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999B1 -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 Google Patents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999B1
KR100622999B1 KR1020040001670A KR20040001670A KR100622999B1 KR 100622999 B1 KR100622999 B1 KR 100622999B1 KR 1020040001670 A KR1020040001670 A KR 1020040001670A KR 20040001670 A KR20040001670 A KR 20040001670A KR 100622999 B1 KR100622999 B1 KR 10062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ropylene
rubber
diene
rubb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315A (ko
Inventor
김상배
이규엽
Original Assignee
금호폴리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폴리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폴리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999B1/ko
Priority to US11/030,580 priority patent/US7423086B2/en
Publication of KR2005007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EPDM 고무와 결정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접착성 개선제로서 구조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Carbonyl group, -CO)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이 포함되어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극성 고분자 재료와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착성이 향상된 EPDM 고무조성물은 EPDM 고무 100phr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5∼40phr,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10∼30phr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composition improved adhesion property}
도 1은 TEST-2, TEST-4, TEST-6, TEST-9의 ATR-IR 그래프 모양이다.
본 발명은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Ethylene-propylene-diene, EPDM)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EPDM고무와 결정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접착성 개선제로서 구조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Carbonyl group, -CO)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이 포함되어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3개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은 극성기가 부여되어 극성 고분자 재료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킴으로서 고무부품 및 압출물의 도장성 및 융착 특성을 개선시키며, 자동차 분야를 포함하는 산업용 고무부품의 경량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는 주쇄에 이중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비극성 고무 재료로서 뛰어난 내후성과 내오존성, 열적 안정성,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어 자동차 부품을 포함하는 산업용 부품의 용도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일예로 자동차 보디 실링 부품인 창유리 런채널(Window glass run channels), 전/후 유리몰딩(Front/rear glass molding)과 같은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 용도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고무부품 소재이다.
최근 자동차 제조업체는 자동차 부품의 낮은 원가와 경량화 목표에 따라 웨더 스트립 솔리드(Weather strip solid) 등의 고무부품에 대한 경량화를 만족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웨더 스트립 솔리드 압출물의 미세 발포를 통한 고무부품의 경량화를 추구하는 미세 발포성 고무 압출물에 대한 연구도 이에 해당된다.
미세 발포성 고무 압출물은 고무 컴파운드에 열분해 온도가 150∼160℃인 소량의 열분해성 발포제를 투입하여 비중이 0.9∼1.0 범위 내의 미세한 발포 셀(Cell)을 형성시켜 고무부품의 경량화를 이룬다. 동시에 고무 컴파운드에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투입하여 미세 발포로 인한 웨더 스트립 솔리드 압출물의 경도 저하를 보정 및 유지하면서 압출물 표면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웨더 스트립 솔리드 압출물의 비중이 0.9 이하로 떨어질 경우 압출물 표면의 외관미가 불량할 뿐만 아니라 웨더 스트립 솔리드 부품에서 요구하는 적절한 경도 및 강도를 얻기가 힘들다. 또한 비중이 1.0을 초과할 경우 부품의 경량화 취지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비중 조절의 문제점은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컴파운드 과정에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에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와 결정성 폴리올레핀의 두 가지 성분 사이에 존재하는 계면간의 혼화성을 보완 및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의 미세 발포성 고무 압출 방법으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로 자동차 고무부품의 경량화를 추구하고 있지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는 비극성 고무 재료로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 그 응용분야에 많은 제한을 받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는 점착성 및 접착성이 좋지 않아 웨더 스트립 압출 고무부품에 우레탄 코팅과 같은 극성 고분자 재료와의 도장 및 융착 특성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단독으로는 기대 할 수 없다. 따라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의 웨더 스트립 압출물에 대한 우레탄계 코팅제와의 도장을 위해 프라이머 도포 등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처리 과정은 제품 가격의 상승뿐만 아니라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와 극성 고분자 재료와의 점착성, 접착성 및 도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극성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에 극성 열가소성 고분자인 폴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Poly(styrene-co-acrylonitrile, SAN) 또는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와의 혼합(blend)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와 서로 다른 특성의 고분자 재료의 혼합에는 혼화성의 한계가 있으며, 또한 제조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다.
