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687B1 - 거푸집용 체결구의 구조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체결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687B1
KR100625687B1 KR1020060001577A KR20060001577A KR100625687B1 KR 100625687 B1 KR100625687 B1 KR 100625687B1 KR 1020060001577 A KR1020060001577 A KR 1020060001577A KR 20060001577 A KR20060001577 A KR 20060001577A KR 100625687 B1 KR100625687 B1 KR 100625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elastic member
formwork
insertion hol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춘희
Original Assignee
홍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춘희 filed Critical 홍춘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홈이 형성된 연결봉을 수용한 상태로 거푸집 프레임에 장착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봉의 이송이 단속되는 체결구에 관련된다.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양단에 스톱판(10a)과 중앙부에 상기 연결봉(1)이 수용되도록 로드공(12a)이 관통되는 오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공(12a)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12) 측면에 제1삽입공(12b)이 구비되는 고정판(10); 및 상기 고정판(10)의 제1삽입공(12b)에 체결되는 힌지핀(30)상에 수용되어 회동되도록 코일형태로 절곡되는 링부(42)와, 링부(42)의 한 단부로 연장되면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끝단에 환원테(44a)가 형성되는 체결부(44)와, 상기 링부(42)의 다른 한 단부로 연장되는 탄지부(46)가 구비되는 결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연결봉을 지지하는 고정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체결구의 설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연결봉의 이송을 단속하는 탄성부재의 조립 및 구조가 간단하므로 불필요한 제조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거푸집, 거푸집프레임, 세파타이, 연결봉, 웨지핀

Description

거푸집용 체결구의 구조{a joint structure for a mo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가 거푸집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가 거푸집에 체결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의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고정판 12: 오목부 12a: 로드공
12b: 제1삽입공 12c: 제2삽입공 20, 20': 탄성부재
30: 힌지핀 40: 결착부재 42: 링부
44: 체결부 46: 탄지부
본 발명은 거푸집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봉을 지지하는 고정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체결구의 설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연결봉의 이송을 단속하는 탄성부재의 조립 및 구조가 간단하므로 불필요한 제조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거푸집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 콘크리트가 일정한 구획에 소정의 두께로 타설되도록 지지하는 판으로서, 거푸집이 한 쌍으로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거푸집을 분리하되, 고층건물의 경우 거푸집을 간격 유지/고정하는 세파타이와 연결봉만을 분리한 다음, 소정의 형틀상태로 탈거된 거푸집을 상층으로 이송시키고, 다시 거푸집을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기와 같은 작업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세파타이와 함께 거푸집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하는 연결봉은 체결구를 통하여 거푸집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이송이 제어되므로 체결구의 구조개선이 곧 거푸집의 설치 및 탈거에 따른 작업성향상과 공기단축으로 직결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85248호(명칭: 거푸집 체결구조)에서 판스프링에 의해 연결봉의 이송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어됨은 물론 고정판이 탄성부재인 고정바를 통하여 거푸집의 외측면에 탈ㆍ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거푸집 체결구조의 기술을 선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판스프링을 설치함에 있어 먼저 연결봉이 수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송되는 지지관이 구비되어야 하고, 또한 연결봉의 각홈에 대응하는 지지관의 외주면에 판스프링이 개재되도록 절개홈을 별도로 가공해야 하는 등의 제조공정 다분화 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소재비 증가와 인건비의 추가부담으로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고정바가 탄성부재로 제작되어 고정판의 양단에서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바, 이를(예컨대, 고정바) 이용하여 고정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먼저 고정판을 거푸집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바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면 고정바가 탄성력에 의해 휘면서 거푸집프레임상에 클램프된다. 