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102B1 -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102B1
KR100616102B1 KR1020040012495A KR20040012495A KR100616102B1 KR 100616102 B1 KR100616102 B1 KR 100616102B1 KR 1020040012495 A KR1020040012495 A KR 1020040012495A KR 20040012495 A KR20040012495 A KR 20040012495A KR 100616102 B1 KR100616102 B1 KR 100616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accompaniment data
user terminal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139A (ko
Inventor
정시욱
Original Assignee
정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시욱 filed Critical 정시욱
Priority to KR102004001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1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61H33/065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with steam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웹서버로부터 좋아하는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여기에 자신이 직접 실연한 자신의 목소리 또는 악기의 연주음이나 자신의 실연 모습 등을 결합하여 새로운 음악파일 또는 뮤직비디오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반주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풀, 서버,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서버는, 반주 데이터 DB에 수록된 음악 리스트 및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가 요청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이들 데이터들을 믹싱(Mixing)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연이 담긴 음악파일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SELF-DEMONSTRATED MUSIC FI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데이터 베이스 풀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데이터 베이스 풀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방법을 설명하 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웹서버로부터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또한 자신이 직접 실연한 자신의 목소리 또는 악기의 연주음을 다운로드 받은 반주데이터에 결합하여 새로운 음악파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잘 알려져 있는 노래를 듣거나 따라 부르기를 좋아해서 노래방 기기를 구입하여 즐기거나 노래방을 찾아가기도 한다. 또한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으로 컴퓨터 상에서 노래방 시스템을 구현하여 비용절감과 시간적 제약문제를 해결하게 되었다. 통상 인터넷을 이용한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통신 노래방 시스템은 한 컴퓨터 내에서 모든 노래방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데이터 양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버는 필요한 음원데이터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는 사용할 음원데이터에 대하여만 서버에 요구하여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에서는 이용자가 단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음원데이터를 재생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노래 부르기를 즐기는 데에 그친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 서비스를 무선망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 데, 이를 통상 무선인터넷 서비스라 칭한다. 무선이 가지는 편리함으로 인하여 이를 통해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무선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들은 정보처리 기능이 부가된 무선 휴대폰 또는 무선통신 기능을 가진 정보단말기(PDA) 등을 이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인터넷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무선 휴대폰을 통한 게임 서비스, 전자 상거래 서비스 등이 증가하게 되었다. 더구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휴대폰 및 정보단말기가 보다 소형화되고 성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어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예컨대 통화시 상대방에 전화를 걸었을 때 기존의 획일적인 기계음 대신 가요, 영화음악, 팝속 등의 콘텐츠를 들려주는 컬러링 서비스가 선보인 데 이어, 최근에는 전화를 받는 사람에 따라 발신음을 다르게 할 수 있는 링백톤(RBT) 통신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노래방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음원데이터는 이를 재가공하는 것이 어려우며, 또한 단순히 재생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할 뿐이므로 자신이 직접 부르거나 연주한 음악을 타인에게 들려주고 싶어하는 이용자들에게는 효과적인 서비스가 되지 못한다. 아울러 기존의 컬러링 또는 링백톤 서비스에서는 제공된 콘텐츠만을 이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흥미가 반감된다. 또한 최근 음악에 대한 저작권 분쟁이 날로 극심해져가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이용자가 저작권으로 보호된 음악파일을 무단으로 복사하거나 배포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음악을 좋아하는 많은 이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대로 가공하고 타인에게 전송하는 것이 어 렵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음원데이터를 저작권 침해없이 다운로드받아 자신이 직접 실연한 목소리 또는 악기음을 믹싱하는 것이 가능한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신이 실연하여 제작한 음악파일을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하여 무선 휴대폰에 전송받음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음원데이터에 자신이 실연한 목소리 또는 악기음을 기록한 실연 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드하면,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실연 데이터와 음원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목소리 또는 악기음을 믹싱하여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음악파일에 영상을 함께 수록하여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은, 반주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풀, 서버,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서버는 반주 데이터 DB에 수록된 음악 리스트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가 요청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상기 반주 데이터를 믹싱(Mixing)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음악 리스트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반주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실연을 기록하여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는 제1 송수신부, 믹싱처리부, 데이터 결합부, 및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송수신부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믹싱처리부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반주 데이터를 믹싱한다. 데이터 결합부는 믹싱처리된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한다. 