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360B1 -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터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터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360B1
KR100625360B1 KR1020040081294A KR20040081294A KR100625360B1 KR 100625360 B1 KR100625360 B1 KR 100625360B1 KR 1020040081294 A KR1020040081294 A KR 1020040081294A KR 20040081294 A KR20040081294 A KR 20040081294A KR 100625360 B1 KR100625360 B1 KR 10062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optical film
wavelength
film
polyest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366A (ko
Inventor
김상일
이중규
김용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3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터 필름에 관한 것으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피크의 파장이 340 내지 390 nm의 범위이고, 최대 흡광도의 피크 값이 0.3 이상이며, 자외선 누적 흡광도 계수가 1.5 이상인 본 발명의 발광성 폴리에스터 필름은 자외선을 흡수하고,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재방출하여 형광 및 인광 특성을 가져 다양한 용도, 특히 고기능성 라벨 또는 포장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터 필름 {POLYESTER FILM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Y}
본 발명은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특히 형광 및 인광 기능을 가진 폴리에스터 필름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유리병, 건전지 또는 전해 콘덴서의 라벨용, 포장용기의 전체피복용 뿐만 아니라 문구류 또는 여러개의 용기를 집적포장하거나 밀착포장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열수축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수축성 필름으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의 필름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서는 페트 용기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되면서 재활용을 위한 용기와 라벨의 일체화를 위해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고 환경오염이 거의 없는 폴리에스터계 필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터계 필름은 산업발전에 따른 다양한 시장요건에 부합하기 위해서 더욱더 개선된 여러 가지 특성들을 갖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과즙 음료나 맥주 등의 알콜계 음료의 저장 및 보관에 있어서 자 외선으로부터 그 맛과 신선도의 저하 및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서 착색병이 사용되고 있는데, 보건 및 위생을 위해 여기에 열수축성 필름으로 제조된 캡실(capseal)을 장착하고 있다. 캡실의 장착 여부는 자외선 형광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게 되며, 이러한 확인절차를 통과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에 형광물질을 인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표면에 인쇄된 형광물질이 손에 묻어나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열수축률을 보유하면서도, 자외선을 차단하며, 단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재방출할 수 있어 별도의 인쇄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형광센서에 반응할 뿐만 아니라 인광 특성도 갖춘 고기능성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피크의 파장이 340 내지 390 nm의 범위이고, 최대 흡광도 값이 0.3 이상이며, 자외선 누적 흡광도 계수가 1.5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필름은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피크의 파장이 340 내 지 390 nm의 범위이고, 최대 흡광도 값이 0.3 이상이며, 자외선 누적 흡광도 계수가 1.5 이상이어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인 폴리에스터 필름은 파장이 310nm 이하의 빛에 대해서는 차단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그보다 긴 파장의 빛에 대해서는 통과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실제적으로 과즙 음료나 맥주 등의 알콜계 음료의 신선도 저하, 맛의 변화 및 변색을 일으키는 파장은 320nm 이상부터 가시광선 파장 이하까지의 범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피크의 파장이 340nm 미만이 되게 되면 자외선 차단 능력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고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게 되며, 피크의 파장이 390nm를 초과하게 되면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필름의 투명성 저하는 물론 불필요한 착색의 요인이 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피크의 흡광도 값이 0.3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투광도가 50%를 초과하게 되어 자외선 차단 능력이 부족하게 된다. 또한, 자외선 누적 흡광도 계수는 1.5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는 실제적으로 파장 340 내지 390nm 범위의 자외선의 전체 평균 투광도가 55% 이하임을 의미하며, 효율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범위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필름은 375nm의 광원에 의한 재방출 세기의 최대값이 420 내지 460nm의 파장 범위에 있게 된다.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 재방출한다는 의미는, 불필요한 자외선을 흡수 및 차단하여 내용물을 보호하는 역할과 더불어, 가시광선의 일정 파장대의 빛을 부가적으로 방출하게 됨으로써 필름 표면의 광택이 높아지고, 인광에 의해 외관이 미려한 특징을 나타내게 된다. 