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322B1 -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322B1
KR100624322B1 KR1020000077655A KR20000077655A KR100624322B1 KR 100624322 B1 KR100624322 B1 KR 100624322B1 KR 1020000077655 A KR1020000077655 A KR 1020000077655A KR 20000077655 A KR20000077655 A KR 20000077655A KR 100624322 B1 KR100624322 B1 KR 10062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er
gel
gelling agent
aqueous ge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233A (ko
Inventor
오준영
한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0007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32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8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air treating g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겔화제로서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향료,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레이어 조성물을 유동성이 적고 적절한 응집력을 가진 겔상으로 형성하여 용기를 90도 이상 기울여도 토출이 가능하고 토출시 미립자 형태로 스프레이되는 토출성 및 스프레이성이 우수한 수성 겔 스프레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겔화제,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 유동성, 방향, 스프레이어

Description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 {Hydrogel spray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겔화제로서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isobutylene maleic acid anhydride),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향료,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성 겔(hydrogel, Water Gel) 스프레이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스프레이어란 사람이 머물 수 있는 일정한 공간, 예를 들면, 화장실, 거실, 부엌 및 창고 등의 실내에서 천연 또는 인공적인 향기를 발산시켜 인간으로 하여금 감동 또는 자연적인 감정을 자아내게 하여 인간의 쾌적한 생활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으로서, 실내의 악취를 마스킹(masking)하고 방향을 부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서술한 스프레이어의 종류를 보면 정의에 따라 공기에 방향을 부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순수하고 좁은 의미의 스프레이어와 실내의 악취를 마스킹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광의의 소취제품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러한 소취제품은 악취를 물리적 작용으로 제거 또는 완화하는 탈취제(脫臭劑), 악취를 화학적 생물학적 작용 등으로 제거 또는 완화하는 소취제(消臭劑), 및 악취를 다른 방향으로 가려주는 방취제(防臭制)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용되는 제품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여러 기능이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스프레이어는 방향이나 소취를 목적으로 하는 유효성분, 예를 들면, 향이나 소취성분을 발산시키기 위하여 적용되는 기재(carrier)의 제형에 따라 넓게 고체형, 액체형 및 에어졸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고체형 스프레이어의 경우는 펠트, 종이 및 셀룰로스 비드 등과 같은 섬유질, 실리카겔, 플로라이트(florite), 제올라이트 및 세라믹스 등과 같은 무기 다공질(porous inorganic material),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및 흡수성 폴리머 비드(water absorbent polymer bead) 등과 같은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함침형 스프레이어, 파라핀 왁스를 향기나는 양초의 재료로 적용하는 왁스형 스프레이어,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gellangum) 및 한천(gelatine) 등의 겔화제로 형성되는 수성 겔형 스프레이어, 및 스테아린산 나트륨 등의 겔화제로 형성되는 유성 겔형 스프레이어가 있다.
