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372B1 - 루프 방식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루프 방식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372B1
KR102275372B1 KR1020200032734A KR20200032734A KR102275372B1 KR 102275372 B1 KR102275372 B1 KR 102275372B1 KR 1020200032734 A KR1020200032734 A KR 1020200032734A KR 20200032734 A KR20200032734 A KR 20200032734A KR 102275372 B1 KR102275372 B1 KR 102275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signal
master transmission
por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월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20003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involving a common line for all pa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루프 방식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는 마스터 송신 포트 및 마스터 수신 포트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터폰 장치로 데이터 송신 시에 마스터 송신 포트에 로우(low) 레벨의 마스터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마스터 제어부와, 마스터 송신 포트에 로우 레벨의 마스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송신부와, 출력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인터폰 장치에 송신하는 인터폰 연결부 및 인터폰 장치와의 루프(loop) 형성 여부를 감지하는 루프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루프 방식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TATION BASED ON LOOP TYPE}
루프 방식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에 기반한 인터폰 시스템에서 주 장치와 인터폰 장치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동 주택에 설치되는 인터폰 장치는 IP(internet protocol) 방식의 제품이 주로 설치되어, 공동 현관의 출입제어, 주차차단 및 생활정보 제공 등의 다양한 편의/보안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오래된 공동 주택의 경우에는 대부분 루프(loop)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loop + dual tone multi frequency) 방식의 인터폰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통신 방식의 한계로 인해 IP 방식에서 제공되는 편의/보안 기능들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구체적으로, 주 장치(main device)와 인터폰 장치간의 통신 수행 시, 루프 방식은 인터폰 장치에서 송수화기를 들었거나 내려놓는 동작에 따른 루프의 온/오프(on/off)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 외에는 다른 통신 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며, 루프 및 DTMF 방식의 경우에도 루프의 온/오프와 인터폰 장치의 다이얼 조작을 통해 발생되는 DTMF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 외에는 다른 통신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은 인터폰 장치에서 주 장치로 신호를 주기만 하는 일방통행의 통신 방식으로, 주 장치에서 인터폰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지는 못한다.
물론, 주 장치와 인터폰 장치간에 통신 방식을 ASK(amplitude shift keying) 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경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제품 비용이 많이 상승하고, 이미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으로 구축된 환경에서 기존 제품과 호환성 문제로 인해 기존 제품을 호환이 되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72241호, "다세대 인터폰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050823호, "도어폰 연동 감시 장치,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본 발명은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에 기반하는 기존의 인터폰 장치와 호환되어 장치에 대한 교체 소요없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에 기반하는 인터폰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는 마스터 송신 포트 및 마스터 수신 포트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터폰 장치로 데이터 송신 시에 마스터 송신 포트에 로우(low) 레벨의 마스터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마스터 제어부와, 마스터 송신 포트에 로우 레벨의 마스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송신부와, 출력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인터폰 장치에 송신하는 인터폰 연결부 및 인터폰 장치와의 루프(loop) 형성 여부를 감지하는 루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송신부는 마스터 송신 포트에 하이(high)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송신부는 이미터 단자를 통해 전원전압 라인과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를 통해 출력 노드와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베이스 단자를 통해 마스터 송신 포트와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를 통해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와, 콜렉터 단자를 통해 출력 노드와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입력 단자를 통해 마스터 송신 포트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를 통해 제3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연결되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송신부는 인버터 및 제3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기초하여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하고,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기초하여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인터폰 연결부는 출력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인터폰 장치에 송신하고, 인터폰 장치로부터 송신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루프 감지부는 베이스 단자를 통해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수신한 피드백 신호에 대응되는 제4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통해 마스터 수신 포트에 마스터 수신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통신 장치는 인터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감지하는 DTMF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인터폰 장치는 송신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연결부 및 수신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에 기초한 제1 포토 커플러의 동작에 대응하여 슬레이브 수신 신호를 생성하고, 슬레이브 수신 포트에 생성된 슬레이브 수신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인터폰 장치는 슬레이브 송신 포트 및 슬레이브 수신 포트를 구비하고, 인터폰 연결부로 데이터 송신 시에 슬레이브 송신 포트에 로우 레벨의 슬레이브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슬레이브 제어부 및 인가된 로우 레벨의 슬레이브 제어 신호에 기초한 제2 포토 커플러의 동작에 대응하여 루프를 형성하는 루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마스터 송신 포트 및 마스터 수신 포트를 구비하는 마스터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터폰 장치로 데이터 송신 시에 마스터 송신 포트에 로우(low)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마스터 송신 포트에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데이터 송신부에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인터폰 연결부에서 출력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인터폰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루프 감지부에서 인터폰 장치와의 루프(loop) 형성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루프 형성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마스터 제어부에서, 마스터 송신 포트에 하이(high)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데이터 송신부에서 마스터 송신 포트에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인터폰 연결부에서 출력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인터폰 장치에 송신하고, 인터폰 장치로부터 송신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베이스 단자를 통해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루프 감지부에서 수신한 피드백 신호에 대응되는 제4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통해 마스터 수신 포트에 마스터 수신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에 기반하는 기존의 인터폰 장치와 호환되어 장치에 대한 교체 소요없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에 기반하는 인터폰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 중에서 루프의 형성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예들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100)는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에 기반하는 기존의 인터폰 장치와 호환되어 인터폰 장치에 대한 교체 소요없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인터폰 장치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 장치(100)는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에 기반하는 인터폰 시스템과 호환이 가능한 주 장치 또는 교환기일 수 있다.
