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146B1 - 차량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146B1
KR100623146B1 KR1020000009324A KR20000009324A KR100623146B1 KR 100623146 B1 KR100623146 B1 KR 100623146B1 KR 1020000009324 A KR1020000009324 A KR 1020000009324A KR 20000009324 A KR20000009324 A KR 20000009324A KR 100623146 B1 KR100623146 B1 KR 100623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ehicle
power
pers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196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로트
알렉산더 발트만
라인하르트 함페를
토마스 슈티얼레
라인하르트 뢰슬
게르하르트 마더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0005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ir Bag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해서, 센서(1)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제 1 평균 전력을 소모한다. 상기 센서(1)에 급전하기 위한 전력 공급장치(2)가 모니터된다. 상기 정상 동작 모드(32)에 전력 공급이 더 이상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센서(1)는 상기 제 1 평균 전압에 비하여 감소된 제 2 평균 전력으로 동작된다.

Description

차량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AN OBJECT OR A PERSON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도1은 차량 내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내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면 승객 좌석상 소위 리보오드(reboard) 유아석에 있는 아이와 같이 계기판 방향으로 매우 앞쪽에 위치하는 사람은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작동 동안 사고 발생시 에어백의 팽창 충격에 의해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된다. 사람 보호를 위한 현대의 제어 시스템에서, 승객 상해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형태의 상황에서 에어백을 스위칭 오프하거나 충격을 감소시켜 팽창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차량내 승객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비접촉 광학 센서가 사용된다.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비접촉 방식으로 인식하기 위한 공지된 장치는 EP 0 669 227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 발명에서, 차량 좌석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광방사에 노출된다. 좌석 또는 차량 좌석상의 사람 또는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은 광 검출기 필드에 의해 등록된다.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이러한 장치는 차량 탑승자가 차량 좌석 상에서 감지될 수 있거나 위험 지역이 펼쳐진 에어백의 전방에서 감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신체 보호 수단용 실제 제어 장치로 개별적으로 구현되는 장치로서 대개 차량 내부에 배치된다. 후자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차량 내부 또는 적어도 그 일부가 사람 또는 물체의 존재 여부에 대해 검사된다. 차량 탑승자의 신체 일부 또는 아동 좌석이 이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에어백이 터지지 않거나 단지 조절된 형태로 터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력 공급에 의해 동작한다. 필요한 경우 펴지지 않은 에어백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특히 차량 탑승자의 위치가 감지되어야 하는 충돌시에, 기계적 효과에 의해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거나, 또는 전기 장치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공급 전압이 더 이상 영구적으로 확보될 수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력 누설 방전의 형태로 전력 공급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시에, 장치가 충돌중 결정적인 단지 몇 밀리초 동안에 동작할 수 없다는 위험이 존재한다. 감소된 공급 전압에 따라 전력 공급은 여전히 변하지 않는 경우에도, 장치가 대개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높은 전력 요구를 갖는 부하를 포함하기 때문에, 장치는 더 이상 필요한 데이타를 등록하여 이를 신체 보호 수단용 제어 장치에 출력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장치의 전력 공급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에도 신체 보호 수단용 제어 장치를 위해 충분한 데이타가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장치에 관련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의 일부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방법에 관련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의 일부는 청구항 제 11 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이점에 있어서, 전력 공급이 더 이상 정상 동작에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분류된 경우에, 장치의 제어 유닛은 물체 또는 차량 탑승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단지 낮은 평균 전력으로 동작하는 상황을 야기한다. 