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555B1 - 일회용 의복에 표시 요소를 부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의복에 표시 요소를 부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555B1
KR100619555B1 KR1020057002460A KR20057002460A KR100619555B1 KR 100619555 B1 KR100619555 B1 KR 100619555B1 KR 1020057002460 A KR1020057002460 A KR 1020057002460A KR 20057002460 A KR20057002460 A KR 20057002460A KR 100619555 B1 KR100619555 B1 KR 10061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outer layer
layer web
shee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787A (ko
Inventor
도시후미 오츠보
히로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7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4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printed or coloured, e.g. to match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84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of continuous or running length bonded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89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of discrete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 Y10T156/1092All laminae planar and face to face
    • Y10T156/1097Lamina is running length web

Abstract

제1 외층 웹(31)의 내외면에, 표시 요소(35)를 갖는 다수의 인디케이션 시트(32)와 다수의 흡액성 코어(36)를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는 부재 공급 수단(S1): 길이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시트(32)의 후방부(34)와 코어(36)의 전단부(37)를 중합시키고, 길이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시트(32)의 전방부(33)와 코어(36)의 후단부(39)를 중합시키는 부재 배치 수단(S2): 외층 웹(31)에 시트(32)를 접합하여, 외층 웹(31)에 제2 외층 웹과 내층 웹을 중합시키고, 내외층 웹(31)에 코어(36)를 접합하는 동시에, 이들 웹(31)끼리를 접합하는 부재 접합 수단: 코어(36)의 사이에서 시트(32)와 내외층 웹(31)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전후 영역에 표시 요소(35)를 갖는 다수의 적층 패널을 만드는 적층 패널 성형 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일회용 의복에 표시 요소를 부착하는 방법{PROCESS FOR ATTACHING INDICATOR ELEMENT TO DISPOSABLE GARMENT}
본 발명은 외층 웹과 내층 웹의 사이에 흡액성 코어가 개재하는 적층 패널의 전후 영역에 상기 외층 웹의 외측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한 표시 요소를 형성하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공개 2001-54536 공보는 모양 시트를 갖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기저귀는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외층 웹)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내층 웹)와, 이들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저귀는 앞 몸통 둘레 영역(전방 영역) 및 뒤 몸통 둘레 영역(후방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중간 영역)을 구비하고, 몸통 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를 갖는다. 앞 몸통 둘레 영역에는 기저귀의 외측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한 모양을 갖는 모양 시트가 부착되어 있다. 모양 시트는 이면 시트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 기저귀의 제조 방법은 이면 시트의 내면의 소정 위치에 이면 시트보다도 작은 면적의 모양 시트를 접합하는 모양 시트 접합 수단, 이면 시트의 내면에 코어를 접합하는 코어 접합 수단, 코어의 상면에 표면 시트를 중합시켜, 코어와 표면 시트를 접합하는 동시에,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를 접합하는 시트 접합 수단을 갖는다. 모양 시트 접합 수단은 다수의 모양 시트를 이면 시트의 내면에 순차 공급하는 동시에, 모양 시트가 기저귀의 앞 몸통 둘레 영역에 위치하도록 개개의 모양 시트를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후, 핫멜트형 접착제를 통해 이들 모양 시트를 이면 시트에 접합한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제조 방법에서는 모양 시트를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부착하는 경우, 다수의 모양 시트를 이면 시트의 폭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 병렬시킨 상태로, 모양 시트를 이면 시트의 내면에 따로따로 공급하는 동시에, 이들 모양 시트를 이면 시트에 따로따로 접합해야 한다. 이들 모양 시트를 따로따로 공급하고 접합하면, 모양 시트의 접합에 두 번 수고를 하는 것은 물론, 그러기 위한 장치나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저귀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두 번 수고를 하는 일없이, 적층 패널의 전후 영역에 한번에 표시 요소를 형성할 수 있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외층 웹과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내층 웹의 사이에 흡액성 코어가 개재하는 적층 패널의 전후 영역에, 상기 패널의 외측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한 표시 요소를 형성하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 제1 외층 웹의 외면에, 상기 표시 요소를 전방부와 후방부에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인디케이션 시트를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1 외층 웹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 내층 웹의 어느 한쪽의 내면에 전후단부와 중간부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상기 흡액성 코어를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는 부재 공급 수단,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의 사이에 상기 코어의 중간부를 배치하여,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중의 길이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의 후방부와 상기 코어의 전단부를 중합시키고,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중의 길이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의 전방부와 상기 코어의 후단부를 중합시키는 부재 배치 수단,
상기 제1 외층 웹에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를 접합하여, 상기 제1 외층 웹과 상기 내층 웹을 중합시키고, 이들 내외층 웹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코어를 접합하는 동시에, 이들 내외층 웹의 서로 중합되는 내면끼리를 접합하는 부재 접합 수단,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분할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코어의 사이에서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와 상기 내외층 웹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상기 전후 영역에 상기 표시 요소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다수의 상기 적층 패널을 만드는 적층 패널 성형 수단을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를 갖는다.