또한, 인터폰 장치는 공동 주택에 구비되는 세대 인터폰, 세대 비디오폰, 월패드, 로비폰, 공동현관 로비폰, 경비실 인터폰 및 경비폰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공동 주택에는 보안 이슈로 인해 로비에 외부인의 출입을 차단할 목적으로 출입문 개폐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나,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에 기반하는 인터폰 시스템에서는 통신 방식의 한계로 인해 출입문 개폐장치를 제대로 제어할 수가 없어 인터폰 시스템 전체를 교체하는 일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스템 교체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에 기반하는 인터폰 시스템과 호환되어 인터폰 장치와 상호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100)를 제공함으로써, IP 방식에 기반하는 인터폰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기능들을 모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용 절감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장치(100)와 인터폰 장치간의 통신을 통해 세대 인터폰에서 통화를 할 때 상대방의 CID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로비폰에서 세대의 비밀번호로 문을 열 수 있는 기능, 세대에 비상상황이 발생시 경비실로 통보하는 방범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방향 통신을 통해 데이터 통신 장치(100)에서 인터폰 장치로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통신 장치(100)는 마스터 제어부(110), 데이터 송신부(120), DTMF 신호 감지부(130), 루프 감지부(140) 및 인터폰 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제어부(110)는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 및 마스터 수신 포트 MASTER_RXD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터폰 장치로 데이터 송신 시에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에 로우(low) 레벨의 마스터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터 제어부(110)는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 및 마스터 수신 포트 MASTER_RXD를 구비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제어부(110)는 대기 상태 시에는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 및 마스터 수신 포트 MASTER_RXD를 하이(high) 레벨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인터폰 장치로 송신할 데이터가 입력되면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에 로우 레벨의 마스터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제어부(110)는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면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를 다시 하이 레벨로 변경하여 대기 상태로 재진입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제어부(110)는 대기 상태에서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를 하이 레벨의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이하에서 도 2를 통해 설명하는 인터폰 장치의 루프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인터폰 장치의 슬레이브 수신 포트의 상태를 확인하여 인터폰 장치와의 케이블 단선 및 에러 유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부(120)는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에 로우 레벨의 마스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송신부(120)는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에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데이터 송신부(120)는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를 통해 인가되는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마스터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송신부(120)는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 대기 상태 시에 데이터 통신 장치(100)와 인터폰 장치간의 루프(loop) 형성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출력 노드(N)를 통해 인터폰 연결부(150)로 출력되는 마스터 송신 신호의 레벨을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를 통해 인가되는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 보다 높은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송신부(120)는 제1 트랜지스터 Q101, 제2 트랜지스터 Q102, 제3 트랜지스터 Q103 및 인버터 U101-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트랜지스터 Q101는 NPN형 트랜지스터이고, 제2 트랜지스터 Q102 및 제3 트랜지스터 Q103는 PNP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트랜지스터 Q101는 이미터 단자를 통해 전원전압 라인과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를 통해 출력 노드(N)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트랜지스터 Q102는 베이스 단자를 통해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와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를 통해 제1 트랜지스터 Q101의 베이스 단자와 연결되며, 이미터 단자를 통해 접지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트랜지스터 Q103은 콜렉터 