현재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의 혼합에 관한 연구는 기계적 물성과 모폴 로지 변화에 관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소재 자체의 점착성, 접착성 및 도장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EPDM고무와 결정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접착성 개선제로서 구조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CO)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여 극성이 부여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와 극성 고분자 재료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킴으로서 고무부품 및 압출물의 도장성 및 융착 특성을 개선시키며, 자동차 및 산업용 고무부품의 경량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극성 고분자 재료와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조성물은 주재료인 EPDM 고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3성분이 서로 혼화되어 금속의 합금(Alloy)과 유사한 표현으로 상기의 3성분이 포함된 "폴리머 얼로이(polymer alloy)"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착성이 향상된 EPDM 고무조성물은 EPDM 고무와 결정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접착성 개선제로서 구조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CO)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각 성분의 함량은 EPDM 고무 100phr(parts per hundred rubber)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5∼40phr,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10∼30phr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재료인 EPDM 고무는 에틸렌 함량이 55∼70wt%, 디엔(diene) 함량은 2∼9wt%, 잔부의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함량의 조성성분으로 이루어진 EPDM 고무를 적용한바 전술한 수치 범위의 조성성분으로 이루어진 EPDM 고무를 사용시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EPDM 고무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디엔은 5-에틸리덴-2-노르보넨(ENB) 또는 다이시클로펜타디엔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은 비극성 고무인 EPDM 고무에 극성기를 부여하여 비극성 고무와 극성 소재인 고분자 재료와의 혼화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비극성 고무의 도장성과 융착특성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폴리머 얼로이 가공시 각 고분자 상(polymer phase)간의 상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은 종래 카보닐기를 함유한 폴리머와 폴리올레핀을 공지의 중합방법으로 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카보닐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바람직한 일예로서 카르복시산, 말레 인산, 푸마르산, 아클리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코로톤산, 알파-메틸 크로톤산 및 신남산과 이들의 무수물, 에스테르 및 염 유도체, 금속합금 및 비금속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기타 글리시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의 일예로서 분자사슬이 단일 구조로만 이루어진 폴리올레핀에 카보닐기를 2개 함유한 무수말레산(Maleic anhydride)을 폴리올레핀 중량대비 0.5∼7% 그라프트(graft)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PDM 고무에 극성기를 부여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은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EPDM 고무(이하 "변성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라고 약칭함)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EPDM 고무는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주요한 구성성분의 하나인 EPDM 고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PDM 고무 100phr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을 5phr 미만 사용하면 가공공정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어 최종 고무조성물의 극성기 부여가 희박해 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40phr 초과하여 사용하면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의 주재료인 EPDM 고무 본래의 성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에서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는 EPDM 고무 100phr에 대하여 5∼40phr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의 EPDM 고무조성물은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EPDM 고무 단독의 압출물 보다 우수한 표면외관을 이룰 수 있으며 압출속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고무 압출시 일정한 가공온도 내에서 결정성 폴리에틸렌 수지가 가소화 되어 압출물의 표면으로 이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고무조성물에 발포제를 사용하여 고무에 미세 발포셀을 형성시킴으로써 경량화 시킨 고무의 경도 저하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용융지수가 0.3 내지 0.45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일예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같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PP)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결정성 폴리에틸렌은 EPDM 고무 100phr에 대하여 10phr 미만 사용하면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EPDM 고무의 우수한 표면외관을 이룰 수 없으며 압출속도 또한 향상시킬 수 없다. 30phr 초과하여 사용하면 EPDM 고무의 저온특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에서 결정성 폴리에틸렌은 EPDM 고무 100phr에 대하여 10∼30phr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창유리 런채널(Window glass run channels), 전/후 유리몰딩(Front/rear glass molding)과 같은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의 자동차 보디 실링, 타이어의 튜브, 전선, 호스, 벨트 등의 산업용 고무부품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EPDM 고무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EPDM 고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및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이외에 종래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충진제, 활성제, 노화방지제, 공정유, 가류제 및 가류촉진제와 같은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소정의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종래 EPDM 고무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성분으로서 본원발명의 필수 구성성분이 아니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밴버리 혼합기(Banbury Mixer)에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금호폴리켐 KEP-281F)와 결정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crystalline polyethylene, C-PE)를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결정성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융 온도 이하에서 상기 2성분을 혼합한 후 압출기를 통하여 펠렛화 하였다.
