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596B1 -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596B1
KR100878596B1 KR1020070093203A KR20070093203A KR100878596B1 KR 100878596 B1 KR100878596 B1 KR 100878596B1 KR 1020070093203 A KR1020070093203 A KR 1020070093203A KR 20070093203 A KR20070093203 A KR 20070093203A KR 100878596 B1 KR100878596 B1 KR 10087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ruff
hair
cosmetic composition
itching
hair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필
훈 전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93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담죽엽, 대극, 구채 및 박하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천연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하여 뛰어난 항균력을 나타내며,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최소화된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최소화시킬 수 있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으며, 두피의 비듬증, 가려움 증상의 개선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비듬방지, 가려움증 개선, 모발화장료,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

Description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A composition for anti-dandruff and itch-removal hair cosmetics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담죽엽, 대극, 구채 및 박하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천연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하여 뛰어난 항균력을 나타내며,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최소화된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듬은 유전, 스트레스, 호르몬 등의 내적 요인과, 음식물, 대기오염 등의 외적 요인이 다양하게 작용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비듬은 두피의 오래된 죽은 세포가 딱딱한 각질형태로 벗겨져 나오는 것을 의미하며, 비듬의 양이 눈에 띄게 많아질 정도로 발생하는 현상을 비듬증이라고 한다.
비듬 발생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는 비듬을 포함한 지루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과도 관련이 있다.
상기한 지루성 피부염은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 균수를 감소시킴으로 그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방법이며, 이 균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항균력을 지닌 4급암모늄류, 알란토인(Allantoin), 멘톨(Menthol), 티몰(Thymol), 유카립톨(Eucalyptol), 소디움살리실레이트(Sodium salicylate),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아연피리치온(ZnPT, Zinc-Pyrithione), 켑탄(Captan), 페놀(Phenol) 및 소디움페닐레이트(Sodium Phenylate), 황화셀레늄(SeS2, SeS), 황화카드뮴(CdS), 황(Sulfur), 리조시날(Resorcinal), 헥사클로르펜(Hexachlorphene), 바이펜 하이드로클로라이드(Biphene hydrochloride), 타르(Tar)(Coal Tar, 목탄건류물), 클림바졸(Climbazole), 타카날(Takanal),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류(Corticosteroids) 등과 같은 물질을 항비듬 제제에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항비듬제들은 두피 각질화 억제 및 항진균 효과는 있으나, 피부에 대하여 심한 생리작용 때문에 허용 농도에 대한 규제가 되어 있으며, 대부분 상당한 독성을 가지고 있고, 피부에 대하여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면서 동시에 비듬증이나 가려움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천연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생약재를 이용한 비듬증이나 가려움증을 치료하는 약물을 탐색하던 중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 추출물이 매우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 추출물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의 생육을 억제하는 연구는 지금까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천연 생약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가려움증 및 비듬억제 효과가 우수하면서 동시에 종래의 화학물질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던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에 비해서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효과를 가지는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담죽엽(Lophatherum gracile Bronghiart), 대극(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구채(Allium tuberosum Rottler) 및 박하(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 0.5 ~ 1 : 0.5 ~ 1 : 0.5 ~ 1 : 0.5 ~ 1 중량비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하나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담죽엽(Lophatherum gracile Bronghiart), 대극(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구채(Allium tuberosum Rottler) 및 박하(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 0.5 ~ 1 : 0.5 ~ 1 : 0.5 ~ 1 : 0.5 ~ 1 중량비 혼합물에 1 ∼ 15 부피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가열 또는 냉침한 다음 잔사를 제거한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각 성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담죽엽, 대극, 구채, 및 박하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담죽엽(Lophatherum gracile Bronghiart)은 벼과(Gramineae)에 속하며, 꽃피기 전의 지상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 각지에서 야생하고 있으며, 줄기와 잎에 아룬도인(arundoin), 실린드린(cylindrin), 타락세롤(taraxerol), 프리델린(friedelin), 아미노산, 지방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해열, 이뇨작용이 있어 심번, 소변불리, 어금니나 잇몸이 아플 때, 구강염 등에 전탕하여 복용한다. 근래에 민간에서는 항암이나 당뇨개선에도 사용하고 있다.