상기 서술한 수성 겔 스프레이어와 유성 겔 스프레이어를 포괄하는 겔형 스프레이어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향 등의 액체 조성물을 겔화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겔 구조 내에 포함시킨 제품으로서, 외형은 유동성이 거의 없는 겔 형태의 고체형 구조를 지니고 있으나 공기에 노출되어 향 등의 액체 성분이 휘산되고 난 후에는 초기 고체형 구조를 유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변화되어 종국에는 초기 형태와는 다른 일반적으로 쪼그라진 형태의 고체의 이형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겔 스프레이어는 공기와 접촉되면서 향, 물 및 알콜 등과 같은 액체 성분이 날아가면서 오 므라들게 된다. 겔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첨가된 겔화제가 수성인 경우 수성 겔 스프레이어로 분류된다. 이러한 수성 겔 스프레이어는 겔화제인 고분자와 그 염, 향, 물, 계면활성제 및 방부제나 동결방지제 등의 기타 첨가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성 겔 스프레이어를 형성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겔화제로서는 상기의 카라기난, 젤란 검 및 한천 외에도 로커스트빈 검(locust bean gum) 및 합성의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등이 있으며, 대개 상온에서 분말의 성상으로서 스프레이어의 향, 물, 계면활성제, 방부제 및 동결방지제 등 다른 액체 조성물에 대개 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첨가된다.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개 상온 내지 100 ℃의 범위 내에서 미온 혹은 고온으로 가온하고 5분 이상 충분히 용해한 후, 염화칼슘, 염화칼륨 및 염화나트륨과 같은 염을 3 중량% 미만으로 소량 첨가한 다음, 상온으로 온도를 낮추어 겔화된 내용물을 수득한다. 이 경우 대개 10 중량% 내의 향 성분을 적용할 수 있는데, 수성 겔에서 향은 물에 녹지 않으므로 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물과 에멀젼을 형성시키거나 용해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의 수성 겔의 경우는 대개 10 중량% 내의 향 성분을 적용할 수 있는데 비해 스테아린산 나트륨 향을 적용하는 유성 겔의 경우는 30 중량% 까지도 적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성 겔 스프레이어의 경우, 다양한 악취 발생 장소, 예를 들면, 화장실이나 지하에 있는 방 및 창고 등의 습기와 냄새가 많은 곳에서 방향을 부여하여 사람에게 쾌적하고 좋은 감정을 자아내게 하기 위해 악취에 대한 소취를 선행한다. 이를 위해 적절한 향료를 선정하여 악취를 단지 느끼지만 못하도록 마스킹하거나 식물 추출물 등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악취를 내는 특정 분자의 구조에 작용하여 화학 반응과 같은 변화를 줌으로써 소취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에서 스프레이어를 기재의 제형에 따라 분류시, 두번째로 기재한 액체형 스프레이어의 경우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필름의 미세공을 통하여 휘산되는 형태의 막(mambrane)형 스프레이어와 셀룰로스 및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료의 섬유질이나 다공성 세라믹 등의 심지를 통하여 향, 물, 알콜 및 계면활성제 등의 액체가 휘산되는 액체심지형 스프레이어가 이에 속한다.
상기에서 세번째로 기재한 에어졸형 스프레이어의 경우는 향, 물, 알콜 및 계면활성제 등의 원액을 액체 프로판 가스 및 디메틸에테르 등의 분사제를 이용하여 밸브의 미세한 구멍을 통하여 분사하게 된다. 고체형 및 액체형 스프레이어는 향의 발산 방법이 자연 휘산형인데 반하여 에어졸형 스프레이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제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사용자 휘산형이다.
상기의 에어졸이란 물리화학적 기체 중에 고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가 분산하고 있는 콜로이드 상태를 일컫는 용어이다. 에어졸의 원리는 내압 밀폐 용기 내에 분사시킬 내용물과 가스와 같은 분사제를 넣어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균일하게 토출 또는 분사되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용해 상태의 원액에 액화 가스(liquefied gas)를 40 내지 70 중량% 용해시키면 안개상(mist)으로 분사되는데, 이를 "스프레이된다"라고 하고, 유화 상태의 원액에 액화 가스를 5 내지 15 중량% 혼합하면 내용물이 거품상(mousse)으로 토출는데, 이를 "거품이 나온다"라고 한다.
상기 에어졸 제품의 구성을 살펴보면 액체 및 분말 등 분사시키는 내용물인 원액, 액화 가스나 압축 가스(compressed gas)와 같은 분사제, 밸브, 버튼 및 딥튜브 등으로 이루어진 분사장치, 및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내압용기로 이루어져 있다. 토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분사제의 압력 때문에 용기 내부는 가압 상태로 되고 버튼을 누르면 분사장치가 열려 내용물과 분사제가 분사되며 버튼을 놓으면 분사장치가 닫혀 분사가 중지된다.
