR20040090581A (ko) * 2003-04-17 2004-10-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점자 입/출력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및 점자입/출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136A (ja) 1998-12-28 2000-07-18 Yoshihiro Kaneda 操作ボタン装置
JP2001045135A (ja) 1999-07-27 2001-02-16 Ddi Corp 点字形式によるダイヤルキー文字入力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KR20030042272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맹인용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KR20040090581A (ko) * 2003-04-17 2004-10-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점자 입/출력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및 점자입/출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485B1 (ko) 2008-08-22 2010-11-24 정종수 점자 라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665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585B2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electronic device
US7714868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selecting special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459390B1 (en)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a wireless portable terminal
US20040176139A1 (e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voice recognition for entering text characters
KR100625950B1 (ko)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17753B1 (ko) 키 입력이 용이한 키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것이 적용된전자기기
KR2006012220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90062632A (ko)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9881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1122386B1 (ko)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5087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100635554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87033B1 (ko) 특수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전화기의 문자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KR20020033899A (ko) 휴대폰의 전화번호 자동검출방법
KR20060068472A (ko) 이동단말기에서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040009071A (ko)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7134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1005397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도움말 제공 방법
JPH11344993A (ja) 音声認識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100644045B1 (ko) 화면에 표시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64404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체키 운용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11696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다이얼 방법 및 그 장치
JP2002259033A (ja) 機能確定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