특히, 420 내지 460 nm의 파장 범위에서 재방출 세기의 최대값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단파장의 가시광선, 즉 청색 계열의 빛이 형광으로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을 캡실 용도로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인쇄를 거치지 않고도 형광센서에서 캡실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태양광선은 물론, 자외선등, 수은등, 싸이키 조명 등과 같이 특수한 조명등 아래에서 청색으로 발광하는 특이한 외관을 나타냄으로서 제품의 구매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고급 음료나 위스키 등과 같은 고급 주류의 캡실 용도로 사용되었을 경우, 위조나 변조 등을 쉽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되어 위조 방지용 부착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성 폴리에스터 필름은 일반적으로 사람이 인식가능한 휘도 수준, 즉 0.32 mcd/㎟ 이상의 휘도를 60분 이상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분한 인광 특성을 보유함에 따라, 흔히 말하는 야광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갖는 필름을 음료, 고급 주류 등의 캡실 또는 라벨 등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 제품의 구매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필름은 빛투과율이 80% 이상으로 필름의 투명성을 확보함으로써 내용물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한쪽 방향의 열수축률을 30% 이상이 되도록 하여 각종 용기의 수축 라벨용 또는 전체 수축 포장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동마찰계수 1.0 이하를 유지하여 인쇄등의 후공정에서 쉽게 취급할 수가 있게 하고, 유리병 또는 페트병 등에 라벨을 씌우는 슈팅 공정에서는 공정 트러블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필름의 동마찰계수가 1.0 보다 높게 되면 필름의 주행성(슬립성)이 부족하여 포장 용도의 필름으로의 사용에 제한을 받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수지는 다이카복실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성분과 다이올 성분을 중축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이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로는 다이메틸테레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 다이메틸아이소프탈레이트, 아이소프탈산 등을 들 수 있으며, 폴리에스터 고유의 기계적 성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테레프탈산 또는 다이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전체 산성분을 기준으로 50 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이올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 트라이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2-다이메틸-(1,3-프로판)다이올, 1,4-사이클로헥산다이메탄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수지의 결정성 조절을 위해서는 에틸렌 글리콜을 전체 다이올 성분을 기준으로 50 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 제조용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시에 벤조트라이아졸계 화합물, 벤족사졸 화합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필름 특성들을 구현한다.
상기 벤조트라이아졸계 화합물은 폴리에스터 수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자외선 차단 특성의 향상에 더 이상 영향을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량의 증가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며, 폴리에스터의 분해를 유발하는 등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 다. 이러한 벤조트라이아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족사졸 화합물은 폴리에스터 수지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자외선을 흡수하고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형광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원가상승, 필름의 기계적 특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벤족사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렌비스벤족사졸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은 폴리에스터 수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인광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역시 원가상승, 필름의 기계적 특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알루미늄산스트론튬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수지는 필름의 슬립성 향상을 위하여 이산화규소등의 무기활제를 0.03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폴리에스터 수지를 통상의 방법으로 용융압출 및 급냉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은 다음, 예열 공정을 거친 후 이를 최소 일방향으로 3배 이상 연신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신조건으로부터 필름의 원하는 열수축율 및 빛투과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필름 제조시 공지의 첨가제, 예를 들면 중축합촉매, 분산제, 대전방지제, 정전인가제 및 기타 무기활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되,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이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100몰부 및 다이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100몰부를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에 평균 입경 2㎛의 이산화규소 0.08 중량%,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1.0 중량%를 혼입한 후 중축합반응을 수행하여 극한점도가 0.65dl/g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얻었으며, 이 수지를 280℃로 용융압출한 후 30℃로 냉각된 냉각롤에 밀착시켜 무정형 쉬트를 수득하였다. 