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924B1 -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및 그의 내솥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및 그의 내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924B1
KR100621924B1 KR1020050086792A KR20050086792A KR100621924B1 KR 100621924 B1 KR100621924 B1 KR 100621924B1 KR 1020050086792 A KR1020050086792 A KR 1020050086792A KR 20050086792 A KR20050086792 A KR 20050086792A KR 100621924 B1 KR100621924 B1 KR 100621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ner pot
pressure cooker
electric pressure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규식
금경필
Original Assignee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쿠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16Additional equi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tools, e.g. for shearing, f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21D51/2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pots, e.g. for coo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4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4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gol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4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5D3/04 - C25D3/50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및 그의 내솥에 관한 것으로, 먼저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은, 스테인레스스틸층과 알루미늄층이 서로 융착된 원판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원판을 프레스를 통해 내솥형상인 가내솥으로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단계; 상기 가내솥의 내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가내솥의 외면에 광택이 나도록 연마하는 가내솥을 연마하는 단계; 상기 가내솥의 외면에 손잡이 부착용 스터드너트를 고정시키는 스터드너트 고정단계; 상기 스터드너트가 고정된 가내솥의 표면에 동도금층이 형성되도록 동을 도금하는 단계; 및 상기 동도금층을 보호하도록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내솥은, 스테인레스스틸층과 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지는 원판층을 가지고, 상기 원판층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 측으로는 동도금층과 이 동도금층을 보호하도록 투명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알루미늄층 측으로는 상기 알루미늄층의 유해성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리머코팅층 및 탑코팅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압력밥솥,내솥,동도금.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및 그의 내솥{Method for manufacturing inner pot in electric pressure cooker, and inner pot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에서 동을 도금하는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과 통상적인 스테인레스스틸로 이루어진 내솥 간의 전기적 특성을 비교한 비교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내솥 20; 원판층
21; 스테인레스스틸층 22; 알루미늄층
30; 동도금층 40; 투명코팅층
50; 프리머코팅층 60; 탑코팅층
70; 스터드너트 80; 손잡이
90; 체결구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되면서 내부에 수납된 조리물이 취사되도록 하는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및 그의 내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전기를 이용하여 열원을 얻고 이 열원을 이용하여 내솥 내부를 고온의 압력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취사를 행하는 기기로서, 통상 유도가열 방식이라 함은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내솥이 상기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하면서 조리물을 가열시키는 방식이다.
특히, 전기압력밥솥에서 내솥은 그 형태와 재질에 따라서 발열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이러한 발열량에 의해 조리물의 맛, 조리시간, 및 전기의 소모량이 직접 결정되기 때문에, 최근 들어서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내솥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발열이 우수한 금속을 도금하는 내솥의 연구가 현재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구체적으로 동(Cu)도금 내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인데, 통상 동은 저항이 낮은 금속으로서 전기를 잘 통과시키지만, 발열하기는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동을 아주 얇게 가공하게 된다면, 전기 통로가 좁아짐과 동시에 강력하게 발열하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동의 성질을 이용하여 내솥에 동도금을 하게 된다면 발열이 우수한 내솥을 제작할 수 있다.
종래에 동도금 내솥을 제작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S1), 원재료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S2), 동을 도금하는 단계(S3),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4), 프레스 성형단계(S5), 및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6)로 이루어진다.
우선,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S1)는 스테인레스스틸(STS)층과 알루미늄(Al)층이 서로 융착된 원판을 일정한 크기의 원형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이 스테인레스스틸층과 알루미늄층이 융착된 원판의 절단을 위해서는 브랭킹머신(Blanking Machine)을 사용한다.
상기 원재료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S2)는 절단된 스테인레스스틸층과 알루미늄층이 서로 융착된 원판의 표면에 광택이 나도록 연마하는 것이다. 이 절단된 스테인레스스틸층과 알루미늄층이 융착된 원판(이하, '절단판'이라 함.)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해서는 연마광택기(Grinding & Polishing Machine)을 사용한다(절단판을 연마한 판은 이하, '연마판'이라함.).
