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648B1 - 직접구동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 Google Patents

직접구동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648B1
KR100621648B1 KR1020040020267A KR20040020267A KR100621648B1 KR 100621648 B1 KR100621648 B1 KR 100621648B1 KR 1020040020267 A KR1020040020267 A KR 1020040020267A KR 20040020267 A KR20040020267 A KR 20040020267A KR 100621648 B1 KR100621648 B1 KR 100621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attern
permanent magnet
center
magnetic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094A (ko
Inventor
유옥정
Original Assignee
유옥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옥정 filed Critical 유옥정
Priority to KR1020040020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648B1/ko
Priority to PCT/KR2005/000861 priority patent/WO2005094120A1/en
Publication of KR2005009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51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n the central part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04R9/047Construction in which the windings of the moving coil lay in the same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의 패턴을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다수개의 영구자석 요소들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배열하여, 박형이면서 자기력 효율을 극대화한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 상부에 위치하며, 보이스 코일 역할을 하는 금속 패턴이 일 면에 형성된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영구자석은 다수개의 자석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요소들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어 공극을 형성하며, 이웃하는 상기 자석 요소들간에는 서로 다른 자극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 플레이트에 형성된 금속 패턴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줄이 하나의 금속 패턴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금속 패턴 그룹은,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일 면에서,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다시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향하면서 절단 없이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금속 패턴 그룹들 중 전류가 동일 방향으로 흐르는 제1 금속 패턴 그룹들(기동 패턴 그룹)이 상기 자석 요소들간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공극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금속 패턴 그룹들과는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2 금속 패턴 그룹들(고정 패턴 그룹)이 상기 자석 요소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판, 스피커, 진동, 플레이트, fpcb, 연성, 인쇄회로기판, 박형

Description

직접구동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A micro speaker with directed driving vibration flat}
도1은 종래 평판형 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의 단면도.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 자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하부 하우징 12: 상부 하우징
13: 영구자석 14: 직접구동 진동플레이트
15: 서스펜션 16: 전원공급라인
본 발명은 직접구동 진동 플레이트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피커의 효율을 향상시켜 초박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화기와 노트북 컴퓨터, 영상기기 등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음향 변환기인 스피커의 두께도 얇고 작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수 mm 두께의 마이크로 스피커와 평판 형태의 박형 스피커가 제시되었다.
종래의 다이나믹 마이크로 스피커는 실린더 또는 링 형태의 영구자석, 그리고 이것과 동심원을 이루는 링 형태의 플레이트와 요크로 구성된 자로에 의해 형성된 공극에 정적인 자기장을 공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플레이트와 폴피스로 이루어진 공극 내에 솔레노이드 형태의 보이스 코일을 삽입하고, 이 솔레노이드에 신호전류를 인가하여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영구자석과 플레이트 요크 등으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에 의해 공극에 형성된 정적 자기장과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신호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자기장이 반응하여, 보이스 코일이 상하로 진동하도록 한다. 보이스 코일의 상하 진동은 코일의 상단부에 접착된 진동판을 진동하고 연이어 진동판 전, 후면의 공기를 진동시켜 음파를 발생시킨다.
