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321B1 - 2개의 부품을 밀봉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및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 Google Patents

2개의 부품을 밀봉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및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321B1
KR100622321B1 KR1020027008489A KR20027008489A KR100622321B1 KR 100622321 B1 KR100622321 B1 KR 100622321B1 KR 1020027008489 A KR1020027008489 A KR 1020027008489A KR 20027008489 A KR20027008489 A KR 20027008489A KR 100622321 B1 KR100622321 B1 KR 100622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coupling
bore
stop surfac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228A (ko
Inventor
피스쳐스티븐에이
스테인마이클에이
쿠베쉬제프리씨
에드런드토드제이
도노호제임스
소더스트로에릭
스토익마이클
Original Assignee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2006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without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09Securing cup or tube between axially extending concentric annuli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Valve Housing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heck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플루오로폴리머 밸브 본체 및 플루오로폴리머 매니폴드와 같은 부품 사이를 밀봉하거나 또는 관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이상적인 커플링은, 밀봉 표면을 한정하기 위한 상기 부품의 구조물을 이용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커플링은, 또한 노즈라고 불리는 수 돌출부, 오목한 암 수용부, 및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고정 수단은, 수 돌출부의 대응하는 나사부와 결합하기 위한 내부 나사면을 갖는다. 수 돌출부는, 일반적으로 외부 표면, 주 밀봉 표면, 제 1 정지 표면,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 및 유체 유동 덕트를 구비하는 수렴하는 둥근 원뿔대로서 형성된다. 유체 유동 덕트는 동심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는, 원형 둘레, 내향 돌출 환상링, 제 1 상호작용 정지 표면, 제 2 정지 표면, 및 유체 유동 덕트를 갖는다. 오목부의 유체 유동 덕트는, 유체 유동의 연속적인 보어를 형성하기 위해, 수 돌출부의 유체 유동 덕트와 상호작용하도록 형성된다. 수 돌출부는 주 밀봉 표면과 환상 밀봉링을 접하게 함으로써 밀봉을 형성한다.

Description

2개의 부품을 밀봉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및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A COUPLING FOR SEALINGLY CONNECTING TWO COMPONENTS AND A FLUOROPOLYMER COUPLING}
본 발명은 유체 유동 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산업 및 많은 응용들은 중요한 유체 유동을 취급 및 제어하기 위해 금속관, 끼워맞춤장치, 및 다양한 다른 "배관" 부품을 이용한다. 이러한 부품은 구리, 스테인레스강, 및 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취급되는 유체가 상당한 압력하에 있게 되거나 또는 구속성이 중요한 경우, O-링 및 가요성 납작 개스킷과 같은 밀봉물이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반도체 공정과 같은 특정 응용에서는, 관계된 유체의 반응은 금속 부품 및 종래의 개스킷 및 탄성중합체의 O-링의 사용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업에서, 배관 부품은, 젖은 부품을 위해 플루오로폴리머, 즉 PFA 및 PTFE와 같은 고불활성 물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응용에서, 탄성중합체 O-링은 통상적으로, 플루오로중합체 코팅 내에 봉입된 규소와 같은 첫번째로 전형적인 탄성중합 물질과 함께 두개의 물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O-링은 비싸며 품질이 저하되기 쉽고 통상적으로 단일 사용이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O-링을 이용하지 않는 플루오로폴리머 부품 사이의 연결을 위해, 플루오르폴리머에 기초한 다양한 끼워맞춤장치(fitting) 및 커플링이 발달해 왔다. 도 1 의 종래 기술을 참조하면, 하나의 통상적인 유형의 끼워맞춤장치는 FLARETEK
Figure 112004039020248-pct00023