(1) 상기 방법이 상기 제1 외층 웹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 제2 외층 웹의 내면을 중합시켜, 상기 제1 및 제2 외층 웹끼리를 접합하는 외층 웹 접합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적층 패널 성형 수단이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코어의 사이에서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와 상기 제1 및 제2 외층 웹과 상기 내층 웹을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2) 상기 방법이 인접하는 상기 코어의 사이에 위치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신축성 탄성 부재와 상기 코어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신축성 탄성 부재를 상기 제1 외측 웹과 상기 내측 웹의 어느 한쪽의 내면에 신장 상태로 접합하는 탄성 부재 장착 수단을 갖는다.
(3) 상기 방법이 인접하는 상기 코어의 사이에 위치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신축성 탄성 부재와 상기 코어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신축성 탄성 부재를 상기 제1 외측 웹의 외면과 상기 제2 외측 웹의 내면의 어느 한쪽에 신장 상태로 접합하는 탄성 부재 장착 수단을 갖는다.
(4) 상기 제1 및 제2 외층 웹이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투습성의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내층 웹이 친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5)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가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투습성의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6) 상기 표시 요소가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인쇄된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일러스트이다.
(7) 상기 일러스트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거울상 관계에 있다.
도 1은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저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표시 요소 형성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으로부터 계속되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오픈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기저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표시 요소 형성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도 7로부터 계속되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의 개략 사시도.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요소 형성 방법의 상세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 2는 후기하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1A)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1의 기저귀(1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2에서는 세로 방향(길이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폭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또, 제1 및 제2 이면 시트(2, 4)나 표면 시트(3), 인디케이션 시트(19)의 내면이란 코어(5)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고, 이들 시트(2, 3, 4, 19)의 외면이란 코어(5)에 비대향하는 면을 말한다.
이 기저귀(1A)(적층 패널)는 팬츠형을 나타내고, 사용후에 폐기되는 일회용인 것이다. 기저귀(1A)는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제1 이면 시트(2)(제 1 외층 웹) 및 불투액성 제2 이면 시트(4)(제2 외층 웹)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3)(내층 웹)와, 표·이면 시트(2, 3)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5)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귀(1A)는 서로 대향하는 앞 몸통 둘레 영역(6)(전방 영역) 및 뒤 몸통 둘레 영역(8)(후방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6, 8)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7)(중간 영역)을 갖는다. 기저귀(1A)는 코어(5)의 양끝 가장자리(5a)의 세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엔드 플랩(9)과, 코어(5)의 양측 가장자리(5b)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10)을 갖는다.
가랑이 아래 영역(7)에서는 사이드 플랩(10)이 기저귀(1A)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를 그리고 있다. 기저귀(1A)는 그 전개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 시계형을 나타낸다. 코어(5)는 가랑이 아래 영역(7)으로부터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코어(5)는 그 평면 형상이 모래 시계형을 나타내어,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에 위치하는 전후단부(11, 13)와, 가랑이 아래 영역(7)에 위치하는 중간부(12)를 갖는다.
기저귀(1A)에서는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의 사이드 플랩(10)이 합장형으로 중합되어, 이들 몸통 둘레 영역(6, 8)의 사이드 플랩(10)이 세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병행하는 다수의 열융착선(14)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기저귀(1A)는 몸통 둘레 개구(15)와 그 아래쪽으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16)를 갖는다.
엔드 플랩(9)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 (17)(제1 신축성 탄성 부재)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7)의 사이드 플랩(10)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8)(제2 신축성 탄성 부재)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17, 18)는 제1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제1 이면 시트(2)는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면 시트(4)는 투습성의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3)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5)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 또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의 혼합물이며, 소정의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코어(5)는 그 형붕괴나 폴리머 입자의 탈락을 막기 위해서 전체가 티슈페이퍼나 친수성 섬유 부직포 등의 투액성 시트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기저귀(1A)의 외측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한 표시 요소(20)를 갖는 인디케이션 시트(19)가 부착되어 있다. 인디케이션 시트(19)는 투습성의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 요소(20)는 인디케이션 시트(19)의 외면에 인쇄된 곰의 얼굴의 일러스트이다. 이들 표시 요소(20)는 코어(5)의 전단부(11)와 후단부(13)에 중복되어 있다. 표시 요소(20)는 일러스트 외에, 모양이나 문자, 도형이라도 좋다.