단자를 통해 출력 노드(N)와 연결되고, 이미터 단자를 통해 접지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U101-A는 입력 단자를 통해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를 통해 제3 트랜지스터 Q103의 베이스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송신부(120)는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에 로우 레벨의 마스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인버터 U101-A 및 제3 트랜지스터 Q103의 동작에 기초하여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신부(120)는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에 하이 레벨의 마스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제1 트랜지스터 Q101 및 제2 트랜지스터 Q102의 동작에 기초하여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폰 연결부(150)는 데이터 송신부(120)에서 출력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인터폰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터폰 연결부(150)는 마스터 제어부(11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대응되는 인터폰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폰 연결부(150)는 인터폰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포트 및 인터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포트를 구비하는 커넥터 CN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인터폰 연결부(150)는 데이터 송신부(120)에서 출력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인터폰 장치에 송신하고, 인터폰 장치로부터 송신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폰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피드백 신호는 인터폰 장치에서 루프가 형성(on 상태)되었을 때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가 인터폰 장치 내의 내부 회로를 거쳐 다시 인터폰 연결부(150)로 피드백되는 신호로서, 인터폰 장치 내에서 루프의 미형성 상태(off 상태)일 때는 피드백 신호가 연결부(150)로 미인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감지부(140)는 인터폰 장치와의 루프(loop) 형성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루프 감지부(140)는 인터폰 장치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인터폰 장치와의 루프 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감지 신호(마스터 수신 신호)를 마스터 제어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루프 감지부(140)는 인터폰 연결부(150)와 접지 라인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 R102, 캐패시터 C102 및 제4 트랜지스터 Q1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트랜지스터 Q104는 이미터 단자를 통해 접지 라인과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를 통해 마스터 수신 포트 MASTER_RXD와 연결되며, 베이스 단자를 통해 인터폰 연결부(150)와 연결되어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루프 감지부(140)는 수신한 피드백 신호에 대응되는 제4 트랜지스터 Q104의 동작을 통해 마스터 수신 포트 MASTER_RXD에 마스터 수신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 트랜지스터 Q104는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에는 미동작 상태를 유지하다가 피드백 신호가 베이스 단자를 통해 입력되면 동작하여 하이 레벨로 대기 중인 마스터 수신 포트 MASTER_RXD를 로우 레벨로 변경(로우 레벨의 마스터 수신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마스터 제어부(110)는 마스터 수신 포트 MASTER_RXD의 전압 레벨의 변화를 통해 루프 형성 및 인터폰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여부를 최종 판단할 수 있다.
한편, DTMF 신호 감지부(130)는 인터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TMF 신호 감지부(130)는 트랜스 T101, 캐패시터 C101 및 캐패시터 C101와 DTMF 송신 라인(MASTER_TALK)을 통해 연결되는 DTM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DTMF 수신기를 통해 인터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DTMF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말해, 도 2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인터폰 장치에 관한 구현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이후 도 2를 통해 설명하는 내용 중 도 1을 통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폰 장치(200)는 슬레이브 제어부(210), 데이터 수신부(220), 루프 제어부(230) 및 장치 연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연결부(240)는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장치 연결부(240)는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 연결부(240)는 데이터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포트 및 데이터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포트를 구비하는 커넥터 CN2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220)는 브릿지 정류회로 D201, 복수의 저항 R201, R202 및 R203, 캐패시터 C201, 제1 포토 커플러 PC201-A 및 PC201-B, 인버터 