상기의 분사제에는 액화 가스와 압축 가스의 두가지가 있다. 상온에서는 기체로 존재하고 가압함에 따라서 용이하게 액화하는 가스를 액화 가스라고 하는데 가스로 밀폐된 용기 내에서 액체와 기체가 공존하기 때문에 안정한 압력이 얻어지며 액화석유 가스, 디메틸에테르 및 프레온 가스가 이에 해당한다. 액화석유 가스는 저급 탄화수소인 프로판, 부탄 및 펜탄의 배합 비율에 따라 압력을 조절하여 이용하는데 가격도 싸고 냄새도 적은 가연성 가스이다. 인화성이 강하므로 분사 세기나 분사량을 조절하여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 디메틸에테르의 특징은 물에 대한 용해성이 좋다는 점이며 역시 가연성 가스이기 때문에 액화석유 가스와 같이 인화성에 주의하여야 한다. 프레온은 일반적으로 분자가 염소, 불소, 탄소 및 수소로 구성되고 저비점인 물질을 총칭하는 것으로 안전성, 불활성 및 안전성 등의 면에서 우수하여 에어졸 제품의 분사제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나 특정 프레온 가스는 오존층 파괴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명되어 세계적으로 사용금지 되고 있다. 질소가스 및 탄산가스 등 상온 저압 하에서는 액화하지 않는 가스를 압축 가스라고 하는 데 용기에 압축된 상태로 충진된 가스는 내용물에 용해되지 않고 내용물 상부의 기상으로부터 압력을 가하는 작용을 한다. 액화 가스에 비교하여 상용성, 반응성 및 가연성 등의 문제는 없으나 사용해 나감에 따라서 용기 내의 압력이 저하되므로 제품의 품질이 악화되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졸 스프레이어를 설계하는 경우, 분사제로서 프레온 가스는 오존층 파괴, 대기오염 및 지구 온난화 등의 지구 환경 보존 문제로 인하여, 압축 가스는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고, 액화석유 가스나 디메틸에테르를 사용해야 하는데 액화석유 가스나 디메틸에테르는 인화성이 강하기 때문에 화기 근처나 자동차 내부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 매우 위험하므로 가스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방식의 용기 개발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특히 안개상으로 토출되는 제품에서는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전통적인 스프레이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분사제를 사용하지 않고 사람의 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르는 힘에 의해 펌프 작용으로 내용물이 용기 내부에서 올라와 미세한 구멍을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스프레이되는 스프레이어형 방향제가 선호되고 있는데, 원액을 구성하는 내용물은 펌프 작용에 의해 용기 내부에서 이동하여 용기 바깥으로 스프레이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충분히 유동성이 있는 액체만이 담길 수 있으며, 유동성이 적을 경우, 스프레이의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고 결국에는 토출마저도 되지 않게 되므로 충분히 유동성이 있도록 처방하여야 한다.
상기의 스프레이어형 방향제의 경우, 상부의 분사장치와 용기로 구성되고 용기 내에 내용물이 유동성이 있는 액체의 형태로 담겨 있기 때문에 그 내용물을 절 반 이상 사용했을 경우 용기를 90도 이상 기울이면 내용물이 중력에 의해 용기의 최하단을 점유하기 위하여 유동하게 되므로 상부의 분사장치로 내용물을 유동시키기 위하여 용기 바닥에 입구가 놓여 있는 딥튜브로 내용물이 공급될 수 없기 때문에 내용물이 스프레이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럴 경우 용기를 반드시 세워서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겔화제로서 적은 양으로도 겔 형성이 탁월한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을 사용함으로써 스프레이어 조성물을 유동성이 적고 적절한 응집력을 가진 겔상으로 형성하여 용기를 90도 이상 기울여도 토출이 가능하고 토출시 미립자 형태로 스프레이되는 토출성 및 스프레이성이 우수한 수성 겔 스프레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은 겔화제로서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을 0.3 내지 6 중량%,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3 내지 7 중량%, 향료 3 내지 7 중량%,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겔 스프레이어는 상기의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을 스프레이어형 용기에 적용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은 겔화제, 물, 계면활성제 및 향 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로서, 겔화제로서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 합성 고분자는 일본 구라레이(Kuraray)사의 KI-Gel 201K를 적용하였는데 20 메쉬 이하의 백색분말로서 상온에서 pH 4 내지 11 조건에서 0 내지 100 ℃에서 물 흡수시 30초 이후에 중량기준 200배 정도의 물을 흡수할 수 있으며 흡수후 물과 분리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은 겔화제로서 적은 양으로도 겔 형성이 탁월한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을 사용함으로써 유동성이 적고 적절한 응집력을 가진 겔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의 함량은 0.3 내지 6 중량% 미만으로 한다.