앞 몸통 둘레 영역(6)의 몸통 둘레 방향 중앙부에는 일러스트를 인쇄한 인디케이션 시트(19)가 부착되고, 뒤 몸통 둘레 영역(8)의 몸통 둘레 방향 중앙부에는 문자를 인쇄한 인디케이션 시트(19)가 부착되어 있더라도 좋다. 앞 몸통 둘레 영역 (6)의 몸통 둘레 방향 중앙부에는 곰의 얼굴의 일러스트를 인쇄한 인디케이션 시트(19)가 부착되고, 뒤 몸통 둘레 영역(8)의 몸통 둘레 방향 중앙부에는 말의 얼굴의 일러스트를 인쇄한 인디케이션 시트(19)가 부착되어 있더라도 좋다.
엔드 플랩(9)은 코어(5)의 양끝 가장자리(5a)에서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이면 시트(2, 4)와 표면 시트(3)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0)은 코어(5)의 양측 가장자리(5b)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이면 시트(2, 4)와 표면 시트(5)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면 시트(4)는 제1 이면 시트(2)의 외측에 중복되고, 그 내면이 이면 시트(2)의 외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인디케이션 시트(19)는 제1 이면 시트(2)와 제2 이면 시트(4)의 사이에 개재하고, 그 내면이 이면 시트(2)의 외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인디케이션 시트(19)는 이면 시트(4)에 비접합의 상태로 있다.
엔드 플랩(9)과 사이드 플랩(10)에서는 제1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가 서로 중합된 상태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코어(5)와 이들 탄성 부재(17, 18)는 제1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의 내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접착제는 제1 이면 시트(2)의 내외면 전역과 표면 시트(3)의 내면 전역에 도포되어 있다. 또, 접착제는 제2 이면 시트(4)의 내면 전역에 도포되어 있더라도 좋 다. 이 경우는 인디케이션 시트(13)의 외면이 제2 이면 시트(4)의 내면에 고착된다.
접착제는 제1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에 스파이럴형, 지그재그형, 도트, 줄무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다. 접착제를 이러한 형태로 도포한 경우, 제1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에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과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생긴다.
도 3, 4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와, 도 3으로부터 계속되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4에서는 길이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폭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이 방법에서는, 이하의 수단을 거치는 것에 의해 도 1의 기저귀(1A)(적층 패널)가 제조되는 동시에, 기저귀(1A)의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전후 영역)에 표시 요소(20)가 형성된다(도 1 참조).
부재 공급 수단(S1); 부재 공급 수단(S1)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제1 외층 웹(31)(제1 이면 시트)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인디케이션 시트(32)가 일정 간격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제1 외층 웹(31)의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흡액성 코어(36)가 일정 간격으로 공급된다.
외층 웹(31)은 화살표 X1로 나타낸 길이 방향 전방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 외층 웹(31)은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션 시트(32)는 투습성의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션 시트(32)는 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전방부(33) 와 후방부(34)를 갖는다. 인디케이션 시트(32)는 그 전후부(33, 34)에 한 쌍의 표시 요소(35)를 갖는다. 표시 요소(35)는 인디케이션 시트(32)의 외면에 인쇄된 곰의 얼굴의 일러스트이다. 이들 일러스트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거울상(鏡像) 관계에 있다. 코어(36)는 그 평면 형상이 모래 시계형을 나타내고, 길이 방향에 전단부(37) 및 후단부(39)와, 이들 단부(37, 39)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38)를 갖는다.
부재 배치 수단(S2); 부재 배치 수단(S2)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32)의 사이에 코어(36)의 중간부(38)를 배치하여,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32)중의 길이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인디케이션 시트(32a)의 후방부(34)와 코어(36)의 전단부(37)를 중합시키는 동시에,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32)중의 길이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인디케이션 시트(32b)의 전방부(33)와 코어(36)의 후단부(39)를 중합시킨다.
부재 배치 수단(S2)에서는 인디케이션 시트(32)와 코어(36)가 외층 웹(31)의 폭 방향 중앙부(31a)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늘어선다. 또, 코어(36)의 전단부(37)에는 인디케이션 시트(32)의 후방부(34)에 그려진 일러스트가 위치하고, 코어(36)의 후단부(39)에는 인디케이션 시트(32)의 전방부(33)에 그려진 일러스트가 위치한다.