U201-A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부(220)는 장치 연결부(240)를 통해 수신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에 기초한 제1 포토 커플러 PC201-A 및 PC201-B의 동작에 대응하여 슬레이브 수신 신호를 생성하고, 슬레이브 수신 포트 SLAVE_RXD에 생성된 슬레이브 수신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가 수신되면 브릿지 정류회로 D201, 복수의 저항 R202, R203, 캐패시터 C201, 제1 포토 커플러의 발광 소자 PC201-B 및 수광 소자 PC201-A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제1 포토 커플러의 수광 소자 PC201-A의 콜렉터 단자는 저항 R201에 의해 하이 레벨로 동작하여 인버터 U201-A에 하이 레벨의 입력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즉, 인버터 U201-A는 하이 레벨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므로, 슬레이브 수신 포트 SLAVE_RXD를 통해 로우 레벨의 슬레이브 수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슬레이브 수신 포트 SLAVE_RXD를 통해 인가된 로우 레벨의 슬레이브 수신 신호는 슬레이브 제어부(210)로 입력될 수 있으며, 슬레이브 제어부(210)는 입력되는 로우 레벨의 슬레이브 수신 신호를 시작 비트(start bit)로 판단하여 데이터 수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통신 장치에서 데이터 송신 시, 슬레이브 수신 포트 SLAVE_RXD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동작을 반복하여 출력하고, 슬레이브 제어부(210)는 슬레이브 수신 포트 SLAVE_RXD의 반복 출력 동작에 기초한 입력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브릿지 정류회로 D201는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레벨의 양의 전압(positive voltage) 및 음의 전압(negative voltage)을 출력하며, 데이터 송신 장치의 커넥터 CN101에 구비된 제1 내지 제2 포트와, 장치 연결부(240)의 커넥터 CN201에 구비된 제1 내지 제2 포트의 케이블 결선 순서가 바뀌어도 동작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가 수신되면 브릿지 정류회로 D201, 복수의 저항 R202, R203, 캐패시터 C201, 제1 포토 커플러의 발광 소자 PC201-B 및 수광 소자 PC201-A가 동작하므로, 제1 포토 커플러의 수광 소자 PC201-A의 콜렉터 단자는 로우 레벨을 유지하여 인버터 U201-A에 로우 레벨의 입력 신호를 인가될 수 있다.
즉, 인버터 U201-A는 로우 레벨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므로, 슬레이브 수신 포트 SLAVE_RXD를 하이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제어부(210)는 슬레이브 송신 포트 SLAVE_TXD 및 슬레이브 수신 포트 SLAVE_RXD를 구비하고,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의 인터폰 연결부로 데이터 송신 시에 슬레이브 송신 포트 SLAVE_TXD에 로우 레벨의 슬레이브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레이브 제어부(210)는 슬레이브 송신 포트 SLAVE_TXD 및 슬레이브 수신 포트 SLAVE_RXD를 구비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제어부(110)는 대기 상태 시에는 슬레이브 송신 포트 SLAVE_TXD 및 슬레이브 수신 포트 SLAVE_RXD를 하이 레벨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 장치로 송신할 데이터가 입력되면 슬레이브 송신 포트 SLAVE_TXD에 로우 레벨의 슬레이브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제어부(210)는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면 슬레이브 송신 포트 SLAVE_TXD를 다시 하이 레벨로 변경하여 대기 상태로 재진입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제어부(230)는 슬레이브 제어부(210)로부터 인가된 로우 레벨의 슬레이브 송신 제어 신호에 기초하는 제2 포토 커플러 PC202-A 및 PC202-B의 동작에 대응하여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루프 제어부(230)는 로우 레벨의 슬레이브 송신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포토 커플러의 발광 소자 PC202-B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포토 커플러의 발광 소자 PC202-B의 제어를 통한 제2 포토 커플러의 수광 소자 PC202-A의 동작에 기초하여 루프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포토 커플러의 발광 소자 PC202-B는 슬레이브 송신 포트 SLAVE_TXD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이 로우 레벨인 경우에 온(on) 상태가 되고,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오프(off)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루프 제어부(230)는 제2 포토 커플러 PC202-A 및 PC202-B의 동작에 따라 데이터 통신 장치와 연결된 라인을 인터폰 장치(200)의 내부 회로와 분리(isolation)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루프 제어부(230)에 구비된 브릿지 정류회로 D202는 장치 연결부(240)를 통해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레벨의 양의 전압 및 음의 전압을 출력하며, 데이터 송신 장치의 커넥터 CN101에 구비된 제1 내지 제2 포트와, 장치 연결부(240)의 커넥터 CN201에 구비된 제1 내지 제2 포트의 케이블 결선 순서가 바뀌어도 동작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루프 제어부(230)에 구비된 N채널 트랜지스터(N-channel FET) Q201, 저항 R205 및 R206, 제2 포토 커플러의 수광 소자 PC202-A는 루프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데, 제2 포토 커플러의 발광 소자 PC202-B가 온 상태가 되면 저항 R206, 제2 포토 커플러의 수광 소자 PC202-A가 도통하여 N채널 트랜지스터 Q201의 게이트에 전압을 공급하며, 이를 통해 N채널 트랜지스터 Q201를 동작시킬 수 있다.