다음 단계로 상기 펠렛(pellet) 상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와 결정성 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에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변성 에틸렌-플로필렌-디엔 고무(Modified EPDM)를 용융 혼합하여 완전 상용 상태의 3성분으로 이루어진 TEST-1 내지 TEST-9의 폴리머 얼로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EPDM, 결정성 폴리에틸렌 수지, 변성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는 하기 표 1의 조성비와 같이 첨가하였다.
표 1. 조성비(단위 : phr)
항목 EPDM1) Modified EPDM2) Crystalline PE3)
100 5 10 20 40 20 30
Test-1 o o o
Test-2 o o o
Test-3 o o o
Test-4 o o o
Test-5 o o o
Test-6 o o o
Test-7 o o o
Test-8 o o o
Test-9 o o
1)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금호폴리켐 KEP-281F)
2)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에 카보닐기를 2개 함유한 무수말레산을 EPDM고무 중량 대비 5% 그라프트(graft) 중합시켜 얻은 변성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3)용융지수가 0.4인 결정성 폴리에틸렌
상기 표 1의 TEST-1 내지 TEST-9의 조성비로 제조한 폴리머 얼로이의 표면으로부터 0.25∼1.54㎛의 깊이까지 ATR-IR(Attenuated Total Reflectance Infrared Spectroscope)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극성그룹인 카보닐 그룹(Carbonyl Group, -C=O)의 IR 특성피크는 1700cm-1 부근에서 나타났으며, ATR-IR의 측정깊이는 약 0.9㎛ 정도이다.
한편 TEST-2, TEST-4, TEST-6, TEST-9 조성의 폴리머 얼로이의 ATR-IR 그래프 모양을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2. 표면조성 분설결과(-C=O 특성피크 1700cm-1)
unit Test-1 Test-2 Test-3 Test-4
EPDM phr 100 100 100 100
Modified EPDM 5 10 20 40
Crystalline PE 20 20 20 20
Absorbance % 0.21 0.54 0.51 0.50
unit Test-5 Test-6 Test-7 Test-8 Test-9
EPDM phr 100 100 100 100 100
Modified EPDM 5 10 20 40 0
Crystalline PE 30 30 30 30 30
Absorbance % 0.28 0.46 0.58 0.55 0.00
상기 표 1,2 및 도 1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에 카보닐기를 포함하는 변성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를 가함으로써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조성물의 표면에 극성의 카보닐기(Carbonyl Group, -C=O)를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1,2 및 도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표면의 카보닐 그룹의 분포는 변성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와 결정성 폴리에틸렌 수지의 조성비와 연관성이 있다. 동일 함량의 결정성 폴리에틸렌 수지 하에서 변성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의 함량이 증가하더라도 극성 그룹인 카보닐 그룹이 조성물 표면으로의 이행은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결정성 폴리에틸렌 수지의 흐름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고분자 얼로이의 조성 및 모폴로지 조절, 그리고 가공조 건에 따라 고분자 얼로이 표면의 극성그룹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TEST-2, TEST-4, TEST-6, TEST-8, TEST-9 각각의 조성성분에 산화아연 5phr, 스테아린산 1phr, 카본블랙(FEF) 140phr, 프로세스 오일 90phr, 폴리에틸렌글리콜(PEG) 2phr, 산화칼슘 5phr, 가황촉진제 7phr, 유황 2phr, 발포제 0.1phr을 밴버리 혼합기(FARREL 4.2 Banbury Mixer, 65 rpm)에 첨가하여 Alloy1∼Alloy5의 고무배합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 Alloy1∼Alloy5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로서 통상의 EPDM을 적용한 것을 각각 비교예 1, 비교예 2로 나타내었다.