대극은 대극과(Euphorbiaceae)에 속하며, 대극(Euphorbia pekinensis Ruprecht)의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 각지에서 자생하며, 유포르빈산(euphorbic acid), 유포르본(euphorbon), 유포린(eupho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사하, 이뇨, 항균작용 등이 있으며, 외용으로 살균 및 살충효과 등이 인정되고 있다.
구채는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부추(Allium tuberosum Rottler)의 전초이다. 한국, 중국, 일본이 주산지이며, 디메칠설파이드(dimethylsulfide), 디알릴설파이드(diallylsulfide) 등을 함유한다. 약리작용은 속을 따뜻이 하고, 기를 잘 돌게 하여 토혈, 치루 등에 사용하며, 외용으로는 상처치료, 벌레 물린데 사용한다.
박하(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는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로서, 브라질, 한국, 일본, 중국 등이 주산지이다. 멘톨(menthol) 62%, 멘타캄파(menthacamphor) 및 8종의 이성질체 등을 주성분으로하며, 멘톤(menthone) 15%, 이소멘톤(isomenthone) 6%, 캄펜(camphene), 피넨(α-pinene), 미르센(myrcene), 리모넨(limonene), 메틸아세테이트(menthyl acetate), 풀레곤(pulegone), 피페리톤(piperitone) 등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국부자극 작용, 소염 작용, 해열 작용, 항균·항바이러스·살충 작용, 거담 작용 등이 있어서, 감기, 호흡기질환, 안과 질환, 담마진, 백일해, 인후종통, 급성 유선염 등에 전탕하여 복용하거나 외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담죽엽, 대극, 구채 및 박하 0.5 ~ 1 : 0.5 ~ 1 : 0.5 ~ 1 : 0.5 ~ 1 중량비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며, 담죽엽, 대극, 구채 및 박하의 혼합비가 상기 범위일 경우 가장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며,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가장 탁월하게 발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담죽엽, 대극, 구채, 및 박하를 세절한 후 1:1:1:1의 동일 중량비율로 혼합 사용할 경우 좋다. 상기 중량비는 건조물에 대한 중량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의 혼합 추출물이 모발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0.001 ∼ 5 중량% 또는 액상 중량으로서 0.1 ∼ 10.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본 발명의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효과가 약해지는 경향이 나타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본래 화장료 조성물이 성상이나 품질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담죽엽(Lophatherum gracile Bronghiart), 대극(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구채(Allium tuberosum Rottler) 및 박하(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 0.5 ~ 1 : 0.5 ~ 1 : 0.5 ~ 1 : 0.5 ~ 1 중량비 혼합물에 1 ∼ 15 부피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가열 또는 냉침한 다음 잔사를 제거한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은 50 ∼ 95 ℃에서 3 ∼ 2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좋고, 냉침 은 4 ∼ 30 ℃에서 3 ∼ 20 일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또는 냉침에 적용되는 각각의 온도 범위에서 상기 시간 미만으로 추출이 수행될 경우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며, 상기 기간을 초과하면 비효율적이며 불필요한 성분이 추출될 우려가 있다. 상기 추출은 다양한 추출수단을 적용할 수 있으며, 추출용매의 증발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냉각콘덴서 등이 장착된 추출기를 사용할 경우 바람직하다.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한 후 감압농축기 등으로 농축하여 목적하는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1 ~ 4 범위의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알콜이나 글리콜을 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물의 함량은 30 ~ 70 부피% 정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린스, 헤어토닉, 헤어젤, 헤어로션, 비누, 및 헤어팩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제형의 두피가려움 및 비듬 증상 개선 모발화장료 조성에 있어서, 상기의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 혼합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모발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부가 성분의 선택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된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는 오래전부터 사용한 약재이므로 부작용이 없고 안전한 생약 소재 천연물질로서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고 비교적 안전하여 사용자들에게 거부감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담죽엽, 대극, 구채 및 박하를 일정비율로 혼합사용함으로써,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항균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다양한 제형의 모발화장품에 적용하여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도 두피의 비듬증과 가려움 증상의 개선에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처방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담죽엽 , 대극, 구채 및 박하 혼합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약재상에서 구입한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의 건조물을 각 300g씩 혼합한 시료를 메탄올 3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60 ℃로 8시간 가열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와트만 (Whatmat) #2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 ℃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89.5g을 얻었다. 