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433Y1 -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433Y1
KR200378433Y1 KR20-2004-0037666U KR20040037666U KR200378433Y1 KR 200378433 Y1 KR200378433 Y1 KR 200378433Y1 KR 20040037666 U KR20040037666 U KR 20040037666U KR 200378433 Y1 KR200378433 Y1 KR 200378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le
screw shaft
formwork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20-2004-0037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4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가설하는 거푸집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매립형의 간격유지구인 세파타이,세파볼트와의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하게 한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체의 철사를 절곡하여 좌,우 및 상,하 대칭형의 집게모양으로 형성하고 고정판(1)에 통공(104)을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고정탄편(2)을 투입하여 고정판(1)의 일측에 손잡이부(203)가 위치하게 하고 손잡이부(203)의 내측에는 탄력부(201)를 구성하며 손잡이부(203)의 타측에는 고정부(202)를 구성하며 통공(104)을 관통하는 고정탄편(2)을 형성한 장치부(200)와 고정판(1)의 중앙부에 관통공(105)을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안내관(101)의 투입하여 양단이 고정판(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용착하여 고정하고 일측 안내관(101)에 상,하로 절개면(102)을 형성하고 작동구(3)를 양분하여 일측을 절개하여 하측으로 절곡하여 걸림돌부(301)를 형성하고 타측은 슬라이드부(302)로 형성하여서 되는 작동구(3)을 절개면(102)에 작동구(3)를 포삽되게 장치하고 나사축(4)을 안내관(101)에 투입하여 관통시키고 돌출된 나사축(201)의 단부에 콘(401)을 결합하여 용착고정한 작동부로 구성하여 손잡이부(203)를 압지하면 양측의 고정부(202)가 내측으로 모아지게 됨으로 거푸집(7)의 수직지지바(701)의 내측으로 고정부(202)를 투입하여 손잡이부(203)를 놓으면 탄력부(201)가 벌어져 거푸집에 고정구의 설치가 편리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나사축(4)의 전,후진 및 고정할 수 있음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고 조작이 편리한 거푸집간격유지구용고정구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Fixing for mold interval preservation}
본 고안은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가설하는 거푸집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매립형의 간격유지구인 세파타이,세파볼트와의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타설시에는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비워두고 양측에 거푸집을 가설하여 내측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양생하게 되며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뒤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양측의 거푸집 사이에 세파타이, 세파볼트,등의 간격유지구를 장치하게 되는데 상기의 세파타이,세파볼트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의 내측으로 묻혀지게 된다.
간격유지구인 세파타이, 세파볼트(이하 간격유지구로 칭함)를 고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핀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의 외측에서 고정하였으나 이는 간격유지구의결합부가 거푸집의 외측에서 체결됨으로서 콘크리트의 타설후에는 거푸집을 각,각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있었고 근래에는 이를 개선하여 거푸집의 공간부 즉 콘크리트타설부 내에서 간격유지구를 거푸집에 결합함으로서 거푸집을 분해하지 않고 다수의 거푸집이 조립된 상태로 이송할 수 있게 하여 건축기간을 단축시키는 건축공법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거푸집의 콘크리트타설부 내측에서 간격유지구와 거푸집이 결합할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거푸집간격유지구용 고정구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일 예로 대한민국실용신안 0337178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브라켓의 양측에 스프링이 