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045B1 -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045B1
KR100623045B1 KR1020050030614A KR20050030614A KR100623045B1 KR 100623045 B1 KR100623045 B1 KR 100623045B1 KR 1020050030614 A KR1020050030614 A KR 1020050030614A KR 20050030614 A KR20050030614 A KR 20050030614A KR 100623045 B1 KR100623045 B1 KR 100623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power supply
control target
control dev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이현규
송재홍
최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웍
Priority to KR1020050030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12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line impe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2선식 통신선로를 이용하여 다수의 기기를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으면서 통신라인을 통하여 외부조정장치로 소정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통신의 극성에 상관없이 동작할 수 있는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원격조정장치와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이 브릿지 다이오드, 인버터 및 스위칭 소자들로 구성하여 무극성 2선식 통신선로를 구성하며, 원격조정장치의 전원에 통신 선로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VDD)과 전원(VDD)로부터 공급받은 원격조정장치는 데이터 전송단자(Tx)와 수신단자(Rx)를 통해서 상기 원격제어대상기기의 데이터 수신단자(Rx)와 전송단자(Tx)로 원하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게 되며, 원격제어대상기기가 다수 인 경우에는 각각에 ID 번호를 부여하여 원격조정장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므로 2선식 무극성으로 다수의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통신선로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므로 기기의 소형화 및 단순화를 이루는데 그 특징이 있다.
브릿지 다이오드, 다수원격제어대상기기, 원격조정장치

Description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시스템{Two Lin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Power Supply and Multi-drop}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시스템의 회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장치와 원격제어대상기기와의 체결관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신호 및 트랜지스터 동작을 위한 신호의 형태
도4는 통신이 없는 상태에서의 선로에 인가되는 전압의 분배를 도시한 형태
도5는 도3의 통신신호의 높낮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가; 원격제어대상기기 나; 원격조정장치
1, 38; 마이크로프로세서
2, 3, 5, 6, 7, 10, 12, 13, 14, 15, 17, 20, 21, 23, 28, 29, 34, 35, 37; 저항
4, 8, 11, 16, 22, 30, 36; 트랜지스터
9, 24; 브릿지 다이오드 18, 19, 32, 33; 인버터
25, 27; 커패시터 26; 전압레귤레이터
51; 원격조정장치 52, 53, 54, 55; 브릿지 다이오드
56, 57, 58; 원격제어대상기기 59; 통신선로
본 발명은 브릿지다이오드 회로, 인버터 및 다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무극성 2선식 통신선로로 원격조정장치 및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를 서로 연결하여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면서 원격조정장치에 필요한 소정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여 외부조정장치에 의하여 통신의 극성에 상관없이 다수의 기기를 동시에 작동시켜 제어할 수 있는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일러의 밸브 및 송풍팬 등을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된 신호전송용 2선 와이어는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보일러와 원격제어장치를 설치하여 배선할 때 극성을 서로 반대로 구성하여 잘못 배선을 하면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리모콘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해결하여 무극성 통신을 이루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6-015764호,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74733호 및 공개특허공보 특2000-0034709호에 자세하게 개시 있으나, 이들은 다수의 기기들이 체결되는 경우에 전원의 극성을 해결하지 못하여 모두 무극성 통신을 위한 리모콘과 제어대상기기들이 서로 일 대 일 통신만으로 이루어져 효율적인 시스템 제어를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된 또 다른 종래기술들은 하나의 리모콘으로 다수의 시스템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신선로에 하나 이상의 다수의 전원(VDD)이 연결되어 통신을 신호의 극성이 바뀌어 연결되면 전원이 서로 단락(Short)되어 회로에 중대한 손상을 줄 수 있으며, 회로가 복잡하여 부품 소요에 의한 생산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창안된 것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원격조정장치와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가 무극성 2선식 통신선로로 연결되며, 원격조장치의 전원에 통신 선로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VDD)과 전원(VDD)로부터 공급받은 원격조정장치는 데이터 전송단자(Tx)와 수신단자(Rx)를 통해서 상기 원격제어대상기기의 데이터 수신단자(Rx)와 전송단자(Tx)로 