부재 접합 수단(S3); 부재 접합 수단(S3)에서는 인디케이션 시트(32)가 제1 외층 웹(31)의 외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되고, 코어(36)의 하면이 제1 외층 웹(31)의 내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 된다.
다음에, 인접하는 코어(36)의 사이에 위치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신축성 탄성 부재(40)(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가 제1 외층 웹(31)의 내면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고, 코어(36)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 신축성 탄성 부재(41)(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제1 외층 웹(31)의 내면에 신장 상태로 접합된다(탄성 부재 장착 수단(S5)). 제1 신축성 탄성 부재(40)는 코어(36)의 전후단부(37, 39)의 외측 근방을 폭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있다. 제2 신축성 탄성 부재(41)는 코어(36)의 중간부(38)의 외측 근방을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해지록 호를 그려 연장되어 있다.
이들 부재(32, 36, 40, 41)가 접합된 후는 제1 외층 웹(31)의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내층 웹(42)(표면 시트)의 내면을 중합시키고, 제1 외층 웹(31)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제2 외층 웹(43)(제2 이면 시트)의 내면을 중합시킨다. 제1 외층 웹(31)과 내층 웹(42)은 이들 웹(31, 42)의 내면끼리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 이 때, 코어(36)의 상면과 제1 및 제2 신축성 탄성 부재(40, 41)는 내층 웹(42)의 내면에 접합된다. 제1 외층 웹(31)과 제2 외층 웹(43)은 웹(31)의 외면과 웹(43)의 내면이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외층 웹 접합 수단(S6)). 또, 인디케이션 시트(32)와 제2 외층 웹(43)은 비접합의 상태로 있다.
내측 웹(42)과 제2 외층 웹(43)은 외측 웹(31)과 동일한 속도로 화살표 X1로 나타내는 길이 방향 전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내측 웹(42)은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제2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외층 웹(43)은 투습성의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착제는 제1 외층 웹(31)의 내외면 전역과 내층 웹(42)의 내면 전역에 스파이럴형, 지그재그형, 도트형, 줄무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다.
또, 부재 접합 수단(S3)에서는 제1 및 제2 신축성 탄성 부재(40, 41)를 제1 외층 웹(31)의 외면 또는 내층 웹(42)의 내면 중 어느 한쪽에 신장 상태로 접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신축성 탄성 부재(40, 41)는 부재 공급 수단(S1)과 부재 배치 수단(S2)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외층 웹(31)의 내면에 접합할 수도 있다.
적층 패널 성형 수단(S4); 적층 패널 성형 수단(S4)에서는 인디케이션 시트(32)의 전방부(33)와 후방부(34)를 분할하도록 제1 및 제2 외층 웹(31, 43)과 내층 웹(42)과 인디케이션 시트(32)가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어(36)의 사이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단선(K1)으로 절단된다. 또한, 코어(36)의 중간부(38)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외층 웹(31, 43)과 내층 웹(42)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단선(K2)으로 절제되어,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다수의 적층 패널(P)이 만들어진다. 제1 절단선(K1)은 제1 신축성 탄성 부재(40)의 사이를 폭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있다. 제2 절단선(K2)은 제2 신축성 탄성 부재(41)의 외측 근방을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해지록 호를 그려 연장되어 있다.
적층 패널(P)은 그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 시계형을 나타내어, 길이 방향에 전방 영역(44)(앞 몸통 둘레 영역) 및 후방 영역(46)(뒤 몸통 둘레 영역) 과, 이들 영역(44, 46)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45)(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는다. 적층 패널(P)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엔드 플랩(47)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48)을 갖는다. 적층 패널(P)의 전후 영역(44, 46)에는 패널(P)의 외측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한 표시 요소(35)가 형성되어 있다.
적층 패널(P)은 내층 웹(42)을 내측으로 한 상태로, 패널(P)의 길이 치수를 이분하는 폭 방향 절곡선(L)에서 절곡되는 동시에, 전후 영역(44, 46)이 서로 중합되는 사이드 플랩(48)끼리 열융착선(49)을 통해 접합되어, 도 1에 나타내는 팬츠형의 기저귀(1A)로 성형된다.