이후, 이 고형분을 100배량의 30% 부틸렌글리콜 수 용액에 용해시키고,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8.95kg의 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2 ∼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고, 용매조건은 다음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형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7066504361-pat00001
실시예 5
약재상에서 구입한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의 건조물을 각 300g씩 혼합한 시료를 70% 에탄올 3L에 넣고 실온에서 1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와트만 (Whatmat) #2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82.6g을 얻었다. 이후, 이 고형분을 100배량의 30%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8.26kg의 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6 ∼ 8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고, 용매조건은 다음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형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7066504361-pat00002
실시예 9
약재상에서 구입한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의 건조물을 각 300g씩 혼합한 시료를 메탄올 3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60℃로 8시간 가열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와트만 (Whatmat) #2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한 후 이 농축액에 물1L를 가하고 다시 디에틸에테르 1L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킨다. 하층인 수층에 다시 1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켜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중량 73.2g를 얻었다. 이후, 이 고형분을 100배량의 30%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7.32kg의 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1 ∼ 14
약재상에서 구입한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를 각 300g씩 혼합한 시료 대신, 그 중 하나씩을 빼고 양을 증가시켜서 다음 표 3과 같은 시료를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7066504361-pat00003
2. 담죽엽 , 대극, 구채 및 박하 혼합 추출물의 항균력 확인
실험예 1.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1∼14에서 제조된 추출물 건조분말에 대하여 비듬균을 이용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비듬균으로서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rum ovale, ATCC 14521)를 사용하였다.
GAM 액상배지(broth)(Nissui Seiyaku, Tokyo, Japan)에 Bacto agar(Sigma) 1.5g을 넣어 조제 멸균된 배지를 패트리 디쉬(Petri dish)에 반 정도 부어 굳힌다. GAM 브로스(broth) 6.05g과 Bacto 아가(agar) 0.5g을 멸균 정제수100 ㎖에 가온 용해하고 멸균한 후, 배양중인 비듬균 현탁액에서 백금이로 취하여 준비한 시험관에 이식한 후 10초간 흔들어 혼합한 후 균이 혼합된 배지가 굳기 전에 준비한 배지에 부어 굳게 한다.
농도별로 준비된 항균원료(추출물)에 멸균 디스크(disc)를 반 정도 잠기도록 적시어 전면 흡수시키고, 굳어진 배지 위에 디스크(disc)를 올려놓고 가볍게 누른 후 기체 발생 봉투와 함께 혐기배양기에 넣어 37℃에서 3∼4일간 배양하였다.
2) 실험결과
비듬균에 대한 상기 시료의 항균력 측정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66504361-pat00004
상기 표4에 나타난 바와 같이, 3종 혼합비교예(비교예 1∼4), 2종 혼합비교예(비교예 5∼10) 및 단독 사용한 비교예(비교예 11∼14) 보다, 담죽엽, 대극, 구채 및 박하 혼합 추출물이 비듬균에 대하여 항균력이 훨씬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3. 담죽엽 , 대극, 구채 , 박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화장료 제조
처방예 1 및 대조예 1
상기 실시예 2의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샴푸의 처방예는 다음 표 5와 같다.
Figure 112007066504361-pat00005
처방예 2 및 대조예 2
상기 실시예 2의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린스의 처방예는 다음 표 6과 같다.
Figure 112007066504361-pat00006
처방예 3 및 대조예 3
상기 실시예 2의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헤어토닉의 처방예는 다음 표 7과 같다.
Figure 112007066504361-pat00007
4. 담죽엽 , 대극, 구채 , 박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화장료의 효과 확인
실험예 2 . 비듬방지효과 시험(샴푸조성물)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녀 10명씩을 1조로 20명을 선정한 후 샴푸에 대하여 4주 동안 시험하였다. 시험개시 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상기 처방예 1 및 대조예 1의 샴푸 조성물로 2일에 한 번씩 세발하여 시험 종료 후 3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 흡입장치를 사용하여 두피로부터 직접 채집하였고, 다음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비듬감소율을 구하였다.