하지만 고정바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쉽게 손상될 우려가 큼은 물론 일일이 고정바를 측방에서 가압하여 고정판을 장착해야하므로 작업성 향상에 그다지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봉을 지지하는 고정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체결구의 설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연결봉의 이송을 단속하는 탄성부재의 조립 및 구조가 간단하므로 불필요한 제조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거푸집용 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홈이 형성된 연결봉을 수용한 상태로 거푸집 프레임에 장착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봉의 이송이 단속되는 체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에 스톱판(10a)과 중앙부에 상기 연결봉(1)이 수용되도록 로드공(12a)이 관통되는 오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공(12a)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12) 측면에 제1삽입공(12b)이 구비되는 고정판(10); 및 상기 고정판(10)의 제1삽입공(12b)에 체결되는 힌지핀(30)상에 수용되어 회동되도록 코일형태로 절곡되는 링부(42)와, 링부(42)의 한 단부로 연장되면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끝단에 환원테(44a)가 형성되는 체결부(44)와, 상기 링부(42)의 다른 한 단부로 연장되는 탄지부(46)가 구비되는 결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10)의 제 1삽입공(12b)과 인접하는 위치에 제2삽입공(12c)이 형성되어 탄성부재(20)를 체결하되, 탄성부재(20)는 제2삽입공(12c)에 연설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의 각홈(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라운드형태의 절곡홈(2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고정판(10)에 체결된 한 쌍의 힌지핀(30)상에 탄성부재(20')를 설치하되, 탄성부재(20')는 한 쌍의 힌지핀(30)중에 어느 하나의 힌지핀(30)에 일단이 구속된 상태로 다른 하나의 힌지핀(30)에 타단이 끼워지도록 삽입링부(20b')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봉(1)의 각홈(1a)에 맞물리는 탄지부(2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가 거푸집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가 거푸집에 체결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각홈이 형성된 연결봉을 수용한 상태로 거푸집 프레임에 장착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봉의 이송이 단속되는 체결구에 관련되며, 이때 체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프레임(3a)상에 설치되어 연결봉(1)이 슬라이드이송 가능하도록 수용되면서 소정의 구간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이송이 단속된다. 여기서 연결봉(1)은 세파타이(2)와 체결되어 한 쌍의 거푸집(3)(3')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체결구는 고정판(10), 탄성부재(20), 힌지핀(30), 결착부재(40)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10)은 양단에 스톱판(10a)과 중앙부에 상기 연결봉(1)이 수용되도록 로드공(12a)이 관통되는 오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공(12a)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12) 측면에 제1삽입공(12b)이 구비된다. 고정판(10)은 직사각형태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중앙부분에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부(12)가 형성되고, 양단에 스톱판(10a)이 돌출된다. 스톱판(10a)은 고정판(10)의 양끝단부에 직교하도록 절곡되어 고정판(10)을 거푸집프레임(3a)상에 설치함에 있어, 거푸집프레임(3a)의 전면에 고정판(10)이 밀착된 상태로 스톱판(10a)이 거푸집프레임(3a)의 측면으로 맞물려 고정판(10)이 거푸집프레임(3a)상에 장착된 상태로 유격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2)는 고정판(10)의 전면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면서 후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중앙부에 로드공(12a)이 형성된다. 로드공(12a)은 고정판(10)의 오목부(12)를 성형하는 프레스 가공중에 천공되는 관통구멍으로서, 상기 연결봉(1)이 삽입되어 전후이송이 용이하도록 연결봉(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 고, 로드공(12a)과 인접한 위치에 탄성부재(20)가 개재되는 바, 이에 따른 탄성부재(20)의 상세한 설명은 도 3a 내지 도 3b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공(12a)을 중심으로 양단위치 즉,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오목부(12)의 상하단부에 제1삽입공(12b)이 형성된다. 