N채널 트랜지스터 Q201가 온 상태가 되어 동작하게 되면, 브릿지 정류회로 D202가 저항 R205의 루프 저항 값만큼 전류가 흘러 루프의 온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제2 포토 커플러의 발광 소자 PC202-B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제2 포토 커플러의 수광 소자 PC202-A가 동작할 수 없으므로 루프의 오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루프 제어부(230)는 트랜스 T201, 캐패시터 C202 및 캐패시터 C202과 DTMF 송신 라인(SLAVE_TALK)을 통해 연결되는 DTMF 송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DTMF 송신기를 통해 데이터 통신 장치로 DTMF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말해, 도 3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후 도 3을 통해 설명하는 내용 중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마스터 송신 포트 및 마스터 수신 포트를 구비하는 마스터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터폰 장치로 데이터 송신 시에 마스터 송신 포트에 로우(low)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3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마스터 송신 포트에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데이터 송신부에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데이터 송신부는 제1 트랜지스터 Q101, 제2 트랜지스터 Q102, 제3 트랜지스터 Q103 및 인버터 U101-A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트랜지스터 Q101는 이미터 단자를 통해 전원전압 라인과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를 통해 출력 노드(N)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트랜지스터 Q102는 베이스 단자를 통해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와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를 통해 제1 트랜지스터 Q101의 베이스 단자와 연결되며, 이미터 단자를 통해 접지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트랜지스터 Q103은 콜렉터 단자를 통해 출력 노드(N)와 연결되고, 이미터 단자를 통해 접지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U101-A는 입력 단자를 통해 마스터 송신 포트 MASTER_TXD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를 통해 제3 트랜지스터 Q103의 베이스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3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인터폰 연결부에서 출력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인터폰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34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루프 감지부에서, 인터폰 장치와의 루프(loop) 형성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 중에서 루프의 형성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말해, 도 4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의 340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4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마스터 제어부에서, 마스터 송신 포트에 하이(high)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4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데이터 송신부에서, 마스터 송신 포트에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4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인터폰 연결부에서, 출력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인터폰 장치에 송신하고, 인터폰 장치로부터 송신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44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베이스 단자를 통해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루프 감지부에서, 수신한 피드백 신호에 대응되는 제4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통해 마스터 수신 포트에 마스터 수신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에 기반하는 기존의 인터폰 장치와 호환되어 장치에 대한 교체 소요없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루프 방식 또는 루프 및 DTMF 방식에 기반하는 인터폰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데이터 통신 장치 110: 마스터 제어부
120: 데이터 송신부 130: DTMF 신호 감지부
140: 루프 감지부 150: 인터폰 연결부

Claims (11)

  1. 마스터 송신 포트 및 마스터 수신 포트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터폰 장치로 데이터 송신 시에 상기 마스터 송신 포트에 로우(low) 레벨의 마스터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마스터 제어부;
    상기 마스터 송신 포트에 상기 로우 레벨의 마스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송신부;
    상기 인터폰 장치에 구비된 제2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출력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상기 인터폰 장치에 송신하는 인터폰 연결부 및
    상기 인터폰 장치와의 루프(loop) 형성 여부를 감지하는 루프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폰 장치는,
    상기 제2 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마스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결선 순서가 바뀌어도 상기 인터폰 장치가 정상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1 브릿지 정류회로 및 제2 브릿지 정류회로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마스터 송신 포트에 하이(high)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이미터 단자를 통해 전원전압 라인과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를 통해 출력 노드와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베이스 단자를 통해 상기 마스터 송신 포트와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를 통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
    콜렉터 단자를 통해 상기 출력 노드와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마스터 송신 포트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연결되는 인버터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인버터 및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 연결부는,
    상기 출력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상기 인터폰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인터폰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감지부는,
    베이스 단자를 통해 상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피드백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제4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통해 상기 마스터 수신 포트에 마스터 수신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감지하는 DTMF 신호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 장치는,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송신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연결부 및
    상기 제1 브릿지 정류회로를 통해 상기 수신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 받은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에 기초한 제1 포토 커플러의 동작에 대응하여 슬레이브 수신 신호를 생성하고, 슬레이브 수신 포트에 상기 생성된 슬레이브 수신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수신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 장치는,