원하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게 되며, 원격제어대상기기가 다수 인 경우에는 각각의 기기에 ID 번호를 부여하고 각각의 원격제어대상기기에 전원(VDD)의 공급여부를 검출하는 단자와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자를 두고 하나의 기기에서 전원(VDD)이 공급되고 있으면 다른 모든 원격제어대상기기의 전원(VDD)을 오프하는 구성으로 설계 제작하므로 하나의 원격조정장치로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조정장치와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이 브릿지 다이오드,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저항으로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하게 무극선 2선식 통신라인을 구성함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배선이 간단하며, 전력소모가 적은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조정장치와 원격제어대상기기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이와 연동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원격제어대상기기에 ID번호를 부여하고 각각의 원격제어대상기기에 대하여 전원(VDD)의 검출 및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하나의 원격제어대상기기에만 전원(VDD)을 공급하는 구성을 이루어 통신신호의 극성이 서로 충돌하여 쇼트(단락)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 인버터, 저항 및 다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무극성 2선식 통신선로로 원격조정장치 및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를 서로 연결하여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면서 원격조정장치에 필요한 소정의 전원을 통신선로를 통하여 원격조정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함으로써 외부조정장치에 의하여 통신의 극성에 상관없이 다수의 기기를 동시에 작동시켜 제어할 수 있는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일러의 밸브 및 송풍팬 등을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된 신호전송용 2선 와이어는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보일러와 원격제어장치를 설치하여 배선할 때 극성을 서로 반대로 구성하여 잘못 배선을 하면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리모콘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의 문 제점을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해결하여 무극성 통신을 이루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6-015764호,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74733호 및 공개특허공보 특2000-0034709호에 자세하게 개시 있으나, 이들은 다수의 기기들이 체결되는 경우에 전원의 극성을 해결하지 못하여 모두 무극성 통신을 위한 리모콘과 제어대상기기들이 서로 일 대 일 통신만으로 이루어져 효율적인 시스템 제어를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된 또 다른 종래기술들은 하나의 리모콘으로 다수의 시스템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신선로에 하나 이상의 다수의 전원(VDD)이 연결되어 통신을 신호의 극성이 바뀌어 연결되면 전원이 서로 쇼트되어 회로에 중대한 손상을 줄 수 있으며, 회로 가 복잡하여 부품 소요에 의한 생산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입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도면을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시스템의 회로도를 나타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원격조정장치와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와의 체결관계를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신호 및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위한 신호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4는 통신이 없는 상태에서의 통신선로에 인가되는 전압의 분배를 등가회로로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도3의 통신신호의 높낮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등가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수단 및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대상기기는 냉난방공조기의 팬필터 유니 트, 보일러 또는 하나의 원격조정장치로 서로 통신을 주고받으면서 다수의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고자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전체적인 구성을 도1을 통해서 살펴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원격제어대상기기(가)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원거리에서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원격조정장치(나)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통해서 두 가닥의 통신선로로 무극성으로 신호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원격조정장치(나)의 전원은 원격제어대상기기(가)의 전원(VDD)에 의하여 공급받게 되고, 하나의 원격조정장치에 의하여 다수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원격조정장치는 원격조정장치의 동작을 위하여 통신선로로 원격제어대상기기의 전원(VDD)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전압 레귤레이터를 거쳐서 부품에 전원(VCC)을 공급하는 수단과 공급받은 전원으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전송신호(Tx)전송하고,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수신(Rx)하여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VDD 전원의 전압은 12V내지 36V사이의 직류전원이고, VCC 전원은 5V TTL로직 전압으로 직류전원으로 구성된다.