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664B1 -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용 두발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용 두발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664B1
KR100624664B1 KR1020050039558A KR20050039558A KR100624664B1 KR 100624664 B1 KR100624664 B1 KR 100624664B1 KR 1020050039558 A KR1020050039558 A KR 1020050039558A KR 20050039558 A KR20050039558 A KR 20050039558A KR 100624664 B1 KR100624664 B1 KR 10062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ruff
fruit
cosmetic composition
hair cosmetic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차영권
양지혜
이용재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케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케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케어텍
Priority to KR102005003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61K36/575Magno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루인(Trichosanthes Kirilowii L., 하늘타리),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ER & E. H. WILSON), 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로부터 두피 가려움 및 비듬 개선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것으로서, 국내에 유통되는 과루인, 후박, 참나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이의 건조물을 두피 가려움 및 비듬 개선이 있는 화장료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은 비듬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에(Pityrosprum ovale) ATCC 12087에 대한 항균력을 가지며 두피 가려움의 개선 효과를 갖는다.
과루인, 후박, 참나물, 비듬, 두피 가려움, 두발 화장료

Description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용 두발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calp pruritus and dandruf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결과이다.
본 발명은 두피 가려움 및 비듬 개선 두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루인, 후박, 참나물을 혼합 추출하여 두피의 가려움증과 비듬의 원인이 되는 비듬균의 생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을 개선하는 두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듬(Dandruff)의 생성 원인은 두피의 죽은 세포가 딱딱한 각질 형태로 떨어져 나오면서 두피에서 분비되는 피지 및 땀 등과 뭉쳐 커다란 덩어리로 되고 여기에 미생물 등이 감염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 1874년 프랑스에서 처음으로 비듬의 원인이 비듬균일 것이라는 학설이 제기 된 이래, 100여년이 지난 1984년에야 드디어 비듬균의 정체를 밝히는데 성공했습니다. 비듬균의 정체는 피티로스포름 오발에(Pityrosprum ovale)로, 이 균이 정상적인 숫자의 10-20배 이상 증가되면 비듬이 생기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통상 비듬은 두피의 가려움 증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때 두피를 세게 긁게 되면 상처가 나고 결국 염증을 유발시켜 습진, 탈모 현상까지 발생하게 된다. (피부과학, 대한피부과학회 간행위원회, 여문각, 1992). 따라서, 이러한 두피 가려움과 비듬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비듬균에 대한 항균 및 두피 가려움을 해소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저렴한 물질의 개발 및 그 물질을 함유하는 사용이 용이한 두발 화장료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두피 가려움 및 비듬치료제로서의 항비듬력이 있다고 보고된 물질로는 항균력을 지닌4급 암모늄들, 알란토인(Allantoin), 멘톨(Menthol), 티몰(Thymol), 유카립톨(Eucalyptol), 소듐살리실레이트(Sodium Salicylate),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아연피리치온(ZnPT ; Zinc-Pyrithione), PVP-Iodine Complex, 켑탄(Captan), 페놀(Phenol) 및 소듐페닐레이트(Sodium Pheneylate), 황화셀레늄(SeS 2 , SeS), 황화카드뮴(CdS), 황(Sulfur), 리조시날(Resorcinal), 헥사클로르펜(Hexachlorphene), 바이펜 하이드로클로라이드(Biphene Hydrochloride), 타르(Tar)(Coal Tar, 목탄건류물), 클림바졸(Climbazole), 타카날(Takanal),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류(Corticosteroids), 케토코나졸(Ketoconazole) 등이 있다.