동을 도금하는 단계(S3)는 연마판에 동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1차 연마판에 동을 도금한 판(이하, '동도금판'이라 함.)하기 위해서는 도금조와 별도의 전류공급장치가 필요하다. 이 도금조와 전류공급장치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 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4)는 상기 동도금판에서 동도금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동도금판의 외면에 투명코팅층(Clear Coating)을 형성하는 것이다(상기 동도금판의 외면에 투명코팅층을 형성한 판은 이하, '코팅판'이라고 한다.).
프레스 성형단계(S5)는 상기 코팅판을 프레스가압에 의해 내솥형상을 만드는 것이다.
이 프레스 성형단계는 드로잉(drawing)단계(S7), 포밍(forming)단계(S8), 및 트리밍(trimming)단계(S9)로 이루어진다. 먼저 드로잉단계(S7)는 상기 코팅판에 제작될 내솥의 폭에 따라 그 형태를 늘리는 것이고, 상기 포밍단계(S8)는 상기 단계(S7)에서 늘림된 코팅판을 틀에 안착시켜 내솥형태로 가압시키는 것이며, 상기 트리밍단계(S9)는 포밍단계(S8) 후 내솥형상을 이루는 가압된 코팅판(이하, '가내솥'이라함.)에서 상기 내솥형상에 벗어나는 불필요한 부위를 절삭기를 통해 잘라내는 것이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6)는 가내솥의 내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코팅층은 가내솥의 내면으로부터 프리머(Primer)코팅층과 탑(Top)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완성된 도 2와 같은 동도금 내솥이 완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도금 내솥(1)은 스테인레스스틸층(2)과 알루미늄층(3)으로 이루어진 원판층(4)을 기준으로 외측로는 동도금층(5) 및 투명코팅층(6)이 형성되고, 상기 원판층(4)의 내측으로는 프리머코팅층(7) 및 탑코팅층(8)이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은 프레스 성형단계의 드로잉단계에서 코팅판의 연신 및 밀림현상에 의하여 동도금층 및 투명코팅층의 두께에 편차가 아주 극심하게 발생되며, 이로 인해 완성된 내솥이 상기 동도금층 및 투명코팅층의 두께의 편차로 인해 전기적 특성 편차가 극심하게 되므로써, 조리물의 맛이 균일하지 않을뿐더러 조리시간, 및 전기의 소모량 또한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프레스 성형단계에서 드로잉단계, 포밍단계, 및 트리밍단계로 이동하면서 코팅판이 다수의 장치들과 접촉함과 더불어 그 두께에 편차가 발생함, 예를 들면 코팅판에 긁힘, 찍힘, 및 오염됨에 따라서 외관의 불량률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스 성형단계에서 코팅밀림 현상이 발생하므로서, 코팅 흡착력 저하로 내구성이 낮아지며, 이로 인해 내솥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동도금 내솥은 손잡이가 별도로 없을뿐더러, 설령 손잡이를 설치한다 할지라도 제조공정 상에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6) 이후에, 손잡이 부착용 스터드너트(Stud nut)를 투명코팅층 상에 용접으로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는 현재 기술로는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목적은 전기적 특성 편차가 거의 없어 조리물의 맛이 균일하고, 조리물의 조리시간, 및 전 기의 소모량 또한 균일하도록 하며, 외관의 불량률을 감소시키도록 하며, 내솥의 내구성을 높여 수명이 증가시키도록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가지며, 전기적 특성 편차가 거의 없어 조리물의 맛이 균일하고, 조리물의 조리시간, 및 전기의 소모량 또한 균일한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테인레스스틸층과 알루미늄층이 서로 융착된 원판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원판을 프레스를 통해 내솥형상인 가내솥으로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단계; 상기 가내솥의 내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가내솥의 외면에 광택이 나도록 연마하는 가내솥을 연마하는 단계; 상기 가내솥의 외면에 손잡이 부착용 스터드너트를 고정시키는 스터드너트 고정단계; 상기 스터드너트가 고정된 가내솥의 표면에 동도금층이 형성되도록 동을 도금하는 단계; 및 상기 동도금층을 보호하도록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는 브랭킹머신에 의해 원판을 원형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스 성형단계는 상기 절단된 원판을 제작될 내솥의 폭에 따라 그 형태를 인장시키는 드로잉단계와, 상기 드로잉단계에서 인장된 판을 틀에 안착시켜 내솥형태로 가압시키는 포밍단계와, 상기 포밍단계 후 내솥형상에서 벗어나는 불필요한 부위를 절삭기를 통해 잘라내는 트리밍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내솥의 내면에 프리머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프리머코팅층 표면에 다시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내솥을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가내솥의 외면인 스테인레스스틸층을 연마광택기로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터드너트 고정단계는 상기 가내솥의 외면인 스테인레스스틸층에서 양측에 각각 대칭하도록 한 쌍의 스터드너트가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을 도금하는 단계는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 내에 가내솥을 주입시키고, 상기 스터드너트에 각각 