끼워맞춤장치로서 산업 분야에서 잘 공지되어 있다. FLARETEK은 본 특허 출원의 양수인인 플르오르웨어 잉크사(Fluoroware, Inc.)의 등록상표이다. 상기 끼워맞춤장치(30)에서, 나사가공된 목(neck)(34)을 갖는 테이퍼진 연장 노즈부(32)는, 상기 노즈부 위로 끼워맞추어지도록 벌려진 관형 단부(36) 내에서 결합한다. 플레어 부분(38)은, 노즈 부분(32)의 외부 원통형 표면(42)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내부 원통형 표면(40)을 구비한다. 그리하여, 노즈 부분은 상기 플레어 부분(38)속으로 "끼워넣어(telescope)" 진다. 끼워맞춤 본체와 관 부분의 플레어 부분 사이에서 밀봉물(46)을 형성하면서, 너트(44)는 플레어 부분을 노즈 부분위에서 조인다. 상기 관의 플레어 단부는, 상기 관을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단련가능한 관 단부를 강 형상을 이용하여 원하는 플레어 형상으로 형상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다양한 다른 유형의 플루오로폴리머 끼워맞춤장치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일부는 별도의 그리퍼(gripper) 부분 또는 내부 페룰(ferrules)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3,977,708 호 및 제 4,848,802 호를 참조한다. 플루오로폴리머 밸브와 플루오로폴리머 매니폴드와 같은 부품 사이의 결합을 위해, 상기 부품 사이의 일체적 밀봉은 개스킷 또는 플루오로폴리머가 덮혀진 O-링에 의해 전형적으로 이루어진다. 특정 예에서는 O-링 또는 개스킷 없이 환상 텅-인-그루브(tongue-in-groove)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용되었다. 이러한 연결은 정확히 연결되어야 하는, 즉 0.0005 인치의 공차를 가져야 하는 결점을 가지며, 결합 부분을 적절히 배열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그러한 연결은 상기 연결의 일체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흠과 자국을 일으키기 쉽다. 이러한 텅-인-그루브 끼워맞춤장치는 미국특허 제 5,645,301 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3,977,708 호, 제 4,848,802 호 및 제 5,645,301 호는 본원에 참고로 하고 있다.
플루오로폴리머 밸브 본체 및 플루오로폴리머 매니폴드와 같은 부품 사이의 밀봉 또는 관 단부 부분의 연결을 위해 이상적으로 적합한 커플링은, 상기 밀봉 표면을 한정하는 상기 부품 상의 구조물을 이용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커플링은 노즈로도 불리는 수 돌출부, 오목한 암 수용부, 및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고정 수단은, 수 돌출부의 대응하는 나사부와 결합하기 위한 내부 나사면을 갖는다. 수 돌출부는 일반적으로, 외부 표면, 주 밀봉 표면, 제 1 정지 표면,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 및 유체 유동 덕트를 구비하는 수렴성 둥근 원뿔대 형상이다. 유체 유동 덕트는 동심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는 원형 둘레, 내부 돌출 환상링, 제 1 상호작용 정지 표면, 제 2 정지 표면, 및 유체 유동 덕트를 갖는다. 오목부의 유체 유동 덕트는, 유체 유동을 위한 연속적인 보어를 형성하기 위해 수 돌출부의 유체 유동 덕트와 상호작용하도록 형성된다. 수 돌출부는 주 밀봉 표면과 환상 밀봉링을 접하게 함으로써 밀봉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형태의 유리한 점 및 특징은, 다른 공지의 부품 사이의 밀봉 장치보다 덜 세밀한 공차로 보다 쉽게 수 돌출부가 제조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형태의 또 다른 유리한 점 및 특징은, 밀봉 부품이 자동중심적(self-centering)이고, 이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형태의 또 다른 유리한 점 및 특징은, 베이스 사이의 접촉에 의해 확고한 정지가 제공되어 나사의 추가적인 토크에 의하여도 밀봉부의 밀봉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정지 표면의 접촉 지점에는 환상링의 최적한 압축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점 및 특징은, 밀봉 표면의 부하가 결합 방향으로부터 오프셋된 각도로 작용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효과적인 밀봉을 위해 상기 부품 사이의 압축 신뢰성을 감소시킨다.
도 1은 종래의 플레어 끼워맞춤 커플링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매니폴드 및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밸브 매니폴드 및 밸브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밸브 매니폴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 돌출부 및 이에 대응하는 오목한 암 수용부의 상세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오목한 암 수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한 도 5의 수 돌출부의 상세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오목한 암 수용부와 완전히 결합한 도 5의 수 돌출부의 상세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은 2개의 관형부를 밀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커플링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2개의 주 밀봉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플링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수단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포트 커플링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선 A-A를 따른 도 13의 측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상세한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포트 커플링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이중 포트 커플링 단면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선 B-B를 따른 도 17의 측횡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이중 포트 커플링 단면의 저면도이다.
