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135B1 -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135B1
KR100623135B1 KR20050068355A KR20050068355A KR100623135B1 KR 100623135 B1 KR100623135 B1 KR 100623135B1 KR 20050068355 A KR20050068355 A KR 20050068355A KR 20050068355 A KR20050068355 A KR 20050068355A KR 100623135 B1 KR100623135 B1 KR 10062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ilk
waste silk
yarn
tp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6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준
조석현
정문화
문섭재
강택헌
설원우
김종섭
강명환
Original Assignee
한국견직연구원
(주)정도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견직연구원, (주)정도섬유 filed Critical 한국견직연구원
Priority to KR2005006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3/00Mixing, e.g. blending, fibres; Mixing non-fibrous materials with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1/00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5/00Separating, e.g. sorting, fib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6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textile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폐실크 혼방사의 제조방법은 수거된 폐실크를 조합,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폐실크를 분섬한 후, 램스울 : 나일론 : 면 : 폐실크 = 60% : 25% : 10% : 5% 비율로 혼용하여 카딩(carding)하여 얇은 섬유막 형태의 웹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웹을 통상의 방법으로 로빙(roving)한 후, 정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폐실크, 혼방사, 램스울, 나일론, 면, 카딩, 번수, 꼬임수, 연사

Description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Mixed-Yarn of Waste-Silk and Preparing the Sam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버려지고 있는 폐실크를 재활용하기 위해 이를 램스울, 나일론 및 면과 적정한 비율로 혼방 가공함으로써, 방적사나 부직포 등의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실크는 모든 섬유중에서 촉감과 자연광택이 가장 뛰어나며, 탄성과 레질리언스, 흡습성이 우수하고, 공기층이 커서 고급 의류용 소재와 보온성 소재로 많은 사람들로부터 꾸준히 사랑을 받고 있는 섬유이다.
실크직물의 제조 공정중 폐실크가 발생하는 주요공정을 살펴보면 크게 제직공정과 봉제공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제직공정의 경우 해사, 합사, 연사, 정경 등 준비공정의 잔사와 원단을 제직할 때 북직기의 셔틀 내 목관에 남아있는 잔사 및 래피어 직기에서 절단된 샐비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봉제공정의 경우에는 재단 후 남는 난단 또는 짜투리 원단 등이다.
이러한 제직공정이나 봉제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실크는 국내 실크직물 생산량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아직까지 이들 폐실크에 대한 재활용 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전량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외화 낭비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폐실크는 천연소재로서 흡습성과 보온성이 탁월하여 이를 재활용할 수만 있다면 고부가 가치제품으로서 그 용도를 개발할 수 있으며, 환경보호와 고급소재의 재활용 차원에서 볼 때 폐실크의 활용 방안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990-16510호에서는 실크폐설을 이용한 견면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제품은 방적사 등의 원료로 활용될 수 없고, 견면(솜)으로밖에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제사와 제직공정에서 수집된 폐실크는 천연꼬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카딩 공정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다른 섬유와 혼용하더라도 균일한 웹 제조가 불가능하고, 작업성이나 최종 제품의 물성 저하가 나타나는 등 실제 공정상 이용에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실크를 적절하게 조합, 램스울, 나일론 및 면과 적정한 비율로 혼방 가공함으로써, 방적사나 부직포 등의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적사나 부직포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실크를 램스울, 나일론 및 면과 적정 비율로 혼용, 가공함으로써, 균일한 웹 제조가 가능하고, 최종 제품의 물성 저하가 없는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성이 우수한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려지고 있는 폐실크를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폐실크 혼방사의 제조방법은 수거된 폐실크를 조합,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폐실크를 분섬한 후, 램스울 : 나일론 : 면 : 폐실크 = 60% : 25% : 10% : 5% 비율로 혼용하여 카딩(carding)하여 얇은 섬유막 형태의 웹을 제조하 고; 그리고 상기 웹을 통상의 방법으로 로빙(roving)한 후, 정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폐실크의 조합 및 분류 공정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실크는 제사, 제직, 봉제 공정에서 수거된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실크 직물 제조 후 발생된 폐기물도 방모방적의 원료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반모(Garnett)공정을 거쳐 섬유를 절단하고 예비 개섬하여 다시 사용하게 된다.