도 5, 6은 후기하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오픈형의 일회용 기저귀(1B)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5의 기저귀(1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6에서는 세로 방향(길이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폭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이 기저귀(1B)(적층 패널)는 오픈형을 나타내고, 사용후에 폐기되는 일회용인 것이다. 기저귀(1B)는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제1 이면 시트(2)(제1 외층 웹) 및 불투액성 제2 이면 시트(4)(제2 외층 웹)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3)(내층 웹)와, 표·이면 시트(2, 3)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5)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귀(1B)는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 둘레 영역(6)(전방 영역) 및 뒤 몸통 둘레 영역(8)(후방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6, 8)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7)(중간 영역)을 갖는다. 기저귀(1B)는 코어(5)의 양끝 가장자리(5a)의 세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엔드 플랩(9)과, 코어(5)의 양측 가장자리(5b)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10)을 갖는다. 기저귀(1B)는 그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 시계형을 나타낸다. 코어(5)는 가랑이 아래 영역(7)으로부터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을 향하여 연장되어,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에 위치하는 전후단부(11, 13)와, 가랑이 아래 영역(7)에 위치하는 중간부(12)를 갖는다.
엔드 플랩(9)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7)(제1 신축성 탄성 부재)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7)의 사이드 플랩(10)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8)(제2 신축성 탄성 부재)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17, 18)는 제1 및 제2 이면 시트(2, 4)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제1 및 제2 이면 시트(2, 4)는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3)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5)는 도 1의 그것과 동일하다.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기저귀(1B)의 외측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한 표시 요소(20)를 갖는 인디케이션 시트(19)가 부착되어 있다. 인디케이션 시트(19)는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 요소(20)는 인디케이션 시트(19)의 외면에 인쇄된 곰의 얼굴의 일러스트이다. 이들 일러스트는 코어(5)의 전단부(11)와 후단부(13)에 중복되어 있다.
엔드 플랩(9)은 코어(5)의 양끝 가장자리(5a)에서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 되는 제1 및 제2 이면 시트(2, 4)와 표면 시트(3)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0)은 코어(5)의 양측 가장자리(5b)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이면 시트(2, 4)와 표면 시트(3)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면 시트(4)는 제1 이면 시트(2)의 외측에 중복되고, 그 내면이 이면 시트(2)의 외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인디케이션 시트(19)는 제1 이면 시트(2)와 제2 이면 시트(4)의 사이에 개재하고, 그 내면이 이면 시트(2)의 외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인디케이션 시트(19)는 이면 시트(4)에 비접합의 상태로 있다.
엔드 플랩(9)과 사이드 플랩(10)에서는 제1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가 서로 중합된 상태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코어(5)는 제1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의 내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탄성 부재(17, 18)는 제1 이면 시트(2)의 외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접착제는 제1 이면 시트(2)의 내외면 전역과 표면 시트(3)의 내면 전역에 스파이럴형, 지그재그형, 도트형, 줄무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다.
뒤 몸통 둘레 영역(8)의 사이드 플랩(10)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테이프 파스너(21)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21)는 점착제(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된 자유단부(21a)와, 제2 이면 시트(4)의 외면에 고정된 기단부(21b)를 갖는 다. 점착제는 박리지(도시하지 않음)에 피복 보호되어 있다. 앞 몸통 둘레 영역(6)에 있어서의 제2 이면 시트(4)의 외면에는 테이프 파스너(21)의 자유단부(21a)를 착탈 가능하게 고착하는 타겟 테이프(22)가 접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21)와 타겟 테이프(22)는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저귀(1B)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앞 몸통 둘레 영역(6)의 사이드 플랩(10)의 외측에 뒤 몸통 둘레 영역(8)의 사이드 플랩(10)을 중합시켜, 점착제를 통해 테이프 파스너(21)의 자유단부(21a)를 타겟 테이프(22)에 고착하고,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을 연결한다.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이 연결된 기저귀(1B)에는 몸통 둘레 개구와 그 아래쪽으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형성된다.
도 7, 8은 표시 요소 형성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와, 도 7로부터 계속되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 8에서는 길이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폭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이 방법에서는 이하의 수단을 거치는 것에 의해 도 5의 기저귀(1B)(적층 패널)가 제조되는 동시에, 기저귀(1B)의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전후 영역)에 표시 요소(20)가 형성된다(도 5 참조).
부재 공급 수단(S1); 부재 공급 수단(S1)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제1 외층 웹(31)(제1 이면 시트)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인디케이션 시트(32)가 공급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내층 웹(42)의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흡액성 코어(36)가 일정 간격으로 공급된다.
