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625B1 -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625B1
KR101102625B1 KR1020050103898A KR20050103898A KR101102625B1 KR 101102625 B1 KR101102625 B1 KR 101102625B1 KR 1020050103898 A KR1020050103898 A KR 1020050103898A KR 20050103898 A KR20050103898 A KR 20050103898A KR 101102625 B1 KR101102625 B1 KR 101102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key inpu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113A (ko
Inventor
손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625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이 키 입력 감지시 입력된 키가 현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설정된 동작을 일시에 종료시키는 모드 종료키이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다른 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다른 키가 입력되면 상기 모드 종료키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다른 키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50103898
모드 종료키, 키 입력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A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의 키패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의 크기가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이는 키패드는 사용자 입력의 불편함을 덜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과 구성으로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단말의 경우 이동 통신 단말 하부에 기능키와 숫자키로 이루어진 키패드가 위치하고, 이동 통신 단말 상부에 주요 기능키로 이루어진 키패드가 위치하도록 구현된다. 도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의 키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동 통신 단말 자체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추세이고, 촬영 기능 등이 구비되면서 가능한 한 큰 크기의 LCD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키패드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은 감소 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키패드를 구성하는 키의 크기나 키들 간의 간격 또한 감소되어 지며, 때문에 사용자가 키를 잘못 누를 확률이 높아졌다. 즉,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키와,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키의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 키가 함께 입력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 것이다. 만약 두개의 키가 함께 입력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은 키가 입력된 순서에 따라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문메시지 작성시, 두 개의 문자키가 함께 입력되면, 이동 통신 단말은 두 문자키 대응하여 할당된 문자 데이터를 발생하고, 해당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을 의도하지 않았던 키가 종료키(3)인 경우, 상기 문자키의 예와 같이 단순히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문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정도의 키입력 오류 동작이 아닌, 문자입력모드 자체가 종료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종료키 입력전까지 사용자가 작성했던 문자메시지가 저장되지 않고, 모두 삭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의도하지 않은 종료키 입력과 같은 키 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키 입력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키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키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키 입력 감지시 입력된 키가 현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설정된 동작을 일시에 종료시키는 모드 종료키이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다른 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다른 키가 입력되면 상기 모드 종료키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다른 키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은 제어부(11), 메모리부(13), 디스플레이장치(15), 키입력부(17), 베이스밴드처리부(19), RF(Radio Frequency) 모듈(21), 음성처리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는 각종 화상 정보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또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을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RF 모듈(21)은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베이스밴드 처리부(19)를 통해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9)를 통해 제어부(11)에 제공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9)는 RF 모듈(21)과 제어부(11)간에 송,수신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 한다.
제어부(11)와 연결된 상기 음성처리부(23)와, 음성처리부(23)에 접속된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된다.
상기 키 입력부(17)는 *, #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이 구비하는 여러 가지 기능에 대응되게 메뉴(menu), 선택, 통화, 지움, 전원/종료, 볼륨(volume), 촬영 등 다수 기능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1)에 제공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17)는 0 ~ 9의 각 숫자가 할당되고, 각 숫자가 할당된 키에 다수의 한글 또는 영문자가 할당된 문자키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한 키들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키 매트릭스 회로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상기 키 매트릭스 회로를 스캔하여,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를 파악함으로써, 키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3)는 제어부(1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11)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그리고 메모리부(13)는 미리 정해진 키 스캔 주기와,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와 키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키 입력부(17)에 구비되는 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발생되어지는,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키 스캔 주기는 키 입력 감지를 위해 상기 키 매트릭스 회로를 스캔하는 주기이다. 