제1삽입공(12b)은 고정판(10)상에 형성된 오목부(12)의 양측면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고, 2쌍으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제1삽입공(12b)은 후술하는 결착부재(40)를 지지하는 힌지핀(30)이 체결되는 구멍으로서, 거푸집프레임(3a)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착부재(40)는 고정판(10)의 제1삽입공(12b)에 체결되는 힌지핀(30)상에 수용되어 회동되도록 코일형태로 절곡되는 링부(42)와, 링부(42)의 한 단부로 연장되면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끝단에 환원테(44a)가 형성되는 체결부(44)와, 상기 링부(42)의 다른 한 단부로 연장되는 탄지부(46)가 구비된다. 결착부재(40)는 열처리된 강철을 사용하거나, 인청동(燐靑銅)ㆍ니켈합금 등과 같이 탄성이 우수한 강선을 일체로 절곡하여 제작된다. 결착부재(40)는 강선을 "ㄷ"자 형태로 절곡하여 서로 대향하는 소정의 지점(예컨대, 대략 1/4지점)을 코일형태로 1회 내지 다수회로 꼬아 링부(42)가 형성되면서 링부(42)의 한 단부에 탄지부(46)가 형성되고, 링부(42)의 다른 한 단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강선을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끝단에 원형의 환원테(44a)가 구비되는 체결부(44)를 일체로 형성하되, 이때 링부(42)를 축으로 하여 양단으로 연장되는 체결부(44)와 탄지부(46)는 90도보다 작은 절곡각(X)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결착부재(40)는 힌지핀을 통하여 고정판상에 설치되는 바, 여기서 힌지핀(30)은 고정판(10)의 제1삽입공(12b)에 체결되어 결착부재(4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힌지핀(30)은 단면형상이 원형이면서 반구형태로 쪼개지는 분할 핀 또는 리벳으로서, 상기 전술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2)의 한단부에 형성된 제1삽입공(12b)을 통하여 삽입되면서 링부(42)에 삽입된 상태로 다른 한단부에 형성된 제1삽입공(12b)을 통하여 끝단이 돌출되고, 이어서 힌지핀(30)의 끝단을 둘로 벌려주거나 압착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도 2a 내지 2b를 통하여 결착부재(4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체결구를 거푸집(3)(3')에 설치함에 있어, 고정판(10)을 거푸집프레임(3a)에 밀착시 결착부재(40)의 탄지부(46)가 거푸집프레임(3a)에 먼저 맞닿아 힌지핀(30)을 축으로 회동하려는 탄지력이 작용하고, 이때 탄지부(46)의 탄성력은 링부(42)를 축으로 체결부(44)를 외측으로 벌려줌에 따라 고정판(10)이 거푸집프레임(3a)의 전면에 맞닿는 순간 체결부(44)가 거푸집프레임(3a)의 후면에 결속된다. 이때 체결부(44)의 끝단에 원형으로 형성된 환원테(44a)는 체결구의 탈ㆍ부착에 따른 체결부(44)의 진입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의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3b에서, 상기 탄성부재(20)는 고정판(10)의 제1삽입공(12b)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삽입공(12c)에 체결하되, 탄성부재(20)는 제2삽입공(12c)에 연설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의 각홈(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라운드형태의 절곡홈(20a)이 형성된다. 탄성부재(20)는 상기 결착부재 (40)와 동일하게 열처리된 강철을 사용하거나, 인청동(燐靑銅)ㆍ니켈합금 등과 같이 탄성이 우수한 강선을 "ㄷ"자 형태로 절곡하여 제작하되, 이때 탄성부재(20)의 단면형상은 원형, 삼각, 사각으로 형성되거나 연결봉(1) 및 각홈(1a)과 맞물리는 면접을 증대시키기 위해 반구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0)는 연결봉(1)의 각홈(1a)과 대응하는 중앙부분에 라운드형상의 절곡홈(20a)이 형성되는 바, 이는 도 3a의 확대도와 같이 탄성부재(20)가 연결봉(1)의 외경부에 긴밀하게 밀착됨은 물론 탄성부재(20)가 각홈(1a)에 맞물려 연결봉(1)의 이송을 단속시 절곡홈(20a)이 각홈(1a)에 감싸듯이 수용되므로 연결봉(1)의 위치가 보다 건실하게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삽입공(12c)에 결합된 상태로 끝단이 절곡되어 이탈이 방지되고, 절곡홈(20a)이 로드공(12a)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송되는 연결봉(1)의 외경부 및 각홈(1a)에 가압된 상태로 맞물려 이송을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상에 있어서, 우선 고정판(10)의 로드공(12a)에 연결봉(1)을 삽입시킨 다음 체결구를 거푸집(3)에 설치함에 있어, 결착부재(40)의 체결부(44)를 거푸집프레임상(3a)에 수용한 상태로 고정판(10)을 밀게 되면, 한 쌍의 탄지부(46)가 거푸집프레임(3a)의 전면에 맞닿아 힌지핀(30)을 축으로 체결부(44)를 벌려주는 탄성력이 작용하여 거푸집프레임(3a)의 후면에 감싸듯이 체결되면 체결구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어서, 상기 연결봉(1)에 세파타이(2)를 나사결합한 후, 세파타이(2)를 소 정의 힘으로 당기면 연결봉(1)이 전방으로 이송되고, 이때 각홈(1a)이 탄성부재(20)의 절곡홈(20a)에 맞물려 연결봉(1)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어서 세파타이(2)의 선단에 웨지핀(도시생략)을 끼워 거푸집(3')을 고정하면, 거푸집(3)(4')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3)(3')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되면 연결봉(1)을 회동시켜 세파타이(2)를 분리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당기면 탄성부재(20)가 각홈(1a)의 모서리에 의해 벌어진 상태로 이탈되어 연결봉(1)이 후방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분리된 거푸집(3)(3')은 다시 상층으로 이송되고, 상기에 전술한 작업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시공된다.