외층 웹(31)과 내층 웹(42)은 화살표 X1로 나타내는 길이 방향 전방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 외층 웹(31)은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내층 웹(42)은 친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션 시트(32)는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션 시트(32)는 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전방부(33)와 후방부(34)를 갖는다. 인디케이션 시트(32)는 그 전후부(33, 34)에 한 쌍의 표시 요소(35)를 갖는다. 표시 요소(35)는 인디케이션 시트(32)의 외면에 인쇄된 곰의 얼굴의 일러스트이다. 이들 일러스트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거울상 관계에 있다. 코어(36)는 그 평면 형상이 모래 시계형을 나타내고, 길이 방향에 전단부(37) 및 후단부(39)와, 이들 단부(37, 39)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38)를 갖는다.
부재 배치 수단(S2); 부재 배치 수단(S2)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32)의 사이에 코어(36)의 중간부(38)를 배치하여,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32)중의 길이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인디케이션 시트(32a)의 후방부(34)와 코어(36)의 전단부(37)를 중합시키는 동시에,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32)중의 길이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인디케이션 시트(32b)의 전방부(33)와 코어(36)의 후단부(39)를 중합시킨다.
부재 배치 수단(S2)에서는 인디케이션 시트(32)가 외층 웹(31)의 폭 방향 중앙부(31a)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늘어서고, 코어(36)가 내층 웹(42)의 폭 방향 중앙부(42a)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늘어선다. 또, 코어(36)의 전단부(37)에는 인디케이션 시트(32)의 후방부(34)에 그려진 일러스트가 위치하고, 코 어(36)의 후단부(39)에는 인디케이션 시트(32)의 전방부(33)에 그려진 일러스트가 위치한다.
부재 접합 수단(S3); 부재 접합 수단(S3)에서는 인디케이션 시트(32)가 제1 외층 웹(31)의 외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되고, 코어(36)의 상면이 내층 웹(42)의 내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 또한, 제1 외층 웹(31)의 내면과 내층 웹(42)의 내면이 중합되어, 이들 웹(31, 42)의 내면끼리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 이 때, 코어(36)의 하면은 제1 외층 웹(31)의 내면에 접합된다.
다음에, 인접하는 코어(36)의 사이에 위치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신축성 탄성 부재(40)(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가 외층 웹(31)의 외면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고, 코어(36)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 신축성 탄성 부재(41)(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외층 웹(31)의 외면에 신장 상태로 접합된다(탄성 부재 장착 수단(S5)). 제1 신축성 탄성 부재(40)는 코어(36)의 전후단부(37, 39)의 외측 근방을 폭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있다. 제2 신축성 탄성 부재(41)는 코어(36)의 중간부(38)의 외측 근방을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해지록 호를 그려 연장되어 있다. 또, 부재 접합 수단(S3)에서는 제1 및 제2 신축성 탄성 부재(40, 41)를 제1 외층 웹(31)의 내면 또는 내층 웹(42)의 내면중 어느 한쪽에 신장 상태로 접합할 수도 있다.
이들 부재(32, 36, 40, 41)가 접합된 후는 제1 외층 웹(31)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제2 외층 웹(43)(제2 이면 시트)의 내면을 중합시킨 다. 제1 외층 웹(31)과 제2 외층 웹(43)은 웹(31)의 외면과 웹(43)의 내면이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외층 웹 접합 수단(S6)). 또, 인디케이션 시트(32)와 제2 외층 웹(43)은 비접합의 상태로 있다.
제2 외층 웹(43)은 제1 외층 웹(31) 및 내층 웹(42)과 동일한 속도로 화살표 X1로 나타내는 길이 방향 전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제2 외층 웹(43)은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접착제는 제1 외층 웹(31)의 내외면 전역과 내층 웹(42)의 내면 전역에 스파이럴형, 지그재그형, 도트형, 줄무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다.
적층 패널 성형 수단(S4); 적층 패널 성형 수단(S4)에서는 인디케이션 시트(32)의 전방부(33)와 후방부(34)를 분할하도록 제1 및 제2 외층 웹(31, 43)과 내층 웹(42)과 인디케이션 시트(32)가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어(36)의 사이를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절단선(K1)으로 절단된다. 또한, 코어(36)의 중간부(38)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외층 웹(31, 43)과 내층 웹(42)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단선(K2)으로 절제되어,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다수의 적층 패널(P)이 만들어진다. 제1 절단선(K1)은 제1 신축성 탄성 부재(40)의 사이를 폭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있다. 제2 절단선(K2)은 제2 신축성 탄성 부재(41)의 외측 근방을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해지록 호를 그려 연장되어 있다.