상기한 종래의 다이나믹형 구조의 스피커들은 보이스 코일에 일정한 정적 자기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이스 코일이 일정한 높이를 가져야 하고, 진동판의 상하 진동을 위해 필요한 거리만큼의 공간이 보이스 코일의 하단에 형성 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정적 자기장을 유도하여 일정공극에서 집중된 폐순환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별도의 플레이트, 요크 등의 자기 구조물들로 인해 일정 두께 이하로 얇게 만드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박형 스피커가 제시되었는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88945호에는 진동플레이트에 보이스 코일을 에칭 형성하여 스피커를 초소형, 경박화 할 수 있는 평판형 스피커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평판형 스피커의 구조를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종래의 평판형 스피커는 금속막이 에칭되어 형성되는 보이스코일(1)이 진동플레이트(2)의 일측면에 일정두께의 원주형으로 회전 설치되고, 상기 진동플레이트(2)의 저면에 프레임(3)의 내주연으로 접촉토록 설치되는 스페이서(4)를 개재하여 그 하측에 영구자석(5)(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5)(5`)은 영구자석(5`)의 내주연에 다수의 에어홀(6)이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3)의 상측면에 접합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5)(5`)은 내주연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되며, 인접하여 설치되는 상이한 극성이 다수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페이서(4)는 프레임(3)의 내측면에 접합되어 진동플레이트(2)의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함은 물론 그 진폭을 조정토록 하고, 상기 스페이서(4)의 하측에는 영구자석(5)(5`)이 일정간격 내측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5`)의 내측에는 진동플레이트(2)의 진동시 발생하는 소리를 방출토록 다수의 에어홀(6)이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3)의 내측에 일체로 접합된다.
계속하여, 상기 영구자석(5)(5`)의 상측에는 보이스 코일(1)이 위치토록 되어 금속막이 에칭된 보이스 코일(1)에 전류가 인입되면 보이스코일(1)의 전류흐름이 발생하고, 이때 영구자석(5)(5`)에서는 자기장의 흐름이 발생되며, 상기 자기장과 전류의 흐름방향에 의한 상호 작용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보이스코일(1)이 장착된 진동플레이트(2)에 상하방향의 힘이 발생하여 진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5)(5`)은 일체로 형성되는 원주형의 영구자석에 일정한 경계를 기준으로 각각 상이한 극성이 인접하여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5)의 내측에 설치되는 영구자석(5`)에도 각각 상이한 극성이 인접하여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5)(5`)은 원주형으로 보이스코일(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자속을 증가시킴으로써 고효율의 중고음을 재생가능토록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평판형 스피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종래의 평판 스피커는 코일의 전류 흐름 방향이 진동플레이트의 평면을 기준으로 할 경우 내 외측이 서로 반대이고 상하 좌우 모두가 반대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코일 패턴에 의한 서로 다른 전류 방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외측의 영구자석(5)도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다수의 자극으로 배열하고, 내측의 영구자석(5`)도 서로 다른 다수의 자극으로 배열하고 있다. 그 배열 형태는 코일 패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맞추어 진동플레이트의 전면이 동일한 방향 으로 진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 외측 영구자석의 자극을 상하 방향으로 다극화하여 구성할 경우 실질적인 자기장의 흐름은 공극 부분에 집중되지 아니하고 분산되어 손실이 매우 심해진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평판 스피커는 내측 또는 외측 영구자석 자체에 형성되는 제1 자기장과, 내측 영구자석과 외측 영구자석 사이의 공극에 형성되는 2차 자기장을 포함한다. 또한 종래 평판 스피커에서 자기장은 영구자석의 상하단에 대칭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코일 패턴의 전류 흐름과 반응해 종축 진동을 발현할 수 있는 자기장은 제2 자기장이 되며, 전류의 흐름과 동일 또는 반대 방향으로 구성되는 제1 자기장은 횡축의 진동 요소를 가지므로 음향 변환 효율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또한 진동 플레이트가 위치되지 않은 반대쪽 방향에 형성된 자기장은 무용지물이 되므로 이미 전체 자기장의 1/2 손실이 발생한다.