이 경우, 센서는 평균 전력이 정상 동작 모드에 제공되는 평균 전력과 비교하여 감소되는 소위 긴급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적절한 경우에 감소된 양의 유효 전력에 기초하여 약 150 밀리초의 시간 주기 동안에, 남아있는 전력 보유량이 경제적으로 이용되어, 적어도 차량 탑승자 위치의 기본 상(picture)을 신체 보호 수단용 제어 장치에 여전히 제공할 수 있는 센서 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하여 최대 가능 센서 정보 부분이 불필요하다는 사실에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장치는 반드시 분리된 전기적 하우징 장치로 설계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전력 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장치에 급전되는 공급 전압, 특히 차량 배터리 전압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급전되고 장치 내에서 변환되는 공급 전압은 또한 전력 공급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형태의 전기 장치용 자발 공급 장치가 전력 공급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전력 공급장치는 전기 장치 내에 전력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캐패시터는 외부로부터 급전되는 공급 전압이 연속 공급되고,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표준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원 절약 모드의 동작이 이러한 경우에 이점을 제공한다.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는 팽창 방향으로 펴진 에어백 모듈 앞면의 위험 영역으로 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영역에서의 물체 또는 사람의 존재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 좌석으로 향하여 사람이 정상 좌석 위치로부터 벗어난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물체 또는 사람용 감지 장치가 또한 부가될 수 있다. 차량 내부의 전체 앞면을 검사하고 임의의 형태의 물체 또는 사람의 위치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장치가 부가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체 또는 사람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히 물체 또는 사람의 존재 여부에 대해 차량 내부의 특정 영역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서 무접촉 감지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감지 장치의 센서는 다음과 같은 서로 다른 물리적 효과 원리에 근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람직하게 센서는 광학 조사광, 특히 자외선 조사광에 의해 이의 유효 범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파장을 갖는 조사광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센서는 이 경우에 LED, 특히 하나 이상의 빔 또는 조사광 커튼을 출력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형태의 적외선 송신기를 포함한다. 센서는 물체 또는 사람에서 반사 또는 산란된 조사광을 포집하는 광학 셀 형태의 하나 이상의 광 수신 엘리먼트를 또한 포함한다. 반사된 조사광을 평가함으로써, 센서와 물체 사이의 거리, 및 적절한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 결정 및 윤곽이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서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는 수직 면에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뒤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빔 커튼을 투사하며, 차량의 가로 축에 대해서 빔 커튼 당 복수개의 수신기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수신기 엘리먼트가 2차원 정보 아이템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람 또는 물체의 3차원적 감지가 보장되며, 3차 수직 차원이 강도, 전력 또는 반사되는 조사광의 에너지 함량을 평가함으로써 얻어진다. 단순한 기술 수단을 갖는 감지 장치는 예를 들어 에어백의 접혀진 공간을 검사하는 단지 하나의 광전 배리어를 갖는다.
감지 장치의 센서는 또한 카메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음에 패턴 인식 절차를 거치게 되는 이미지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는 또한 사람이 방출하는 열선에 의해 생명체의 위치 및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적외선 픽업 형태의 열 센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물체 또는 사람의 활성 조사광이 존재하는 물체 또는 사람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전송 시간 측정법 또는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센서의 정상 동작 모드는 전력 공급장치가 관찰된 장치, 특히 센서의 동작에 대해 충분한 에너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점에 있어서는, 구조에 따라 센서는 바람직하게 미리 결정된 조사율, 미리 결정된 전송 전력, 및/또는 충격중에 차량 탑승자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에 충분한 복수개의 조사 영역으로 동작한다. 요약하면, 센서는 여기서 특정 평균 전력에 의해 동작한다. 여기서 평균 전력은 복수개의 센서 엘리먼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 센서의 센서 엘리먼트가 소비하는 - 모든 전력에 대해 시간에 따라 평균된 전력 소모로부터 도출된다. 센서가 펄스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펄스를 포함하는 시간순으로 생각하는 것이 평균 전력 결정에 있어서 이점이 된다.
