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198B1 -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198B1
KR101068198B1 KR1020090017157A KR20090017157A KR101068198B1 KR 101068198 B1 KR101068198 B1 KR 101068198B1 KR 1020090017157 A KR1020090017157 A KR 1020090017157A KR 20090017157 A KR20090017157 A KR 20090017157A KR 101068198 B1 KR101068198 B1 KR 10106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ve
master
transmitter
recei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136A (ko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이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호 filed Critical 이강호
Priority to KR1020090017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1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45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이 복수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제어할 때 이용되는 직렬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 슬레이브 시스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슬레이브 송신부;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슬레이브 수신부;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마스터 송신부; 및 슬레이브 시스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스터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통신용 전원의 전류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를 거쳐 상기 마스터 송신부로 흐를 수 있도록 배선되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모드에서 상기 마스터 송신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는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에 의해 상기 마스터 송신부에 의해 전송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한의 배선작업만이 필요하면서도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문제가 다른 슬레이브 시스템과 마스터 시스템과의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master system and slave system}
본 발명은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이 복수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제어할 때 이용되는 직렬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직렬 통신을 이용하는 RS485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RS485 통신은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10)에 복수의 슬레이브 시스템(20-1, 20-2, 20-3,…; 이하 '20')이 연결되어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10)이 복수의 슬레이브 시스템(20)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유사한 시스템으로 RS422 통신 시스템이 있지만, RS422 통신 시스템은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용으로 TXD+와 TXD-의 2선을 이용하고, 슬레이브 시스템의 송신용으로 RXD+, RXD-의 2선을 이용하여 배선이 복잡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송신과 수신을 같은 선을 이용하여 수행하므로 2개의 선만을 이용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직렬 통신 시스템으로 RS232C 통신 시스템이 있지만, 이 경우에는 3개 의 선이 이용되고,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이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만을 제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에는 2개의 라인에 걸리는 차동 전압(V1-V2)에 의해 신호를 전송한다. 즉, 하이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V1은 하이 전압이, V2는 로우 전압이 걸리도록 하고, 로우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V1과 V2가 모두 하이 전압 또는 로우 전압이 걸리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경우 앞에서 예를 들은 다른 직렬통신 시스템에 비해서 적은 수의 선을 가지고도 마스터 시스템 및 슬레이브 시스템간의 통신이 가능하고,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이 복수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가 고장이 나는 경우, 전체 통신이 마비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20-1)이 계속하여 로우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마스터 시스템(10) 및 다른 슬레이브 시스템(20-2, 20-3,…)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수 없게 된다.
결국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해 전체 시스템의 작동이 중지되어야 하고, 관리자가 수리를 하기 전까지는 전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는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최소한의 배선을 이용하면서도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이 복수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이 문제가 전체 시스템의 문제로 확대가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이 복수개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이 복수개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통신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슬레이브 송신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슬레이브 수신부; 상기 마스터 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마스터 송신부; 및 상기 마스터 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스터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통신용 전원의 전류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를 거쳐 상기 마스터 송신부로 흐를 수 있도록 배선되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 의 송신 모드에서 상기 마스터 송신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는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에 의해 상기 마스터 송신부에 의해 전송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이 복수개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슬레이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슬레이브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통신용 전원이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를 거쳐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송수신부로 흐를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모드에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송수신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가 결정되면,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는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에 의해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송수신부에 의해 전송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수신모드에서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마스터 송신부는 상기 송신부에 흐르는 상기 통신용 전원의 전류가 상기 마스터 수신부에 흐르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전원공급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 상기 마스터 송신부의 순 또는 상기 전원공급부,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상기 마스터 송신부의 순으로 연결되도록 배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의 발광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수광부와 연결되고,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의 수광부는 상기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의 발광부의 발광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상기 마스터 시스템이 송신하는 신호를 판별하고,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발광부는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송신 신호에 따라 발광되고,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수광부는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의 발광부와 상기 마스터 송신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를 연결하는 제1라인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와 상기 마스터 송신부를 연결하는 제2라인부에 의해 연결되거나,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를 연결하는 제1라인부 및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와 상기 마스터 송신부를 연결하는 제2라인부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이 복수의 슬레이브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최소한의 배선작업만 필요하며, 또한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그 문제가 다른 슬레이브 시스템과 마스터 시스템과의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2는 편의상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110)과 슬레이브 시스템(120)만을 도시하였으며, 만약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에 복수의 슬레이브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부의 구성은 도 1과 같이 된다.