도 20은 선 C-C를 따른 도 19의 측횡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5의 커플링의 오목한 암 수용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커플링은, 관형 파이프 부분을 연결하기 위해 2개의 관형 파이프 부분을 밸브 또는 매니폴드와 같은 물품에, 또는 밸브를 매니폴드에 연결하는 등의 다양한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 3 및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매니폴드(52)에 장착된 밸브(5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밸브(50)는 종래 공압으로 작동되는 다이어프램 밸브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유체 입구(54)와 유체 출구(56)로 표시된 두개의 유동 덕트를 구비하고 있다. 명백히, 유체 유동은 둘중 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매니폴드(52)는 실질적으로 유체 유동 통로(58)가 블록(51)을 통해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록 매니폴드(52)는 산업에서 공지된 FLARETEK
Figure 112004039020248-pct00024
형 커플링(60)과 보어(58)에서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각 밸브 입구는 FLARETEK
Figure 112004039020248-pct00025
연결부(60)에 의해 관에 적절히 부착될 수 있다. 매니폴드(52)의 밸브(50)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커플링(61)에 의해 블록(51)에 교대로 연결되며 나사와 너트 등의 고정 수단(59)에 의해 고정된다.
도 3, 5, 6, 및 7 을 참조하여, 커플링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도시하였으며, 커플링은 노즈 형상의 수 돌출부(62) 및 오목한 암 수용부(64)를 포함한다. 너트는, 수 돌출부의 나사부(88)와 결합하는 대응 내부 나사면(90)을 갖는다.
수 돌출부(62)는, 플랜지부(67), 수렴하는 둥근 원뿔대(65.1), 축선(a1), 외부 표면(68), 주 밀봉부(71), 주 밀봉 표면(69), 제 1 정지 표면(78),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82) 및 유체 유동 덕트(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유체 유동 덕트는 원뿔대에 대해 동심원으로 위치되어 있다.
암 수용부(64)는, 원형 둘레(72)와 중간부(69.1)를 갖는 오목부(65), 축선(a2), 환상링(74)과 주 밀봉 표면(75)이 통합되어 내부로 방사상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주 밀봉부, 상부 평면으로서 형성된 제 1 상호작용 정지 표면(80), 하부 평면으로서 형성된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76), 및 유체 유동 덕트(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환상링은 횡단면이 모서리 형태이다. 유체 유동을 위한 유체 유동 통로(58)를 형성하기 위해 오목부의 유체 유동 덕트는 돌출부의 유체 유동 덕트와 상호작용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정지 표면이 또한 보충 밀봉면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도 5, 6 및 7 을 참조하면, 밸브 및 매니폴드와 같은 부품이 결합되며, 수 돌출부(62)는, 환상링(74)과 외부 표면(68)의 경계면(84)에서 오목한 암 수용부(64)와 접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 돌출부가 오목한 암 수용부로 삽입될 때, 환상링(74)은 외부 표면(68)과 접촉한다. 이 지점에서, 제 1 상호작용 정지 표면(80)과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82) 사이 뿐만 아니라 제 2 정지 표면(76)과 제 1 정지 표면(78) 사이에 약간의 틈(86)이 존재한다.
고정 수단(59)을 커플링의 수 돌출부(62)의 나사부(88)에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고정 수단을 돌려서 조임으로써, 밀봉이 행해진다. 고정 수단이 조여질 때, 틈(86)은 좁아지고, 경계면(84)에서 환상 링(74)에 의해 외부 표면(68)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한다. 틈(86)이 제거되고 제 2 정지 표면(76)이 제 1 정지 표면(78)과 접촉하고 제 1 상호작용 정지 표면(80)이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82)과 접촉할 때까지, 고정 수단은 조여진다. 틈이 제거될 때, 환상링(74)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게 된다. 이러한 휘어짐은 환상링(74)상에 작용하는 외부 표면에 의해 생성된 표면력(F)에 기인한다. 환상링(74)의 휘어짐은 약 0.0075 인치 이고, 외부 표면(68)의 휘어짐은 무시해도 좋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 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환상링(74)은, 수 돌출부(62)의 외부 표면(68)에 존재하거나, 또는 외부 표면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오목한 암 수용부(64)는 환상링을 가지지 않지만, 그 보다는 환상링과 접하기 위한 접촉 표면(67)을 갖는다.