한편, 상기 연결봉(40)의 이송을 단속하는 탄성부재(20)가 고정판(10)의 제2삽입공(12c)상에 설치되는 단순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결착부재(40)에 의한 체결구의 설치 및 탈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공사기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따른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5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0')는 상기 고정판(10)에 체결된 한 쌍의 힌지핀(30)상에 설치하되, 탄성부재(20')는 한 쌍의 힌지핀(30)중에 어느 하나의 힌지핀(30)에 일단이 구속된 상태로 다른 하나의 힌지핀(30)에 타단이 끼워지도록 삽입링부(20b')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의 형상으로 절곡 되어 상기 연결봉(1)의 각홈(1a)에 맞물리는 탄지부(20a')가 형성된다. 탄성부재(20')는 상기 탄성부재(20)와 동일하게 열처리된 강철을 사용하거나, 인청동(燐靑銅)ㆍ니켈합금 등과 같이 탄성이 우수한 강선을 일체로 절곡하여 한 쌍의 강선이 서로 대향하게 유지되면서 중앙부에 탄지부(20a')가 돌출됨은 물론 끝단에 삽입링부(20b')가 형성된다. 탄지부(20a')는 탄성부재(20)의 중앙부분 즉, 상기 연결봉(1)의 각홈(1a)과 대응하는 구간을 "["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하고, 한 단부에 양끝단을 원형으로 절곡하여 삽입링부(20b')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탄성부재(20')는 한단부의 삽입링부(20b')가 힌지핀(30)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판(10)에 결속되고, 다른 한단부가 도 5a와 같이 힌지핀(30)의 후방에 맞닿은 상태로 구속되므로 연결봉(1)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거나 유동되더라도 탄성부재(20')의 삽입링부(20b')만이 힌지핀(30)에 체결되어 탄지부(20a')의 변형력과 가변됨에 따라 탄성부재(20')가 연결봉(1)의 각홈(1a)에 수용된 상태로 연결봉(1)이 소폭으로 유동되더라도 탄성부재(20')가 휘어져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등의 단점이 미연에 예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부재(20')가 한 쌍의 삽입링부(20b')를 통하여 힌지핀(30)상에서 위치이동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1)을 회전시켜 각홈(1a)에 맞물린 탄성부재(20')를 벌릴 경우, 탄성부재(20')의 삽입링부(20b')가 힌지핀(30)을 타고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짐에 따라 반복사용에 따른 탄성부재(30')의 휨으로 인한 결속력저하가 방지되고 항상 균일한 탄지력으로 연결봉(1)의 각홈(1a)을 구속하는 효과가 따른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봉을 지지하는 고정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체결구의 설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연결봉의 이송을 단속하는 탄성부재의 조립 및 구조가 간단하므로 불필요한 제조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각홈이 형성된 연결봉을 수용한 상태로 거푸집 프레임에 장착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봉의 이송이 단속되는 체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에 스톱판(10a)과 중앙부에 상기 연결봉(1)이 수용되도록 로드공(12a)이 관통되는 오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공(12a)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12) 측면에 제1삽입공(12b)이 구비되는 고정판(10); 및
    상기 고정판(10)의 제1삽입공(12b)에 체결되는 힌지핀(30)상에 수용되어 회동되도록 코일형태로 절곡되는 링부(42)와, 링부(42)의 한 단부로 연장되면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끝단에 환원테(44a)가 형성되는 체결부(44)와, 상기 링부(42)의 다른 한 단부로 연장되는 탄지부(46)가 구비되는 결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체결구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0)의 제 1삽입공(12b)과 인접하는 위치에 제2삽입공(12c)이 형성되어 탄성부재(20)를 체결하되, 탄성부재(20)는 제2삽입공(12c)에 연설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의 각홈(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라운드형태의 절곡홈(2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체결구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0)에 체결된 한 쌍의 힌지핀(30)상에 탄성부재(20')를 설치하되, 탄성부재(20')는 한 쌍의 힌지핀(30)중에 어느 하나의 힌지핀(30)에 일단이 구속된 상태로 다른 하나의 힌지핀(30)에 타단이 끼워지도록 삽입링부(20b')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봉(1)의 각홈(1a)에 맞물리는 탄지부(2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체결구의 구조.