미국FDA Monograph(Fedral Register, Vol. 56, No.233, Dec.4.1991, P63554-63569)에서는 황(S)은 비듬(Dandruff)에 효과적이며, SeS 2 와 ZnPT는 비듬과 지루(Seborrheic Dermatitis)에 효과적인 것으로 기술하고 있고 기타 항비듬제 들은 전반적으로 효과가 조금씩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항비듬제들 대부분은 강한 살균력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들이며, 전술한 항비듬제로서의 구비요건을 모두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대부분 부작용이나 독성이 있어 일정량 이상을 사용하기 어렵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류의 경우 항염증효과가 탁월하여 단기간 치료효과는 우수하나 부작용이 빈발하여 잦은 사용에는 문제가 된다. 피록톤올라민(Piroctone Olamine : Hoechst 제조)의 경우 여러 효과를 비교적 잘 갖추고 특히 항산화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일본 Lion 주식회사의 Y.Hori 등의 " Study on the Antioxidizing Activity of Piroctone Olamine") 효과가 미약하여 대량 사용을 하는 경우에만 그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두피 가려움 및 비듬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효능이 우수한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유해 화학물질이 가미되지 않은 천연물에서 추출하여 안전하며 부작용이 없고 효과가 우수한 과루인, 후박, 참나물 추출물을 함유한 두발 화장료로서 두피 가려움과 비듬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피 가려움 개선, 비듬균 억제 및 세포독성이 없으며 효능이 우수하고 안정성 및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추출물을 천연물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함유하는 두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피 가려움 및 비듬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효능이 우수한 물질을 찾고자 자연의 여러 가지 천연물질들을 검색한 결과, 과루인, 후박, 참 나물 혼합 추출물이 두피 가려움 및 비듬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효능이 우수한 물질을 효능을 나타냄을 발견하여 두피 가려움 및 비듬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 등의 효과를 가짐으로 인해 두피 가려움증 개선, 비듬 증상 개선 효과를 줌으로써 두피를 보호하는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과루인(Trichosanthes Kirilowii L., 하늘타리)은 박과(Cucurbitaceae) 식물로 하늘타리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기슭에 흔히 자라는 박과에 딸린 덩굴식물이다. 가을에 참외보다 좀 작은 타원꼴 열매가 황금빛으로 익어 그 이듬해 봄까지 줄기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는 모습을 제주도나 남쪽 섬지방 같은데서 흔히 볼 수 있다. 뿌리는 마치 칡뿌리처럼 생겼으며 예로부터 약으로 귀하게 썼다. 베타시토스테롤(Beta sitosterol),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올레익산(Oleic acid), 사포닌(Saponins),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트리코산틴(Trichosanthin) 등의 성분이 있으며, 한의학에서는 하늘타리의 뿌리를 천화분, 과루근이라 하며 가을에 캐서 겉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린다. 뿌리가루가 눈처럼 희기 때문에 천화분이라고 한다. 열로 인하여 진액이 손상되어 입 안이 마르며 혀가 건조하고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 및 갈증을 많이 느끼는 소갈증에 널리 활용된다. 특히 입 안이 마르고 물과 음식을 많이 먹을 때에 유효하다. 종기와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에 염증을 가라앉히고 농의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한다. 천화분 약침 제제는 악성포도태와 상피세포암종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 과학 백과사전 출판사편, 일월서각, 1994)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ER & E. H. WILSON)은 목련과 (Magnoliaceae)의 상록교목. 높이15∼20m, 지름 50∼60㎝에 이르고 나무껍질은 회백색 내지 회갈색이며 비늘처럼 벗겨진다.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려 건위성천식 등의 약재로 쓴다. 나무껍질에는 다량의 점액이 있어 선향(線香)의 결합제로도 쓰인다.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등지에 하며, 유데스몰(Eudesmols), 마그노롤(Magnolol), 아연(Zinc) 등이 포함되어 있고, 후박은 중국후박나무 및 일본후박나무의 껍질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성미는 쓰고 맵고 따뜻하며, 주로 작용하는 장기는 비장과 위장, 대장이다. 효능은 습기를 없애고 체기를 뚫어주는 화습도체(化濕導滯)기능과 기순환을 원활히 해주며 속을 따뜻하게 도와주는 행기온중(行氣溫中)작용이 있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1994. 과학백과사전 출판사편, 중약 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중약 대사전 편찬위원회,1997).
