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150B1 - 키패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패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150B1
KR100421150B1 KR10-2001-0078680A KR20010078680A KR100421150B1 KR 100421150 B1 KR100421150 B1 KR 100421150B1 KR 20010078680 A KR20010078680 A KR 20010078680A KR 100421150 B1 KR100421150 B1 KR 100421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group
mode
gam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8697A (ko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1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들과 그 외 게임조작에 사용되는 조작키들을 표시창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측에 위치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들을 제1군이라 하고, 상기 조작키들을 제2군이라 하며, 나머지 키들을 제3군이라 할 때, 상기 키들을 그룹별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이, 상기 단말기의 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된 모드가 게임모드라 판단될시 상기 제3군으로 제공되는 구동 전압을 차단시켜 상기 제3군의 키들을 비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검사된 모드가 게임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될시, 상기 제2군으로 제공되는 구동전압을 차단시켜 상기 제2군의 키들을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키패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KEY BUTTON SELECTIVELY IN KEY PAD ASSEMBLY}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드(상태)에 따라 키패드의 키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들어, 요즘 신세대들한테 가장 각광 받고 있는 기능중에 하나가 게임이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게임을 즐기려는 사용자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는 일률적인 키배치를 가지고 있어 게임 등을 이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다. 즉, 모든 키들이 단말기의 한쪽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게임을 이용하다가 다른 키(예 : 종료키)를 입력하여 게임이 중단에 종료되는 등, 낭패를 겪을 때 가 발생한다. 또한, 키들이 조밀하게 모여있어, 특히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른 키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있어, 키조작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상하좌우 움직임을 제어하는 네비게이션 키와 그 외 두 개 정도의 키(이하 게임조작키라 칭함)가 게임에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네비게이션키와 게임조작키는 각각 다른 손으로 조작하게 된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아. 상기 네비게이션 키와 상기 게임조작키는 서로 인접해 있다. 따라서, 두 손을 가지고 상기 키들을 조작하는데는 매우 어려움이 따른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들이 조밀하게 모여있어 게임 등을 이용할 때 다른 키를 눌러 낭패를 겪는 경우가 발생한다. 만일, 키들을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면 다른 키를 입력함으로써 발생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게임을 고려하여 키들을 배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단말기의 모드에 따라 키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들을 그룹핑하고, 그룹별로 활성화화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키들과 그 외 게임조작에 사용되는 소정 조작키들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장치가, 상기 네비게이션 키들을 제1군이라 하고, 상기 게임조작키들을 제2군이라 하며, 나머지 키들을 제3군이라할 때, 상기 제1군 내지 제3군의 키들을 구비하며, 제어부로부터 구동 전압신호를 입력하며,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키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키패드와, 상기 단말기의 모드를 검사하여 게임모드라 판단될시 상기 제3군으로 제공되는 상기 전압신호를 차단시켜 상기 제3군의 키들을 비활성화시키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키들과 그 외 게임조작에 사용되는 소정 조작키들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들을 제1군이라 하고, 상기 조작키들을 제2군이라 하며, 나머지 키들을 제3군이라 할 때, 상기 키들을 그룹별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이, 상기 단말기의 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된 모드가 게임모드라 판단될시 상기 제3군으로 제공되는 구동 전압을 차단시켜 상기 제3군의 키들을 비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검사된 모드가 게임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될시, 상기 제2군으로 제공되는 구동전압을 차단시켜 상기 제2군의 키들을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모드(폰/PDA 모드)에서의 키들의 활성여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모드(게임모드)에서의 키들의 활성여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에 구비된 키들을 그룹핑하여 그룹별로 활성화(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모드에 따라 키들의 활성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절차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게임모드를 고려하여 키들을 배치하고, 모드에 따라 키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active) 및 비활성화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키패드에 키들은 3군으로 분류될수 있다. 제1군은 항상 활성화되는 키들이고, 제2군은 게임모드에서 활성화되는 키들이며, 제3군은 일반적인 모드(예 : Phone/PDA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키들의 집합이다.