이와같이 수득한 무정형 쉬트를 연속해서 94℃의 온도에서 연신롤을 통과시켜 3.5배 종연신하고, 3구역으로 구분되고 구역별 평균온도가 120℃ (100℃~130℃)인 텐터내에서 4.0배 횡연신한 후 열처리함으로써 두께 20㎛의 연신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 - 2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시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의 사용량을 하기 표 1에 제시된 것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시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대신, 페닐렌비스 벤족사졸을 0.02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5 및 비교예 3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시 페닐렌비스벤족사졸의 사용량을 하기 표 1에 제시된 것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공정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시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을 0.5 중량%, 그리고 페닐렌비스벤족사졸을 0.02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시 알루미늄산스트론튬 1.5 중량%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공정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다이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95:5 몰%의 혼합물 100몰부 및 다이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과 2,2-다이메틸-(1,3-프로판)-다이올의 85:15 몰%의 혼합물 100몰부를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에 평균 입경 2㎛의 이산화규소 0.08 중량% 및 페닐렌비스벤족사졸 0.02 중량%를 혼입한 후 중축합반응을 수행하여 극한점도가 0.68dl/g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얻었으며, 이 수지를 270℃ 로 용융압출한 후 30℃로 냉각된 냉각롤에 밀착시켜 무정형 쉬트를 수득하였다. 이와같이 수득한 무정형 쉬트를 연속해서 80℃의 온도에서 연신롤을 통과시켜 1.05배 종연신하고, 4구역으로 구분되고 구역별 평균온도가 85℃ (75℃~100℃)인 텐터내에서 3.85배 횡연신한 후 열처리함으로써 두께 45㎛의 연신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시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0.5 중량%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공정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다이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95:5 몰%의 혼합물 100몰부 및 다이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과 2,2-다이메틸-(1,3-프로판)-다이올의 85:15 몰%의 혼합물 100몰부를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에 평균 입경 2㎛의 이산화규소 0.08 중량%,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0.5 중량%, 페닐렌비스벤족사졸 0.02 중량% 및 알루미늄산스트론튬 1.5 중량%를 혼입한 후 중축합반응을 수행하여 극한점도가 0.68dl/g인 폴리에스터 수지를 얻었으며, 이 수지를 270℃로 용융압출한 후 30℃로 냉각된 냉각롤에 밀착시켜 무정형 쉬트를 수득하였다. 이와같이 수득한 무정형 쉬트를 연속해서 80℃의 온도에서 연신롤을 통과시켜 3.5배 종연신하고, 4구역으로 구분되고 구역별 평균온도가 85℃ (75℃~100℃)인 텐터내에서 3.95배 횡연신한 후 열처리함으로써 두께 50㎛의 연신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 였다.
비교예 4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시 이산화규소를 0.005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한 공정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폴리에스터 필름들의 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필름의 특성 측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빛투과율 : ASTM D1003 (직경 25mm, 산란각도 2.5도) 사용하여 빛투과율을 측정하였다.
(2)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피크의 파장과 피크값: UV-Visible Meter (일본 시마쮸사, UV-265FW) 사용. 330 내지 750nm의 입사광 파장 범위에서의 흡광도 그래프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피크의 파장과 그때의 흡광도값을 측정하였다.
(3) 자외선 누적 흡광도 계수 : UV-Visible Meter (일본 시마쮸사, UV-265FW) 사용하여, 흡광도 그래프에서 6개 파장 (340nm, 350nm, 360nm, 370nm, 380nm, 390nm)에서의 흡광도의 합을 계산하였다.
(4) 재방출된 빛의 세기가 최대인 피크의 파장: 형광발광분석기 (Acton Research Corp.사 Spectra Pro300i) 사용. 375nm 광원에 의한 재방출 세기의 그래프에서 최대 피크를 나타내는 파장범위를 측정하였다.
(5) 잔광시간 : D65 표준광원 200룩스(JIS K5120)로 4분간 조사한 후, 잔광휘도가 인간이 인식가능한 0.32mcd/㎡ 까지 유지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6) 열수축율
제조한 필름을 측정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하여 폭 15㎜, 길이 200㎜로 절단한 후 90℃로 유지되는 온수 중에서 30초간 열처리 전후의 길이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3에 의하여 열수축률을 계산하였다:
열수축률(%) = [(L-ℓ)/L]×100
(상기에서, L = 열처리전 필름의 길이이고, ℓ = 열처리 후의 필름의 길이이다)
(7) 동마찰계수(μk) : ASTM D1894의 제1-C도에 의해 측정하였다.