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은 산형과(Umbelliferae)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해발 300∼1400m의 높은 산지의 수림하에 자생하며 한국, 중국, 일본등 동북 아시아지방에 분포한다. 예로부터 어린 순을 채취하여 잎줄기를 생것으로 먹거나 무침, 튀김, 김치 등 다양한 형태로 식용하여 왔는데 특히 독특한 맛과 향취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기성분, 비타민 등 각종 영양소는 물론 지혈, 양정, 대하, 해열, 경풍, 고혈압, 중풍, 폐담, 정혈, 신경통 등에 쓰인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과루인, 후박, 참나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용 두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과루인 25∼40 중량부, 후박 25∼40 중량부 및 참나무 25∼40 중량부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과루인, 후박 및 참나무 중 어느 하나가 25 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의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효과가 약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과루인, 후박 및 참나무를 세절한 후 1:1:1의 동일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의 두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과루인, 후박, 참나물의 혼합 추출물이 두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0.001∼5중량% 또는, 액상 중량으로서 0.1%∼10.0%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한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효과가 약해지며 상한 중량% 초과하면 본래 화장료 조성물이 성상이나 품질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과루인, 후박, 참나물의 혼합 추출물은 과루인, 후박, 참나물의 혼합물에 1∼15 부피배 만큼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50∼95℃에서 3∼24시간 동안 가열하거나,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범위에서 상기 기간 미만이면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며, 상기 기간을 초과하면 비효율적이며 불필요한 성분이 추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두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에텔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피렌글리콜, 함수 에탄올, 함수 메탄올, 함수 글리세린, 함수 에틸렌글리콜,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약재상 및 야채상으로부터 구입한 과루인, 후박, 참나물을 세절한 후 동일 비율로 즉 1:1:1로 혼합하여 그 건조 중량의 1∼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부가하여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추출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또 다른 추출 방법으로는, 과루인, 후박, 참나물을 세절한 후 동일 비율로 즉 1:1:1로 혼합하여 그 건조 중량의 1∼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다. 이어서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50∼95℃에서 3∼24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추출 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을 액상의 중량으로서 0.1%∼10.0%의 양을 두발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고, 또한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그 건조중량으로서 0.001∼5.0%, 바람직하게는 0.01∼3.0%의 양으로 두발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피 가려움 및 비듬 증상 개선 두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샴푸, 린스, 헤어젤, 헤어토닉, 헤어로션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두피가려움 및 비듬 증상 개선 두발 화장료 조성에 있어서, 상기의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두발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발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가려움 및 비듬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예로부터 사용한 약재이거나 식용의 나물이므로 부작용이 없는 안전하며 화장료로서의 사용이 용이한 것으로서 효능성과 안전성, 사용의 용이성이 우수한 두발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하, 실시예, 처방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먼저 과루인, 후박, 참나물을 각 200g씩 혼합한 시료를 메틸알코올 2㎏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0~95℃로 8시간 가열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 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45.2g을 얻었다. 이후, 이 고형분을 다시 30%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4.52kg의 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2∼4>
하기 표1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용 매 건조수득량(g) 액상수득량(kg)
실시예 2 70% 함수에탄올 43.6 4.36
실시예 3 50% 함수에탄올 42.8 4.28
실시예 4 30% 함수에탄올 41.5 4.15
<실시예 5>
먼저 과루인, 후박, 참나물을 각 200g씩 혼합한 시료를 70% 에틸알코올 2㎏에 넣고 실온에서 1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40.6g을 얻었다. 이후, 이 고형분을 다시 30%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4.06kg의 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6 ∼ 8>
하기 표2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용 매 건조수득량(g) 액상수득량(kg)
실시예 6 50% 함수에탄올 41.6 4.16
실시예 7 30% 함수에탄올 40.8 4.08
실시예 8 메탄올 40.5 4.05
<실시예 9>
먼저 과루인, 후박, 참나물을 각 200g씩 혼합한 시료를 메틸알코올 2㎏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60℃로 8시간 가열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한후 이 농축액에 물 1㎏를 가하고 다시 디에틸에테르 1㎏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킨다. 하층인 수층에 다시 1㎏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켜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중량 37.6g를 얻었다. 이후, 이 고형분을 다시 30%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3.76kg의 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1 ∼ 3>
과루인, 후박, 참나물을 각 200g씩 혼합한 시료 대신 아래 표 3의 시료를 사용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용 매 건조수득량(g) 액상수득량(kg)
비교예 1 과루인, 후박 각 300g 40.8 4.08
비교예 2 과루인, 참나물 각 300g 42.6 4.26
비교예 3 후박, 참나물 각 300g 43.4 4.34
<실험예 1>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1, 2, 3에서 제조된 추출물 건조분말에 대하여 비듬균을 이용한 항균력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비듬균 : 피티로스포름 오발에(Pityrosprum ovale) ATCC 12087
GAM broth에 Bacto agar1.5g을 넣어 조제 멸균된 배지를 Petri dish에 반정도 부어 굳힌다. GAM 6.05g과 Bacto agar0.5g을 멸균 정제수100㎖에 가온 용해하고 멸균한 후 배양중인 비듬균 현탁액에서 백금이로 취하여 준비한 시험관에 이식한 후 10초간 흔들어 혼합하여 균이 혼합된 배지가 굳기 전에 준비한 배지에 부어 굳힌다. 농도별로 준비된 항균원료에 멸균 disc를 반정도 잠기도록 적시어 전면 흡수시키고 굳어진 배지 위에 disc를 올려놓고 가볍게 누른 후 기체발생봉투와 함께 혐기배양기에 넣어 37℃에서 3∼4일간 배양한다.