긴급 동작 모드는 전력 공급이 위에서 설명한 정상 동작 모드에 대해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전력 공급 장치의 전기적 파라미터, 특히 그의 공급 전압이 모니터된다. 이 전기적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제한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 유닛이 확실히 정상 동작 모드가 종결되고 긴급 동작 모드가 활성화되게 한다. 따라서 동작 모드는 스위칭된다. 두개의 동작 모드는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 코드에서 프로그램 섹션의 형태로 구현된다. 긴급 동작 모드에서, 센서는 정상 동작 모드의 평균 동작 전력보다 낮은 평균 전력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센서의 하나 이상의 송신기로부터의 전송 전력, 특히 레이저 다이오드의 송신 전력이 감소된다. 그러나, 감소된 전력은 여기서 센서가 여전히 측정될 수 있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크기일 것이다. 이에 대해 충분한 전력은 대개 송신기 제조자에 의해 특정화된다. 정상 동작 모드에서, 송신 유닛은 모든 경우에 충분한 감도 신호를 얻기 위해서 이런 최소 송신 전력보다 큰 전력으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으로, 센서는 각각 관련 영역을 모니터하도록 설계된 복수개의 센서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 엘리먼트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물체의 위치 해상도가 증가된다. 긴급 동작 모드에서, 단지 하나의 센서 엘리먼트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송신기로 동작되거나 또는 전체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센서 엘리먼트로 동작된다. 긴급 동작 모드에서의 개별 센서 엘리먼트를 스위치 오프한 결과, 차량 탑승자 위치의 갱신된 감지를 위해 해상도가 감소된다. 에어백 앞면의 위험 영역이 검사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접혀진 에어백에 가장 인접하는 영역만이 검사된다. 전체적으로, 센서의 평균 동작 전력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으로,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제공되는 검사 속도가 감소된다. 긴급 동작 모드에서, 검사 속도는 여전히 이용할 수 있는 전력 보유량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극단의 경우에 단지 하나의 이미지가 등록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전력 소모 센서 엘리먼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모든 센서 엘리먼트의 검사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개별 센서 엘리먼트의 검사 속도, 특히 에어백 바로 앞면의 안전 임계 영역을 소모하지 않는 이들 센서 엘리먼트의 검사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검사 속도 감소와 함께 물체 또는 사람의 이미지 생성에 대한 평균 전력이 또한 감소된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는 전력 감소의 혼합된 형태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개별 센서 엘리먼트, 예를 들어 주변 영역을 검사하는 센서 중 하나가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높은 우선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이들 센서 엘리먼트는 단지 감소된 검사 속도로 동작된다.
긴급 동작 모드에서의 전력 공급은 다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평균 공급 전압 이하의 경우에, 차량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는 전력 공급장치가 스위치 오프된다. 추가 전력 공급은 예를 들어 전력 저장 커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한 긴급 전류 유닛에 의해 확보된다. 선택적으로, 공급 전압이 미리 결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전기 장치는 차량의 전기적 시스템으로부터 동작하는 것이 지속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전력 공급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에도, 특히 충돌시에도, 차량 탑승자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아동 좌석 또는 차량 탑승자 위치, 및 특히 에어백 위험 영역의 물체 또는 차량 탑승자의 존재 여부와 같은 차량 내부의 물체에 관련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점을 갖는 다른 특징은 종속항에서 특징지워진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그의 개선점들은 나타낸다.
도 1은 차량 내부의 앞좌석 승객의 상징화된 형태의 평면도이다. 참조문자 AB는 계기반(dashboard) 커버 뒤에 배치되고 가스 발생기와 접혀진 에어백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을 나타낸다. 이 신체 보호 수단은 본질적으로 충돌과 차량 탑승자 위치의 함수로서 에어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에어백 모듈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앉는 면(S)과 등받이(L)를 가진 좌석이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접혀진 에어백(AB) 바로 앞쪽 영역에, 차량 탑승자의 머리(K)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험 영역(GB)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에어백이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가 우측에 배치된다. 센서(1)는 3개의 광학 송신기(11)와 3개의 광학 수신기(13)를 구비한다.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송신기(11)와 하나의 수신기(13)가 센서 유닛을 구성한다. 여기서, 에어백(AB)의 위험 영역(GB)에 놓일 수 있는 물체(K)에서 반사되며 관련된 수신기(13)에 의해 소모되는 적외선 광이 송신기(11)에 의해 출력된다. 센서(1)와 물체(K) 사이의 거리가 전송 시간 측정법 또는 삼각측정법에 의해 결정된다. 제공된 복수개의 센서 엘리먼트에 의해 에어백(AB) 앞면 영역의 적어도 2차원 이미지가 확보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회로도이다. 여기서 전기 장치는 각각 송신 렌즈(12)를 갖는 2개의 송신기(11)와 각각 수신기 렌즈(14)를 갖는 2개의 수신기(13)를 갖는 물체 감지 센서(1)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는 전력 공급장치(2), 제어 유닛(3) 및 인터페이스(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력 공급장치(2)는 전압 트랜스포머(transformer)로 구현되며 공급된 차량 배터리 전압(Ubat)을, 장치를 동작시키는데 적당하며 특히 마이크로프로센서로 구현된 제어 유닛(3)에 공급되는 전압(U)으로 변환한다. 또한, 전력 공급장치(2)는 전력 저장 커패시터(21)를 급전한다. 