도 10 내지 12 에 도시된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오목한 암 수용부(64)상에는 제 2 환상링(7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82)과 제 1 상호작용 정지 표면(80) 사이에 어떠한 틈도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제 2 환상 링(73)은 제 2 경계면(85)에서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82)과 접촉한다. 제 1 정지 표면(78)과 제 2 정지 표면(76) 사이에 남아 있는 틈이 제거될 때, 제 1 경계면(83)과 제 2 경계면(85)에 주 밀봉이 형성된다.
도 5 내지 12 및 22를 참조하면, 경계면(84)에 가해지는 힘 F 는 높은 일체성의 밀봉을 형성한다. 제 1 상호작용 정지 표면(80)과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82) 사이 뿐만 아니라, 제 2 정지 표면(76)과 제 1 정지 표면(78) 사이의 접촉은 추가적인 밀봉 수단을 형성한다. 각 표면들(76, 78, 80, 82)의 접촉은, 사용자가 고정 수단(59)을 지나치게 조이고, 커플링 밀봉 특성에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긍정적인 정지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긍정적인 정지부의 존재에 의 해, 너트의 추가적인 조임은 경계면(84)에서 추가적인 힘을 발생시키지 않을 것이다.
도 8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관형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 수단은 나사가공된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92)는, 수 관형부(62)와 결합할 때, 암 관형부(64)의 플랜지부(96)에 구속되도록 형성된 구멍을 갖는다. 이 너트(92)는 수 관형부의 나사부(88)와 결합하기 위한 내부 나사면(90)을 갖는다. 당업자라면, 예를 들어 각 부재의 플랜지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와 같이, 다양한 다른 고정 수단이 관형 부재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매니폴드에서 사용된 고정 수단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오히려, 밸브 본체(50)는 잠금 장치(65)로 매니폴드(52)에 조여진다. 잠금 장치는 블록(51)의 나사가공된 보어와 결합하는 캡 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적절한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 개시되고 청구된 커플링은 자동 중심형이다. 돌출부(62)의 제 1 결합 표면(78)은, 오목부(65)의 원형 둘레(72)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원뿔형 외부 표면(68)으로 인해, 돌출부는 돌출부와 오목부가 결합될 때, 오목부의 중심으로 안내될 것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면(84)의 모서리 부분(74)에 가해지는 힘(F) 의 방향은 결합 방향(E)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오프셋의 양은, 외부 표면(68)의 기울기의 함수이다.
경계면(84)에 형성된 밀봉은 치수 공차를 엄격하게 유지할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도 13 내지 21에 도시되어 있고, 이 도면에는 동심 이중 노즈 커플링(100)이 제공되어 있다. 동심 이중 노즈 커플링은, 수 돌출부(102) 및 오목한 암 수용부(104), 제 1 유체 유동 통로(106) 및 제 2 유체 유동 통로(108)를 포함한다. 도 13, 17, 18, 19 및 20 에 도시된 수 돌출부(102)는 제 1 유체 유동 개구부(107) 및 제 2 유체 유동 개구부(110)를 가지는데, 이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는 관에 의해 이송된 유체가 각각 제 1 유체 유동 통로(106) 및 제 2 유체 유동 통로(108)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유체 유동 통로(108)는 공통 구멍(111)에 의해 제 1 유체 유동 통로(106)와 연결된다.
도 18 및 20 의 단면도에서, 수 돌출부(102)는 다수의 원형 외부 표면을 가진다. 이러한 외부 표면은, 제 1 주 밀봉 표면(112), 제 2 주 밀봉 표면(114), 제 1 정지 표면(116) 및 제 2 정지 표면(118)을 갖는다.