2) 실험결과
표 4는 비듬균에 대한 상기 시료의 항균력에 대한 결과이다.
건조분말농도(%) 실시예 2 성장억제환(㎜) 비교예 1 성장억제환(㎜) 비교예 2 성장억제환(㎜) 비교예 3 성장억제환(㎜)
0.01 2 1 1 0
0.05 7 5 4 2
0.10 15 12 12 8
0.50 21 17 16 12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과루인, 후박 및 참나물 혼합 추출물이 이중 하나를 제외한 혼합 추출물보다 비듬균에 대하여 항균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처방예 1>
실시예 2의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샴푸의 처방예는 다음 표 5와 같다.
번호 원 료 명 처방예 1 대조예 1
1 실시예 2(액상추출물) 10.00 -
2 소듐라우릴설페이트액(25%) 30.00 30.00
3 소듐라우릴옥시에틸렌설페이트액(25%) 30.00 30.00
4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8.00 8.00
5 판테놀 0.10 0.10
6 폴리쿼터늄-10 0.50 0.50
7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크로라이드 0.20 0.20
8 코카미드디이에이 3.00 3.00
9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2.00 2.00
10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11 구연산 0.10 0.10
12 방부제 적량 적량
13 향료 적량 적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처방예 2>
실시예 2의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린스의 처방예는 다음 표 6과 같다.
번호 원 료 명 처방예 2 대조예 2
1 실시예 2(액상추출물) 10.00 -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3 판테놀 0.10 0.10
4 폴리쿼터늄-10 0.30 0.30
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50 1.50
6 폴리소르베이트 60 0.50 0.50
7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40 0.40
8 스테아릴알코올 3.00 3.00
9 디메치콘 2.00 2.00
10 미네랄오일 3.00 3.00
11 세틸알코올 2.00 2.00
12 방부제 적량 적량
13 향료 적량 적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처방예 3>
실시예 2의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헤어젤의 처방예는 다음 표 7과 같다.
번호 원 료 명 처방예 1 대조예
1 실시예 2(액상추출물) 5.00 -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3 판테놀 0.10 0.10
4 글리세린 5.00 5.00
5 카보머 0.60 0.60
6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30 0.30
7 에탄올 7.00 7.00
8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1.00 1.00
9 트리에탄올아민 0.60 0.60
10 폴리비닐피롤리돈 5.00 5.00
11 방부제 적량 적량
12 향료 적량 적량
13 정제수 잔량 잔량
<처방예 4>
실시예 2의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헤어토닉의 처방예는 다음 표 8과 같다.
