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023B1 - 거푸집용 체결부재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체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023B1
KR100547023B1 KR1020050094563A KR20050094563A KR100547023B1 KR 100547023 B1 KR100547023 B1 KR 100547023B1 KR 1020050094563 A KR1020050094563 A KR 1020050094563A KR 20050094563 A KR20050094563 A KR 20050094563A KR 100547023 B1 KR100547023 B1 KR 100547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inding
formwork
operating ro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옥
Original Assignee
미래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테크(주) filed Critical 미래테크(주)
Priority to KR102005009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E04G17/07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75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공사나 토목공사시에 콘크리트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용 체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측 거푸집판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나사결합부를 가진 지지대(세퍼타이)를 거푸집판을 관통하여 받쳐주는 결착받침구에 나사결합하여 고정설치하는 수단으로 거푸집을 용이하게 설치할수 있고 거푸집해체시에는 결착받침구 후단의 거푸집판외측에서 결착 받침구를 회전시켜 지지대와의 나사결합을 푼 다음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용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즉, 양측거푸집판(10)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지지대(20)의 적어도 하나의 일측단은 나사결합부(22)가 형성되어 거푸집판(10)을 관통하여 결착되는 결착받침구(30)의 나사결합부(31)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착받침구(30)후단의 받침단턱(32)에 일체로 연결되고 고정브라켓(50)의 결착안내관(60)에 관통상태로 끼워져서 전ㆍ후진 및 회전되게 하되 전방부일측에 전방스톱퍼(41)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출몰형 스톱퍼(42)가 설치되며 후방부에 결착구멍(43)이 형성되어 작동봉(40)외주에 스프링(45)과 스프링커버(46)를 끼운 다음 후방스톱퍼(44)를 결합한 작동봉(40)과;
상기 결착안내관(60)이 일체로 부착되고 스프링(45)을 탄성지지하는 받침구(52)가 중간부에 형성되며 거푸집판(10)의 2단받침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50)과; 선단부 일측에 돌출된 측부안내편(6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절개된 삽지홈(62) 이 형성된 결착안내관(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체결부재이다.
거푸집, 체결부재, 작동봉, 출몰형스톱퍼, 결착안내관

Description

거푸집용 체결부재{Combination member of mould}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과 결착안내관을 또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결부재를 장착시킨 상태 평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부재에서 작동봉을 전진이동상태 평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착받침구에 지지대를 나사결합한 상태의 측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결착받침구에 나사결합한 지지대를 당길때의 측면예시도
도 8의 (가)(나)본 발명의 작동봉이 전진이동된 상태에서 출몰형스톱퍼를 측부안내편에 의해 회전 및 후진시킬때의 작용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이 해체된 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거푸집판 12 : 통공
14,15 : 받침대 20 : 지지대
22 : 나사결합부 30 : 결착받침구
31 : 나사결합부 32 : 받침단턱
40 : 작동봉 41 : 전방스톱퍼
42 : 출몰형스톱퍼 42a : 경사안내면
42b : 스프링 43 : 결합구멍
44 : 후방스톱퍼 45 : 스프링
46 : 스프링커버 47 : 연결구멍
50 : 고정브라켓 51 : 체결핀
52 : 받침부 60 : 결착안내관
61 : 측부안내편 62 : 삽지홈
본 발명은 건축공사나 토목공사시에 콘크리트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용 체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측 거푸집판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나사결합부를 가진 지지대(세퍼타이)를 거푸집판을 관통하여 받쳐주는 결착받침구에 나사결합하여 고정설치하는 수단으로 거푸집을 용이하게 설치할수 있고 거푸집해체시에는 결착받침구 후단의 거푸집판외측에서 결착 받침구를 회전시켜 지지대와의 나사결합을 푼 다음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용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 양측의 거푸집판사이에 지지대(세퍼타이)를 설치하되 거푸집판 내측에 합성수지제 받침구를 내입시켜 받침구 일측은 지지대의 단부를 나사결합하고 받침구 타측은 고정나사봉을 나사결합한 다음 거푸집판 외측에 수평ㆍ수직의 받침대를 대고 고정나사봉을 너트로 고정하여 거푸집판이 분리되더라도 받침구는 분리되지 않게 되어 별도의 받침구 분리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받침구가 거푸집판과 함께 분리되도록하여 거푸집설치를 신속하게 할수 있도록 한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실용신안등록제223171호)등이 다수 개발되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는바, 본 발명에서는 또다른 구성수단에 위해 지지대(세퍼타이)를 결착받침구에 간편하게 체결 및 분리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측 거푸집판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거푸집판을 관통하는 결착받침구선단의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되게 하되 결착받침구 후단은 작동봉이 일체로 연결되어 거푸집판 받침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의 결착안내대에서 전후진 및 회전되게하고 작동봉일측에 출몰형스톱퍼가 설치되어 작동봉이 후진상태 에서 결착받침구에 지지구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고 작동봉을 전진상태로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거푸집설치 및 해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수 있는 거푸집용 체결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체결부재는, 양측거푸집판(10)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지지대(20)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대(20)는 적어도 하나의 일측단에 수나사 또는 암나사로 된 나사결합부(22)가 형성되어 이와 대향된 위치의 거푸집판(10)에 형성된 통공(12)을 관통하는 결착받침구(30)에 의해 받쳐주도록 하되 결착받침구(30)의 선단부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로 된 나사결합부(31)가 형성되어 지지대(20)와 나사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착받침구(30)후단의 받침단턱(32)에 작동봉(40)이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브라켓(50)의 결착안내관(60)에 관통상태로 끼워져서 전ㆍ후진 및 회전되게하되 작동봉(40)의 전방부 외주면에 전방스톱퍼(41)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출몰형스톱퍼(42)가 설치되며 후방부에 결합구멍(43)이 형성되어 작동봉(40)외주에 스프링(45)과 스프링커버(46)를 끼운다음 핀형태의 후방스톱퍼(44)를 결합하고 후단부에 작동막대등을 끼울 수 있는 연결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몰형스톱퍼(42)는 상단부의 전면과 일측면에 경사안내면(42a)을 형성하여 작동봉(40)을 전진이동시키거나 측부회전하여 후진이동시킬때 쉽게 내입되게하고 출몰형스톱퍼(42)는 작동봉(40)내에 내장시킨 스프링(42b)으로 탄성지지되어 출몰되게 한 것이다.