이하 설명에서 제1모드는 일반적인 모드(예 : 폰/PDA 모드)를 의미하고, 제2모드는 게임모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0)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모드에 따라 키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바활성화하기 위한 동작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2)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모드에 따라 키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등을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4)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 램(flash RAM)(106)은 전화번호부(phone book)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 키들과, 메뉴(menu), 확인, 문자전송, 통화(TALK), 지움(CLR), 종료(END), *, #, 네비게이션 키들(상,하,좌,우), 적어도 하나의 게임조작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키들은 본 발명에 따라 3군으로 분류된다. 이하 제1군을 상기 네비게이션 키들로 가정하고, 제2군을 적어도 하나의 게임조작키들로 가정하고, 제3군을 나머지 키들로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군은 게임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창(LCD)을 기준으로 나머지 다른 키들(제1군 및 제3군)과 다른 면에 위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2 및 도 3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키들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그룹별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되어 진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송화부(116) 및 수화부(1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는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송화부(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수화부(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과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배치를 보여준다. 특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모드(phone/PDA 모드)에서의 키들의 활성화여부를 보여주고, 상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모드(게임모드)에서의 키들의 활성화여부를 보여준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2군에 해당하는 키들(201)이 표시창(LCD)을 기준으로 위에 위치되고, 나머지 제1군 키들(202)과 제3군 키들(203)은 상기 표시창을 기준으로 아래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 2는 제1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제1군(202) 및 제3군(203)에 해당하는 키들이 활성화 상태에 놓이게 되고, 상기 제2군(201)에 해당하는 키들이 비활성화 상태에 놓인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창을 기준으로 아래에 배치되는 키들(제1군 및 제3군)을 가지고 조작을 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도 3은 단말기를 가로로 눕힌 것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PDA와 같이 일반전화기보다 큰 LCD창을 가진 단말기는 단말기를 가로로 눕혀 게임을 하는 경우가 많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키배치는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군(202) 및 제3군(203)에 해당하는 키들은 상기 표시창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되고, 나머지 제2군(201)에 해당하는 키들은 상기 표시창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 3은 제2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제1군(202) 및 제2군(201)에 해당하는 키들이 활성화 상태에 놓이고, 상기 제3군(203)에 해당하는 키들이 비활성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창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된 제1군(202) 키들과 오른쪽에 위치된 제2군(201)을 조작하여 게임을 수행한다. 이런 경우,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키(202)를 조작하다가 잘못하여 다른 키(제3군)을 눌러도 상기 제3군 키들이 비활성화상태이기 때문에 조작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들을 그룹핑하고, 키들을 그룹별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도 1의 제어부이고, 키매트릭스(108)은 상기 도 1의 키패드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의 키들을 게임모드 키들(제2군)과, 네비게이션 키들(제1군)과 일반모드 키들(3군)로 그룹핑한다. 상기 제어부(100)의 GPIO(out)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들은 키매트릭스에 입력되고, 상기 키매트릭스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은 제어부의 GPIO(in)를 통해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키매트릭스(108)로 제공하는 신호는 전압이 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키매트릭스(108)로부터 입력하는 신호는 키입력신호가 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입력신호를 체크하여 어느 키가 입력되었는지 알아낸다.
본 발명은 상기 키매트릭스(108)의 입력에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100)의 출력 핀들(GPIO)을 모드별로 그룹핑하고, 그룹별로 전압을 인가하거나 혹은 그룹별로 핀의 방향을 서로 배타적(exclusive)으로 지정하여, 키들을 그룹별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킨다. 예를들어, 게임모드에서 제1군(202) 및 제2군(201)에 해당하는 키들을 활성화시키려면, 상기 제1군 및 제2군에 해당하는 핀들에 전압을 인가시키고, 제3군에 해당하는 핀으로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거나 핀의 방향을 입력(in)으로 설정한다. 반면, 일반모드에서 제1군(202) 및 제3군(203)에 해당하는 키들을 활성화시키려면, 상기 제1군 및 제3군에 해당하는 핀들에 전압을 인가시키고, 제2군에 해당하는 핀으로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거나 핀의 방향을 입력(in)으로 설정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에 근거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 2와 같은 키배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501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의 모드를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503단계에서 상기 검사된 모드가 게임모드(제2모드)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게임모드는 사용자가 게임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경우이다. 만일, 상기 게임모드라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3군(203)에 해당하는 키들을 비활성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키들을 비활성화시키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3군으로 제공되는 전압을 차단시키거나 상기 전압을 출력하는 핀의 방향을 제어부(100)의 입력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군을 제외한 제1군(202) 및 제2군(201)의 키들은 활성화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군(202)에 해당하는 네비게이션 키들과 상기 제2군에 해당하는 게임조작키들을 가지고 게임을 조작한다.
한편, 상기 검사된 모드가 게임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즉 제1모드(Phone/PDA 모드)라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제2군(201)에 해당하는 키들을 비활성화시킨다. 이때 상기 제1군(202) 및 제3군(203)에 해당하는 키들은 활성화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군 및 제3군에 해당하는 키들을 가지고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요약하여 테이블로 나타내면 하기 표 1과 같다. 이러한 테이블은 메모리(롬, 램, 플래쉬 램)에 저장될수 있고,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수 있다.