도 21을 참조하면, 오목한 암 수용부는 다수의 밀봉 특징물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물은, 제 1 환상링(120), 제 2 환상링(122), 제 1 상호작용 정지 표면(126) 및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124)이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수 돌출부(102)는 오목한 암 수용부(104)와 결합하여 완벽한 동심 이중 노즈 커플링(100)을 형성한다. 이러한 결합이 발생할 때, 제 2 환상링(120)은 제 2 경계면(130)에서 제 2 주 밀봉 표면(114)과 접촉한다. 동시에, 제 1 환상링(122)은 제 1 경계면(128)에서 제 1 주 밀봉 표면(112)과 접촉한다. 각각의 접촉이 최초로 이루어질 때,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124)과 제 2 정지 표면(118) 사이에 작은 제 1 틈(132)이 존재한다. 또한, 제 1 상호작용 정지 표면(126)과 제 1 정지 표면(116) 사이에 제 2 틈(134)이 존재한다.
잠금 장치(136)를 조임으로써 수 돌출부(102)와 오목한 암 수용부(104)는 추가로 강하게 결합된다. 이 잠금 장치는 나사가공된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136)는, 오목한 암 수용부의 나사가공된 구멍(138)과의 결합에 의해, 수 돌출부를 오목한 암 수용부에 조인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적절한 잠금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잠금 장치(136)가 강하게 동심 이중 노즈 커플링(100)의 상부 및 하부 부분을 결합시킬 때, 틈(132, 134)은 제거될 때까지 감소된다. 이 지점에서, 정지 표면(124, 126)은 각각 그들의 접촉면(116, 118)과 접촉한다. 환상링(120, 122)은 경계면(128, 130)에서 생성된 힘에 의해 밀봉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상링은 이러한 강한 접촉 때문에 약간 휘어지게 된다. 수 돌출부(102)의 외부 표면은 단지 무시할 정도의 휘어짐만을 받는다. 밀봉력의 방향은 주 밀봉 표면(112, 114)의 기울기의 함수로서 오프셋된다. 각각의 정지 표면과 상호작용 정지 표면 사이의 접촉에 의해 추가적인 밀봉이 제공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경계면(128, 130)은 동시적이기 보다는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휘어짐은 상이한 양일 수 있고/또는 경계면에서 의 힘의 방향은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플링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기계가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밀봉 연결은 또한 다른 부품 사이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적인 실시형태에서, 연결되는 부품은 PFA 나 PTFE와 같은 플루오로폴리머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나 주적인 특질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되어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는 한정이 아니라 설명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표시하기 위해, 전술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청구항에 만들어진 참조로 간주되어지는 것이 요망된다.

Claims (16)

  1. 2개의 부품을 밀봉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61,100) 으로서, 이 커플링은:
    하나의 부품에 부착된 수 돌출부 (62,102) 및
    다른 부품에 부착되어 상기 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부 (64,104) 를 포함하고,
    상기 수 돌출부 (62,102) 는 당해 수 돌출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보어 및 축 (a1) 을 구비하고, 상기 수 돌출부는 일단부에서 제 1 정지 표면 (78,116) 을 갖는 팁 (66), 이 팁으로부터 연장하고 환상 주 밀봉 표면을 갖는 원뿔대 (65.1) 및 이 원뿔대에 대해 팁의 반대편에 있는 제 1 플랜지부 (67)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64,104) 는 본체부, 수 돌출부 (62,102) 의 제 2 정지 표면 (76,118) 과 상호작용하는 정지 표면 (82,124) 을 구비하는 제 2 플랜지부 (96) 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수용부는 플랜지부에 대해 수직한 축 (a2), 오목부 (65) 및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플랜지부 (96) 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는 보어를 향해 내부로 수렴하는 중간부 (69.1) 를 갖는 둘레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는 수용부와 일체형인 내향 돌출 환상링 (74,122) 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제 1 정지 표면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보어에 인접한 오목부에서 정지 표면 (80,126) 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수 돌출부 (62,102) 는 수용부 (64,104) 와 조립가능해서 환상링 (74,122) 이 수 돌출부의 환상 주 밀봉 표면과 접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 돌출부가 수용부에 고정될 때, 상기 내향 돌출 환상링은, 돌출부의 축 (a1) 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압축력을 받고, 이에 따라 제 1 정지 표면 (78,116) 이 수용부의 제 1 상호작용 정지 표면 (80,126) 과 결합하고 제 2 정지 표면 (76,118) 이 수용부의 제 2 상호작용 정지 표면 (82,124) 과 결합하여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된 위치를 갖도록 되어 있는 커플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정지 표면 (78,116) 및 제 2 정지 표면 (76,118) 은 평면이고, 수 돌출부의 축 (a1) 에 대해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수 돌출부 (62,102) 가 부착되는 부품은 제 2 수 돌출부를 갖고, 수용부 (64,104) 의 오목부 (65) 는 제 2 일체형 환상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104) 는 일체형 환상링 (122,120) 의 중간에 위치하는 유동 통로 (106)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링 (74) 은 2개의 표면으로 형성된 직각의 모서리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6. 