상기 고정브라켓(50)은 거푸집판(10)의 외측에 수평 및 수직으로 교차되면서 1,2단으로 부착되어 1,2단받침대(14)(15)를 이루는 2단받침대(15)에 철선이 절곡되어 탄성지지되게 한 체결핀(51)으로 고정하고 중간부에 내향절곡된 받침부(52)가 형성되어 결착안내관(60)이 일체로 부착되고 스프링(45)을 탄성지지한다.
상기 결착안내관(60)은 선단부 일측에 돌출된 측부안내편(61)이 형성되어 작동봉(40)을 측부회전시켜 후진 시키게 될때 출몰형스톱퍼(42)가 내입안내되게 하고 후단부에 절개된 삽지홈(62)이 형성되어 작동봉(40)이 후진된 상태에서 출몰형 스톱퍼(42)가 삽지홈(62)가 끼워져서 작동봉(4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거푸집판(10)외측에 1,2단으로 부착된 상태의 2단받침대(15)에 고정브라켓(50)을 체결핀(51)으로 고정설치하되 상기 고정브라켓(50)의 결착안내관(60)에 작동봉(40)이 후진상태로 끼워지고 결착안내관(60)의 삽지홈(62)에 작동봉(40)의 출몰형스톱퍼(42)가 끼워져서 작동봉(40)전방의 결착받침구(30)가 거푸집판(10)의 통공(12)부분에 관통되는 위치로 전진이동할수 있게 한 다음 거푸집설치 및 해체를 할수 있게 된다.
이렇게 거푸집체결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게 될때에는 직립된 상태의 양측 거푸집판(10)을 지지대(20)로 간격유지하기 위해 거푸집판(10)내측에서 지지대(20)의 나사결합부(22)를 거푸집판의 통공(12)을 관통하여 결착받침구(30)의 나사결합부(31)에 나사결합 한 다음 지지대(20)를 당기게 되면 결착받침구 (30)와 연결된 작동봉(40)은 결착안내관(60)을 통과하는 전진이동을 하여 결착안내관(60)선단에 작동봉(40)의 출몰형스톱퍼(42)가 걸려서 후진되지 않도록 한 수단으로 결착받침구(30)의 받침단턱(32)의 거푸집판(10)의 통공(12)부분에 밀착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20)를 결착받침구(30)를 나사결합하게 될때는 결착안내관(60)의 후단부삽지홈(62)에 작동봉(40)의 출몰형스톱퍼(42)가 돌출된 상태로 끼워져서 작동봉(4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므로 작동봉(40)전방의 결착받침구(30)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지지대(20)를 나사결합할수 있게 되고, 작동봉(40)이 결착안내관(60)을 통과하여 전진이동하게 될때는 작동봉(40)에 설치된 출몰형 스톱퍼(42)는 전면의 경사안내면(42a)에 의해 결착안내관(60)내측으로 쉽게 내입되어 전진이동이 이루어지고 결착안내관(60)선단부에 걸려 후진을 방지하는 기능에 의해 거푸집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의 거푸집 설치시에 출몰형스톱퍼(42)는 결착받침구(30)에 지지대(20)를 나사결합하게 될때는 결착받침구(30)와 일체로 연결된 작동봉(40)이 회전되지 않게 하여 나사결합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작동봉(40)이 전진이동하였을때는 결착안내관(60)선단에 걸려서 후진되지 않도록 하여 결착받침구(30)의 받침단턱(32)이 거푸집판(10)의 통공(12)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거푸집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거푸집해체시에는 거푸집에 매입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대(2)에 나사결합된 결착받침구(30)를 분리해야 되므로 거푸집판(10)외측에서 작동봉(40)후단의 연결구멍(47)에 작동막대 등을 끼워 결착받침구(30)의 나사결합반대방향으로 작동봉(40)을 회전하게 되면 출몰형스톱퍼(42)가 측부안내편(61)에 의해 내입되면서 나사 결합반대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후진되고 나사가 완전히 풀리게 되면 스프링(45)에 의해 결착안내관(60)후단부로 후진이동되고 전방스톱퍼(41)가 결착안내관(60)선단에 걸리는 작용으로 작동봉(40)이 과도하게 후진되어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의 거푸집해체시에 출몰형스톱퍼(42)는 결착안내관(60)선단부 일측의 측부안내편(61)에 의해 내입되어 결착받침구(30)의 나사결합반대방향으로 작동봉(40)을 회전할수 있게 함과 아울러 결착안내관(60)을 따라 후진이동할수 있게 하여 거푸집판(10)을 분리해체 할수 있게 되고, 그 분리된 거푸집판(10)은 또 다른 거푸집을 설치하는데 계속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의 거푸집용 체결부재는 거푸집설치시에 양측 거푸집판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나사결합부를 가진 지지대(세퍼타이)를 거푸집판을 관통하여 받쳐주는 결착받침구에 나사결합할때 결착받침구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용이하게 나사결합할 수 있고 결착받침구를 당기는 수단으로 결착받침구의 받침단턱을 밀착지지하는 수단으로 거푸집설치가 이루어지며, 거푸집해체시에 는 결착받침구가 나사결합방향으로 작동봉을 회전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후진이동되는 수단으로 거푸집해체를 간편하게 할수 있고 그 구조도 간단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양측거푸집판(10)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지지대(20)의 적어도 하나의 일측단은 나사결합부(22)가 형성되어 거푸집판(10)을 관통하여 결착되는 결착받침구(30)의 나사결합부(31)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착받침구(30)후단의 받침단턱(32)에 일체로 연결되고 고정브라켓(50)의 결착안내관(60)에 관통상태로 끼워져서 전ㆍ후진 및 회전되게 하되 전방부일측에 전방스톱퍼(41)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출몰형 스톱퍼(42)가 설치되며 후방부에 결착구멍(43)이 형성되어 작동봉(40)외주에 스프링(45)과 스프링커버(46)를 끼운 다음 후방스톱퍼(44)를 결합한 작동봉(40)과;