KR1020060001577A 2005-11-21 2006-01-06 거푸집용 체결구의 구조 KR100625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1193 2005-11-21
KR1020050111193 2005-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687B1 true KR100625687B1 (ko) 2006-09-20

Family

ID=3763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577A KR100625687B1 (ko) 2005-11-21 2006-01-06 거푸집용 체결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297B1 (ko) * 2018-03-19 2018-09-17 남흥건설 주식회사 단열재 일체형 외벽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433Y1 (ko) 2004-12-31 2005-03-14 박종호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KR200403021Y1 (ko) 2005-09-16 2005-12-07 허인재 거푸집 고정구
KR200403001Y1 (ko) 2005-09-13 2005-12-07 최승영 거푸집 체결용 지지구
KR200408447Y1 (ko) * 2005-11-10 2006-02-09 이명진 거푸집용 체결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433Y1 (ko) 2004-12-31 2005-03-14 박종호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KR200403001Y1 (ko) 2005-09-13 2005-12-07 최승영 거푸집 체결용 지지구
KR200403021Y1 (ko) 2005-09-16 2005-12-07 허인재 거푸집 고정구
KR200408447Y1 (ko) * 2005-11-10 2006-02-09 이명진 거푸집용 체결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297B1 (ko) * 2018-03-19 2018-09-17 남흥건설 주식회사 단열재 일체형 외벽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2341B2 (en) Connector systems, assemblies, and methods
KR100625687B1 (ko) 거푸집용 체결구의 구조
EP1865219A1 (en) Spring assembly
JP436068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用スペーサ
JP5707164B2 (ja) 端子のボルト締結構造及びブラケット
JP5567930B2 (ja) 鉄筋の連結構造、及び鉄筋の連結工法
JP3559794B2 (ja) 時計用連結構造および時計
CN101401673B (zh) 纽扣
EP3254575B1 (en) Wig fastening tool and wig using same
JP4321784B1 (ja) 型枠取付具及びコンクリート型枠工法
JP430308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施工用スペーサー
US5430694A (en) Timepiece
JP5361823B2 (ja) 鉄筋の連結構造、及び鉄筋の連結工法
EP2426364A1 (en) Clamp device using chain
WO2015128067A1 (en) Eyeglass frame made in a single piece fitted with a fixing device for a pair of lenses
JP2002323020A (ja) リベットかしめ構造
JP2019065538A (ja) 鉄筋用保持具及び複数の鉄筋の固定保持方法
JP2007077773A (ja) セパレータと鉄筋の連結金具
JP4344552B2 (ja) セグメントの連結部構造
JP2003148532A (ja) スプリング
US20220389714A1 (en) Binding Structure and Mounting Device
JP2003111604A (ja) アジャスト駒用連結ピン及びこれを用いた時計バンド・装身具並びにアジャスト駒用連結構造。
KR200372950Y1 (ko) 분할핀
CN216197076U (zh) 用于帐篷的帐杆的卡件以及用于帐篷的帐杆
JP3098462B2 (ja) 管材の外周面に周方向の凸部を突出形成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