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520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520A
KR20010017520A KR1019990033081A KR19990033081A KR20010017520A KR 20010017520 A KR20010017520 A KR 20010017520A KR 1019990033081 A KR1019990033081 A KR 1019990033081A KR 19990033081 A KR19990033081 A KR 19990033081A KR 20010017520 A KR20010017520 A KR 20010017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device
keypad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5740B1 (ko
Inventor
박희봉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3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74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터치 패널 입력장치와 키 패드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 패드 입력 장치의 신호를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로 제어 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 패널 입력장치를 통한 키 입력중에 키 패드 입력장치의 키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입력장치 또는 키 패드 입력장치에서 입력되는 키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측에 인가되는 키 패드 입력장치의 리턴 라인(R0- R10) 키 신호를 완충시키는 제1완충수단과, 키 패드 입력장치에 인가되는 제어수단의 스캐닝 라인(S0-S7) 신호를 완충시키는 제2완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터치 패널을 통한 키 입력 도중에 키 패드 입력장치의 키 신호 입력이 발생되지 않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오 동작 발생이 배제되므로 사용에 신뢰성 및 안정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Apparatus For A Key Pad Input Control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 입력장치와 키 패드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 패드 입력 장치의 신호를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로 제어 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 패널 입력장치를 통한 키 입력중에 키 패드 입력장치의 키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술의 발달과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자 수첩의 기능, 스케즐 관리, 전화번호 메모장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는 휴대용 컴퓨터화 되어지고 있으나, 시스템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라 한정된 크기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공간에 다양한 키 신호 입력을 위한 키 입력장치와 대형의 표시장치를 구비하는데 많은 제약이 발생되어지므로 보다 넓은 표시장치를 제공하며, 다양한 키 신호 입력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장치에 터치 패널 키 입력장치가 구비되고, 플립 커버나 하우징 등에 키 패드 입력장치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키 입력장치를 갖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 패드 입력장치와 터치 패널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첨부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내의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 입력장치(1)와, 플립 커버 등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키 패드 입력장치(2)와, 상기 터치 패널 입력장치(1)의 X축 접점 X+,X-와 Y축 접점 Y+,Y-을 스캐닝하여 키 신호의 입력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키 패드 입력장치(2)의 리턴 라인(R0-R11)과 스캐닝 라인(S0-S8)을 통해 키 패드 입력장치(2)의 키 신호 입력 여부를 검출한 다음 검출되는 키 선택신호에 따라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터치 패널 입력장치와 키 패드 입력장치를 동시에 구비하고 있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어부(3)가 터치 패널 입력장치(1)의 X축 접점 X+,X- 와 Y축 접점 Y+,Y- 접점을 스캐닝하여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상태에서 키 패드 입력장치(2)의 리턴 라인(R0-R11)과 스캔 라인(S0-S8)을 스캐닝하여 키 입력을 체크하는 동작을 동시에 실행한다.
즉, 터치 패널 입력장치(1)의 입력 조건과 키 패드 입력장치(2)의 입력조건이 동시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터치 패널 입력장치(1)를 통해 키 입력을 실행하면서 키 패드 입력장치(2)를 통한 키 입력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 입력장치(1)를 통해 원하는 키 신호의 입력을 진행하는 도중에 원하지 않는 키 패드 입력장치(2)의 키 입력이 발생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가 원하지 않는 키 신호의 입력에 의해 오동작을 하거나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이 실행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항상 키 패드 입력장치(2)와 터치 패널 입력장치(1)의 키 신호 입력을 검출하기 위하여 두개의 입력 장치 모두를 동시에 스캐닝하므로 전력의 소모가 크게 발생되어 한정된 용량을 갖는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터치 패널과 키 패드로 이루어지는 두개의 키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으로 하나의 키 입력장치만이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하나의 키 입력장치를 통해 키 입력을 실행하는 도중에 원하지 않는 다른 키 입력장치로부터의 키 입력이 발생되는 것을 배제시켜 시스템의 운용에 안정성 및 신뢰성이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동시에 두개의 키 입력장치에 대한 스캐닝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연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입력장치와 터치 패널 입력장치의 연결을 보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 패드 입력을 제어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패드 입력장치 20 : 제 1버퍼
30 : 제 2버퍼 40 : 제어부
50 : 터치 패널 입력장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시수단상에 구현되는 터치 패널 입력장치와 플립 커버나 하우징에 구현되는 키 패드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입력장치 또는 키 패드 입력장치에서 입력되는 키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측에 인가되는 키 패드 입력장치의 리턴 라인(R0-R10) 키 신호를 완충시키는 제1완충수단과, 상기 키 패드 입력장치에 인가되는 제어수단의 스캐닝 라인(S0-S7) 신호를 완충시키는 제2완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는, 키 패드 입력장치(10)와, 제1버퍼(20), 제2버퍼(30), 제어부(40) 및 터치 패널 입력장치(50)로 이루어지는데, 키 패드 입력장치(10)는 리턴 라인(R0-R10)을 통해 제1버퍼(20)와 접속되고, 스캐닝 라인(S0-S7)을 통해 제2버퍼(30)를 연결하며, 선택된 키 신호가 제어부(40)에서 인식되거나 인식되지 않도록 하는 토글 방식의 기능 키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키 패드 입력장치(10)는 리턴 라인(R11)과 스캔 라인(S8)을 통해 제어부(4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키 패드 입력장치(10)를 활성화/비활성화의 상태로 선택하는 키 신호가 제어부(40)에 인식되도록 한다.