제 4 항에 있어서, 표면중 하나의 표면 (74) 은 수 돌출부 (62) 및 수용부 (64) 의 축과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 돌출부 (102) 는 밸브 본체 (50) 와 일체형이고, 수용부 (104) 는 매니폴드 (52) 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 돌출부 (62,102) 를 수용부 (64,104) 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수단 (59, 92)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9.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61,100) 으로서, 이 커플링은:
    수 돌출부 (62,102) 및
    다른 부품에 부착되어 상기 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부 (64,104) 를 포함하고,
    상기 수 돌출부 (62,102) 는 당해 수 돌출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보어 및 축 (a1), 환상 주 밀봉 표면을 갖고서 팁 (66) 으로부터 연장하는 원뿔대 (65.1) 및 이 원뿔대에 대해 팁의 반대편에 있는 제 1 플랜지부 (67) 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 (64,104) 는 본체부 (50) 및 제 2 플랜지부 (96) 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수용부는 축 (a2), 오목부 (65) 및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플랜지부로부터 보어로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는 보어를 향해 내부로 수렴하는 중간부 (69.1) 를 갖는 둘레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는 수용부와 일체형인 내향 돌출 환상링 (74,122) 을 구비하고;
    상기 수 돌출부 (62,102) 는 수용부 (64,104) 와 조립가능해서 환상링이 수 돌출부의 환상 주 밀봉 표면과 접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 돌출부가 수용부에 고정될 때, 상기 내향 돌출 환상링 (74,122) 이 압축력을 받도록 되어 있는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 돌출 환상링 (74,122) 및 원뿔대 (65.1) 는, 당해 내향 돌출 환상링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돌출부의 축 (a1) 에 대해 경사방향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 돌출부 (62,102) 는 정지 표면 (78,116) 을 포함하고, 수용부 (64,104) 는 상호작용 정지 표면 (80,82,126,124) 을 포함하며, 이들 정지 표면은 환상링이 소정 수준의 압축력을 받을 때 결합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12. 제 9 항에 있어서, 수 돌출부 (62,102) 가 부착되는 부품은 제 2 수 돌출부를 갖고, 수용부 (64,104) 의 오목부 (65) 는 제 2 일체형 환상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104) 는 일체형 환상링 (122,120) 의 중간에 위치하는 유동 통로 (106)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14.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61,100) 으로서, 이 커플링은:
    제 1 수 돌출부 (62,102) 를 구비하는 제 1 부품, 및
    다른 부품에 부착되어 상기 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부 (64,104) 를 포함하고,
    상기 수 돌출부 (62,102) 는 당해 수 돌출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보어 및 축 (a1) 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수 돌출부는, 일 단부의 팁 (66) 과 다른 단부의 플랜지부 (67) 및, 상기 팁과 플랜지부의 중간에 동축으로 위치되어 각각 주 밀봉 표면을 가지는 한쌍의 원뿔대 (65.1)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64,104) 는 본체부 (50) 및 제 2 플랜지부 (96) 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수용부는 축 (a2), 오목부 (65) 및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플랜지부로부터 보어로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는 보어를 향해 내부로 수렴하는 중간부 (69.1) 를 갖는 둘레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는 수용부와 일체형인 한 쌍의 내향 돌출 환상링 (74,122) 을 구비하고, 각각의 환상링은 원뿔대 (65.1) 의 주 밀봉 표면들 중 하나의 밀봉 표면과 결합하도록 위치되어 있는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 돌출 환상링 (74,122) 및 원뿔대 (65.1) 는 당해 내향 돌출 환상링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돌출부의 축 (a1) 에 대해 경사방향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16.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61,120) 으로서, 이 커플링은:
    수 돌출부 (62,102), 및