전류공급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스터드너트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여 동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도금층은 금도금층 또는 은도금층으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와, 프레스 성형단계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가내솥을 연마하는 단계와, 스터드너트 고정단계와, 동을 도금하는 단계와,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내솥으로서, 스테인레스스틸층과 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지는 원판층을 가지고, 상기 원판층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 측으로는 동도금층과 이 동도금층을 보호하도록 투명코팅층 을 가지며, 상기 알루미늄층 측으로는 상기 알루미늄층의 유해성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물의 흡착을 방지하도록 프리머코팅층 및 탑코팅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을 제공한다.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의 외면에는 서로 대칭하도록 한 쌍의 스터드너트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스터드너트들에는 손잡이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도금층은 금도금층 또는 은도금층으로 대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및 그의 내솥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에서 동을 도금하는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과 통상적인 스테인레스스틸로 이루어진 내솥 간의 전기적 특성을 비교한 비교표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10)의 제조방법은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S10), 프레스 성형단계(S20),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30), 가내솥을 연마하는 단계(S40), 스터드너트 고정단계(S50), 동을 도금하는 단계(S60), 및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먼저,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S10)는 스테인레스스틸층(21)과 알루미늄층(22)이 서로 융착된 원판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것이다.
이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S10)는 브랭킹머신에 의해 원판을 원형으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원판을 원형으로 절단하는 것은 내솥(10)의 형상을 더욱 손쉽게 만들기 위함이다.
프레스 성형단계(S20)는 상기 절단된 원판을 프레스를 통해 내솥형상인 가내솥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실시예로, 프레스 성형단계(S20)는 드로잉단계(S80), 포밍단계(S90), 및 트리밍단계(S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로잉단계(S80)는 상기 절단된 원판을 제작될 내솥의 폭에 따라 그 형태를 인장시키는 것이다. 상기 포밍단계(S90)는 상기 드로잉단계(S70)에서 인장된 판을 틀에 안착시켜 내솥형태로 가압시키는 것이다. 트리밍단계(S100)는 상기 포밍단계(S90) 후 내솥형상에서 벗어나는 불필요한 부위를 절삭기를 통해 잘라내는 것이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30)는 상기 가내솥의 내면에 코팅층(50,60)을 형성하는 것이다.
실시예로, 이 코팅층(50,60)을 형성하는 단계(S30)는 상기 가내솥의 내면에 프리머코팅층(50)을 형성한 후, 상기 프리머코팅층(50) 표면에 다시 탑코팅층(6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2중으로 코팅을 실시하는 이유는 알루미늄의 유해성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조리물의 흡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내솥을 연마하는 단계(S40)는 가내솥의 외면에 광택이 나도록 연마하 는 것이다.
이 가내솥을 연마하는 단계(S40)는 가내솥의 외면인 스테인레스스틸층(21)을 연마광택기로 연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터드너트 고정단계(S50)는 상기 가내솥의 외면에 손잡이(80) 부착용 스터드너트(7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드너트 고정단계(S50)는 가내솥의 외면인 스테인레스스틸층(21)에서 양측에 각각 대칭하도록 한 쌍의 스터드너트(70)가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동을 도금하는 단계(S60)는 상기 스터드너트(70)가 고정된 가내솥의 표면에 동도금층(30)이 형성되도록 동을 도금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을 도금하는 단계(S60)는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미도시) 내에 가내솥을 주입시키고, 상기 스터드너트(70)에 각각 전류공급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스터드너트(70)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여 동도금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동을 도금하는 단계(S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개의 가내솥을 동 도금 공정을 세척공정으로 이동시킨 후(S201), ⓑ상기 가내솥을 세척하고(S202), ⓒ전류공급 편차를 방지하기 위해 전극 이물을 제거하는 박리공정을 거친다(S203).
