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873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873B1
KR100650873B1 KR1020050135414A KR20050135414A KR100650873B1 KR 100650873 B1 KR100650873 B1 KR 100650873B1 KR 1020050135414 A KR1020050135414 A KR 1020050135414A KR 20050135414 A KR20050135414 A KR 20050135414A KR 100650873 B1 KR100650873 B1 KR 100650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nput
key
keyton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5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의 키 입력시 입력 모드별로 설정된 해당 키톤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입력모드의 변경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판단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을 출력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톤, 한글, 영문, 특수문자, 숫자, 모드, 출력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method for processing key tone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톤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메모리
120 : 제어부 121 : 이동 통신 처리부
122 : 설정부 123 : 판단부
124 : 키톤 처리부 125 : 묵음 처리부
130 : RF부 140 : 음성 처리부
150 : 스피커 160 : 마이크로폰
170 : 키입력부
180 :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키 입력시 입력 모드별로 설정된 해당 키톤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입력모드의 변경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스케줄, 메모 등 문자를 입력할 때 사용자가 입력모드를 바꿔가면서 원하는 문장을 입력한다. 이와 같이 문장을 입력하는 횟수가 늘어나고 모드 변경이 익숙해져 입력속도가 빨라지면 좀더 빨리 입력하고자 화면을 보지 않고 키를 누르는 경지에 이른다.
그러나, 화면을 보지 않고 문장을 입력하는 중에 입력모드를 변경하는 경우 어떤 모드로 변경되었는지를 알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떤 모드로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하지 않은 채로 계속해서 문장을 입력하다가 어느 순간 화면을 보면 전혀 엉뚱한 문장이 입력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여, 잘못 입력된 문장을 삭제한 후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는 화면으로만 입력모드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의 키 입력시 입력 모드별로 설정된 해당 키톤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입력모드의 변경을 알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은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판단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을 출력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모드는 한글모드, 영문모드, 숫자모드, 특수문자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상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는 상기 각 모드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키톤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음소거 모드인 경우, 상기 임의의 키가 입력되더라도 키톤을 출력하지 않고 묵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각 입력 모드별로 설정된 키톤을 출력하기 위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입력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입력 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모드는 한글모드, 영문모드, 숫자모드, 특수문자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키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는 상기 각 모드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키톤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음소거 모드인 경우, 상기 임의의 키가 입력되더라도 키톤을 출력하지 않고 묵음 처리하는 묵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톤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단말기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각 입력모드별로 설정된 키톤을 출력하기 위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110)와,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입력모드를 판단하여 판 단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키톤을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RF부(130)와, 음성처리부(140)와, 스피커(150)와, 마이크로폰(160)과, 버튼으로 구성된 키입력부(170)와, 외부 화면창 및/또는 내부 화면창을 제공하는 표시부(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키톤(key tone)은 키가 눌려졌을 때 발생하는 일정한 높이의 소리를 말하며, 이러한 키톤은 각 입력모드별로 구별되는 소리로 출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메모리(110)에는 제어부(12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110)에는 각 입력 모드별로 설정된 키톤을 출력하기 위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입력모드는 한글모드, 영문모드, 숫자모드, 특수문자모드를 포함하며, 각 모드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키톤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모드에 대해서만 키톤 음원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선택된 해당 모드(예를 들면, 특수문자모드)에 대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키톤 음원 데이터로 저장하고, 선택되지 않은 모드(예를 들면, 한글모드, 영문모드, 숫자모드)에 대해서는 기본 설정된 키톤 음원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문모드를 하나의 키톤 음원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으나, 영 문 대문자 모드와 영문 소문자 모드로 나눠서 각 모드별로 서로 다른 키톤 음원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를 판단하여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키톤을 출력한다. 이때, 해당 키톤을 출력하면서 입력된 키의 키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각 입력 모드별로 설정된 키톤을 출력하기 위한 키톤 음원 데이터가 메모리(110)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를 판단하여 판단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메모리(110)에서 검출하여 검출된 키톤 음원 데이터에 따라 해당 키톤을 스피커(15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화면을 보지 않고서도 쉽게 입력모드를 알 수 있다.
RF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130)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16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3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메모리(1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15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7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2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표시부(18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처리부(121)와, 설정부(122)와, 판단부(123)와, 키톤 처리부(124)와, 묵음 처리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통신 처리부(121)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자원을 활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공지의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동작함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설정부(122)는 한글모드, 영문모드, 숫자모드, 특수문자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설정한다. 즉, 설정부(122)는 해당 입력모드로의 동작시에 출력될 음원 데이터를 설정한다. 이러한 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모드만 선택적으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판단부(123)는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동작중인 입력모드가 어떤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즉, 판단부(123)는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가 한글모드인지 또는 영문모드인지 또는 숫자모드인지 또는 특수문자모드인지를 판단한다.