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을 0.3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 전체를 충분히 겔화시킬 수 없으며, 6 중량% 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강하게 응집하므로 유동성이 없는 하아드 겔을 형성하여 토출성 및 스프레이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겔 스프레이어는 상기의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을 스프레이어형 용기에 적용시킨 것이다.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을 사용함으로써 유동성이 적고 적절한 응집력을 가진 겔상으로 형성된 상기의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을 스프레이어형 용기에 적용시키면 용기를 90도 이상 기울여도 내용물이 중력에 의해 유동하지 않으므로 스프레이어의 밸브 및 노즐 장치에 의한 펌프 작용에 의해 용기 최하단에 위치한 딥튜브를 통하여 유동하여 토출시 안개상의 미립자 형태로 스프레이될 수 있는 수성 겔 스프레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3
하기 표 1 내지 6의 조성대로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겔화제로서 일본 구라레이사에서 제조된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 합성 고분자 KI-Gel 201K에 증류수를 가하여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 합성 고분자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에탄올 베이스에 일본의 향료 업체인 소다 아로마틱스(Sada aromatics)사에서 조향된 향료 AF-11450과 HLB(Hydrophile-Liphophile Balance)가가 13.9이고 운점(clouding point, ℃)이 86 내지 90 ℃인 페이스트 상의 일칠화학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ISODOL LA-10을 첨가하고, 도꾸슈 기가(Tokushu Kika)사의 호모 디스퍼 교반기를 사용하여 5분 이상 충분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의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 합성 고분자의 수용액에 혼합하여 70℃ 이하의 온도로 가온하고 스틱을 사용하여 겔화제가 잘 녹을 수 있도록 한 후, 다시 10분 이상 충분히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다양한 종류의 겔화제 및 그 함량에 대해 에탄올, 향, 계면활성제 및 물을 조성으로 하여 적용한 것으로, 실시예 1 내지 5는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 합성 고분자의 KI-Gel 201K를 다양한 함량 조성에서 실시한 것이고, 비 교예 1 내지 13은 그 외 다른 겔화제 및 함량 조성에서 실시한 것이다.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 0.5 1.0 1.5 2.0 5.0
에탄올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계면활성제 2.5 2.5 2.5 2.5 3.0
증류수 87.0 86.5 86.0 85.5 82.0
※ 단위는 중량%임.
성분명 비교예 1
카라기난a 1.0
에탄올 5.0
5.0
계면활성제 2.5
증류수 86.5
※ 단위는 중량%임. ※ a; 한국 카라겐사의 CG-103.
성분명 비교예 2 비교예 3
산탄 검b 0.5 2.0
에탄올 5.0 5.0
5.0 5.0
계면활성제 2.5 3.0
증류수 87.0 85.0
※ 단위는 중량%임. ※ b; 미국 시그마(Sigma)사의 G1253.
성분명 비교예 4 비교예 5
로커스트빈 검c 0.5 2.0
에탄올 5.0 5.0
5.0 5.0
계면활성제 2.5 3.5
증류수 87.0 84.5
※ 단위는 중량%임. ※ c; 미국 시그마사의 G9752.
성분명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한천 0.5 1.0 2.0 5.0
에탄올 5.0 5.0 5.0 5.0
5.0 5.0 5.0 5.0
계면활성제 2.5 2.5 2.5 3.0
증류수 87.0 86.5 85.5 82.0
※ 단위는 중량%임. ※ c; 미국 시그마사의 G6144.
성분명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0.5 1.0 2.0 5.0
에탄올 5.0 5.0 5.0 5.0
5.0 5.0 5.0 5.0
계면활성제 2.5 2.5 2.5 3.0
증류수 87.0 86.5 85.5 82.0
※ 단위는 중량%임. ※ c; 미국 허큘레스(Hercules)사의 CMC-T.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을 스프레이어형 용기에 적용하여 수성 겔 스프레이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성상 평가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에 대하여 먼저 육안으로 성상을 관찰하고, 유동성이 있는 경우 점성을 측정하였다.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의 LVT 모델 시리얼 넘버 87300을 사용하여 스핀들 넘버 3으로 25℃에서 30초 이상 스핀들을 회전시켜 점도가 충분히 안정화되어 변하지 않을 때까지 측정하였다. 측정치에 단순한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 중력에 의한 유동성이 거의 없이 고형화 되어 점도를 측정할 수 없게 된 겔을 하아드 겔(hard gel), 점도가 10,000 cps 이상으로 중력에 의한 유동성이 약간 있는 경우를 소프트 겔(soft gel), 점도가 2,000 cps 이상 및 10,000 cps 미만으로 점성이 있는 액체로 느껴지는 경우를 하아드 졸(hard sol), 중력에 의한 유동성이 심하여 점도가 2,000 cps 미만으로 완전히 액체 상태와 유사한 경우를 소프트 졸(soft sol)로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그 결과가 표 7에 기재되어 있다.