ⓓ가내솥 표면의 오물을 제거하도록 스케일제거 공정을 실시하고(S204), ⓔ다시 가내솥을 세척한다(S205).
ⓕ상기 가내솥에서 2차오물 특히 오일(Oil)류를 제거하도록 전해탈지공정을 거친 후(S206), ⓖ다시 가내솥을 세척한다(S207).
ⓗ상기 가내솥은 약품혼입 방지를 위해 중화공정을 거치고(S208), ⓘ다시 가내솥을 세척한다(S209).
ⓙ도금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성화 공정을 거친 후(S210), ⓚ다시 가내솥을 세척한다(S211).
ⓛ상기 가내솥을 본격적인 동 도금 공정으로 이동시킨 후(S212), ⓜ동 도금 전 공정인 니켈 도금공정(Ni strike)을 실시하고(S213), ⓝ다시 가내솥을 세척한다(S214).
ⓞ가내솥을 약품 혼입 방지를 위해 중화시킨 후(S215), ⓟ다시 가내솥을 세척한다(S216).
ⓠ유산 동이 가내솥 표면에 도금되도록 스터드너트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여 유산 동도금 공정을 거친다(S217).
ⓡ다시 가내솥을 세척한 후(S218), ⓢ동의 변색 및 산화 방지를 위해 변색방지 공정을 거친다(S219).
ⓣ다시 가내솥을 세척한 후(S220), ⓤ상기 가내솥을 60℃ 내지 70℃ 정도의 물에 다시 세척시킨다(S221).
ⓥ상기 가내솥 표면의 수분을 건조시키도록 건조공정을 거친다(S222).
상기 동도금층(30)은 동 이외의 금속 즉, 동보다 전도성이 우수하고 얇게 만들었을 때 동과 같이 강력하게 발열하는 금(Au)도금층 또는 은(Ag)도금층으로 대체 가능하다.
한편,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70)는 상기 동도금층(30)을 보호하도록 투명코팅층(4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S10)와, 프레스 성형단계(S20)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30)와, 가내솥을 연마하는 단계(S40)와, 스터드너트 고정단계(S50)와, 동을 도금하는 단계(S60)와,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내솥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내솥(10)은 스테인레스스틸층(21)과 알루미늄층(22)으로 이루어지는 원판층(20)을 가진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21)은 스테인레스스틸 430계열이며, 알루미늄층(22)은 알루미늄 30계열이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스테인레스스틸층(21)과 알루미늄층(22)은 상기한 계열외에도 다른 계열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원판층(20)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21) 측으로는 동도금층(30)과 이 동도금층(30)을 보호하도록 투명코팅층(40)을 가진다.
상기 동도금층(30)은 동 이외의 금속 즉, 동보다 전도성이 우수하고 얇게 만들었을 때 동과 같이 강력하게 발열하는 금도금층 또는 은도금층으로 대체 가능하다.
반면, 상기 알루미늄층(22) 측으로는 상기 알루미늄층(22)의 유해성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물의 흡착을 방지하도록 프리머코팅층(50) 및 탑코팅층(60)을 가진다.
실시예에서, 스테인레스스틸층(21)의 외면에는 서로 대칭하도록 한 쌍의 스 터드너트(70)가 각각 고정된다. 이 스터드너트(70)들에는 손잡이(80)가 체결구(9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과 통상적인 스테인레스스틸로 이루어진 내솥 간의 전기적 특성을 비교한 비교표이다.
도 7에서, Ls(
Figure 112005051972968-pat00001
H)는 리액턴스로서, 교류회로에서 교류 즉 사인파 전류가 흐르는데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양이다. 이는 임피던스의 허수부이다.
그리고 Rs(
Figure 112005051972968-pat00002
)은 저항으로서, 내솥이 가지는 저항을 나타내는 것이다.