    다른 부품에 부착되어 상기 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부 (64,104) 를 포함하고,
    상기 수 돌출부 (62,102) 는 당해 수 돌출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보어 및 축 (a1), 환상 주 밀봉 표면을 갖고서 팁으로부터 연장하는 원뿔대, 및 이 원뿔대에 대해 팁의 반대편에 있는 제 1 플랜지부 (67) 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 (64,104) 는 본체부 및 제 2 플랜지부 (96) 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수용부는 축 (a2), 오목부 (65) 및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플랜지부로부터 보어로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는 보어를 향해 내부로 수렴하는 중간부 (69.1) 를 갖는 둘레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커플링 (61,120) 은 원뿔대 (65.1) 및 중간부 (69.1) 중 하나와 일체형이고 원뿔대 및 중간부 중 다른 하나와 결합가능한 내향 돌출 환상링 (74,122) 을 포함하고,
    상기 수 돌출부 (62,102) 는 수용부 (64,104) 와 조립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수 돌출부가 수용부에 고정될 때, 상기 내향 돌출 환상링 (74,122) 이 상기 수 돌출부의 축 (a1) 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압축력을 받도록 되어 있는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KR1020027008489A 1999-12-29 2000-12-29 2개의 부품을 밀봉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및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KR100622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90599P 1999-12-29 1999-12-29
US60/173,905 1999-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28A KR20020069228A (ko) 2002-08-29
KR100622321B1 true KR100622321B1 (ko) 2006-09-13

Family

ID=2263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489A KR100622321B1 (ko) 1999-12-29 2000-12-29 2개의 부품을 밀봉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및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6652008B2 (ko)
EP (1) EP1247038B1 (ko)
JP (1) JP3711365B2 (ko)
KR (1) KR100622321B1 (ko)
CN (1) CN1220837C (ko)
AT (1) ATE290183T1 (ko)
AU (1) AU2605801A (ko)
CA (1) CA2395526A1 (ko)
DE (2) DE60018474T2 (ko)
GB (1) GB2376052B (ko)
WO (1) WO2001048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1246A1 (en) * 2004-07-09 2006-01-19 Leys John A Fluid flow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591485B2 (en) * 2005-07-11 2009-09-22 Simmons Tom M Connections for tubing and method of connecting tubing segments
US20080048437A1 (en) * 2006-06-27 2008-02-28 Simmons Tom M Method and apparatus for end-to-end coupling of component bores
JP5221534B2 (ja) * 2006-07-14 2013-06-26 インテグリ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バルブ連結管アセンブリ
US20080143107A1 (en) * 2006-12-13 2008-06-19 Bowling Bruce A Fluid interconnect assembly
FR2922988B1 (fr) * 2007-10-31 2012-10-12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Assemblages de tuyaux
FR2922984B1 (fr) * 2007-10-31 2013-09-27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Vanne ayant un joint rigide
US8348236B2 (en) * 2007-10-31 2013-01-0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Butterfly valve with a rigid seal
US8372235B2 (en) * 2009-07-09 2013-02-12 Frank F. Hayes, Jr.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welded plastic tube and pipe assemblies
US20140238922A1 (en) 2011-10-03 2014-08-28 Entegris, Inc. Modular filtration system
US9068661B2 (en) 2012-06-06 2015-06-30 Baker Hughes Incorporated Curved flapper seal with stepped intermediate surface
CN104822438A (zh) 2012-10-01 2015-08-05 恩特格里斯公司 净化系统
DE102012109623A1 (de) * 2012-10-10 2014-04-10 Dorma Gmbh + Co. Kg Verfahren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in einem Körper, insbesondere in einem Türbetätiger
US9869415B2 (en) * 2013-03-14 2018-01-16 Ajay Kumar Coupling nut assembly
US10571055B2 (en) * 2015-08-26 2020-02-25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Block fitting and seal structure
JP6618123B2 (ja) * 2016-03-18 2019-12-11 東フロ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流量制御装置