실험예 2
토출성 평가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스프레이형 수성 겔 스프레이어에 대하여 토출성을 측정하였다. 버튼을 눌러 내용물이 나오는 경우 토출성이 있다고 보고, 토출성이 좋은 경우, 보통인 경우, 좋지 않은 경우의 3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그 결과가 표 7에 기재되어 있다.
실험예 3
스프레이성 평가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수성 겔 스프레이어에 대하여 스프레이성을 측정하였다. 버튼을 눌러 스프레이되어 나오는 형상을 보고, 스프레이성이 매우 좋은 경우, 좋은 경우, 약간 좋은 경우, 보통인 경우, 및 좋지 않은 경우의 5 단계로 나누어 표시하였다. 그 결과가 표 7에 기재되어 있다.
성상 토출성 스프레이성
실시예 1 O G 4
실시예 2 O G 3
실시예 3 O S 2
실시예 4 O S 2
실시예 5 O S 1
비교예 1 B 0
비교예 2 G 0
비교예 3 O S 0
비교예 4 G 0
비교예 5 O S 0
비교예 6 G 0
비교예 7 G 0
비교예 8 G 0
비교예 9 O S 0
비교예 10 G 0
비교예 11 G 0
비교예 12 G 0
비교예 13 O S 0
※ 성상 - ◎: 하아드 겔, O: 소프트 겔, □: 하아드 졸, △: 소프트 졸 ※ 토출성 - G: 좋다, S: 보통이다, B: 좋지 않다. ※ 스프레이성 - 4: 매우 좋다, 3: 좋다, 2: 약간 좋다, 1: 보통이다, 0: 좋지 않다.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아드 겔을 형성한 비교예 1을 제외하고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13은 겔을 형성하는데 많은 양의 겔화제를 필요로 하므로 겔 형성에 비효율적이었다. 비교예 1의 경우는 카라기난을 용해시키기 위해서 70℃까지 가온하고 원료를 모두 투입하여 교반한 후, 온도가 50℃ 이하로 하강하면서 서서히 겔화되다가 상온에서 유동성이 없는 하아드 겔을 형성하므로 점도를 측정할 수 없었고, 고온 상태에서 스프레이어에 내용물을 넣고 상온으로 식힌 다음, 겔화 후 스프레이하였을 때에도 내용물은 토출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스프레이는 완전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2 내지 13은 소프트 졸, 하아드 졸 또는 소프트 겔을 형성하였는데 점도가 높은 겔을 형성하기 위해 더 많은 겔화제가 요구되었다. 비교예 2 및 3의 산탄 검과 비교예 4 및 5의 로커스트빈 검의 경우 충분히 겔을 형성하기 위 해 0.5 내지 2 중량%의 겔화제가 요구되었고, 비교예 6 내지 9의 한천과 비교예 10 내지 13의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의 경우 2 내지 5 중량%의 겔화제가 요구되었다. 산탄 검과 로커스트빈 검은 겔화제가 증가함에 따라 토출성이 나빠졌고 졸 상태와 겔 상태 모두에서 내용물이 토출은 되지만 스프레이는 되지 않았다. 한천과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는 산탄 검과 로커스트빈 검에 비하여 겔화에 필요한 겔화제의 함량이 증가되었고, 이들 역시 겔화제가 증가함에 따라 토출성이 나빠졌으며, 졸 상태와 겔 상태 모두에서 내용물이 토출은 되지만 스프레이는 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겔화제로서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는 0.5 중량%에서 충분히 겔화됨으로써 적은 양으로도 겔을 형성하므로 비교예 2 내지 13에 비하여 효율적인 겔 형성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겔화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토출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토출되는 경우에는 충분히 스프레이되었다. 용기 내에서 유동성이 적은 소프트 겔상으로 형성된 내용물이 용기 바깥으로 토출시 미립자 형태로 스프레이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성이 적고 적절한 응집력을 가진 겔을 형성하여 용기를 90도 이상 기울여도 토출이 가능하고 토출시 미립자 형태로 스프레이되는 토출성 및 스프레이성이 우수한 수성 겔 스프레이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겔화제로서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무수물을 0.3 내지 6 중량%,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3 내지 7 중량%, 향료 3 내지 7 중량%,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
  2. 제 1 항 또는 2 항에 따른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을 스프레이어형 용기에 적용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겔 스프레이어.