제1모드(Phone/PDA 모드) 제2모드(게임모드)
제1군(네비게이션키들) 활성 활성
제2군(게임 조작키들) 비활성 활성
제3군(나머지 키들) 활성 비활성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 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게임 이용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을 제공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그룹핑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수 있어 구현을 위해 별도의 하드웨어적 장치를 요구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네비게이션 키들과 그 외 게임조작에 사용되는 소정 조작키들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들을 제1군이라 하고, 상기 게임조작키들을 제2군이라 하며, 나머지 키들을 제3군이라할 때, 상기 제1군 내지 제3군의 키들을 구비하며, 제어부로부터 구동 전압신호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키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키패드와,
    상기 단말기의 모드를 검사하여 게임모드라 판단될시 상기 제3군으로 제공되는 상기 전압신호를 차단시켜 상기 제3군의 키들을 비활성화시키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게임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될시 상기 제2군으로 제공되는 상기 전압신호를 차단시켜 상기 제2군의 키들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군의 키들은 표시창을 기준으로 상기 제1군 및 제3군의 키들과 서로다른 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네비게이션 키들과 그 외 게임조작에 사용되는 소정 조작키들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들을 제1군이라 하고, 상기 조작키들을 제2군이라 하며, 나머지 키들을 제3군이라 할 때, 상기 키들을 그룹별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된 모드가 게임모드라 판단될시 상기 제3군으로 제공되는 구동 전압을 차단시켜 상기 제3군의 키들을 비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검사된 모드가 게임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될시, 상기 제2군으로 제공되는 구동전압을 차단시켜 상기 제2군의 키들을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군의 키들은 표시창을 기준으로 상기 제1군 및 제3군의 키들과 서로 다른 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통신단말기에서 키패드에 구비된 키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키들을 용도에 근거하여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과정과,
    상기 각각의 그룹의 키들로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제공 혹은 차단시켜 키들을 그룹별로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78680A 2001-12-12 2001-12-12 키패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421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680A KR100421150B1 (ko) 2001-12-12 2001-12-12 키패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680A KR100421150B1 (ko) 2001-12-12 2001-12-12 키패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697A KR20030048697A (ko) 2003-06-25
KR100421150B1 true KR100421150B1 (ko) 2004-03-04

Family

ID=2957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680A KR100421150B1 (ko) 2001-12-12 2001-12-12 키패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79B1 (ko) * 2004-06-25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기능별 키 그룹핑을 수행하는 방법
US7916002B2 (en) 2006-06-30 2011-03-29 Nokia Corporation Haptic operative user interface input apparatus
KR100944862B1 (ko) * 2008-01-22 2010-03-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변경 방법
US8659555B2 (en) 2008-06-24 2014-02-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 feature using a tactile cu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441A (ko) * 1998-09-02 2000-04-06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자동 잠금 방법
KR20010017520A (ko) * 1999-08-12 2001-03-0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KR20020028353A (ko) * 2000-10-09 2002-04-17 홍경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자동제어방법 및 장치
KR20020059557A (ko) * 2001-01-08 2002-07-13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효한 키눌림 자동 검출 회로 및 방법
KR20020088116A (ko) * 2001-05-17 2002-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전화기 및 휴대형 정보 단말기가 복합된 휴대형복합 무선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441A (ko) * 1998-09-02 2000-04-06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자동 잠금 방법
KR20010017520A (ko) * 1999-08-12 2001-03-0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KR20020028353A (ko) * 2000-10-09 2002-04-17 홍경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자동제어방법 및 장치
KR20020059557A (ko) * 2001-01-08 2002-07-13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효한 키눌림 자동 검출 회로 및 방법
KR20020088116A (ko) * 2001-05-17 2002-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전화기 및 휴대형 정보 단말기가 복합된 휴대형복합 무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697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9986B2 (en) Receipt notifying program, receipt notify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007742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WO2007004560A1 (ja) 通信端末
KR100576523B1 (ko)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795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패드 이용 방법
KR100744303B1 (ko) Tdma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의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0421150B1 (ko) 키패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00017481A (ko) 단말기 및 이 단말기를 조작하는 방법
KR10120008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작성 방법
KR1006484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1006794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이머를 이용한 자동 설정 변경 방법
KR10111674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스턴트 메신저를 사용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50067876A (ko) 인터럽트 핸들러 설정/해제에 따른 키 입력 검사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EP1777828A2 (en) User interface method for switching modes in combined terrestrial DMB terminal
KR20000008115A (ko) 무선 단말기의 종료/전원키 운용 방법
KR100672343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이의 입력 방법
KR2005007396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테레오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한 방법
KR100226222B1 (ko) 이어-마이크 접속 감지를 통한 자동 착신전환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0110262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방법
KR1003962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596567B1 (ko) 키보드 미리보기 제공 방법
KR101032645B1 (ko) 복합무선단말기에서 전화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32332B1 (ko) 전화번호 수정 장치 및 방법
KR100650679B1 (ko) 무선인터넷 자동스위칭연결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06645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포즈기능을 이용한 번호 다중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