KR101808705B1 (ko) * 2016-05-16 2017-12-15 주식회사유한훌로텍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누출 방지구조
TWI645889B (zh) 2016-06-01 2019-01-01 恩特葛瑞斯股份有限公司 導電過濾裝置
KR101762710B1 (ko) 2016-09-01 2017-07-28 한일튜브(주) 차량용 연료 파이프의 접속장치
WO2018169856A1 (en) * 2017-03-17 2018-09-20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Fluid manifold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9216973A1 (en) 2018-05-07 2019-11-14 Entegris, Inc. Fluid circuit with integrated electrostatic discharge mitigation
SG11202112940RA (en) 2019-05-23 2021-12-30 Entegris Inc Electrostatic discharge mitigation tubing
CN110805761A (zh) * 2019-12-04 2020-02-18 大连海事大学 航空高压梁式管接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3432A (en) * 1919-07-23 1920-05-27 William Hartley An improvement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 couplings
US2757966A (en) * 1952-11-06 1956-08-07 Samiran David Pipe coupling
US2971780A (en) * 1959-04-23 1961-02-14 Matthew F Bauer Porthole tube fitting having selfaligned coined fluid seat
US3112127A (en) * 1960-06-06 1963-11-26 L & L Mfg Company Fluid pressure tube fitting
GB894181A (en) * 1961-02-06 1962-04-18 Matthew Frank Bauer Porthole tube fitting having self-aligned coined fluid seat
US3977708A (en) * 1975-09-11 1976-08-31 Fluoroware, Inc. Plastic tube fitting and joint
US4848802A (en) * 1988-02-08 1989-07-18 Fluoroware, Inc. Tubing connector assembly
US5110160A (en) * 1990-08-23 1992-05-05 Fluid Line Products, Inc. High pressure port fitting system
US5263312A (en) * 1992-07-21 1993-11-23 General Electric Company Tube fitting for a gas turbine engine
US5370507A (en) 1993-01-25 1994-12-06 Trebor Incorporated Reciprocating chemical pumps
US5645301A (en) 1995-11-13 1997-07-08 Furon Company Fluid transport coupling
US5890746A (en) * 1996-12-18 1999-04-06 General Electric Company Cooled and wetted redundant seal tube fi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92383A1 (en) 2006-08-31
GB0217328D0 (en) 2002-09-04
US6652008B2 (en) 2003-11-25
EP1247038B1 (en) 2005-03-02
DE10085364B4 (de) 2005-01-20
JP2003518600A (ja) 2003-06-10
AU2605801A (en) 2001-07-09
DE60018474T2 (de) 2005-12-29
US20030197382A1 (en) 2003-10-23
GB2376052B (en) 2003-10-22
CN1415060A (zh) 2003-04-30
KR20020069228A (ko) 2002-08-29
JP3711365B2 (ja) 2005-11-02
ATE290183T1 (de) 2005-03-15
WO2001048413A9 (en) 2002-06-27
WO2001048413A1 (en) 2001-07-05
US7036204B2 (en) 2006-05-02
EP1247038A1 (en) 2002-10-09
US20040164551A1 (en) 2004-08-26
DE60018474D1 (de) 2005-04-07
GB2376052A (en) 2002-12-04
CN1220837C (zh) 2005-09-28
DE10085364T1 (de) 2003-04-30
CA2395526A1 (en) 200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321B1 (ko) 2개의 부품을 밀봉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및 플루오로폴리머 커플링
US6250688B1 (en) Ramp-lock lifting device
US5997049A (en) Adjustable leak-tight coupling system
KR20100092951A (ko) 오-링리스 시일 커플링
US11060648B2 (en)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US10132431B2 (en) Pipe connecting device
JPH086848B2 (ja) 管継手の結合系
US6692036B2 (en) Universal interlocking fitting
US20080000533A1 (en) Structure for Connection Between Integrated Panel and Fluid Device
US20090072536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Stack Panel to Fluid Device
JPH09269089A (ja) 改良連結器
US20100013213A1 (en) Structure for connection between integrated panel and fluid device
US7591485B2 (en) Connections for tubing and method of connecting tubing segments
CN115264210B (zh) 管接头
KR101992086B1 (ko) 반도체 가스배관용 피팅구
US200800484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d-to-end coupling of component bores
JP2001248766A (ja) 継ぎ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