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은 각각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전원(VDD)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전원검출 단자(PW_DET)와 필요시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전원온/오프 단자(PW_EN)를 구비하며, 상기 원격조정장치와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송신단자(Tx)와 수신단자(Rx)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서 살펴본다. 도1에서 원격 제어대상기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전원온ㆍ오프 단자(PW_EN)의 출력신호가 하이를 입력하면 트랜지스터(8)와 트랜지스터(11)가 온되어 통신라인 A, B에 전원(VDD)이 연결되며, 신라인 A와 B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전류는 브릿지 다이오드(24)를 통과하므로 원격조정장치는 극성에 관계없이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공급받은 전원은 정전압 레귤레이터(26)을 사용하여 원격제어장치의 부품을 동작시키는 로직전원(VCC)을 생성한다. 도3에서 VREF는 도1의 통신회로의 수신부(Rx)에서 원격제어대상기기 측의 저항(14)과 (15) 및 원격조정장치 측의 저항(28)과 (29)에 의하여 분압되어 입력되는 신호가 트랜지스터(16)와 (30)이 턴 온되는 경계지점의 전압을 나타낸다. 즉, VAB가 VREF이상이면 트랜지스터 (16)와 (30)이 턴 온되며, 이하이면 트랜지스터(16)와 (30)이 턴 오프된다.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대상기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송신단자(Tx)의 신호를 로우(LOW)로 출력하면 인버터(19)를 거쳐 트랜지스터(22)가 턴 온되어 통신선로의 저항(23)으로 연결되며, 통신선로에 저항(23)이 삽입되면 이에 따라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도3과 같은 통신파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의 통신파형의 높낮이는 통신전원(VDD)의 직렬저항(7)과 송신용 저항(23)의 크기에 의하여 분압되어 결정된다.
데이터의 수신의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면, 통신이 없는 상태에서 원격제어대상기기와 원격조정장치의 수신부(Rx)는 통신라인의 전압(VAB)이 원격제어대상기기 측의 저항(14)과 (15) 및 원격조정장치 측의 저항(28)과 (29)에 의하여 분압되어 트랜지스터(16)과 (30)을 턴 온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인버터 (18)와 (32)의 입력단은 로우(LOW), 출력단은 하이(HIGH)상태이므로 수신신호(Rx)는 하이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대상기기에서 데이터전송(Tx)을 시작하여 통신선로에 저항(23)이 삽입되면 이에 따라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도3에서와 같은 통신파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 때의 통신 파형의 높낮이는 도4에서와 같이 통신전원(VDD)의 직렬저항(7)과 원격조정장치의 등가저항 및 송신용 저항(23)의 병렬 체결에 의한 저항 값에 의하여 결정된다. 통신을 주고받지 않는 상태에서는 통신선로에 인가되는 전압(도3의 VAB)은 통신전원 공급전압(VDD)과 공급전압에 직렬로 삽입된 저항(7) 값과 브릿지 다이오드(24)의 순방향 저항 값 및 원격조정장치의 등가 저항 값이 직렬로 연결되어 분압된 전압에 의하여 결정된다. 통신이 없는 상태에서의 원격제어대상기기 및 원격조정장치의 수신부(Rx)는 통신라인 전압(VAB)이 원격제어대상기기 측의 저항( 14)와 (15) 및 원격조정대상 측의 저항(28)과 (29)에 의하여 분압되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입력되어 트랜지스터(16)와 (30)을 턴 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인버터(18)와 (32)의 입력단은 로우 상태이고, 출력단은 하이상태이므로 수신신호(Rx)는 하이상태를 유지한다. 하나의 원격조정장치와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이 하나의 2선식 통신선로로 전원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을 이룰 경우에 다수의 통신전원(VDD)이 연결되게 되고, 이때 통신극성이 바뀌어 연결되면 전원이 단락(쇼트)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회로에 중대한 손상을 입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통신선로에는 항상 단 하나의 통신전원(VDD)이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하여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은 다음의 방법으로 전원(VDD)을 공급한다.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은 각각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전원(VDD)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전원검출 단자(PW_DET)와 필요시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전원 온/오프 단자(PW_EN)를 구비하며, 전원 리셋 후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은 전원 온/오프 단자(PW_EN)의 출력을 로우 상태로 유지하여 트랜지스터(4), (8) 및 (11)을 턴 오프하여 통신선로에서 전원(VDD)을 분리한다. 전원검출 단자(PW_DET)를 통해서 통신선로에 이미 연결된 전원(VDD)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통신라인에 전원이 존재하면 브릿지 다이오드(9)를 통과하여 저항(12)와 (13)의 분압에 의하여 전원검출 단자(PW_DET)의 입력단에 하이 신호가 인가된다. 통신라인에 전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원검출 단자(PW_DET)의 입력단에 로우 신호가 인가된다. 전원검출 단자(PW_DET)의 입력단의 신호가 로우로 확인되면 통신선로에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전원(VDD)을 연결한다. 전원 온/오프 단자(PW_EN)의 출력을 하이상태로 유지하면 트랜지스터(4), (8) 및 (11)이 턴온되면서 통신선로에 전원이 연결된다. 