(8) 맛의 변화 : 100% 오렌지 쥬스가 담긴 무색 투명한 1.5L 페트병에, 시험용 필름을 무지 상태로 가공한 후 완전히 랩핑하여, 직사광선을 받을 수 있는 실외에 14일간 방치한 다음, 맛의 변화를 관능 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 맛의 변화가 거의 없고 양호함
× 맛이 처음과 달리 신맛이 많아지고 불량함.
필름의 조성
산성분(몰%) 다이올성분 (몰%)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중량%) 페닐렌비스벤족사졸 (중량%) 알루미늄산스트론튬 (중량%) 이산화규소 (중량%)
테레프탈산 아이소프탈산 에틸렌글리콜 2,2-디메틸-(1,3-프로판)다이올
실시예 1 100 - 100 - 1.0 - - 0.08
실시예 2 100 - 100 - 0.5 - - 0.08
실시예 3 100 - 100 - - 0.1 - 0.08
실시예 4 100 - 100 - - 0.02 - 0.08
실시예 5 100 - 100 - - 0.01 - 0.08
실시예 6 100 - 100 - 0.5 0.02 - 0.08
실시예 7 100 - 100 - 0.5 0.02 1.5 0.08
실시예 8 95 5 85 15 - 0.02 - 0.08
실시예 9 95 5 85 15 0.5 0.02 - 0.08
실시예10 95 5 85 15 0.5 0.02 1.5 0.08
비교예 1 100 - 100 - 0.05 - - 0.08
비교예 2 100 - 100 - - - - 0.08
비교예 3 100 - 100 - - 0.0005 - 0.08
비교예 4 95 5 85 15 0.5 0.02 1.5 0.005
필름의 특성 평가
빛 투과율 (%) 동마찰계수 최대 흡광도 피크 자외선 누적흡광도 계수 재방출 세기가 최대인 피크의 파장 (nm) 횡방향 열수축률 (%) 잔광시간 (분) 맛 평가
파장 (nm)
실시예 1 95 0.42 350 0.7 2.9 없음 38 15
실시예 2 96 0.42 350 0.5 1.8 없음 37 15
실시예 3 96 0.42 380 0.8 3.9 440 40 10
실시예 4 97 0.42 380 0.5 2.4 440 39 10
실시예 5 98 0.42 380 0.4 1.6 440 38 10
실시예 6 92 0.42 380 1.0 4.7 440 38 15
실시예 7 88 0.42 380 1.1 5.1 440 40 350
실시예 8 95 0.45 380 0.5 2.4 440 62 10
실시예 9 90 0.45 380 1.0 4.7 440 62 10
실시예10 87 0.45 380 1.1 5.1 440 65 350
비교예 1 98 0.42 350 0.2 1.0 없음 37 15 ×
비교예 2 98 0.42 - - 0.7 없음 38 15 ×
비교예 3 98 0.42 380 0.2 1.0 440 37 10 ×
비교예 4 92 2.0 380 1.1 4.8 440 65 350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 의해 제조된 필름의 경우 여러 가지 필름의 물성이 전반적으로 모두 양호하였으나, 비교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측정된 물성 중 하나 이상이 불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광학 필름은 폴리에스터 필름의 고유 특성을 유지하면서 자외선 차단, 가시광선 방출특성, 인광 특성 등을 보유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벤족사졸 화합물 및 알칼리토금속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로부터 제조되어,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피크의 파장이 340 내지 390 nm의 범위이고, 최대 흡광도 값이 0.3 이상이고, 자외선 누적 흡광도 계수가 1.5 이상이며, 375 nm 파장의 광원에 의해 재방출되는 빛의 세기가 최대인 피크값 파장이 420 내지 460 nm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광학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잔광 시간이 60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동마찰계수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최소 일방향으로의 열수축율이 30% 이상이고, 빛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수지가, 테레프탈산 또는 다이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50 몰% 이상 포함하는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50 몰% 이상 포함하는 다이올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수지가 벤조트라이아졸계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벤조트라이아졸계 화합물의 함량이 폴리에스터 수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벤족사졸 화합물의 함량이 폴리에스터 수지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의 함량이 폴리에스터 수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11. 제7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수지가 이산화규소를 0.03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12.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으로 이루어진 라벨 또는 포장재.