더구나 무엇보다도 치명적인 것은 바로 내,외측 영구자석 스스로가 서로 다른 다수의 자극으로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인데, 자기장의 절대적 형성은 가장 가까이 인접한 다른 극의 자극과 형성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구동력을 갖는 제2 자기장은 극히 미미하여 지고 오히려 불필요한 제1 자기장은 극대화 되어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내측과 외측에 설치된 영구자석간 거리가 멀수록 심해지고, 또 내측 또는 외측 자체에 형성된 서로 다른 자극이 가까울수록 심해질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평판형 스피커는 그 효율이 극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스 코일이 패턴 형성된 직접 구동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스피커에 있어, 보이스 코일의 패턴을 개선하고, 영구자석의 자극 구조를 개선하여, 평판형이면서 효율을 극대화한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 상부에 위치하며, 보이스 코일 역할을 하는 금속 패턴이 일 면에 형성된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영구자석은 다수개의 자석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요소들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어 공극을 형성하며, 이웃하는 상기 자석 요소들간에는 서로 다른 자극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 플레이트에 형성된 금속 패턴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줄이 하나의 금속 패턴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금속 패턴 그룹은,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일 면에서,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다시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향하면서 절단 없이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금속 패턴 그룹들 중 전류가 동일 방향으로 흐르는 제1 금속 패턴 그룹들(기동 패턴 그룹)이 상기 자석 요소들간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공극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금속 패턴 그룹들과는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2 금속 패턴 그룹들(고정 패턴 그룹)이 상기 자석 요소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석 요소는 좌우 측면에 자극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석 요소들간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공극에 위치되는 상기 제1 금속 패턴 그룹들은 상기 자석 요소들간의 공극 내에 금속 패턴이 위치하도록 아래로 절곡되며, 상기 자석 요소의 중앙에 위치되는 상기 제2 금속 패턴 그룹들은 위로 절곡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중앙은 위 또는 아래로 절곡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2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스피커는 상하부 하우징(11, 12)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영구자석(13)과, 보이스 코일이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구자석(13)과 일정 간격 이격된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14)와 상기 진동 플레이트(14)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서스펜션(15)과, 상기 진동 플레이트(14)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전원 공급라인(1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14)는 종래와 같은 보이스 코일이 패턴 형성된 것으로, 일반적인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과 하부 하우징(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 처리되어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12)과 하부 하우징(11)에는 공기의 유입과 음향의 발현을 위한 홀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영구자석(13)이 위치한다. 상기 영구자석(13)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진동 플레이트(14)가 설치되는데, 상기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14)는 상부 하우징(12)과도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 기능을 하는 금속 패턴이 형성되 어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전원 공급라인(16)이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전원 공급라인에도 금속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라인(16)과 상기 진동 플레이트(14)를 제조하는 기술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는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직접구동 진동 플레이트(14)는 하우징 내측벽에 위치한 서스펜션(15)에 의해 지지되어 진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스피커의 가장 큰 특징은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에 형성된 코일 패턴과 영구자석의 구조와 배열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을 도3a 내지 도3c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3a는 진동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3b는 도3a의 B-B' 단면도이며, 도3c는 도3a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접구동 진동 플레이트(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 상에 금속 패턴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구조의 금속 패턴을 갖는다.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직접구동 진동 플레이트의 금속 패턴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줄들이 하나의 금속 패턴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패턴 그룹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다시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이어지는 형태로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상기와 같은 금속 패턴은 기판의 일면에만 형성되고, 기판의 타 면에는 또 다른 금속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라인(16)으로부터 연장된 금속 패턴은 점핑 부분(24)에서 상기 보이스 코일 역할을 하는 금속 패턴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 기능을 하는 금속 패턴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전류의 방향이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다시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흐르는 형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 자기장이 존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전류의 흐름에 따라 상하 진동을 발생하는 금속 패턴을 기동 패턴(23)이라 칭하며,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되어, 진동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금속 패턴을 고정 패턴(22)이라 칭한다.