또한 도 2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삼는 마스터 시스템과 슬레이브 시스템간의 통신에 관한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것이며, 기타 통신에 관계없는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과 동일하므로 생략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터 시스템(110)은 슬레이브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11) 및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담당하는 마스터 송수신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스터 송수신부(112)는 다시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의 송신을 담당하는 마스터 송신부(113)와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의 수신을 담당하는 마스터 수신부(114)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시스템(120)은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모드에서 송출된 신호를 판별하기 위한 슬레이브 수신부(121)와 마스터 시스템의 수신모드에서 슬레이브 시스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슬레이브 송신부(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11)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이 제1라인부(130)를 통하여 슬레이브 시스템(120)에 제공되며, 이 전원은 슬레이브 수신부(121) 및 슬레이브 송신부(122)를 거쳐서 제2라인부(140)를 통하여 마스터 송수신부(112)에 전달되는 하나의 폐회로를 구성하고, 전류의 흐름 여부가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모드에서는 마스터 송신부(113)에 의해 제어되고, 마스터 시스템의 수신모드에서는 슬레이브 송신부(122)에 의해 제어된다는 점이다.
또한,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모드에서 마스터 송신부(113)에 의해 전원공급부(111), 슬레이브 수신부(121) 및 슬레이브 송신부(122)를 거쳐서 마스터 송신부(113)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이 제어되고, 이러한 제어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신호가 슬레이브 송신부(122)에서 감지된다.
예를 들어, 마스터 송신부(113)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때에는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를 하고, 로우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때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를 하는 방식에 의하여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슬레이브 수신부(121)에서는 슬레이브 수신부(121)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마스터 시스템이 어떤 신호를 출력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반대로, 마스터 시스템의 수신모드에서는 슬레이브 송신부(122)에서 전류의 흐름 여부를 제어하고, 마스터 송신부(113)는 마스터 송신부(113)로 흐르는 전류가 마스터 수신부(114)로 흐르도록 제어하며, 마스터 수신부(114)에서는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슬레이브 송신부(122)에서 어떤 신호가 출력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도 2에서는 전원공급부(111), 슬레이브 수신부(121), 슬레이브 송신부(122) 및 마스터 송수신부(112)의 순으로 연결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전원공급부(111), 슬레이브 송신부(122), 슬레이브 수신부(121) 및 마스터 송수신부(112)의 순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동일한 선을 통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송수신되는 신호의 판별은 전류의 흐름 여부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이 고장으로 인하여 계속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전체적인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이유 및 효과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다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수신부(221) 및 슬레이브 송신부(222)는 모두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결합기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발광부와 수광부로 사용될 수 있는 예로 도 3에서는 발광다이오드(221-1, 222-1)와 광트랜지스터(221-2, 222-2)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기타 광결합기에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소자가 가능하다.
일 예로, 발광부(221-1, 222-1)로 이용될 수 있는 소자로는 발광다이오드 외에 텅스텐램프, 네온램프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수광부(221-2, 222-2)로 이용될 수 있는 소자로는 광트랜지스터 외에 실리콘 아발란세 포토다이오드, pin다이오드, 황화카드뮴, 카드뮴 셀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마스터 송신부(213)에 트랜지스터(213-2)가 이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슬레이브 수신부(221) 및 슬레이브 송신부(222)와 같이 트랜지스터 대신 광결합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슬레이브 수신부(221) 및 슬레이브 송신부(222)를 광결합기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마스터 시스템과 슬레이브 시스템이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되므로 마스터 시스템이나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전류량의 변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다른 시스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마스터 송신부(213)는 크게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모드에서 전류의 흐름여부를 제어하는 기능과, 마스터 시스템의 수신 모드에서 마스터 송신부(213)로 공급되는 전원이 마스터 수신부(214)에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서는 트랜지스터(213-2)의 기능과 스위치부(213-1)의 연결접점 전환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모드에서 스위치부(213-2)는 슬레이브 송신부(222)의 수광부(222-2)와 마스터 송신부(213)의 트랜지스터(213-2)가 연결되도록 설정된다.