키톤 처리부(124)는 판단부(123)의 판단결과, 입력모드가 한글모드인 경우, 한글 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메모리(110)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을 출력한다. 이때, 입력된 키의 키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입력모드가 한글모드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입력모드가 영문모드인 경우나 숫자모드인 경우나 특수문자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묵음 처리부(125)는 동작 모드가 음소거 모드인 경우, 임의의 키가 입력되더라도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키톤을 출력하지 않고 묵음 처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입력모드별로 구별되는 키톤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입력모드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톤 처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어부(120)의 설정부(122)는 각 입력모드별로 동작시에 구별된 키톤을 출력하기 위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설정한다(S101). 이때, 설정된 키톤 음원 데이터는 메모리(110)에 해당 입력모드와 대응시켜 저장되며, 각 모드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120)의 판단부(123)는 임의의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 한다(S103).
상기 S103 단계의 판단결과, 임의의 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소정시간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S103 단계의 판단결과, 임의의 키가 입력된 경우, 판단부(123)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가 한글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5).
상기 S105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모드가 한글 모드인 경우, 제어부(120)의 키톤 처리부(124)는 한글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메모리(110)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을 출력한다(S107). 이때, 해당 키톤을 출력하면서 입력된 키(예를 들면, 2번키)의 키 데이터를 화면상에 'ㄴ'이 표시된다.
상기 S105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모드가 한글모드가 아닌 경우, 판단부(123)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가 영문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상기 S104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모드가 영문 모드인 경우, 키톤 처리부(124)는 영문모드(예를 들면, 영문소문자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메모리(110)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을 출력한다(S106). 이때, 해당 키톤을 출력하면서 입력된 키(예를 들면, 2번키)의 키 데이터를 화면상에 'a'가 표시된다.
상기 S104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모드가 영문모드가 아닌 경우, 판단부(123)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가 숫자모드 또는 특수문자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상기 S108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모드가 숫자모드인 경우, 키톤 처리부(124)는 숫자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메모리(110)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 을 출력한다(S110). 이때, 해당 키톤을 출력하면서 입력된 키(예를 들면, 2번키)의 키 데이터를 화면상에 '2'가 표시된다.
상기 S108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모드가 특수문자모드인 경우, 키톤 처리부(124)는 특수문자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메모리(110)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을 출력한다(S112). 이때, 해당 키톤을 출력하면서 입력된 키(예를 들면, 2번키)의 키 데이터를 화면상에 '!'가 표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입력모드의 변경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화면을 보지 않고도 문장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 모드가 음소거 모드가 아닌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동작 모드가 음소거 모드인 경우, 임의의 키가 입력되더라도 그에 해당하는 키톤을 출력하지 않고 묵음 처리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키 입력시 입력모드별로 해당 키톤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을 보지 않고도 쉽게 입력모드를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을 보지 않고도 문장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모드별로 구별되는 키톤에 따라 사 용자가 입력중인 모드를 바로 알 수 있으므로, 모드 변경에 따른 오타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각 입력 모드별로 설정된 키톤을 출력하기 위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톤 처리 방법으로,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판단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을 출력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는
    한글모드, 영문모드, 숫자모드, 특수문자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상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각 모드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키톤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음소거 모드인 경우, 상기 임의의 키가 입력되더라도 키톤을 출력하지 않고 묵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6. 각 입력 모드별로 설정된 키톤을 출력하기 위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입력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입력 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는
    한글모드, 영문모드, 숫자모드, 특수문자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한 키톤 음원 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키톤 음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출하여 해당 키톤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키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각 모드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키톤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음소거 모드인 경우, 상기 임의의 키가 입력되더라도 키톤을 출력하지 않고 묵음 처리하는 묵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50135414A 2005-12-30 2005-12-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650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414A KR100650873B1 (ko) 2005-12-30 2005-12-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414A KR100650873B1 (ko) 2005-12-30 2005-12-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873B1 true KR100650873B1 (ko) 2006-11-28

Family

ID=3771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414A KR100650873B1 (ko) 2005-12-30 2005-12-30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07B1 (ko) * 2005-11-23 2007-05-0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멀티 버튼음 출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07B1 (ko) * 2005-11-23 2007-05-0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멀티 버튼음 출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9882B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KR20060110502A (ko)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및 바로가기 제어 방법
KR20070010226A (ko) 다기능 단축키 설정 장치,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단말기
KR1003534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기능 확장 방법
US67788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sy input identification
KR2012010757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40179041A1 (en) Method for defining functions of keys of a keypad of an electronic device
KR10065087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617753B1 (ko) 키 입력이 용이한 키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것이 적용된전자기기
CN100353791C (zh) 移动通信终端的长按键功能显示方法
KR100312525B1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사용자 메뉴 구현 방법
KR100664250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중문자 표시방법
KR100773711B1 (ko) 스크린 기능들이 터치 스크린의 공통 디스플레이 영역을 공유하도록 허용하기
KR1006530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가로보기 실행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625950B1 (ko) 점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39881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664263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키입력 방법
JP2001177638A (ja) 電話機
KR100424470B1 (ko)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US82840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in a terminal
KR100641185B1 (ko) 휴대 단말기의 세벌식 한글 입력 방법
KR10064404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체키 운용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644045B1 (ko) 화면에 표시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10262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KR10061774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모드시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