상기 기동 패턴(23)은 영구자석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기장이 존재하는 위치에 놓여져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가 상하로 진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고정 패턴(22)은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놓여져 진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류가 이웃하는 기동 패턴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기동 패턴(23)이 위치한 필름을 아래로 절곡하여, 기동 패턴(23)이 영구자석 간의 공극 중심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며, 고정 패턴(22)은 반대로 필름을 위로 절곡하여, 영구자석과 멀어지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기동 패턴(23)에 의해서만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가 진동되고, 고정 패턴(22)은 진동 플레이트의 진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최대의 효율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기동 패턴에 전류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흐르게 되면, 고정 패턴에는 반대로 전류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흐르게 되는데, 만약 고정 패턴 부분에도 자기장이 존재한다면 기동 패턴 부분과 고정 패턴 부분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동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스피커의 진동은 상쇄되어, 저음부의 음향을 재생할 수 없고, 고음부라 하더라도 그 재생 효율은 극히 빈약해 질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동 패턴 부분에만 자기장이 작용하도록 하고, 전류가 항상 동일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삼각형으로 표시된 부분(21)이 위로 절곡한 부분이고, 삼각형과 삼각형 사이가 아래로 절곡한 부분이다. 도3b가 B-B' 단면도인데, B-B' 선에 위치한 금속 패턴이 기동 패턴이 되고, 도3c의 A-A' 선에 위치한 금속 패턴이 고정 패턴이 된다. 따라서 도3b는 아래로 절곡되어 있고, 도3c는 위로 절곡되어 있다. 진동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은 스피커의 구조의 변경에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절곡되어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자석의 구조로, 본 발명에서 영구자석은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는데, 각 영구자석 요소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원 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각 영구자석 요소는 자극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은 다수개의 영구 자석 요소를 포함하는데, 각 영구자석 요소 간은 일정 간격 떨어져 있고, 자극은 영구 자석 요소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영구 자석 요소의 자극은 서로 반대가 된다. 이에 따라 정적인 직류 자속 회전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한다.
도5a 및 도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의 작용을 살펴본다.
영구자석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요소로 분할 구성된다. 각 영구자석 요소는 일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원형을 갖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한 영구자석 요소는 적용 스피커의 외형적 형상에 따라 타원형이 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영구자석 요소간은 반대 자극을 갖는다. 따라서 자기력의 방향은 N극에서 이웃하는 영구자석 요소의 S극으로 흐른다. 이에 따라 직류 자속 회전 방향은 전체적으로 원형이다.
금속 패턴은 가장 자리에서 중앙으로 다시 중앙에서 가장 자리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류는 가장 자리에서 중앙으로 흐른 다음 다시 중앙에서 가장 자리로 흐르게 된다. 기동 패턴(23)은 실제적으로 진동이 발생되는 부분이고, 고정 패턴(22)은 진동이 일어나지 않는 부분이다. 따라서 고정 패턴(22)은 자기장이 없는 영역 상부에 위치하고, 기동 패턴(23)은 자기장이 존재하는 영역에 위치한다.
스피커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정 패턴(22)은 위로 절곡되어 영구자석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기동 패턴(23)은 아래로 절곡하여 영구자석에 가깝도록 한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 패턴(23)이 위치한 필름 부분을 충분히 절곡하여, 기동 패턴(23)이 영구자석 요소들 사이 공극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자기장과 기동 패턴의 전류는 직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기동 패턴 부분은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진동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직접 구동 진동 플레이트를 다층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한 개의 일체형 진동 플레이트에 스피커와 리시버의 별도 전기적 채널을 갖는 양방향 듀얼 채널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영구 자석이 여러 개로 분할되어 있지만 자기력이 한쪽 방향으로 연속성을 가지고, 보이스 코일 역할을 하는 금속 패턴 중 동일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금속 패턴만이 자기장이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편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스피커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고, 방자형이면서 일채널의 단방향 또는 듀얼 채널의 양방향의 박형 스피커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 상부에 위치하며, 보이스 코일 역할을 하는 금속 패턴이 일 면에 형성된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영구자석은 다수개의 자석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요소들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어 공극을 형성하며, 이웃하는 상기 자석 요소들간에는 서로 다른 자극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 플레이트에 형성된 금속 패턴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줄이 