    슬레이브 송신 포트 및 상기 슬레이브 수신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폰 연결부로 데이터 송신 시에 상기 슬레이브 송신 포트에 로우 레벨의 슬레이브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슬레이브 제어부 및
    상기 제2 브릿지 정류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가된 로우 레벨의 슬레이브 제어 신호에 기초한 제2 포토 커플러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루프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10. 마스터 송신 포트 및 마스터 수신 포트를 구비하는 마스터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터폰 장치로 데이터 송신 시에 상기 마스터 송신 포트에 로우(low)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송신 포트에 상기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데이터 송신부에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인터폰 장치에 구비된 제2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인터폰 연결부에서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출력된 로우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상기 인터폰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루프 감지부에서, 상기 인터폰 장치와의 루프(loop) 형성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폰 장치는,
    상기 제2 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마스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결선 순서가 바뀌어도 상기 인터폰 장치가 정상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1 브릿지 정류회로 및 제2 브릿지 정류회로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형성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제어부에서, 상기 마스터 송신 포트에 하이(high)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상기 마스터 송신 포트에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인터폰 연결부에서, 상기 출력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를 상기 인터폰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인터폰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된 하이 레벨의 마스터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베이스 단자를 통해 상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상기 루프 감지부에서, 상기 수신한 피드백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제4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통해 상기 마스터 수신 포트에 마스터 수신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200032734A 2020-03-17 2020-03-17 루프 방식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5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734A KR102275372B1 (ko) 2020-03-17 2020-03-17 루프 방식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734A KR102275372B1 (ko) 2020-03-17 2020-03-17 루프 방식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372B1 true KR102275372B1 (ko) 2021-07-09

Family

ID=7686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734A KR102275372B1 (ko) 2020-03-17 2020-03-17 루프 방식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3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100A (ko) * 1993-12-30 1995-07-26 이동우 경비 시스템의 센서루프 검출회로
KR100772241B1 (ko) 2006-01-03 2007-11-01 (주) 코콤 다세대 인터폰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20100098136A (ko) * 2009-02-27 2010-09-06 이강호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KR101050823B1 (ko) 2011-04-04 2011-07-21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도어폰 연동 감시 장치,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KR20150040637A (ko) * 2013-10-07 2015-04-15 한국공항공사 전화기를 이용한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100A (ko) * 1993-12-30 1995-07-26 이동우 경비 시스템의 센서루프 검출회로
KR100772241B1 (ko) 2006-01-03 2007-11-01 (주) 코콤 다세대 인터폰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20100098136A (ko) * 2009-02-27 2010-09-06 이강호 마스터 슬레이브 통신 시스템
KR101050823B1 (ko) 2011-04-04 2011-07-21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도어폰 연동 감시 장치,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KR20150040637A (ko) * 2013-10-07 2015-04-15 한국공항공사 전화기를 이용한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4403B2 (en) Security system control module
US6633781B1 (en) Home appliance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04021664A8 (en) Method, gateway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device in a public network and a device in an internal network
WO2019198132A1 (ja) 音声認識デバイス、音声認識デバイスの連携システム、及び音声認識デバイスの連携方法
KR200188053Y1 (ko) 전력선 통신 랜 장치
KR20180122839A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폰 시스템
KR101734462B1 (ko) 주차설비 원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275372B1 (ko) 루프 방식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US7003084B2 (en) Telephone-controlled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64029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출입관리 홈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891863A (zh) 楼栋控制机及对讲系统
KR200414563Y1 (ko) 엘리베이터 자동 호출 장치
CN110892744A (zh) 用于网络访问控制的方法和装置
KR100747717B1 (ko)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2530B1 (ko) 자동전환장치를 가지는 공동현관 출입통제 시스템
KR100448705B1 (ko)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메인폰과 서브폰간의 인터페이스회로
KR101631129B1 (ko)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80058925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홈 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6468503B2 (ja) ロビーインターホン、ドアホン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06148801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EP3544276A1 (en) Network-enabled door station extender
KR20190030536A (ko) Rs-485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기반 공동주택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9201061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22600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H0723047A (ja) 構内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