통신선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은 각각 구분을 위한 ID번호를 가지고 있으므로 해당 ID번호 순서에 따라 소정의 시간을 지연시킨 후 전원을 확인하면 전원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원(VDD)은 항상 첫 번째 ID번호를 가진 원격제어대상기기에서 공급하게 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된 원격조정장치는 동작이 필요한 원격제어대상기기의 ID번호를 지정하고 설정가능한 온도 또는 팬필터 유니트의 회전속도 등을 설정 입력하여 제어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지정된 ID번호를 가진 원격제어대상기기의 전원(VDD)만 턴 온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는 모든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은 턴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므로 신뢰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하나의 원격조정장치 및 ID번호를 가진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이 충돌없이 서로 연동하여 안전하게 원하는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원격제어대상기기 및 원격조정장치에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원격조정장치의 표시패널에는 원하는 원격제어대상기기에 제어 변수를 변경하고자할 경우에 변수의 입력 상태를 보여주고, 평상시에는 원격제어대상기기의 온도, 상태 및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 변수의 상태를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보일러 시스템의 제어, 냉난방 공조기 등의 팬필터 유니트의 제어 또는 2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대상기기 10개 이상의 제어가 가능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아주 높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원격조정장치와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가 무극성 2선식 통신선로로 연결되고 원격제어대상기기가 다수 인 경우에는 각각의 기기에 ID 번호를 부여하고 각각의 원격제어대상기기에 전원(VDD)의 공급여부를 검출하는 단자와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자를 두고 하나의 기기에서 전원(VDD)이 공급되고 있으면 다른 모든 원격제어대상기기의 전원(VDD)을 오프하는 구성으로 설계 제작하므로 하나의 원격조정장치로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원격조정장치와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이 브릿지 다이오드,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저항 등으로 비교적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무극선 2선식 통신라인을 구성함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배선이 간단하며, 전력소모가 적은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원격조정장치와 원격제어대상기기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이와 연동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원격제어대상기기에 ID번호를 부여하고 각각의 원격제어대상기기에 대하여 전원(VDD)의 검출 및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하나의 원격제어대상기기에만 전원(VDD)을 공급하는 구성을 이루어 통신신호의 극성이 서로 충돌하여 쇼트(단락)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Claims (5)

  1. 원격조정장치와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를 2선식 무극성으로 연결하여 전원 공급과 통신을 할 수 있는 멀티드롭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2선식 무극성으로 통신할 수 있고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원격조정장치 및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 측 각각에 구성시킨 브릿지 다이오드회로와,
    하나의 원격제어대상기기 측의 전원(VDD)으로부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 및 2선식 통신선로를 통해서 원격조정장치로 전원(VCC)을 공급하는 수단과,
    원격제어대상기기와 원격조정장치의 송수신 단자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스위칭하여 주는 트랜지스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하나의 원격조정장치와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이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각각의 원격제어대상기기에 ID번호를 부여하여 전원(VDD)의 입력상태를 점검하고 통신을 원하는 원격제어대상기기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원격조정장치에는 원격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하여 필요한 변수를 설정 입력하는 수단과 원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제어신호의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한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 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장치와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은 간단하면서 안정된 동작 을 유도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인버터, 브릿지 다이오드, 커패시터, 저항 및 원격제어장치에 안정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레귤레이터를 구비한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 시스템.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하나의 원격조정장치 및 ID번호를 가진 다수의 원격제어대상기기들이 충돌없이 서로 연동하여 안전하게 원하는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원격제어대상기기 및 원격조정장치에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 시스템.