하나의 금속 패턴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금속 패턴 그룹은,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일 면에서,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다시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향하면서 절단 없이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금속 패턴 그룹들 중 전류가 동일 방향으로 흐르는 제1 금속 패턴 그룹들(기동 패턴 그룹)이 상기 자석 요소들간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공극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금속 패턴 그룹들과는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2 금속 패턴 그룹들(고정 패턴 그룹)이 상기 자석 요소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요소는 좌우 측면에 자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요소들간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공극에 위치되는 상기 제1 금속 패턴 그룹들은 상기 자석 요소들간의 공극 내에 금속 패턴이 위치하도록 아래로 절곡되며, 상기 자석 요소의 중앙에 위치되는 상기 제2 금속 패턴 그룹들은 위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은 위 또는 아래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가 다층으로 구성되어 양방향 듀얼 채널을 갖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KR1020040020267A 2004-03-25 2004-03-25 직접구동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KR100621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267A KR100621648B1 (ko) 2004-03-25 2004-03-25 직접구동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PCT/KR2005/000861 WO2005094120A1 (en) 2004-03-25 2005-03-24 A micro speaker including a direct driven vibration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267A KR100621648B1 (ko) 2004-03-25 2004-03-25 직접구동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094A KR20050095094A (ko) 2005-09-29
KR100621648B1 true KR100621648B1 (ko) 2006-09-13

Family

ID=3505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267A KR100621648B1 (ko) 2004-03-25 2004-03-25 직접구동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1648B1 (ko)
WO (1) WO2005094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664B1 (ko) * 2006-02-01 2007-08-02 크레신 주식회사 스피커
KR100828070B1 (ko) * 2006-12-11 2008-05-08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US9130445B1 (en) * 2014-08-04 2015-09-08 David Micah Katz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with non-circular voice coil
KR20180050123A (ko) * 2016-11-04 201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평면형 마그넷 스피커
RU2746441C1 (ru) * 2020-06-02 2021-04-14 Сотис АГ Громковоритель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7300A (ja) * 1982-02-26 1983-09-02 Citizen Watch Co Ltd 超薄型スピ−カの構造
JPS61101196A (ja) * 1984-10-24 1986-05-20 Niles Parts Co Ltd 細長形平面スピ−カ
JPS62160900A (ja) * 1986-01-10 1987-07-16 Hitachi Ltd 薄形平面スピ−カ
JPH01126899A (ja) * 1987-11-12 1989-05-18 Alps Electric Co Ltd スピーカ
JP3156538B2 (ja) * 1995-03-22 2001-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JP3879283B2 (ja) * 1998-11-30 2007-02-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JP2000253489A (ja) * 1999-03-02 2000-09-14 Alpine Electronics Inc 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94120A1 (en) 2005-10-06
KR20050095094A (ko)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64989B (zh) 混合扬声器
TWI436651B (zh) 多功能微型喇叭
US10820113B2 (en) Speaker
WO2022121740A1 (zh) 一种扬声器及电子设备
JP5032707B2 (ja) 多機能マイクロスピーカー
KR100621648B1 (ko) 직접구동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US20120308070A1 (en) Slim type speaker and magnetic circuit therefor
KR100576267B1 (ko) 다수의 코일판을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KR200410779Y1 (ko) 코일 일체형 직접구동 진동체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JP2008092560A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080085467A (ko) 스피커
KR100691746B1 (ko) 공기순환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
JP2004356868A (ja) スピーカ
JP2005323054A (ja) 骨伝導スピーカ
KR100533714B1 (ko) 폐루프 형상의 코일판을 구비하는 평판스피커
KR20080095962A (ko) 왜율 방지 성능을 구비한 동 위상 저음 반전 방식의 출력구조를 갖는 전기음향변환 유닛
WO2022062047A1 (zh) 发声单体及扬声器
KR200188945Y1 (ko) 평판형 스피커
JP4553983B2 (ja) 電磁変換器
JP4475085B2 (ja) スピーカ
WO2010122605A1 (ja) 電磁変換器
JP3888146B2 (ja) スピーカ
US20230111935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loudspeaker, microphon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id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2021181B1 (ko) 전기 음향 변환 장치
KR20180055096A (ko) 전자기방식 고음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