번호 원 료 명 처방예 1 대조예
1 실시예 2(액상추출물) 10.00 -
2 에탄올 40.00 40.00
3 피이지-8 10.00 10.00
4 메칠글루세스-20 5.00 5.00
5 판테놀 0.50 0.50
6 피이지-32 3.00 3.00
7 솔비톨 2.00 2.00
8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50 0.50
9 방부제 적량 적량
10 향료 적량 적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실험예 2> 비듬방지효과 시험(샴푸조성물)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녀 10명씩 20명을 선정하여 샴푸에 대하여 1개월 동안 시험하였다. 시험개시 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상기 처방예 1 및 대조예 1의 샴푸 조성물로 2일에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 종료 후 3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 흡입장치를 사용하여 두피로부터 직접 채집하였고, 다음 식에 의거하여 비듬감소율을 구하였다. 또한 비듬 방지 효과는 비듬감소율이 25% 이상인 경우에만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계산식 1]
Figure 112005024806571-pat00001
A : 시험개시 전 비듬의 중량(㎎)
B : 시험개시 1개월 후 비듬의 중량(㎎)
구 분 평균감소율(%) 비듬방지효과 있다 비듬방지효과 없다 잘 모르겠다
처방예 1 38.6 9 명 - 1 명
대조예 1 4.8 - 8 명 2 명
<실험예 3> 두피 가려움증 억제효과 시험(샴푸조성물)
평소 가려움을 느끼는 남녀 10명씩 20명을 선정하여 처방예 1 및 비교예 1의 샴푸를 2일에 1회씩 사용 후, 면접을 통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 평가기준(가려움증의 정도)
매우있다 : 1점, 있다 : 2점, 보통이다 : 3점, 없다 : 4점, 전혀없다 : 5점
구 분 처방예 1 대조예 1
두피 가려움증 억제효과 4.2 1.7
<실험예 4> 비듬방지효과 시험(린스조성물)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녀 10명씩 20명을 선정하여 린스에 대하여 1개월 동안 시험하였다. 시험개시 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통상의 린스로 헹군 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상기 처방예 2 및 대조예 2의 린스 조성물로 2일에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 종료 후 3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 시험기간중 샴푸는 시험개시 전에 사용하던 샴푸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비듬감소율이 25% 이상인 경우에만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을 판정하였으며, 비듬의 채집 및 비듬감소율은 상기 비듬방지효과시험(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 분 평균감소율(%) 비듬방지효과 있다 비듬방지효과 없다 잘 모르겠다
처방예 2 43.8 10 명 - -
대조예 2 5.4 - 8 명 2 명
<실험예 4> 두피 가려움증 억제효과 시험(린스조성물)
평소 가려움을 느끼는 남녀 10명씩 20명을 선정하여 처방예 2 및 비교예 2의 린스를 2일에 1회씩 1개월 사용 후, 면접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이 시험기간중 샴푸는 평소 사용하던 샴푸를 사용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 평가기준(가려움증의 정도)
매우있다 : 1점, 있다 : 2점, 보통이다 : 3점, 없다 : 4점, 전혀없다 : 5점
구 분 처방예 1 대조예 1
두피 가려움증 억제효과 4.4 1.6
상기 실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제조한 처방예 에서 비듬방지효과 및 두피 가려움증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인 과루인, 후박, 참나물 혼합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이 없으며, 피부에 저자극성이고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두피 가려움 억제효과와 비듬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종래의 두발 화장료에 비해 비듬 및 두피 가려움증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어 각종 두발 화장료에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Claims (6)

  1. 과루인, 후박, 참나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용 두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과루인 25∼40 중량부, 후박 25∼40 중량부 및 참나무 25∼40 중량부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루인, 후박, 참나물의 혼합 추출물이 두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0.001∼5중량% 또는, 액상 중량으로서 0.1%∼10.0%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루인, 후박, 참나물의 혼합 추출물은 과루인, 후박, 참나물의 혼합물에 1∼15 부피배 만큼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50∼95℃에서 3∼24시간 동안 가열하거나,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에텔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피렌글리콜, 함수 에탄올, 함수 메탄올, 함수 글리세린, 함수 에틸렌글리콜,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샴푸, 린스, 헤어젤, 헤어토닉, 헤어로션, 비누, 헤어팩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39558A 2005-05-12 2005-05-12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용 두발 화장료조성물 KR100624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58A KR100624664B1 (ko) 2005-05-12 2005-05-12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용 두발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58A KR100624664B1 (ko) 2005-05-12 2005-05-12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용 두발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664B1 true KR100624664B1 (ko) 2006-09-15

Family

ID=3763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558A KR100624664B1 (ko) 2005-05-12 2005-05-12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용 두발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6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23A (ja) * 1995-07-10 1997-01-21 Taisho Pharmaceut Co Ltd 育毛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23A (ja) * 1995-07-10 1997-01-21 Taisho Pharmaceut Co Ltd 育毛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055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091002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90055249A (ko) 징크피리치온 및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0878596B1 (ko)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KR100977673B1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32501B1 (ko)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KR101917644B1 (ko) 호로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20120118222A (ko) 노인 냄새 제거용 천연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2282642B1 (ko) 5가지 방향성 식물과 5가지 생약소재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1800B1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00011176A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KR102335222B1 (ko) 모낭충 제거, 냄새 제거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24664B1 (ko)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용 두발 화장료조성물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9344B1 (ko) 패각 용해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어진 오크라, 여주 및 노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4B1 (ko) 눈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6655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