  4. 청구항1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및 수신시의 통신파형의 높이는 통신전압(VDD)이 저항(R7)에 의하여 강하된 만큼의 크기를 가지며, 이는 저항(R7)의 크기와 이와 직렬로 연결되는 회로의 등가저항의 값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 시스템.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는 원하는 원격제어대상기기에 제어 변수를 변경하고자할 경우에 변수의 입력 상태를 보여주고, 평상시에는 원격제어대상기기의 온도, 기기의 상태 및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 변수의 상태를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 시스템.
KR1020050030614A 2005-04-13 2005-04-13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시스템 KR100623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14A KR100623045B1 (ko) 2005-04-13 2005-04-13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14A KR100623045B1 (ko) 2005-04-13 2005-04-13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045B1 true KR100623045B1 (ko) 2006-09-13

Family

ID=3762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614A KR100623045B1 (ko) 2005-04-13 2005-04-13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0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498A (ko) * 2016-09-20 2018-03-28 (주) 오토이노텍 공구 마모 검출 시스템
KR20200086090A (ko) 2019-01-08 2020-07-16 조승범 전원공급 및 다중접속이 가능한 2선식 디지털 데이터 통신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7764A (ja) * 1994-04-27 1995-11-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端末機器の遠隔制御管理システム
KR20010113231A (ko) * 2000-06-17 2001-12-28 남궁석 복수 가전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선통신 장치
KR20020034452A (ko) * 2000-11-01 2002-05-09 유영호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자기번호인식형 전기장치 전원제어시스템
KR20040019675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절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7764A (ja) * 1994-04-27 1995-11-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端末機器の遠隔制御管理システム
KR20010113231A (ko) * 2000-06-17 2001-12-28 남궁석 복수 가전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선통신 장치
KR20020034452A (ko) * 2000-11-01 2002-05-09 유영호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자기번호인식형 전기장치 전원제어시스템
KR20040019675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절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498A (ko) * 2016-09-20 2018-03-28 (주) 오토이노텍 공구 마모 검출 시스템
KR101880291B1 (ko) 2016-09-20 2018-08-17 (주)오토이노텍 공구 마모 검출 시스템
KR20200086090A (ko) 2019-01-08 2020-07-16 조승범 전원공급 및 다중접속이 가능한 2선식 디지털 데이터 통신방법
KR102175898B1 (ko) * 2019-01-08 2020-11-06 손광억 전원공급 및 다중접속이 가능한 2선식 디지털 데이터 통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53143B2 (en) A method and system for bidirectional data and power transmission
US9832830B2 (en) Solid state lighting module, a lighting circuit and lighting control methods
JP2016534502A (ja) 照明システムのための電力線通信
US11206154B2 (en) Programmable plug
US9888547B2 (en) Circuit assembly for operating lighting means via a master-slave system
KR100623045B1 (ko)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시스템
EP3565076B1 (en) Protection circuit and air conditioner
US10141883B2 (en) Input stage for a motor controller, and motor controller, especially for an electric motor
US7093050B2 (en) Control arrangement
JP5136036B2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JP2008226004A (ja) 入力スレーブ
JP6771198B2 (ja) センサ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US20170311405A1 (en) Bi-level low voltage dimming controller for lighting drivers
Adewale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microcontroller based automatic switch for home appliances
KR101068198B1 (ko)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CN211189093U (zh) 游戏设备的控制装置
CN111355676B (zh) 车辆中的通信系统以及使用所述通信系统的通信方法
JP3274735B2 (ja) 電源供給制御回路
KR0162534B1 (ko) 보일러의 유선데이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US6982641B1 (en) Simplified circuit for intrusion detectors
US11789509B2 (en) Power-on sequence for a power supply system
EP1356352A1 (en) Control arrangement based on can-bus technology
KR101263634B1 (ko) 다중제어 전자식 스위치
JP693413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H02197715A (ja) 給湯器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