스위치부(213-2)에서 연결방향의 설정은 마스터 시스템의 마이컴에 의해 직접 제어를 받을 수도 있고, 트랜지스터(213-2)를 통하여 출력되는 송신신호(215)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모드에서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신호(215)가 출력되면 이 신호는 먼저 트랜지스터(213-2)에 입력된다. 이 신호의 종류에 따라 트랜지스 터(213-2)가 온 또는 오프되게 되며, 이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에 따라 전원공급부(2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한 전류가 흐르기도 하고 흐르지 않기도 하게 된다. 도 3의 경우 송신신호(215)가 npn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형성시킬 수 있는 베이스 전류 신호로 양의 전압의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전체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한편,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모드에서는 슬레이브 송신부(222)의 수광부(222-2)는 항상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슬레이브 시스템의 송신신호(225)는 항상 슬레이브 송신부(222)의 발광부(222-1)를 통하여 광이 출력될 수 있는 신호여야 한다. 도 3의 경우에는 Vcc보다 낮은 로우 신호가 항상 출력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신호(215)가 하이 신호인 경우에는 전원공급부(211)에서 공급되는 양전압의 전류가 제1라인부(230), 슬레이브 수신부(221)의 발광부(221-1), 슬레이브 송신부(222)의 수광부(222-2), 제2라인부(240) 및 스위치부(213-1)를 거쳐 트랜지스터(213-2)로 흐르는 폐회로를 따라서 흐르게 된다.
또한, 이 때에는 슬레이브 수신부(221)의 발광부(221-1)를 통해 출력된 광신호가 슬레이브 수신부(221)의 수광부(221-2)를 트리거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상태가 되게 되며, 슬레이브 수신부(221)의 수광부(221-2)를 흐르는 전류는 슬레이브 시스템에 수신신호(224)를 전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신호(215)로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슬레이브 시스템의 수신신호(224)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으로 송신신호(215)의 종 류에 따라 슬레이브 시스템의 수신신호(224)가 결정되게 되어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가 슬레이브 시스템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마스터 시스템의 수신 모드에서는 스위치부(213-1)는 슬레이브 송신부(222)가 마스터 시스템의 마스터 수신부(214)에 연결되도록 제어되며, 이렇게 될 경우, 슬레이브 송신부(222)만에 의해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마스터 수신부(214)로 흐르는지 여부가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슬레이브 시스템의 송신신호(225)에 의해 슬레이브 송신부(222)의 발광부(222-1)가 발광되면 슬레이브 송신부(222)의 수광부(222-2)는 전류를 흐를 수 있게 되는 상태가 되어, 이 때마다 전원공급부(211)에서 공급되는 통신용 전원이 슬레이브 송신부(222)를 거쳐서 마스터 송신부(213) 및 마스터 수신부(214)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즉, 슬레이브 시스템의 송신신호(225)에 따라 마스터 수신부(214)에 전달되는 전류의 흐름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슬레이브 시스템의 송신 신호가 마스터 시스템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복수의 슬레이브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이 신호를 송신할 때에는 다른 슬레이브 시스템의 슬레이브 송신부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시스템과 슬레이브 시스템간에는 2개의 선(230, 240)만이 이용되므로 시스템을 구축할 때 배선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동일한 선을 통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이 고장나더라도 이로 인하여 다른 슬레이브 시스템과 마스터 시스템간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즉,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에 복수의 슬레이브 시스템이 제어되는 도 1과 같은 시스템에서, 종래와 같이 2개의 선의 차동전압(V1-V2)에 의해 신호가 결정되는 경우,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이 고장으로 인하여 계속하여 신호를 전송하면 다른 슬레이브 시스템이나 마스터 시스템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차단되므로 전체 시스템이 정지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나의 슬레이브 시스템의 슬레이브 수신부(221)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그 고장의 종류를 불문하고 해당되는 슬레이브 시스템 외의 다른 슬레이브 시스템과 마스터 시스템간의 통신은 가능하게 된다.