표 3. 비교예 및 폴리머 얼로이 조성비(단위: phr)
항목 비교예1 비교예2 Alloy1 Alloy2 Alloy3 Alloy4 Alloy5
EPDM1) 120 - - - - - -
EPDM1) - 120 - - - - -
Test-2 sample - - 120 - - - -
Test-4 sample - - - 120 - - -
Test-6 sample - - - - 120 - -
Test-8 sample - - - - - 120 -
Test-9 sample - - - - - - 120
산화아연 5 5 5 5 5 5 5
스테아린산 1 1 1 1 1 1 1
카본블랙(FEF) 140 140 140 140 140 140 140
프로세스 오일 90 90 90 90 90 90 90
PEG 2 2 2 2 2 2 2
산화칼슘(CaO) 5 5 5 5 5 5 5
가황촉진제2) 7 7 7 7 7 7 7
유황 2 2 2 2 2 2 2
발포제3) - 0.1 0.1 0.1 0.1 0.1 0.1
1)EPDM : 금호폴리켐, KEP-281F
- Mooney viscosity(ML1+8, 125℃) : 83
- Ethylene content : 67.0wt%
- Diene(ENB; 5-Ethylidene-2-norbornene) content : 5.7
2)가황촉진제(Accelerator) : MBT (Mercaptobenzothiazole) 1.5phr, TMTDS (Tetra methyl thiuram disulfide) 2.0phr, DPTT (Dipenta methyl thiuram tetra sulfide) 1.0phr, TeEDC (Tellurium diethyl dithio carbamate) 1.0phr, BZ (ZnBDC ; Zinc di-n-butyl dithio carbamate) 1.5phr
3)발포제(Blowing agent)
- Decomposition Temperature : 130∼160℃
- Gas : N2, 110∼125cc/g
상기에서 제조된 고무배합물의 도장 접착 특성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우레탄 주제를 이용한 코팅실험을 실시하였다. 동시에 상기 비교예 1, 비교예 2, Alloy1∼Alloy5에 대한 미세 발포 특성 부여 후 비중, 경도, 압출속도 및 저온 영구압축 줄음율 측정(표 4 참조)을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과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조성물의 기능성을 명확히 하였다.
이 실험은 웨드 스트립 솔리드 프로파일 컴파운드에 대한 연속 압출시험으로 진행하였으며 세부사항은 하기 (1)∼(5)과 같다.
(1)WEATHER STRIP SOLID PROFILE COMPOUND CONDITIONS
- Compound Formulation: 표 3
- Mixing : FARREL 4.2 Banbury Mixer, 65rpm
- Fill Factor : 75% (NCV 4.24 L)
- Mixing procedure : 130℃, 4'30" Mixing
(2)압출조건
- Twin Extruder 45rpm, HAV Hot Air 220℃
- Die : 단면 폭 20 mm, 두께 1.5mm
- Screw RPM :
(3) 우레탄 코팅 Process
우레탄 주제를 사용하였으며 본 시험에서는 프라이머 도포와 같은 전처리를 배제하였으며 압출 후 가류된 고무 위에 스프레이로 우레탄 및 경화제 도포 실시
( 샘플 시편 100mm로 cutting)
(4) 우레탄 코팅 평가 방법 : 도장 접착성 평가
- 마모시험 : 1Kg의 하중을 가하여 내마모시험(자동차용 Glass 마모지 사용)
- 우레탄 코팅 도포의 두께 측정 (상대평가)
(5) 비중, 경도, 영구압축 줄음율 평가 방법 : JIS K 6301
표 4. 비교예 및 폴리머 얼로이 고무의 특성
항목 도장 접착성 압출특성 물성
마모시험1) 두께 (㎛) 압출속도 (m/min) 표면2) 비중 경도 C-Set(%)3)
비교예1 - - 2.5 B 1.092 70 27
비교예2 - - 2.5 C 0.913 61 27
Alloy1 20 2.9 A 0.921 78 35
Alloy2 18 2.8 A 0.958 76 40
Alloy3 17 3.1 A 0.932 77 51
Alloy4 18 2.8 A 0.982 77 53
Alloy5 - - 2.8 A 0.915 76 30
1) 마모시험 : ◎ 마모없음, ◇ 5㎛ 이하 마모
2) 표면(육안평가) : A > B > C
3) 저온 영구압축 줄음율 : -20℃, 22 시간
상기 실시예의 표 1 내지 표 4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조성물은 극성기인 카보닐기(Carbonyl Group, -C=O)를 함유하고 있어 이러한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와 극성의 고분자 재료와 접착성이 향상되고 고무의 표면 외관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은 극성기가 부여되어 극성 고분자 재료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킴으로서 고무부품 및 압출물의 도장성 및 융착 특성을 개선시켜, 자동차 분야를 포함한 산업용 고무부품의 경량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EPDM고무와 결정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접착성 개선제로서 구조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EPDM고무 100phr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5∼40phr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는 에틸렌 함량이 55∼70wt%, 디엔 함량은 2∼9wt%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보닐기를 함유하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폴리프로필렌(PP)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디엔(diene)은 5-에틸리덴-2-노르보넨(ENB) 또는 다이시클로펜타디엔 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7.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포함하는 산업용 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산업용 부품은 자동차 보디 실링, 타이어의 튜브, 전선, 호스, 벨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임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부품.