또한 비듬 방지 효과 유무는 비듬감소율이 25% 이상인 경우에만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하고, 25% 미만일 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Figure 112007066504361-pat00008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시험개시 전 비듬의 중량(㎎)을 나타내고, B 는 시험개시 4주 후 비듬의 중량(㎎)을 나타낸다.
구분 시험인원 평균감소율(%) 효과가 있다 효과가 없다 잘 모르겠다
처방예 1 10명 32.9 9명 - 1명
대조예 1 10명 2.8 - 4 명 6명
실험예 3. 두피 가려움증 감소효과 시험(샴푸조성물)
평소 가려움을 느끼는 남녀 10명씩을 1조로 20명을 선정한 후 처방예 1 및 대조예 1의 샴푸를 2일에 1회씩 사용하도록 한 뒤에,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처방예 1 대조예 1
두피 가려움증 감소정도 4.8 1.4
※평가기준(가려움증 감소정도) 전혀 감소되지 않았다 : 1점, 거의 감소되지 않았다: 2점, 약간 감소되었다 : 3점, 대부분 감소되었다 : 4점, 완전히 감소되었다 : 5점
실험예 4. 비듬방지효과 시험(린스조성물)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녀 10명씩을 1조로 20명을 선정한 후 린스에 대하여 4주 동안 시험하였다. 시험개시 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통상의 린스로 헹군 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시험개시 전에 사용하던 샴푸로 세발하고 상기 처방예 2 및 대조예 2의 린스조성물로 2일에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 종료 후 3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0에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효과 유무는 비듬감소율이 25% 이상인 경우에만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하고, 25% 미만일 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비듬의 채집 및 비듬감소율은 상기 비듬방지효과시험(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분 시험인원 평균감소율(%) 효과가 있다 효과가 없다 잘 모르겠다
처방예 2 10명 39.5 10명 - -
대조예 2 10명 4.7 - 7명 3명
실험예 4. 두피 가려움증 감소효과 시험(린스조성물)
평소 두피에 가려움을 느끼는 남녀 10명씩을 1조로 20명을 선정하여, 시험개시 전에 사용하던 샴푸로 세발하고 처방예 2 및 비교예 2의 린스를 2일에 1회씩 4주 동안 사용 후,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1에 나타내었다.
구분 처방예 1 대조예 1
두피 가여움증 감소 정도 4.1 1.2
※평가기준(가려움증 감소정도) 전혀 감소지 않았다 : 1점, 거의 감소되지 않았다: 2점, 약간 감소되었다 : 3점, 대부분 감소되었다 : 4점, 완전히 감소되었다 : 5점
상기 실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담죽엽, 대극, 구채, 박하 혼합 추출물을 넣어 제조한 처방 예에서 비듬방지효과 및 두피가려움증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담죽엽(Lophatherum gracile Bronghiart), 대극(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구채(Allium tuberosum Rottler) 및 박하(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 0.5 ~ 1 : 0.5 ~ 1 : 0.5 ~ 1 : 0.5 ~ 1 중량비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모발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0.001 ∼ 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모발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액상 중량으로 0.1 ∼ 10.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린스, 헤어토닉, 헤어젤, 헤어로션, 비누, 및 헤어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5. 담죽엽(Lophatherum gracile Bronghiart), 대극(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구채(Allium tuberosum Rottler) 및 박하(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 0.5 ~ 1 : 0.5 ~ 1 : 0.5 ~ 1 : 0.5 ~ 1 중량비 혼합물에 1 ∼ 15 부피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가열 또는 냉침한 다음 잔사를 제거한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50 ∼ 95 ℃에서 3 ∼ 2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냉침은 4 ∼ 30 ℃에서 3 ∼ 20 일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 4 범위의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70093203A 2007-09-13 2007-09-13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KR10087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203A KR100878596B1 (ko) 2007-09-13 2007-09-13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203A KR100878596B1 (ko) 2007-09-13 2007-09-13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596B1 true KR100878596B1 (ko) 2009-01-15

Family

ID=4048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203A KR100878596B1 (ko) 2007-09-13 2007-09-13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5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6785A1 (de) * 2009-08-20 2011-02-23 Kneipp-Werke Kneipp-Mittel-Zentrale GmbH & Co. KG Zusammensetzung zur Reinigung und/oder Pflege von Haut mit einer ethanolisch-wässrigen hydrodispersiblen Minzkomposition