제1버퍼(20)는 리턴 라인(R0-R10)과 칩 인에이블 단자(OE)가 제어부(40)에 연결되며, 제어부(40)에서 인에이블 단자(OE)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어 상기 키 패드 입력장치(10)의 신호를 제어부(40)측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제2버퍼(30)는 스캐닝 라인(S0-S7)과 칩 인에이블 단자(OE)가 제어부(4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40)에서 인에이블 단자(0E)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어 상기 상기 제어부(40)가 키 패드 입력장치(10)를 스캐닝하는 신호를 단속한다.
제어부(40)는 상기 키 패드 입력장치(10)에서 리턴 라인(R11)에서 인가되는 기능 키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제2버퍼(20)(30)측에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시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제2버퍼(20)(30)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제어하여 키 패드 입력장치(10)의 신호가 제어부(40)측에 인식되는 것을 온/오프 제어한다.
터치 패널 입력장치(50)는 기존의 통상적인 방법과 동일하게 X축 접점 X+,X-와 Y축 접점 Y+,Y-가 제어부(40)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키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서 키 패드 입력장치의 키 신호 입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화나 기타 제반적인 기능 동작의 실행을 대기하는 상태에서(S101), 제어부(40)는 리턴 라인(R11)을 통해 키 패드 입력장치(10)에 구비되어 있는 기능 키에서 키 패드 입력장치(10)의 키 신호를 온/오프로 설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102).
상기에서 키 패드 입력장치(10)의 키 신호를 온/오프로 설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입력이 검출되면 제어부(40)는 현재의 모드 설정이 키 패드 입력장치(10)의 키 선택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활성화 상태인지 아니면 키 선택 신호를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비활성화의 상태인지를 분석한 다음(S103) 현재 검출되는 키 패드 입력장치(10)의 기능 키 신호가 키 패드 입력장치(10)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인지를 판단한다(S104).
상기에서 기능 키 신호의 입력이 키 패드 입력장치(10)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는 제1,제2버퍼(20)(30)의 칩 인에이블 단자(OE)에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제1,제2버퍼(20)(30)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제어한다(S105).
따라서, 상기 키 패드 입력장치(10)에서 선택되어 리턴 라인(R0-R10)을 통해 제1버퍼(20)에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1버퍼(20)가 디스에이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어부(40)로의 출력을 실행하지 않고, 상기 제어부(40)에서 스캐닝 라인(S0-S7)을 통해 제2버퍼(30)에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2버퍼(30)가 디스에이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키 패드 입력장치(10)로의 스캐닝 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되어 키 패드 입력장치(10)의 키 선택 신호는 제어부(40)에 인식되지 못하게 된다(S106).
또한, 상기에서 기능 키 신호의 입력이 키 패드 입력장치(1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1,제2버퍼(20)(30)의 칩 인에이블 단자(OE)에 상기 제1,제2버퍼(20)(30)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07).
따라서, 상기 키 패드 입력장치(10)에서 선택되어 리턴 라인(R0- R10)을 통해 제1버퍼(20)에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1버퍼(20)가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입력되는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40)에서 스캐닝 라인(S0-S7)을 통해 제2버퍼(30)에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2버퍼(30)가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입력되는 스캐닝 신호는 타이밍이 조정되어 키 패드 입력장치(10)로 입력된다(S108).