KR1020000077655A 2000-12-18 2000-12-18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 KR10062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655A KR100624322B1 (ko) 2000-12-18 2000-12-18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655A KR100624322B1 (ko) 2000-12-18 2000-12-18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233A KR20020048233A (ko) 2002-06-22
KR100624322B1 true KR100624322B1 (ko) 2006-09-13

Family

ID=2768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655A KR100624322B1 (ko) 2000-12-18 2000-12-18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32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0815A (ja) * 1991-06-10 1992-12-14 Osaka Organic Chem Ind Ltd 整髪剤用基剤
US5206009A (en) * 1992-06-17 1993-04-27 Isp Investments Inc. Non-aerosol, low voc, pump hair spray composition
US5597551A (en) * 1995-01-05 1997-01-28 Isp Investments Inc. Low VOC hair spray composition
US5626835A (en) * 1994-06-07 1997-05-06 Isp Investments Inc. Low VOC hair spray composition
US5759522A (en) * 1995-12-08 1998-06-02 Isp Investments Inc. Innovative-type hair spray concentrate capable of delivering reduced VOC spray particles
JPH1179952A (ja) * 1997-07-18 1999-03-23 Shiseido Co Ltd 泡状毛髪化粧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0815A (ja) * 1991-06-10 1992-12-14 Osaka Organic Chem Ind Ltd 整髪剤用基剤
US5206009A (en) * 1992-06-17 1993-04-27 Isp Investments Inc. Non-aerosol, low voc, pump hair spray composition
US5626835A (en) * 1994-06-07 1997-05-06 Isp Investments Inc. Low VOC hair spray composition
US5597551A (en) * 1995-01-05 1997-01-28 Isp Investments Inc. Low VOC hair spray composition
US5759522A (en) * 1995-12-08 1998-06-02 Isp Investments Inc. Innovative-type hair spray concentrate capable of delivering reduced VOC spray particles
JPH1179952A (ja) * 1997-07-18 1999-03-23 Shiseido Co Ltd 泡状毛髪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233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1883B (zh) 气雾型空气净化清新剂及其制备方法
US20090202446A1 (en) Microemulsion composition for air freshener
JPH02261888A (ja) 加圧ガスパックおよびエーロゾル用噴射剤
US2719129A (en) Pressurized liquid room and air deodorant compositions
EP0231084A2 (en) Air deodorizer composition and method
JP2000319643A (ja) エアゾール組成物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HRP920158A2 (en) Air freshner composition
US20090130046A1 (en) Concentrated Fragrance Composition Provided in Metered Aerosol Spray
JPWO2017073478A1 (ja) エアゾール型芳香剤
KR100624322B1 (ko) 수성 겔 스프레이어 조성물
JP2001072152A (ja) 全量噴射型エアゾール製品
JP5670660B2 (ja) 浴用剤組成物
JP2000063201A (ja) 人体用忌避剤または動物用忌避剤における忌避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スプレー製品、エアゾール製品
JP2001247431A (ja) 除毛用エアゾール組成物および製品
US20050020698A1 (en) Reduced VOC two-phase aerosol space spray products
JP6514046B2 (ja) エアゾール製品
KR101224296B1 (ko)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AU2015308369B2 (en) Biocide and/or phytosanitary formulation for aerosol use, made of active biodegradable non-residual substances
KR20020073500A (ko) 거품성 방향 및 탈취 겔
JP2017516511A (ja) ポンプの濃縮空気清浄剤
JPH11192296A (ja) ゲル状芳香剤組成物
CN111434356A (zh) 一种缓释型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KR20200053128A (ko) 수용성 발포 고체 방향제
KR100583852B1 (ko) 숯 적용 하이드로 겔 방향 제품용 조성물
JP2005270453A (ja) 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