공급 전압(U)은 특히 스위칭 가능 전력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는 전기적 제어 가능 스위치(51 및 52)에 접속된다. 제어 가능 스위치(51 및 52)가 차례로 광학 송신기(11)에 접속된다. 제어 가능 스위치(51 및 52)는 제어 유닛(3)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신호(ST1 및 ST2)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가능 스위치(51 및 52)가 닫힌 상태에서, 광학 송신기(11)가 광을 방출한다. 제어 가능 스위치(51 및 52) 중 하나를 순간적으로 닫음으로써, 할당된 광 송신기(11)에서 광 펄스가 방출된다. 광 수신기(13)는 차례로 수신된 광학 신호를 전기적 변수(OE1 및 OE2)로서 제어 유닛(3)에 공급한다. 광학 수신기(13)는 광학 송신기의 감지 영역에서 물체를 감지하며, 이는 본질적으로 송신 전력 및 조사광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 유닛(3)은 제어 가능 스위치(51 및 52)를 제어하고 수신된 신호(OE1 및 OE2)를 처리하도록 설계된다. 제어 유닛(3)은 이를 위해 정상 동작 모드에 대해 도면번호 32로 표시되고 긴급 동작 모드에 대해 도면번호 33으로 표시되는 본질적으로 2개의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섹션을 포함한다. 정상 동작 모드에 대한 이 제어 소프트웨어는 여기서 제어 가능 스위치(51)가 주기적으로 스위치 온되고, 그 결과 광 펄스가 송신기(11)에 의해 출력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반사된 광 빔은 제 1 수신기(13)에 의해 광학적으로 등록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관련된 신호(OE1)는 초기에 제어 유닛(3)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다. 다른 제어 가능 스위치(32)가 닫혔다가 이후에 짧게 다시 열리고, 그 결과 제 2 송신기(11)가 광 펄스를 출력한다. 이어서 다른 수신기(13)가 버퍼링되는 제어 유닛에 신호(OE2)를 제공한다. 각각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센서 엘리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개수는 얻어지는 이미지의 목적하는 해상도에 의존한다. 다른 센서 엘리먼트가 위에서 설명한 원리에 따라 활성화된다.
모든 센서 엘리먼트가 스태거(stagger) 타이밍으로 활성화된 후에, 제어 유닛(3)은 데이타(OE1 및 OE2)에 근거하여 가상 이미지를 발생시킨다. 데이타(OE1 및 OE2)의 다른 평가가 또한 가능하다. 제어 유닛(3)은 이러한 평가 결과를 신호 데이타 형태, 바람직하게는 코드 형태로 인터페이스(4)에 제공한다. 인터페이스(4)는 바람직하게는 데이타 라인을 경유하여 신체 보호 수단용 제어 장치에 접속된다. 차량 탑승자 보호 수단용 제어 장치는 필요에 따라 송신된 데이타를 평가하며 데이타 함수로서 에어백, 좌석 벨트 장치, 회전 보호 장치 등과 같은 접속되어 있는 신체 보호 수단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3)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공급 전압(U) 또는 차량의 전기적 시스템 전압(Ubat)을 제한값(G)과 비교하는 비교기(31)를 포함한다. 공급 전압(U)이 제한값(G)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기 장치는 정상 동작 모드(32)(신호 1)로 동작한다. 공급 전압(U)이 제한값(G)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전기 장치는 긴급 동작 모드(33)(비교기의 신호 0)로 동작한다. 정상 동작 모드와 긴급 동작 모드 사이의 고주파 스위칭을 회피하기 위해서, 제어 유닛은 동작 모드가 감지될 때 모든 경우에 대해 미리 결정된 시간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교기는 또한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스위칭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 공급장치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 특히 충돌시에도, 차량 탑승자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아동 좌석 또는 차량 탑승자 위치, 및 특히 에어백 위험 영역의 물체 또는 차량 탑승자의 존재 여부와 같은 차량 내부의 물체에 관련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Claims (11)

  1.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감지용 센서(1),
    전력 공급장치(2),
    상기 센서(1)용 제어 유닛(3),
    충분한 전력 공급이 상기 제어 유닛(3)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인, 상기 센서(1)를 위한 정상 동작 모드(32) - 상기 정상 동작 모드(32)에서 상기 센서(1)는 제 1 평균 전력을 소모함 -, 및
    불충분한 전력 공급이 상기 제어 유닛(3)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인, 상기 센서(1)를 위한 긴급 동작 모드(33)를 가지며, 상기 긴급 동작 모드(33)에서 상기 센서(1)는 상기 제 1 평균 전력에 비하여 감소된 제 2 평균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3)은 상기 전력 공급장치(2)의 공급 전압(U)을 모니터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3)은 상기 공급 전압(U)이 제한값(G) 이하로 떨어지자마자 상기 긴급 동작 모드(33)가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3)은 상기 공급 전압(U)이 제한값(G)을 초과하자마자 상기 정상 동작 모드(32)가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는 정상 동작 모드 동안 미리 결정된 검사 속도로 물체 또는 사람을 검사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동작 모드(33)는 상기 미리 결정된 검사 속도와 비교하여 감소된 검사 속도를 상기 센서(1)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는 복수개의 센서 엘리먼트(11, 13)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센서 엘리먼트(11, 13)는 관련 영역을 모니터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동작 모드(33)는 단지 하나의 센서 엘리먼트(11, 13)의 동작을 제공하거나 상기 센서 엘리먼트(11, 13)의 전체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동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는 신호를 방출하기 위한 송신기(11)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 동작 모드(32)는 상기 센서(1)의 동작에 제 1 송신 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긴급 동작 모드(33)는 상기 송신기(11)의 동작에 상기 제 1 송신 전력과 비교하여 감소된 송신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는 광학 송신기 장치와 광학 수신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11.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감지를 위해 제공된 센서(1)가 정상 동작 모드(32)에서 제 1 평균 전력을 소모하는 단계,