면방적, 소모방적, 마방적 등에서는 더블링을 통해 각 재료를 골고루 섞어 섬유의 불균제화를 해결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더블링 공정이 없고, 그러한 역할을 조합공정에서 행하고 있다. 조합 공정은 각종 적은 양의 원료를 모아 대량의 균일한 제품을 만드는 것으로 조합이 얼마나 균일하게 잘 되느냐에 따라 최종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수거된 폐실크는 통상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되어 있기 때문에, 조합된 폐실크는 색상별로 분류한다. 색상 분류 없이 모든 색상의 폐실크를 한꺼번에 분섬할 경우, 별도로 염색 가공을 더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질이 떨어진다.
또한 분류된 폐실크중 정련된 페실크는 바로 분섬되지만, 비정련 폐실크는 정련 공정을 거친다.
상기 정련 공정은 본격적인 카딩 공정에 앞서 정전기 방지, 방적트러블을 방 지하기 위한 공정으로 원료가 충분히 습윤되고, 원활한 카딩공정이 되게 하기 위한 공정이다. 즉, 섬유에 유연성을 주어 섬유 상호간의 마찰계수를 저감시켜 절단을 방지하여 드레프팅을 용이하게 하고, 대전방지와 공장환경의 기류에 따르는 섬유 비산(飛散)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련 공정에 사용되는 유제는 상업적으로 구입이 용이한 것으로, 고급 알콜 황산 에스테르에 식물류, 광물유, 유동 파라핀 왁스, 비이온 활성제 등을 혼합한 것으로 사용후 수세로 쉽게 제거되며 착색이 안되는 것을 사용한다.
분섬 카딩공정
상기 분류된 폐실크는 방모 카드로 투입되어 분섬작용을 받으면서 카딩하여 얇은 섬유막 형태의 웹을 제조한다.
상기 방모 카드는 3대의 로울러 카드를 연결해서 사용하며, 첫번째 카드는 브레이커 카드(breaker card)로 강침을 감은 실린더에 의해 단단하게 뭉쳐진 원료를 예비적인 개모를 한다. 두번째 인터메디에이트 카드(intermediate card)는 구조가 간단하며, 피이드 로울러 및 지름이 작고 선긴 침포로 원료를 실린더로 옮겨준다. 세번째인 콘덴서 카드(condenser card)는 도퍼에서 웨브를 분할해서 다수의 조사를 만드는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다. 방모카드에서는 세로방향으로는 어느 정도 원료가 혼합되지만, 가로방향으로는 혼합되지 않으므로 자동합모장치와 중간공급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폐실크의 카딩시, 램스울 : 나일론 : 면 : 폐실크 = 60% : 25% : 10% : 5% 비율로 혼용하여 카딩(carding)한다. 상기 비율을 벗어날 경우, 균일한 웹 제조가 불가능하고, 촉감이 불량하여 용도에 제약이 있다.
정방공정
상기 카딩 과정을 거쳐 제조된 웹을 통상의 방법으로 로빙(roving)한 후, 정방기에서 정방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공통번수 1/9 Nm의 굵기로 꼬임수 5 TPI로 정방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공통번수 2/9 Nm의 굵기로 꼬임수 5 TPI로 정방하고, 3 TPI로 연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공통번수 1/15 Nm의 굵기로 꼬임수 6.5 TPI로 정방한다.
상기 정방공정에서 제조된 혼방사는 통상의 권사공정을 거친 후, 최종 제품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폐실크 혼방사는 인테리어용 원단, 침구류(카펫트 및 담요) 및 니트사나 수예용 원사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부직포는 산업용은 물론 부가가치가 높은 의료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 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동일 색상 계열로 분류된 정련된 폐실크를 로울러 방식의 카드기를 사용하여 램스울 : 나일론 : 면 : 폐실크 = 60% : 25% : 10% : 5% 비율로 혼용하여 카딩(carding)한 후, 테이프 콘덴서를 사용하여 로빙하였다. 이후 뮬정방기에서 공통번수 1/9Nm의 굵기로 꼬임수 5 TPI로 정방하여 혼방사를 제조하였다. 카딩 공정시 얇은 섬유막 형태의 균일한 웹이 제조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제조된 제품에 대한 인장강도, 촉감, 보온성을 평가한 결과, 폐실크가 아닌 통상의 실크 혼방된 섬유와 동일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뮬정방기에서 공통번수 2/9Nm의 굵기로 꼬임수 5 TPI로 정방하고, 3 TPI로 연사하여 혼방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뮬정방기에서 공통번수 1/15 Nm의 굵기로 꼬임수 6.5 TPI로 정방하여 혼방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본 발명은 방적사나 부직포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균일한 웹 제조가 가능하고, 작업성이나 최종 제품의 물성 저하가 없으며, 버려지고 있는 폐실크를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수거된 폐실크를 조합,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폐실크를 분섬한 후, 램스울 : 나일론 : 면 : 폐실크 = 60% : 25% : 10% : 5% 비율로 혼용하여 카딩(carding)하여 얇은 섬유막 형태의 웹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웹을 통상의 방법으로 로빙(roving)한 후, 정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실크 혼방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공정은 색상별로 분류하되, 상기 분류된 폐실크중 비정련 폐실크는 정련공정을 거친 후, 분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실크 혼방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은 공통번수 1/9 Nm의 굵기로 꼬임수 5 TPI로 정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실크 혼방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은 공통번수 2/9 Nm의 굵기로 꼬임수 5 TPI로 정 방하고, 3 TPI로 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실크 혼방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은 공통번수 1/15 Nm의 굵기로 꼬임수 6.5 TPI로 정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실크 혼방사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램스울 : 나일론 : 면 : 폐실크 = 60% : 25% : 10% : 5% 으로 혼용된 폐실크 혼방사.