적층 패널(P)은 그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 시계형을 나타내어, 길이 방향에 전방 영역(44)(앞 몸통 둘레 영역) 및 후방 영역(46)(뒤 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영역(44, 46)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45)(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 는다. 적층 패널(P)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엔드 플랩(47)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48)을 갖는다. 적층 패널(P)의 전후 영역(44, 46)에는 패널의 외측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한 표시 요소(35)가 형성되어 있다.
그 후, 후방 영역(46)의 사이드 플랩(48)에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테이프 파스너(50)가 부착되는 동시에, 전방 영역(44)에 있어서의 제2 외층 웹(43)의 외면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타겟 테이프(51)가 접합되어, 도 5에 나타내는 오픈형의 기저귀(1B)로 성형된다. 테이프 파스너(50)는 그 기단부가 제2 외층 웹(43)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외층 웹(31, 43)에는 2장의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중합시킨 복합 부직포,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투습성의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중합시킨 복합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내층 웹(42)에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미세한 다수의 개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섬유 부직포에는 스펀 레이스, 니들펀치, 멜트블론, 서멀본드, 스판본드, 케미컬본드, 에어스루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의 각 섬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또는 병렬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에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필름은 그 투습도가 2150∼4000 g/m2·24 hrs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패널(P)은 미리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이 연결된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1A)나 착용시에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8)을 연결하는 오픈형의 일회용 기저귀(1B) 외에 기저귀 커버의 내면에 부착하는 흡수성 패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요소 형성 방법에 따르면, 전방부와 후방부에 표시 요소를 갖는 인디케이션 시트를 이분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다수의 적층 패널을 제조할 때에, 패널의 전후 영역에 한번에 표시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인디케이션 시트를 패널의 전후 영역에 따로따로 부착하기 위한 장치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패널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적층 패널의 전후 영역에 표시 요소를 연속하여 고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인디케이션 시트에 인쇄된 일러스트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거울상 관계에 있기 때문에, 전후 영역에 위치하는 일러스트 중의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상하 거꾸로 되어 버리는 일은 없다.

Claims (8)

  1.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외층 웹과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내층 웹의 사이에 흡액성 코어가 개재하는 적층 패널의 전후 영역에 상기 패널의 외측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한 표시 요소를 형성하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 제1 외층 웹의 외면에, 상기 표시 요소를 전방부와 후방부에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인디케이션 시트를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1 외층 웹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 내층 웹의 어느 한쪽의 내면에, 전후단부와 중간부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상기 흡액성 코어를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는 부재 공급 수단,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의 사이에 상기 코어의 중간부를 배치하여,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 중의 길이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의 후방부와 상기 코어의 전단부를 중합시키고, 인접하는 이들 인디케이션 시트 중의 길이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의 전방부와 상기 코어의 후단부를 중합시키는 부재 배치 수단,
    상기 제1 외층 웹에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를 접합하여 상기 제1 외층 웹과 상기 내층 웹을 중합시키고, 이들 내외층 웹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코어를 접합하는 동시에, 이들 내외층 웹의 서로 중합되는 내면끼리를 접합하는 부재 접합 수단,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분할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코어의 사이에서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와 상기 내외층 웹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상기 전후 영역에 상기 표시 요소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다수의 상기 적층 패널을 만드는 적층 패널 성형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제1 외층 웹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 제2 외층 웹의 내면을 중합시켜, 상기 제1 및 제2 외층 웹끼리를 접합하는 외층 웹 접합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적층 패널 성형 수단이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코어의 사이에서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와 상기 제1 및 제2 외층 웹과 상기 내층 웹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것인 표시 요소 형성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인접하는 상기 코어의 사이에 위치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신축성 탄성 부재와 상기 코어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신축성 탄성 부재를 상기 제1 외측 웹과 상기 내측 웹의 어느 한쪽의 내면에 신장 상태로 접합하는 탄성 부재 장착 수단을 갖는 것인 표시 요소 형성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인접하는 상기 코어의 사이에 위치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신축성 탄성 부재와 상기 코어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신축성 탄성 부재를 상기 제1 외측 웹의 외면과 상기 제 2 외측 웹의 내면의 어느 한쪽에 신장 상태로 접합하는 탄성 부재 장착 수단을 갖는 것인 표시 요소 형성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층 웹이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투습성의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내층 웹이 친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표시 요소 형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가 투습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투습성의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표시 요소 형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요소가 상기 인디케이션 시트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인쇄된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일러스트인 표시 요소 형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러스트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거울상 관계에 있는 표시 요소 형성 방법.