상기 키 입력 데이터의 일 예로 대기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보다 적인 시간동안 임의의 숫자키가 입력되면, 해당 숫자키에 대응하여 저장된 다수의 키 입력 데이터 중 숫자키에 할당된 숫자가 상기와 같은 동작 모드와 키입력 방식에 대응되는 키 입력 데이터가 된다. 만약 상기 대기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상기 임의의 숫자키가 입력되면, 단축다이얼 발신이 상기와 같은 동작 모드와 키입력 방식에 대응되는 키 입력 데이터가 된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각 동작 모드에 대응하여, 각 동작 모드를 강제 종료시키는 키 입력 데이터를 가지는 동작 모드 종료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각 동작 모드를 강제 종료 시키는 키 입력 데이터란 해당 동작 모드가 정상적인 과정을 거쳐 단계적으로 종료되고 다른 동작 모드로 전환되게 하는 것이 아닌, 일시에 해당 동작 모드를 종료하여 이동 통신 단말의 기본 동작 모드인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키 입력 데이 터, 또는 현재 동작 모드에서 여러 단계를 거친 후에 설정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동작 모드를 중간 과정 없이 일시에 설정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키 입력 데이터가 할당된 키로서 종료키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다른 키들도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 모드 종료키가 될 수 있다. 즉, 종료키는 동작 모드의 종류와 상관없이, 현재 이동 통신 단말에서 수행되고 있는 동작 모드를 일시에 종료시키고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키 입력 데이터가 할당되어 진다. 또한 메모리부(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입력을 감지에 대응하여 적정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알고리즘의 일 예를 도4에 도시하였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에서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여 키 입력데이터를 발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11)는 미리 저장된 키 스캔 주기에 따라 키 입력부(17)의 키 매트릭스를 스캔하여,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있는지 감지하여, 키 입력이 감지되면, 어떤 키가 입력되었는지 파악하고, 키 입력된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입력된 키가 현재 모드를 일시에 종료하는 모드 종료키라면 제어부(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음 키 스캔시에 다른 키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제어부(11)는 다른 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다른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고, 모드 종료키 입력은 무시한다. 만약, 모드 종료키의 입력을 감지하고 다음 주기의 키 스캔시 다른키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1)는 모드 종료키 입력에 따른 키 데이터를 발생하고, 그에 따라 현재 동작 모드를 종료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키 스캔시 모드 종료키가 아닌 다른 키의 입력이 감지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내에 모드 종료키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다른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고, 모드 종료키의 입력은 무시한다. 이때, 만약 모드 종료키가 아닌 새로운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다른 키 입력과 새로운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1)는 모드 종료키와 다른 키가 동시에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연속으로 입력되면, 모드 종료키의 입력은 무시하고, 모드 종료키가 입력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다른 키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만 모드 종료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1)의 동작 과정을 도3에 도시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여, 제어부(11)는 101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키패드를 스캔하고 103단계로 진행한다. 103단계에서 제어부(11)는 키입력이 감지되면 105단계로 진행하고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101단계로 진행한다. 105단계에서 제어부(11)는 입력이 감지된 키가 모드 종료키인지 확인하여 모드 종료키이면 107단계로 진행하고, 모드 종료키가 아니면 113단계로 진행한다. 107단계에서 제어부(11)는 모드 종료키 감지후 다음 주기의 키패드 스캔시 새로운 키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즉, 제어부(11)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다른 새로운 키 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새로운 키입력이 감지되면 109단계로 진행하고, 새로운 키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111단계로 진행한다. 109단계에서 제어부(11)는 모드 종료키 입력 후 미리 정해진 시 간 내에 새로운 키 입력이 발생하였으므로, 새로운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발생하고 해당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101단계로 진행한다. 111단계에서 제어부(11)는 모드 종료키 입력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새로운 키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것이므로, 현재 설정된 동작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101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모드에서 종료키 입력 감지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임의의 문자키의 입력이 감지된다면, 제어부(11)는 종료키의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임의의 문자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임의의 문자키에 할당된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문자 입력 모드에서 종료키 입력 감지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어떠한 다른 키의 입력이 없다면, 제어부(11)는 문자 입력 모드를 종료하고,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상기 103단계에서 감지된 키 입력이 상기 105단계 확인 결과 모드 종료키 입력이 아니라면 제어부(11)는 113 단계로 진행하여 임의의 키입력 감지 후 다음 주기의 키패드 스캔시 새로운 키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새로운 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는 115단계로 진행하고, 새로운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119단계로 진행한다. 119단계에서 제어부(11)는 임의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고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101단계로 진행한다. 115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113단계에서 감지된 새로운 키 입력이 모드 종료키인지 확인하여, 모드 종료키이면 117단계로 진행하고, 모드 종료키가 아니면 상기 119단계로 진행한다. 117단계에서 제어부(11)는 입력된 순서에 따라 키입력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 발생 및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101단계로 진행한다. 