개재되고 끝에 걸림부를 갖는 고정볼트를 장치하여 걸림부를 거푸집의 수직지지바에 걸어서 고정구를 거푸집에 결합하고 왼나사 및 콘의 내측에 왼나사 및 오른나사를 형성하여 간격유지구와 고정구의 체결볼트를 신속하게 결합 및 해제할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고정구를 거푸집의 수직지지바에 장치하기 위해서 스프링이 개재된 고정볼트의 걸림부가 수직지지바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하여서 고정볼트를 눌러 걸림부가 수직지지바를 지난상태에서 고정볼트를 회전하여 걸림부가 수직지지바의 내측으로 투입되게 하여 고정볼트를 가압하던 외력을 제거함으로서 스프링에 의해 고정볼트가 외측으로 밀려나오게되어 걸림부가 수직지지바에 걸려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되는 종래의 고안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에 고정구를 장치하기 위하여 고정볼트를 누른상태에서 회전하여야 함으로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에 착안하여 보다 간단하게 고정구를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간격유지구와 결합되어 거푸집을 지지하는 나사축을 보다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거푸집간격유지구용 고정구를 제안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거푸집의 수직지지바에 본 고안의 고정구를 결합하는 장치부와 간격유지구와 고정구를 결합하는 작동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장치부는 고정판에 탄력부와 고정부 및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고정탄편을 장치함으로서 고정구를 거푸집의 수직지지바에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작동부는 안내관의 일측에 작동구를 장치하여 안내관의 내측으로 이송되는 나사축을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에 본 고안의 고정구를 거푸집의 수직지지바에 설치한 평면도가 예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장치부(100)는 탄성체의 철사를 절곡하여 좌,우 및 상,하 대칭형의 집게모양으로 형성하고 고정판(1)에 통공(104)을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고정탄편(2)을 투입하여 고정판(1)의 일측에 손잡이부(203)가 위치하게 하고 손잡이부(203)의 내측에는 탄력부(201)를 구성하며 손잡이부(203)의 타측에는 고정부(202)를 구성하며 통공(104)을 관통하는 고정탄편(2)의 통공(104)양측에는 멈춤링 또는 고정탄편을 압입하여 펼쳐줌으로서 고정탄편(2)의 위치를 고정판(1)에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고안의 작동부(200)는 고정판(1)의 중앙부에 관통공(105)을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안내관(101)의 투입하여 양단이 고정판(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용착하여 고정하고 도 4에서와 같이 일측 안내관(101)에 상,하로 절개면(102)을 형성하고 절개면(102)에 작동구(3)를 포삽되게 끼우되 작동구(3)는 도 5에서와 같이 직사각형의 관체를 양분하고 일측을 절개하여 하측으로 절곡함으로서 걸림돌부(301)를 형성하고 타측은 슬라이드부(302)로 형성하며 나사축(4)을 안내관(101)에 투입하여 관통시키고 돌출된 나사축(201)의 단부에 콘(401)을 결합하여 용착함으로서 본 고안의 작동부(200)가 구성된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장치부(100)를 나타낸 또다른 실시예로서 고정탄편(2)을 고정판(1)에 결합이 편리하도록 한 것으로 고정판(1)에 형성되는 통공(104)을 고정판(1)의 상부 및 하부로 절개되는 노출공104a)으로 형성함으로서 탄력을 가진 고정탄편(2)의 손잡이부(203)를 상하로 벌려서 노출공(104a)으로 끼워서 고정탄편(2)을 고정판(1)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작동부(200)를 나타낸 또다른 실시예로서 안내관(101)의 일측에 축공(501)을 가진 와셔(5)의 축공(501)에 나사축(4)을 투입하여 관통시키되 와셔(5)의 축공(501)은 방사상으로 절개하여 일정경사로 외향되게 단부를 절곡하여 탄편(502)을 형성하고 와셔(5)의 전면에 가압구(6)를 장치하고 가압구(6)의 후면과 나사축(4)의 볼트머리(402)사이에 스프링(403)을 장진한 구조로 된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고안을 거푸집(7)에 설치하기 위하여서는 장치부(100)인 손잡이부(203)를 압지하면 탄력부(201)가 탄력있게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어 손잡이부(203)가 중앙으로 모아지게되고 이와 동시에 양측의 고정부(202) 또한 내측으로 모아지게 됨으로 거푸집(7)의 수직지지바(701)의 내측으로 고정부(202)를 투입하여 손잡이부(203)를 놓으면 탄력부(201)가 벌어짐과 동시에 양측 고정부(202) 또한 벌어지게 되어 거푸집(7)의 수직지지바(701)가 고정판(1) 및 고정탄편(2)의 고정부(202)사이에 끼이게 됨으로서 본 고안의 고정구를 거푸집(7)에 장치하게 된다.