KR1020057002460A 2002-08-15 2003-07-22 일회용 의복에 표시 요소를 부착하는 방법 KR100619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36946A JP4116839B2 (ja) 2002-08-15 2002-08-15 表示要素形成方法
JPJP-P-2002-00236946 2002-08-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787A KR20060027787A (ko) 2006-03-28
KR100619555B1 true KR100619555B1 (ko) 2006-09-06

Family

ID=3188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460A KR100619555B1 (ko) 2002-08-15 2003-07-22 일회용 의복에 표시 요소를 부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90372B2 (ko)
EP (1) EP1547560B1 (ko)
JP (1) JP4116839B2 (ko)
KR (1) KR100619555B1 (ko)
CN (1) CN1303961C (ko)
AU (1) AU2003285046B2 (ko)
BR (1) BR0313579A (ko)
CA (1) CA2494913C (ko)
WO (1) WO2004016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6840B2 (ja) * 2002-08-15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表示要素形成方法
US20070142800A1 (en) * 2005-12-20 2007-06-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 partially visible graphic
WO2009119195A1 (ja) * 2008-03-27 2009-10-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405761B2 (ja) 2008-03-27 2014-0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US8512496B2 (en) 2008-06-04 2013-08-20 Zuiko Corporation Elastic member guid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osable wearing articles
JP5243305B2 (ja) * 2009-03-02 2013-07-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ブ搬送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8927801B2 (en) 2009-04-13 2015-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wetness indicators
JP6404297B2 (ja) * 2016-10-21 2018-10-1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7078433B2 (ja) * 2018-03-28 2022-05-31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907B2 (ja) 1988-10-31 1996-07-3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プレ―ヤのチルトサ―ボ装置
JPH02234760A (ja) * 1989-03-09 1990-09-17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3156251B2 (ja) * 1990-10-26 2001-04-16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3606297B2 (ja) * 1996-10-21 2005-01-0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で得られた使い捨ておむつ
US6017406A (en) 1996-12-20 2000-0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with separate leg cuffs and waist pieces
JP2001054536A (ja) * 1999-08-20 2001-02-27 Uni Charm Corp 模様シートを有する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58499B1 (en) * 2000-01-21 2003-05-06 Paragon Trade Brands,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graphics and process for making
US6788803B2 (en) * 2001-12-14 2004-09-07 Paragon Trade Brand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graphics
JP4116840B2 (ja) * 2002-08-15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表示要素形成方法
US7172667B2 (en) * 2003-09-30 2007-02-06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graphics into absorbent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3961C (zh) 2007-03-14
US20050098259A1 (en) 2005-05-12
EP1547560A4 (en) 2008-03-19
CN1674846A (zh) 2005-09-28
CA2494913C (en) 2008-08-12
AU2003285046A1 (en) 2004-03-03
EP1547560B1 (en) 2015-03-18
JP4116839B2 (ja) 2008-07-09
JP2004073427A (ja) 2004-03-11
BR0313579A (pt) 2005-07-12
WO2004016208A1 (ja) 2004-02-26
CA2494913A1 (en) 2004-02-26
US7390372B2 (en) 2008-06-24
KR20060027787A (ko) 2006-03-28
AU2003285046B2 (en) 2007-10-18
EP1547560A1 (en)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556B1 (ko) 표시 요소 형성 방법
KR100778725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3735586B2 (ja) 表示要素形成方法
JP3732459B2 (ja) 表示要素形成方法
KR100792197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839132B1 (ko) 신축성 일회용 팬츠
KR100798708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물품
EP1197195B1 (en) Disposable pull-on garment
JP4249993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4187873A (ja)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KR100798720B1 (ko) 일회용 팬츠형 착용 물품
JP2002013001A (ja) トランクス型の使い捨てパンツ
JPH1014979A (ja)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WO2017086076A1 (ja) 吸収性物品
JP3771416B2 (ja) トランクス型の使い捨てパンツ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00373A (ko) 일회용 기저귀
KR10065783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H0838546A (ja) 立体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KR100418463B1 (ko) 일회용 트렁크형 팬츠
JP3693565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6208280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0619555B1 (ko) 일회용 의복에 표시 요소를 부착하는 방법
JP2011015796A (ja) 止着テープ、止着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KR20070113296A (ko) 일회용 팬츠형 착용 물품
JP2002321298A (ja) 繊維材料の積層体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積層体及び前記積層体を含む吸収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