그러므로, 제어부(40)는 키 패드 입력장치(10)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인식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소정의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40)의 GPIO 입력단자에 키 패드 입력장치(10)에서 출력되는 키 선택신호가 제어부(40)에 인식되어지거나 인식되어지지 않도록 하는 물리적인 별도의 스위치를 부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하는 모드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 패드 입력장치와 터치 패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 패드 입력장치의 키 신호 입력의 온/오프를 제어하므로, 터치 패널 입력장치를 통한 키 입력중에 원하지 않는 키 패드 입력장치의 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신호의 입력에 안정성이 제공되며, 불필요한 키 신호의 발생되지 않아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운 및 불필요한 동작의 발생이 배제되어 사용에 신뢰성 및 안정성이 제공된다.

Claims (3)

  1. 표시수단상에 구현되는 터치 패널 입력장치와 플립 커버나 하우징에 구현되는 키 패드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입력장치 또는 키 패드 입력장치에서 입력되는 키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측에 인가되는 키 패드 입력장치의 리턴 라인(R0-R10) 키 신호를 완충시키는 제1완충수단과;
    상기 키 패드 입력장치에 인가되는 제어수단의 스캐닝 라인(S0-S7) 신호를 완충시키는 제2완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 입력장치에는 자신의 키 신호를 활성화/비활성화의 상태로 선택시키는 기능 키가 더 구비되며, 기능 키의 신호는 리턴 라인(R11)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완충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에서 칩 인에이블 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어 상기 키 패드 입력장치의 리턴 라인 신호와 스캐닝 라인의 신호를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KR1019990033081A 1999-08-12 1999-08-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KR10064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081A KR100645740B1 (ko) 1999-08-12 1999-08-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081A KR100645740B1 (ko) 1999-08-12 1999-08-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520A true KR20010017520A (ko) 2001-03-05
KR100645740B1 KR100645740B1 (ko) 2006-11-13

Family

ID=1960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081A KR100645740B1 (ko) 1999-08-12 1999-08-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7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150B1 (ko) * 2001-12-12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472429B1 (ko) * 2002-10-1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100790079B1 (ko) * 2004-06-25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기능별 키 그룹핑을 수행하는 방법
US7420566B2 (en) 2005-02-15 2008-09-02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event pi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150B1 (ko) * 2001-12-12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472429B1 (ko) * 2002-10-1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100790079B1 (ko) * 2004-06-25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기능별 키 그룹핑을 수행하는 방법
US7420566B2 (en) 2005-02-15 2008-09-02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event pi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925242B2 (en) 2005-02-15 2011-04-12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event pi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532626B2 (en) 2005-02-15 2013-09-10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event pi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923927B2 (en) 2005-02-15 2014-12-30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event pi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319507B2 (en) 2005-02-15 2016-04-19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event pi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1071085B2 (en) 2005-02-15 2021-07-20 Pantech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event pi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740B1 (ko) 2006-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4844B1 (en) Portable telephone
EP1284450A2 (en) Method for preventing unintended touch pad input due to accidental touching
CN101059789B (zh) 电子设备及其数据传送控制程序和电路芯片
JPH11143604A (ja) 携帯端末装置
EP12385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input identification
US69012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to a mobile phone
KR10064574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KR0143308B1 (ko) 전화기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회로 및 그 방법
WO1999063731A1 (en) A mobile electronic device
JPH0292135A (ja) ボタン電話機
KR100442942B1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전원 제어를 통한배터리 소모량 절약방법
JPH09244780A (ja) 端末機の制御装置
KR101578932B1 (ko)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15437A (ko) 웹 주소 단축 장치 및 방법
KR10113487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패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656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효한 키눌림 자동 검출 회로 및 방법
KR100452844B1 (ko) 절전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H0522387A (ja) 電話機
KR100758634B1 (ko)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212196B1 (ko) 셀룰라폰의 소비전원절감회로 및 그 방법
JPH11327705A (ja) 情報処理装置
JP2000322180A (ja) 無線情報端末
KR20060080740A (ko) 배터리 잔량 확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01210962A (ja) 携帯端末及び移動電話装置
JP4035545B2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