본 고안의 작동부(200)는 안내관(101)의 절개면(102)에 장치된 작동구(3)를 일측으로 밀어서 슬라이드부(302)가 절개면(102)의 상부에 위치하게하고 나사축(4)을 밀어서 나사축(4)의 단부와 콘(401)이 거푸집(7)의 구멍으로 투입하여 간격유지구의 체결너트(8)와 접촉하게 하여 나사축(4)을 회전함으로서 간격유지구의 체결너트(8)와 나사결합하고 작동구(3)의 걸림돌부(301)를 절개면(102)의 상부로 이송시키게 되면 절개면(102)으로 노출된 나사축(4)의 나사산에 걸림돌부(301)가 걸리게 되어 나사축(4)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고정구와 간격유지구를 분리시에는 상기조립의 역순으로 즉 나사축(4)을 역회전하여 간격유지구의 체결너트(8)에 결합된 나사축(4)을 분리하고 작동구(3)의 슬라이드부(302)를 안내관(101)의 절개면(102)상에 위치하게 하면 나사축(4)의 나선과 결합된 걸림돌부(301)가 해지됨으로서 나사축(4)을 당기면 콘(401) 및 나사축(4)의 단부가 신속히 거푸집(7)의 외측으로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의 작동부(200)를 보면 나사축(4)이 거푸집간격유지구와 결합되는 않은 상태에서는 나사축(4)의 전,후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되고 나사축(4)의 전진하여 간격유지구와 접촉시켜 나사결합하게 되면 볼트머리(401)와 가압구(6)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게 됨으로 가압구(6)가 스프링(403)의 압축력에 의해 전진하여 와셔(5)의 탄편(502)을 가압하게 됨으로 탄편(502)이 나사축(4)의 나선에 걸리게 되어 나사축(4)의 위치가 고정되고 나사축(4)을 역회전하여 후진시켜 간격유지구와 이격시키게 되면 볼트머리(401)와 가압구(6)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스프링(403)의 압축력이 약게 지게되어 와셔(5)의 탄편(502)이 나사축(4)의 나선에서 이탈하게 되며 있때 나사축(4)을 당기면 나사축(4)이 신속히 후퇴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간격유지구용고정구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구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며 간격유지구와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축을 신속히 이송할 수 있음으로 나사축의 이송시간을 단축시켜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그 구성이 간단하고 부품의 수가 적어 고장의 발생률이 줄이고 생산성이 우수한 거푸집간격유지구용고정구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작동구가 장치되는 관체의 요부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작동구의 작동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고정탄편의 또다른 조립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 작동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고정판 101 : 관체
102 : 절개면 103 : 노출공
104 : 통공 105 : 관통공
2 : 고정탄편 201: 탄력부
202 : 고정부 203 : 손잡이부
3 : 작동구 301 : 걸림돌부
302 : 슬라이드부 4 : 나사축
401 : 콘 402 : 볼트머리
403 : 스프링 5 : 와셔
501 :축공 502 : 탄편
6 : 가압구 7 : 거푸집

Claims (3)

  1. 탄성체의 철사를 절곡하여 좌,우 및 상,하 대칭형의 집게모양으로 형성하고 고정판(1)에 통공(104)을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고정탄편(2)을 투입하여 고정판(1)의 일측에 손잡이부(203)가 위치하게 하고 손잡이부(203)의 내측에는 탄력부(201)를 구성하며 손잡이부(203)의 타측에는 고정부(202)를 구성하며 통공(104)을 관통하는 고정탄편(2)을 형성한 장치부(200)와:
    고정판(1)의 중앙부에 관통공(105)을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안내관(101)의 투입하여 양단이 고정판(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용착하여 고정하고 일측 안내관(101)에 상,하로 절개면(102)을 형성하고 작동구(3)를 양분하여 일측을 절개하여 하측으로 절곡하여 걸림돌부(301)를 형성하고 타측은 슬라이드부(302)로 형성하여서 되는 작동구(3)을 절개면(102)에 작동구(3)를 포삽되게 장치하고 나사축(4)을 안내관(101)에 투입하여 관통시키고 돌출된 나사축(201)의 단부에 콘(401)을 결합하여 용착고정한 작동부:
    로 이루어 지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2. 상기 1항에 있어서:
    고정판(1)에 형성되는 통공(104)을 고정판(1)의 상부 및 하부로 절개되는 노출공104a)으로 형성하여 고정탄편(2)을 상,하로 벌려서 노출공(104a)으로 끼워 고정탄편(2)을 고정판(1)에 결합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3. 상기 1항에 있어서:
    안내관(101)의 일측에 축공(501)을 가진 와셔(5)의 축공(501)에 나사축(4)을 투입하여 관통시키되 와셔(5)의 축공(501)은 방사상으로 절개하여 일정경사로 외향되게 절곡하여 탄편(502)을 형성하고 와셔(5)의 전면에 가압구(6)를 장치하고 가압구(6)의 후면과 나사축(4)의 볼트머리(402)사이에 스프링(403)을 장진한 구조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KR20-2004-0037666U 2004-12-31 2004-12-31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KR200378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66U KR200378433Y1 (ko) 2004-12-31 2004-12-31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66U KR200378433Y1 (ko) 2004-12-31 2004-12-31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433Y1 true KR200378433Y1 (ko) 2005-03-14

Family

ID=4368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666U KR200378433Y1 (ko) 2004-12-31 2004-12-31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43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87B1 (ko) 2005-11-21 2006-09-20 홍춘희 거푸집용 체결구의 구조
KR100855379B1 (ko) 2007-07-25 2008-09-04 박해대 콘크리트 거푸집용 체결구
KR100864235B1 (ko) 2007-07-06 2008-10-17 정형화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102186590B1 (ko) * 2019-10-11 2020-12-03 이양선 유로폼 고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87B1 (ko) 2005-11-21 2006-09-20 홍춘희 거푸집용 체결구의 구조
KR100864235B1 (ko) 2007-07-06 2008-10-17 정형화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100855379B1 (ko) 2007-07-25 2008-09-04 박해대 콘크리트 거푸집용 체결구
KR102186590B1 (ko) * 2019-10-11 2020-12-03 이양선 유로폼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48218B (zh) 自动转钎机构、网笼悬挂装置及墙板生产系统
KR200378433Y1 (ko)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EP3769653B1 (en) Toilet cover plate hinge seat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CN107348892B (zh) 一种无按键快速拆装盖板
KR101023165B1 (ko) 콘크리트벽체용 거푸집 체결구
KR100547024B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102342844B1 (ko) 원터치 방식의 거푸집 간격 유지 고정장치
KR20160142928A (ko) 시스템 비계
KR200410235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JP4453108B1 (ja) 釘抜き取り装置及び釘抜き取り方法
KR200378434Y1 (ko) 거푸집간격유지구용고정구
KR100547023B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190111593A (ko) 거푸집용 타이바 고정장치
CN106725060B (zh) 马桶盖的快拆快装结构
KR200408447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CN215596873U (zh) 一种安装便捷的滑坡位移监测装置
KR100698508B1 (ko) 거푸집 체결구조
KR200363060Y1 (ko) 원터치형 거푸집 고정구조
KR100510088B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370124Y1 (ko) 거푸집 체결부재
TWM503716U (zh) 喇叭快速安裝裝置
CN215825210U (zh) 卡压钳钳头和卡接钳
CN210289377U (zh) 钢丝网体系结构
CN219126167U (zh) 一种马桶盖自锁快拆装置
KR200383691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