KR20050068355A 2005-07-27 2005-07-27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623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8355A KR100623135B1 (ko) 2005-07-27 2005-07-27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8355A KR100623135B1 (ko) 2005-07-27 2005-07-27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135B1 true KR100623135B1 (ko) 2006-09-12

Family

ID=3762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68355A KR100623135B1 (ko) 2005-07-27 2005-07-27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1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074B1 (ko) 2012-09-24 2014-06-11 한국실크연구원 재생 실크 세번수의 제조 방법, 재생 실크 세번수, 재생 실크 혼방사의 제조 방법 및 재생 실크 혼방사
KR101406075B1 (ko) 2012-09-24 2014-06-11 한국실크연구원 실크 셀비지 재생 섬유/셀룰로오스 섬유의 혼방사 및 실크 셀비지 재생 섬유/셀룰로오스 섬유의 혼방사 제조 방법
IT201900004175A1 (it) * 2019-03-22 2020-09-22 Ratti S P A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 prodotto tessile per imbottitur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074B1 (ko) 2012-09-24 2014-06-11 한국실크연구원 재생 실크 세번수의 제조 방법, 재생 실크 세번수, 재생 실크 혼방사의 제조 방법 및 재생 실크 혼방사
KR101406075B1 (ko) 2012-09-24 2014-06-11 한국실크연구원 실크 셀비지 재생 섬유/셀룰로오스 섬유의 혼방사 및 실크 셀비지 재생 섬유/셀룰로오스 섬유의 혼방사 제조 방법
IT201900004175A1 (it) * 2019-03-22 2020-09-22 Ratti S P A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 prodotto tessile per imbottitura
EP3712313A1 (en) * 2019-03-22 2020-09-23 Ratti S.p.A.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xtile padding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958B1 (ko) 양모/폴리유산섬유 혼합방적사의 제조방법
CN101377031A (zh) 一种精梳棉、绢丝、羊绒混纺纱及其加工方法
CN1958889A (zh) 制造黄麻纤维的方法、生产黄麻-棉纱线的系统、以及由黄麻-棉纱线制得的染色和织造织物
Jalil et al. A novel approach for pineapple leaf fiber processing as an ultimate fiber using existing machines
US7882687B2 (en) Composite Alpaca yar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CN101603229A (zh) 多元化高档衬衣面料
KR100623135B1 (ko)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
CN104846503B (zh) 一种半精纺地毯纱
KR100670198B1 (ko)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
CN206529559U (zh) 一种仿麻纱线
JPH09143836A (ja) フィブリル化芯鞘複合紡績糸織編物
CN1121518C (zh) 用棉纺设备生产阳离子涤粘绲纺纱的工艺
JP2009512790A (ja) カシミヤ糸の製造方法
CN102337620A (zh) 棉型抗静电包芯纱的制备方法
CN104562341A (zh) 纺织原料纺纱工艺
KR100623115B1 (ko)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
CN108866709B (zh) 一种Clima纤维与棉混纺紧密纺纱及制造工艺
KR100731158B1 (ko) 폐실크 혼방사 및 그 제조방법
CN102031609A (zh) 一种粘胶纤维与微孔纤维混纺纱线、及其制备方法和在家纺产品中的应用
Ullah et al. A review on sustainable textile products from jute and cotton blends
Sava et al. Yarns and woven fabrics made from cotton and cottonised flax blends for upholstery applications
CN106906548A (zh) 竹/涤/棉混纺纱的生产方法
CN113445177A (zh) 一种超细柔密羊毛面料及其制备方法
CN102953182A (zh) 一种混纺纱线的生产工艺
CN107083595A (zh) 铜氨纤维/羊毛纤维/棉混纺纱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