KR1020040001670A 2004-01-09 2004-01-09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KR10062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670A KR100622999B1 (ko) 2004-01-09 2004-01-09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US11/030,580 US7423086B2 (en) 2004-01-09 2005-01-06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composition with improved adhesion proper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670A KR100622999B1 (ko) 2004-01-09 2004-01-09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315A KR20050073315A (ko) 2005-07-13
KR100622999B1 true KR100622999B1 (ko) 2006-09-18

Family

ID=3490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670A KR100622999B1 (ko) 2004-01-09 2004-01-09 접착성이 향상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23086B2 (ko)
KR (1) KR100622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727A (ko) 2019-08-09 2021-02-17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사이드월용 고무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0761A1 (en) * 2007-09-28 2009-04-23 Toyoda Gosei Co., Ltd. Door weatherstrip
US20110218055A1 (en) * 2010-03-04 2011-09-08 Sullivan Michael J Rubber cores for golf balls based on ethylene-propylene diene copolymers
US20110218054A1 (en) * 2010-03-04 2011-09-08 Sullivan Michael J Rubber outer covers for golf balls based on ethylene-propylene diene copolymers
US10099090B2 (en) * 2010-03-04 2018-10-16 Acushnet Company Methods for making golf ball covers based on liquid ethylene-propylene diene copolymer rubbers and resulting balls
KR101314213B1 (ko) * 2011-05-19 2013-10-02 피씨케이(주) 이피디엠 고무 접착용 접착제 및 이피디엠 고무 접착방법
JP6040967B2 (ja) * 2014-07-29 2016-12-0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CN106810772A (zh) * 2017-01-13 2017-06-09 浙江峻和橡胶科技有限公司 有机硅改性三元乙丙橡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652449A (zh) * 2017-08-14 2018-02-02 合肥市田源精铸有限公司 一种三元乙丙橡胶改性处理方法
CN110615945A (zh) * 2019-09-25 2019-12-27 山东道恩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高强度粘接橡胶密封条自润滑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1928B1 (en) * 1996-11-15 2001-04-24 Sentinel Products Corp. Polymer articles including maleic anhydride
US6177516B1 (en) * 1999-09-28 2001-01-23 Equistar Chemincals, Lp Adhesives and composite structures formed therewith
KR100468641B1 (ko) * 2001-10-12 2005-01-27 금호폴리켐 주식회사 화학적 개질에 의한 폴리올레핀 탄성체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727A (ko) 2019-08-09 2021-02-17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사이드월용 고무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23086B2 (en) 2008-09-09
KR20050073315A (ko) 2005-07-13
US20050197453A1 (en)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150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US4728692A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US7423086B2 (en)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composition with improved adhesion properties
US7008699B2 (en) Multicomponent thermoset structures
EP0132931B1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0501426B1 (ko) 열가소성엘라스토머및그제조방법
JP2004507602A (ja) 改善された低温特性を有す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
CN111057306B (zh) 一种tpv组合物及其制备方法
IT8024213A1 (it)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composizioni plasto-elastomeriche poliolefiniche, mediante vulcanizzazione dinamica
GB2161490A (en) Propylene-ethylene copolymer base resin composition for molding purposes
JP2017025315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成形体及び自動車用部品
US739389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EP1306405B1 (en) 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 composition
NL2009869C2 (en) Polymer composition and moulded articles thereof.
JP2003012878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成形体
CN114144457A (zh) 热塑性弹性体组合物,以及接合构件及其制造方法
JPH06136205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表皮シート
KR20190074775A (ko)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9980067272A (ko) 자동차 외장재용 복합 탄성수지 조성물
JP2005171190A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該組成物からなる自動車用モール
KR20220068014A (ko) 용융 장력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564662B2 (ko)
JP2002088164A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成形品、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H0576973B2 (ko)
JP2002087054A (ja) 車両の窓枠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