만약 슬레이브 시스템의 슬레이브 송신부(222)가 고장나서 슬레이브 송신부(222)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슬레이브 시스템만이 영향을 받지만, 다른 슬레이브 시스템과 마스터 시스템간의 통신은 가능하게 된다.
만약 슬레이브 시스템의 슬레이브 송신부(222)가 고장나서 슬레이브 송신부(222)를 통하여 항상 전류가 흐르도록 되는 경우에는 전체 슬레이브 시스템이 마 스터 시스템에 신호를 전송할 수는 없게 되지만, 적어도 마스터 시스템이 슬레이브 시스템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마스터 시스템의 마스터 송신부 및 마스터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마스터 송신부(313) 및 마스터 수신부(314)가 모두 광결합기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송신부(313)의 발광부(313-1)에는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신호(315)가 입력되고, 마스터 수신부(314)의 발광부(314-1)는 마스터 송신부(313)의 수광부(313-2)에 연결되게 된다.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모드에서는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신호(315)에 따라 마스터 송신부(313)의 발광부(313-1)의 발광이 제어되며, 이 발광 여부에 따라 수광부(313-2)를 통한 전류의 흐름 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마스터 송신부(313)의 수광부(313-2)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면 마스터 수신부(314)의 발광부(314-1)가 발광되어 수광부(314-2)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어 마스터 수신부(314)에도 신호(316)가 발생되지만,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모드에서는 마스터 수신부(314)에 발생되는 신호는 프로그램적으로 무시하게 되므로 이로 인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마스터 시스템의 수신 모드에서는 슬레이브 송신부의 제어에 의해 마스터 수신부(314)를 통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스터 송신부(313)의 발광부(313-1)는 항상 발광이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마스터 송신 부(313)의 발광부(313-1)를 발광시킬 수 있는 신호(315)가 항상 출력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는 광결합기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기 위해 발광부(314-1)를 수신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블록을 잡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도 2의 블록도를 기준으로 구성요소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발광부(314-1)는 마스터 송신부에 포함될 것이다.
도 5는 마스터 수신부 및 마스터 송신부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과 비교해볼 때 마스터 수신부가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2라인부에 연결된 스위치부(413-1)는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모드에서는 제2라인부와 트랜지스터(413-2)가 연결되도록 하고, 마스터 시스템의 수신 모드에서는 제2라인부와 트랜지스터(414)의 베이스단이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서는 마스터 수신부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나, 도 6과 같이 저항(514-1, 514-2)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이용되는 저항은 슬레이브 수신부(221)의 발광부(221-1)에 발광이 걸릴만큼 큰 전압이 걸리지 않을 정도의 값 이상의 고저항이어야 한다.
이 때 이용되는 저항(514-1, 514-2)의 값은 전체 시스템의 저항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 발광부로 이용되는 광다이오드의 경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0.7V 이상이 되어야 발광이 되므로, 통신용 전원의 전압이 12V라고 할 때 발광다이오드 이외의 회로에 걸리는 전압이 11.3V 이상이 되게 전압 분배가 되도록 저항의 값을 조정한다.