아울러, Qs는 발진 주파수의 선택폭으로서, 선택도가 높을수록 주파수의 선택폭이 넓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솥의 동플레이트의 전기 특성은 통상적인 내솥의 스테인레스스틸재와 동일편차 수준의 리액턴스의 수치와 저항수치가 안정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리엑턴스의 수치가 109.0
Figure 112005051972968-pat00003
H ± 5%이고, 저항의 수치는 5.45
Figure 112005051972968-pat00004
± 5%이다. 결과에서 보듯이, 동도금을 실시하더라도 수치적인 편차가 스테인레스스틸재와 거의 동일한 수준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통상적인 내솥의 스테인레스스틸재는 이 보다 훨씬 오차 범위가 넓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결과에 따라, 본 내솥은 동도금층 및 투명코팅층의 두께에 편차가 거 의 없어서 취사시 조리물의 맛이 균일할 뿐만 아니라, 조리시간, 및 전기의 소모량 또한 균일한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은, 종래기술과 달리 프레스 성형단계 이후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실시하므로써, 동도금층 및 투명코팅층의 두께에 편차가 거의 없으며, 이와 같이 완성된 동도금 내솥은 취사시 조리물의 맛이 균일할 뿐만 아니라, 조리시간, 및 전기의 소모량 또한 균일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은, 종래기술과 달리 프레스 성형단계 이후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실시하므로써, 코팅층의 두께에 편차를 발생시키는 요인, 예를 들면 코팅된 가내솥에 긁힘, 찍힘, 및 오염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의 불량률이 효과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은, 종래기술과 달리 프레스 성형단계 이후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실시하므로써, 코팅층이 본래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비해 코팅 흡착력 증가로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내솥의 수명이 증가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은 종래기술과 달리, 동을 도금하는 단계가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 내에 가내솥을 주입시키고, 스터드너트에 각각 전류공급장치를 연결하며, 스터드너트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여 동도금을 실시하므로써, 별도의 전류공급장치가 필요없을 뿐더러 상기 스터드너트를 이용 하여 손잡이를 부착시키므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뜨거운 내솥을 이동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내솥은 동도금층 및 투명코팅층의 두께에 편차가 거의 없어서 취사시 조리물의 맛이 균일할 뿐만 아니라, 조리시간, 및 전기의 소모량 또한 균일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내솥은, 스터드너트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부착시키므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뜨거운 내솥을 이동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테인레스스틸층과 알루미늄층이 서로 융착된 원판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원판을 프레스를 통해 내솥형상인 가내솥으로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단계;
    상기 가내솥의 내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가내솥의 외면에 광택이 나도록 연마하는 가내솥을 연마하는 단계;
    상기 가내솥의 외면에 손잡이 부착용 스터드너트를 고정시키는 스터드너트 고정단계;
    상기 스터드너트가 고정된 가내솥의 표면에 동도금층이 형성되도록 동을 도금하는 단계; 및
    상기 동도금층을 보호하도록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는 브랭킹머신에 의해 원판을 원형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성형단계는 상기 절단된 원판을 제작될 내솥의 폭에 따라 그 형태를 인장시키는 드로잉단계와, 상기 드로잉단계에서 인장된 판을 틀에 안착시켜 내솥형태로 가압시키는 포밍단계와, 상기 포밍단계 후 내솥형상에서 벗어나는 불필요한 부위를 절삭기를 통해 잘라내는 트리밍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내솥의 내면에 프리머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프리머코팅층 표면에 다시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내솥을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가내솥의 외면인 스테인레스스틸층을 연마광택기로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너트 고정단계는 상기 가내솥의 외면인 스테인레스스틸층에서 양측에 각각 대칭하도록 한 쌍의 스터드너트가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을 도금하는 단계는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 내에 가내솥을 주입시키고, 상기 스터드너트에 각각 전류공급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스터드너트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여 동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도금층은 금도금층 또는 은도금층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9. 원재료를 절단하는 단계와, 프레스 성형단계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가내솥을 연마하는 단계와, 스터드너트 고정단계와, 동을 도금하는 단계와,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내솥으로서,
    스테인레스스틸층과 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지는 원판층을 가지고, 상기 원판층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 측으로는 동도금층과 이 동도금층을 보호하도록 투명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알루미늄층 측으로는 상기 알루미늄층의 유해성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물의 흡착을 방지하도록 프리머코팅층 및 탑코팅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스틸층의 외면에는 서로 대칭하도록 한 쌍의 스터드너트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스터드너트들에는 손잡이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