    상기 센서(1)에 급전하기 위한 전력 공급장치(2)가 모니터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공급이 상기 정상 동작 모드(32) 동안에 더 이상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센서(1)가 상기 제 1 평균 전력에 비하여 감소된 제 2 평균 전력으로 동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KR1020000009324A 1999-02-25 2000-02-25 차량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23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103696A EP1031469B1 (de) 1999-02-25 1999-02-25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Objektes oder einer Person im Innenraum eines Fahrzeugs
EP99103696.3 1999-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196A KR20000058196A (ko) 2000-09-25
KR100623146B1 true KR100623146B1 (ko) 2006-09-12

Family

ID=823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324A KR100623146B1 (ko) 1999-02-25 2000-02-25 차량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55939B1 (ko)
EP (1) EP1031469B1 (ko)
JP (1) JP2000241547A (ko)
KR (1) KR100623146B1 (ko)
DE (1) DE5990810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0897B2 (en) 1992-05-05 2004-11-2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le objec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6942248B2 (en) 1992-05-05 2005-09-1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Occupant restraint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467809B2 (en) 1992-05-05 2008-12-2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ular occupant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US6422595B1 (en) * 1992-05-05 2002-07-2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Occupant position sensor and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vehicular component based on an occupant's position
US9290146B2 (en) * 1992-05-05 2016-03-22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Optical monitoring of vehicle interiors
US8054203B2 (en) * 1995-06-07 2011-11-08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esence of objects in a vehicle
US20090046538A1 (en) * 1995-06-07 2009-02-19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esence of Objects in a Vehicle
CN101115646B (zh) * 2002-03-19 2011-11-16 汽车系统实验室公司 车辆倾翻检测系统
JP4451405B2 (ja) * 2006-02-21 2010-04-1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の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DE102006011250A1 (de) * 2006-03-10 2007-09-13 Pepperl + Fuchs Gmbh Reflexionslichtschranke zum Nachweis von Objekten in einem Überwachungsbereich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DE102006011249B4 (de) 2006-03-10 2019-04-04 Pepperl + Fuchs Gmbh Verfahren zum Nachweis von Objekten
US9067565B2 (en) 2006-05-22 2015-06-30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behavior
US7859392B2 (en) 2006-05-22 2010-12-28 Iwi,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updating speed-by-street data
US7899610B2 (en) 2006-10-02 2011-03-01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of a motor vehicle to optimize fuel economy
US8825277B2 (en) 2007-06-05 2014-09-02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collection, correlation and use of vehicle collision data
US8666590B2 (en) 2007-06-22 2014-03-04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naming, filtering, and recall of remotely monitored event data
US9129460B2 (en) 2007-06-25 2015-09-08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driver behavior
US7999670B2 (en) 2007-07-02 2011-08-16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reas of interest and modifying asset monitoring in relation thereto
US8577703B2 (en) 2007-07-17 2013-11-05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ategorizing driving behavior using driver mentoring and/or monitoring equipment to determine an underwriting risk
US8818618B2 (en) 2007-07-17 2014-08-26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vehicle monitoring system users and insurers
US9117246B2 (en) 2007-07-17 2015-08-25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vehicle mentoring system users and insurers
US7876205B2 (en) 2007-10-02 2011-01-25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se of a wireless device in a moving vehicle
US8688180B2 (en) 2008-08-06 2014-04-01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se of a wireless device while driving
ATE513233T1 (de) * 2008-10-02 2011-07-15 Sick Ag Lichtgitter
US8188887B2 (en) 2009-02-13 2012-05-29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drivers to road conditions