마스터 수신부(514)에 이용되는 저항(514-1, 514-2)의 값은 나머지 시스템 전체의 저항의 값에 따라 결정되며,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에 연결되는 슬레이브 시스템의 수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기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실시예에서 각 구성요소의 연결방법에 따라 전원공급부나 마스터 시스템 및 슬레이브 시스템의 수신단 및 송신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종류 또는 극성이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마스터 송신부 및 마스터 수신부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14)

  1.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이 복수개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통신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슬레이브 송신부;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슬레이브 수신부;
    상기 마스터 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마스터 송신부; 및
    상기 마스터 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스터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통신용 전원의 전류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를 거쳐 상기 마스터 송신부로 흐를 수 있도록 배선되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모드에서 상기 마스터 송신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는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에 의해 상기 마스터 송신부에 의해 전송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며,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는 광결합기이고,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의 발광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통신용 전원의 전류가 흐를 때 발광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의 수광부는 상기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의 발광부의 발광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상기 마스터 시스템이 송신하는 신호를 판별하고,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발광부는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송신 신호에 따라 발광되고,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수광부는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발광부가 발광될 때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통신용 전원의 전류가 흐르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수신모드에서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마스터 송신부는 상기 송신부에 흐르는 상기 통신용 전원의 전류가 상기 마스터 수신부에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전원공급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 상기 마스터 송신부의 순으로 연결되도록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전원공급부,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상기 마스터 송신부의 순으로 연결되도록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를 연결하는 제1라인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와 상기 마스터 송신부를 연결하는 제2라인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과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를 연결하는 제1라인부 및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와 상기 마스터 송신부를 연결하는 제2라인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9. 하나의 마스터 시스템이 복수개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슬레이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슬레이브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통신용 전원이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를 거쳐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송수신부로 흐를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송신 모드에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송수신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통신용 전원의 전류의 흐름 여부가 결정되면,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는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에 의해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송수신부에 의해 전송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는 광결합기이고,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의 발광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통신용 전원의 전류가 흐를 때 발광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의 수광부는 상기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의 발광부의 발광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상기 마스터 시스템이 송신하는 신호를 판별하고,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발광부는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의 송신 신호에 따라 발광되고,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수광부는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발광부가 발광될 때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통신용 전원의 전류가 흐르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시스템의 수신모드에서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류의 흐름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전원공급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 상기 마스터시스템의 송수신부의 순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시스템은 상기 전원공급부,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상기 마스터시스템의 송수신부의 순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슬레이브 송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017157A 2009-02-27 2009-02-27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KR10106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157A KR101068198B1 (ko) 2009-02-27 2009-02-27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157A KR101068198B1 (ko) 2009-02-27 2009-02-27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136A KR20100098136A (ko) 2010-09-06
KR101068198B1 true KR101068198B1 (ko) 2011-09-28

Family

ID=4300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157A KR101068198B1 (ko) 2009-02-27 2009-02-27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0015B2 (en) * 2014-03-20 2015-12-08 Infineon Technologies Ag Edge-based communication
KR102275372B1 (ko) * 2020-03-17 2021-07-09 주식회사 코맥스 루프 방식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1320A (ja) * 1995-01-10 1996-07-23 Canon Inc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08218930A (ja) * 1995-02-14 1996-08-27 Fujitsu Ten Ltd データ読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1320A (ja) * 1995-01-10 1996-07-23 Canon Inc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08218930A (ja) * 1995-02-14 1996-08-27 Fujitsu Ten Ltd データ読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136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9640B2 (en) Optical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over a common signal line
KR0167471B1 (ko) Cmos 동시 전송 양방향 구동기/수신기
US11082253B2 (en) Communication system
US20180019787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99840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asing a bus
US4328586A (en) Optically coupled serial communication bus
KR101068198B1 (ko)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US7359433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CN104885569B (zh) 用于信号传输的接口电路、操作装置及控制分析电路
CN111009878A (zh) 一种多路输出短路保护电路
JP4751969B2 (ja) 入出力信号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入出力信号制御システム
JP4589462B2 (ja) 入出力信号制御装置
US20150054669A1 (en) Encoder input device
JP2003287265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及びマルチ式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
US4680431A (en) Data network interface module with circuitry for disconnecting a module that has lost supply voltage
CN111596806B (zh) 红外触控屏的发射系统及其控制方法、红外触控屏
US10649871B2 (en) Device with low-ohmic circuit path
US20070115136A1 (en) Contact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KR101748793B1 (ko) 마스터 및 슬래이브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KR100623045B1 (ko) 전원공급과 멀티드롭이 가능한 2선식 통신시스템
ES2274373T3 (es) Convertidor para sistemas de bus de instalacion.
CN211189093U (zh) 游戏设备的控制装置
JPS61294940A (ja) 2本電線による電力供給及び通信装置
KR101696245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장치
JPH07221679A (ja) 差動信号伝送システムの断線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