즉, 임의의 키입력 감지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감지된 새로운 키 입력이 모드 종료키의 입력이면 모드 종료키가 입력되었음을 무시하고, 제어부(11)는 상기 임의의 키 입력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고, 만약,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감지된 새로운 키 입력이 모드 종료키가 아닌 다른 키라면, 입력된 순서에 따라 키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키 입력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모드 종료키를 제외한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순차적으로 모든 키 입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모드 종료키가 아닌 임의의 키 입력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발생하는 키 입력은 무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의의 동작 모드를 종료시키는 키 입력시, 상기 키 입력 이전 또는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다른 키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키 입력에 따라 동작 모드가 종료되도록 함으로써, 키 입력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재 설정된 동작 모드가 문자 입력과 같이 새로운 데이터가 생성되는 동작 모드인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발생하는 모드 종료를 방 지함으로써,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키 입력 감지시 입력된 키가 현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설정된 동작을 일시에 종료시키는 모드 종료키이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다른 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다른 키가 입력되면 상기 모드 종료키 입력을 무시하고, 상기 다른 키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다른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모드 종료키 입력에 따라 현재 설정된 동작 모드를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종료키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현재 설정된 동작 모드를 일시에 종료하여 이동 통신 단말의 기본 동작 모드인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종료키와, 현재 동작 모드에서 여러 단계를 거친 후에 설정될 수 있는 다른 동작 모드를 상기 여러 단계를 스킵하고 일시에 설정하는 임의의 키를 포함함을 특 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구비되는 키 매트릭스에 대한 미리 정해진 스캔 주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KR1020050103898A 2005-11-01 2005-11-01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KR101102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898A KR101102625B1 (ko) 2005-11-01 2005-11-01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898A KR101102625B1 (ko) 2005-11-01 2005-11-01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113A KR20070047113A (ko) 2007-05-04
KR101102625B1 true KR101102625B1 (ko) 2012-01-04

Family

ID=3827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898A KR101102625B1 (ko) 2005-11-01 2005-11-01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6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310A (ja) * 2000-11-29 2002-06-14 Kenwood Corp 移動通信端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310A (ja) * 2000-11-29 2002-06-14 Kenwood Corp 移動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113A (ko) 200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0356B2 (en) Method of displaying call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apted to display call information
CN1901563B (zh) 多功能快捷键设置装置以及方法和具有该功能的移动终端
US6393307B1 (en) Method for displaying status of radio terminal
KR100849332B1 (ko) 이미지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US67788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sy input identification
EP1637978A2 (en)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in mobile terminal
EP1610208A1 (en) Key interface apparatus for easy key input and electronic device adaptable to the use thereof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10262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KR1004627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US200702874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253106A (ja) 通信端末装置
KR100312525B1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사용자 메뉴 구현 방법
CN100353791C (zh) 移动通信终端的长按键功能显示方法
US20100156799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nput Mode Control Method
KR100421150B1 (ko) 키패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630100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영어단어 학습방법
KR10065087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톤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1122386B1 (ko)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2259032A (ja) 機能確定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
KR100442593B1 (ko) 무선단말기의 호 서비스 방법
KR100596567B1 (ko) 키보드 미리보기 제공 방법
KR101088077B1 (ko) 문자입력에러 알람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00044455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문자다이얼 서비스 장치 및 방법
EP1940135A1 (en) Telephon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