KR101187838B1 (ko) 2009-03-12 2012-10-08 메타폴라아로마 주식회사 천연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샴푸 조성물
KR101981678B1 (ko) 2018-08-21 2019-05-23 주식회사 코비스타 모발 성장 촉진 및 두피 및 모발 개선용 복합 항산화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5091A (ko) 2018-10-22 2020-05-04 이주동 비듬방지용 헤어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8910A (ja) 1985-02-02 1986-08-11 Akio Fujikawa 育毛養毛等美髪料
JPS6438011A (en) * 1987-07-31 1989-02-08 Pola Chem Ind Inc Promoter for hair restoration and hair growth
KR19980084521A (ko) * 1997-05-23 1998-12-05 서경배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07008965A (ja) 2006-10-23 2007-01-18 Pola Chem Ind Inc 育毛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8910A (ja) 1985-02-02 1986-08-11 Akio Fujikawa 育毛養毛等美髪料
JPS6438011A (en) * 1987-07-31 1989-02-08 Pola Chem Ind Inc Promoter for hair restoration and hair growth
KR19980084521A (ko) * 1997-05-23 1998-12-05 서경배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07008965A (ja) 2006-10-23 2007-01-18 Pola Chem Ind Inc 育毛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838B1 (ko) 2009-03-12 2012-10-08 메타폴라아로마 주식회사 천연추출물을 함유한 헤어샴푸 조성물
EP2286785A1 (de) * 2009-08-20 2011-02-23 Kneipp-Werke Kneipp-Mittel-Zentrale GmbH & Co. KG Zusammensetzung zur Reinigung und/oder Pflege von Haut mit einer ethanolisch-wässrigen hydrodispersiblen Minzkomposition
WO2011020759A2 (de) 2009-08-20 2011-02-24 Kneipp-Werke Kneipp-Mittel-Zentrale Gmbh & Co. Kg Zusammensetzung zur reinigung und/oder pflege von haut mit einer ethanolisch-wässrigen hydrodispersiblen minzkomposition
WO2011020759A3 (de) * 2009-08-20 2011-11-10 Kneipp-Werke Kneipp-Mittel-Zentrale Gmbh & Co. Kg Zusammensetzung zur reinigung und/oder pflege von haut mit einer ethanolisch-wässrigen hydrodispersiblen minzkomposition
KR101981678B1 (ko) 2018-08-21 2019-05-23 주식회사 코비스타 모발 성장 촉진 및 두피 및 모발 개선용 복합 항산화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5091A (ko) 2018-10-22 2020-05-04 이주동 비듬방지용 헤어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49170B (zh) 一种艾叶驱蚊止痒花露水及其制备方法
JP2008534675A (ja) 天然抽出物、ナノシルバー、および天然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を含有する抗菌剤組成物
US11717553B2 (en) Combined plant extract for getting rid of mites and acne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100878596B1 (ko)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KR101182209B1 (ko) 생달나무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CN109453094B (zh) 一种驱蚊止痒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护肤品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973530A (zh) 一种去屑止痒组合物及其应用
CN108451799A (zh) 一种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14306526B (zh) 一种复方苦丁茶中药提取物及其在制备沐浴露或洗手液中的应用
CN107118089B (zh) 一种从植物中制备牡丹酚的方法及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KR101832501B1 (ko)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KR102477053B1 (ko) 자감초, 향부자 및 강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7462B1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1800B1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110121295A (ko)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US7494672B2 (en) Use of guaiac wood for treating inflammation of the skin
KR20150145577A (ko)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N110013500A (zh) 口臭含片的制备方法
KR100624664B1 (ko) 비듬균 성장억제 및 두피 가려움 개선용 두발 화장료조성물
CN113509537B (zh) 祛风散寒、发汗解表的从江瑶浴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343871A (zh) 一种含美洲大蠊提取物的除口臭牙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