KR1020040081294A 2004-10-12 2004-10-12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터 필름 KR10062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294A KR100625360B1 (ko) 2004-10-12 2004-10-12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터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294A KR100625360B1 (ko) 2004-10-12 2004-10-12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터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366A KR20060032366A (ko) 2006-04-17
KR100625360B1 true KR100625360B1 (ko) 2006-09-18

Family

ID=3714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294A KR100625360B1 (ko) 2004-10-12 2004-10-12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터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29B1 (ko) * 2017-10-25 2018-07-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형광성을 갖는 열수축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라벨 용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9694A (ja) 1982-04-15 1983-10-20 Process Shizai Kk 記録材料
KR960010272A (ko) * 1994-09-17 1996-04-20 이영규 부식에 의한 금속표면의 문양성형 방법
JPH09316221A (ja) * 1996-05-27 1997-12-09 Toray Ind Inc 白色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29988A (ko) * 2001-05-14 2004-04-0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자외선 및 진공 자외선에서 투명성을 요구하는 응용에서부분 플루오르화 중합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9694A (ja) 1982-04-15 1983-10-20 Process Shizai Kk 記録材料
KR960010272A (ko) * 1994-09-17 1996-04-20 이영규 부식에 의한 금속표면의 문양성형 방법
JPH09316221A (ja) * 1996-05-27 1997-12-09 Toray Ind Inc 白色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29988A (ko) * 2001-05-14 2004-04-0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자외선 및 진공 자외선에서 투명성을 요구하는 응용에서부분 플루오르화 중합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6001027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366A (ko) 200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7585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US7045200B2 (en) White, UV-stabilized film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KR101844836B1 (ko) 보안 어플리케이션용의 굴절률이 일치되는 인광체 및 기질
JP2001279003A (ja) 白色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1504368A (ja) 紫外線吸収剤とポリエステルとのブレンド
KR20020070334A (ko) 무광택 내uv성 열성형성 공압출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용도 및 그 제조방법
JP2003528746A (ja) シール性および難燃性を有する二軸延伸白色フィルムおよ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3523291A (ja) シール性、耐紫外線性および難燃性を有し、片面が艶消し性である共押出二軸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1270057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261858A (ja) 白色不透明フィルム
US6855435B2 (en) Transparent, UV-stabilized film made from a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JP2003528748A (ja) シール性および耐紫外線性を有し、片面が艶消し性である共押出二軸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3528747A (ja) シール性および難燃性を有する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625360B1 (ko) 광학적 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터 필름
JP2003522659A (ja) シール性、耐紫外線性および難燃性を有する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US6716898B2 (en) Amber polyester compositions for packaging food and beverages
KR101055230B1 (ko) 시각 헤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흡광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및 관련 방법
KR20020076262A (ko) 무광택 uv안정성 공압출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제조방법 및 그 용도
CN107116870A (zh) 白色热收缩层压薄膜及包括该薄膜的标签
KR101878429B1 (ko) 형광성을 갖는 열수축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라벨 용기의 제조방법
JP2004285189A (ja) 紫外線遮断性ポリエステルシート及び包装体
KR100716762B1 (ko) 투명 이축배향 uv안정성 차단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용도
JP6962146B2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
KR100299423B1 (ko) 축광성폴리에스테르필름
JP2002539314A (ja) エチレン−2,6−ナフタレンジカルボキシレートポリマーを素材とする中空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