  11. 제 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도금층은 금도금층 또는 은도금층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
KR1020050086792A 2005-09-16 2005-09-16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및 그의 내솥 KR100621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792A KR100621924B1 (ko) 2005-09-16 2005-09-16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및 그의 내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792A KR100621924B1 (ko) 2005-09-16 2005-09-16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및 그의 내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924B1 true KR100621924B1 (ko) 2006-09-11

Family

ID=3762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792A KR100621924B1 (ko) 2005-09-16 2005-09-16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및 그의 내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92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97B1 (ko) 2006-05-11 2007-10-04 주식회사 남선 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0760899B1 (ko) 2006-05-11 2007-10-04 주식회사 남선 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1066539B1 (ko) * 2008-07-31 2011-09-21 그린켐 주식회사 전기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KR200455751Y1 (ko) 2010-05-25 2011-09-22 김규형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광택가공용 치구
KR101326124B1 (ko) * 2010-03-11 2013-11-06 (주)씨엔티코리아 스테인리스를 이용한 이중사출 용기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스테인리스 용기
KR20150128480A (ko) * 2014-05-09 2015-11-18 쿠쿠전자주식회사 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03336U (ko) * 2016-03-17 2017-09-27 (주)동양금속 전기밥솥의 내솥커버 조립장치
CN108851952A (zh) * 2018-09-13 2018-11-23 应旭昶 一种电热锅及其加工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97B1 (ko) 2006-05-11 2007-10-04 주식회사 남선 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0760899B1 (ko) 2006-05-11 2007-10-04 주식회사 남선 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1066539B1 (ko) * 2008-07-31 2011-09-21 그린켐 주식회사 전기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KR101326124B1 (ko) * 2010-03-11 2013-11-06 (주)씨엔티코리아 스테인리스를 이용한 이중사출 용기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스테인리스 용기
KR200455751Y1 (ko) 2010-05-25 2011-09-22 김규형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광택가공용 치구
KR20150128480A (ko) * 2014-05-09 2015-11-18 쿠쿠전자주식회사 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59814B1 (ko) * 2014-05-09 2020-09-24 쿠쿠전자 주식회사 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03336U (ko) * 2016-03-17 2017-09-27 (주)동양금속 전기밥솥의 내솥커버 조립장치
KR200484601Y1 (ko) 2016-03-17 2017-09-28 (주)동양금속 전기밥솥의 내솥커버 조립장치
CN108851952A (zh) * 2018-09-13 2018-11-23 应旭昶 一种电热锅及其加工方法
CN108851952B (zh) * 2018-09-13 2024-03-26 应旭昶 一种电热锅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924B1 (ko)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및 그의 내솥
US7093340B2 (en) Stick resistant ceramic coating for cookware
US1970723A (en) Cooking utensil and method of making it
CN2848384Y (zh) 一种超声波清洗槽
KR100770033B1 (ko) 스테인레스 금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프라이팬
KR101448256B1 (ko) 안테나의 제조 방법
US6247392B1 (en) Cooking utensils
CN107400912A (zh) 一种提高金属产品表面张力的新型工艺
US3497445A (en) Apparatus for cleaning and detarnishing silverware
KR101066539B1 (ko) 전기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KR20160134150A (ko) 조리의 효율성을 갖는 고경도 볶음팬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206737Y1 (ko) 양극산화피막층과 테프론 코팅층이 교호로 형성되게 한주방용 조리구
JP3421838B2 (ja) 流し台用ステンレス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73965B1 (ko) 심전도 측정용 전극
KR101364548B1 (ko) 조리용기의 무늬 형성방법
CN108852012B (zh) 内锅及其制作方法和烹饪设备
CN213282512U (zh) 一种脱糖煮饭装置
KR200285499Y1 (ko) 가열수단을 가지는 씽크볼
CN206120272U (zh) 一种用于果蔬清洗的压板及应用有该压板的清洗机
US2860092A (en) Electropickling process
KR960000237Y1 (ko) 고기구이판
JP2003070632A (ja) 炊飯器用鍋
KR200196672Y1 (ko) 초음파 식기 세척기
JP4194356B2 (ja) へら付き洗浄スポンジの製造方法
KR20090083680A (ko) 은 상감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