US8892341B2 (en) 2009-02-13 2014-11-18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Driver mentoring to improve vehicle operation
US8963702B2 (en) 2009-02-13 2015-02-24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and correcting data in a street mapping database
GB2489210B8 (en) * 2011-03-15 2015-07-08 Jaguar Car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US9522601B2 (en) * 2012-01-23 2016-12-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DE102012021972A1 (de) * 2012-11-08 2014-05-0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Detektionsvorrichtung zur Detektion eines Gegenstands in einem Detektionsbereich an einem Innenverkleidungsteil eines Kraftfahrzeugs, Kraftfahrzeug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US9172477B2 (en) 2013-10-30 2015-10-27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Wireless device detection using multiple antennas separated by an RF shield
DE102022132242A1 (de) 2022-12-05 2024-06-06 Cariad Se Optische Sensorvorrichtung mit eigener Energieversorg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417A (ja) * 1996-03-01 1997-09-16 Nissan Motor Co Ltd エアバッグ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5000A (en) * 1992-05-05 1998-12-0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Optical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using pattern recognition for use with vehicles
US4660027A (en) * 1984-08-31 1987-04-21 Motorola, Inc. Reduced power consumption low battery alert device
US5943295A (en) * 1997-02-06 1999-08-24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and orientation of an object in a vehicle
US5626359A (en) * 1993-12-02 1997-05-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restraining device in response to discrete control zones
JPH07196006A (ja) * 1993-12-29 1995-08-01 Sensor Technol Kk 助手席用乗員検知システム
DE4400664C2 (de) 1994-01-12 1995-11-16 Spies Martin Dipl Ing Fh Vorrichtung zur Erkennung der Sitzbelegung in Fahrzeugen etc.
US5482314A (en) * 1994-04-12 1996-01-09 Aerojet General Corporation Automotive occupant sens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by sensor fusion
JPH0920206A (ja) * 1995-07-07 1997-01-21 Nippon Seiko Kk 車両用乗員保護装置
US5933120A (en) * 1996-12-16 1999-08-03 Waveband Corporation 2-D scanning antenna and method for the utilization thereof
DE19757137A1 (de) * 1997-12-20 1999-02-18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m Auslösen eines Insassenschutzsystems für Kraftfahrzeuge sowie ein Insassenschutzsystem für Kraftfahrzeu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417A (ja) * 1996-03-01 1997-09-16 Nissan Motor Co Ltd エアバッグ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41547A (ja) 2000-09-08
EP1031469B1 (de) 2003-12-17
EP1031469A1 (de) 2000-08-30
KR20000058196A (ko) 2000-09-25
DE59908105D1 (de) 2004-01-29
US6255939B1 (en) 200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146B1 (ko) 차량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5871232A (en) Occupant position sensing system
US5490069A (en) Multiple-strategy crash discrimination system
EP1140574B1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US5785347A (en) Occupant sensing and crash behavior system
US6099030A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5964478A (en) Electric field sensing air bag danger zone sensor
US76248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eat occupancy in a vehicle
KR100664782B1 (ko) 차량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이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
KR100634640B1 (ko) 차량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73667B1 (ko) 차량 내부의 물체나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
US75205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eat occupancy in a vehicle
US6443488B1 (en) Device for protecting vehicle occupants in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flation of an airbag in a motor vehicle
WO1994023973A1 (en) Multiple-strategy crash discrimination system
JP2003535748A (ja) 乗員検出システム
KR20020089414A (ko) 차량의 탑승 공간 내의 물체 또는 사람을 검출하는 장치및 방법
US6437461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an object or a person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JPH10157563A (ja) 車両制御装置
JPH10129418A (ja) 乗員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