    상기 결착안내관(60)이 일체로 부착되고 스프링(45)을 탄성지지하는 받침구(52)가 중간부에 형성되며 거푸집판(10)의 2단받침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50)과; 선단부 일측에 돌출된 측부안내편(6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절개된 삽지홈(62)이 형성된 결착안내관(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체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40)후단에 작동막대등을 끼울 수 있는 연결구멍(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체결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형스톱퍼(42)는 상단부의 전면과 일측면에 경사안내면(42a)이 형성되고 작동봉(40)내에 내장시킨 스프링(42b)으로 탄성지지되어 출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체결부재
KR1020050094563A 2005-10-07 2005-10-07 거푸집용 체결부재 KR100547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563A KR100547023B1 (ko) 2005-10-07 2005-10-07 거푸집용 체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563A KR100547023B1 (ko) 2005-10-07 2005-10-07 거푸집용 체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7023B1 true KR100547023B1 (ko) 2006-01-26

Family

ID=3717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563A KR100547023B1 (ko) 2005-10-07 2005-10-07 거푸집용 체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0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57B1 (ko) 2007-05-03 2008-02-13 미래테크(주) 벽체용 콘크리트 거푸집의 체결구
KR100860630B1 (ko) 2007-07-28 2008-09-29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거푸집용 체결구
KR200485218Y1 (ko) * 2017-07-27 2017-12-08 이성무 거푸집 체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57B1 (ko) 2007-05-03 2008-02-13 미래테크(주) 벽체용 콘크리트 거푸집의 체결구
KR100860630B1 (ko) 2007-07-28 2008-09-29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거푸집용 체결구
KR200485218Y1 (ko) * 2017-07-27 2017-12-08 이성무 거푸집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30725Y (zh) 滚珠滑轨
KR200436827Y1 (ko) 시공성이 우수한 유로폼용 고정구
KR100547023B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448448Y1 (ko) 등기구 커버의 체결구조
CN202048063U (zh) 一种家具连接扣件
KR100547024B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394589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389470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101312790B1 (ko) 착탈식 책상칸막이
JP2009270708A (ja) アジャスタボルト
KR200370124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100510088B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423830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383691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381255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101841361B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378433Y1 (ko)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KR100767567B1 (ko) 건축용 인서트
KR200384365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381256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CN218111194U (zh) 线盒固定器
KR200363060Y1 (ko) 원터치형 거푸집 고정구조
KR200349974Y1 (ko) 거푸집 체결부재
CN220451209U (zh) 一种装配式吊顶风口安装结构
CN220913812U (zh) 一种具有自锁结构的标识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