제1 제어부는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음악 리스트를 판독하고 또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가 요청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1 송수신부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데이터 결합부에 의해 생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제1 통신망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의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은 제2 송수신부, 반주 데이터 재생부, 사용자 실연녹음부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송수신부는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반주 데이터 재생부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반주 데이터를 재생한다. 사용자 실연녹음부는 반주 데이터 재생부에 의해 반주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에 사용자의 실연을 기록하되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2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반주 데이터를 반주 데이터 재생부에 출력하고, 사용자 실연녹음부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제2 송수신부를 경유하여 서버에 전송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의 시스템을 통한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방법은, (a) 제1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가 가능한 음악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음악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 풀의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반주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믹싱(Mixing)하는 단계; (e) 믹싱처리된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상기 반주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이렇게 생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제1 통신망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시스템 또는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고, 그 반주 데이터에 자신의 목소리 또는 자신이 연주하는 악기음을 기록한 실연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여 줌으로써, 자신의 실연과 반주 데이터가 믹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단지 반주에 따라 노래를 따라부르는 것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실연이 담긴 음악파일을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서버에서는 반주 데이터와 사용자의 실연 데이터를 믹싱하여 줌으로써 보다 양질의 음악파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나아가, 자신의 실연이 담긴 음악파일을 휴대폰 등에 다운로드하여 컬러링 또는 링백톤(RBT) 등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주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풀, 서버,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는 점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차이점을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는, 반주 데이터 DB에 수록된 음악 리스트 및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가 요청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음악 리스트 및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반주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실연을 기록하여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하고, 반주 데이터와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믹싱(Mixing)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고, 자기실연 음 악파일을 서버에 전송한다.
여기서,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음악 리스트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가 요청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1 송수신부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수신하여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은 제2 송수신부, 반주 데이터 재생부, 사용자 실연녹음부, 믹싱처리부, 데이터 결합부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송수신부는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반주 데이터 재생부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반주 데이터를 재생한다. 사용자 실연녹음부는 반주 데이터 재생부에 의해 반주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에 사용자의 실연을 기록하여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한다. 믹싱처리부는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믹싱(Mixing)한다. 데이터 결합부는 믹싱처리된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한다. 제2 제어부는 반주 데이터 재생부, 사용자 실연녹음부, 믹싱처리부 및 데이터 결합부를 제어하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제2 송수신부를 경유하여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시스템을 통한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방법은, (a) 제1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가 가능한 음악 리스트를 전송하 는 단계; (b) 상기 음악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 풀의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반주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믹싱한 후 결합하여 생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의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반주 데이터에 따라 자신의 실연을 녹음하고, 자신이 실연한 데이터와 반주 데이터를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믹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곡은 리듬, 멜로디, 가수의 보이스로 구성된다. 통상의 노래방용 반주 데이터는 리듬과 멜로디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반주 데이터는 일반적인 노래방용 반주 데이터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노래방용 반주 데이터에서 멜로디를 지시하는 악기음이 소거된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악이 녹음되어 있는 모든 기록매체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제거한 반주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반주 데이터를 얻는 방법으로는, 두 개의 반주신호 각각에 동일한 음성신호가 혼합된 두 개의 음악신호(예컨대, 스테레오 음악신호)로 이루어진 음악으로부터 반주신호만을 얻는 방법이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각 음악신호를 더한 가산신호 및 각 음악신호를 감산한 감산신호를 얻어서, 가산신호 내의 음성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여 두 개의 반주신호만이 더해진 반주가산신호를 얻고, 상기 반주가산신호와 감산신호를 가산하거나 감산함으로써 두개의 반주신호를 얻게 된다. 이러한 방식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음성신호 즉, 가수의 목소리가 제거된 반주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실연한 자신의 목소리 또는 악기음을 녹음하여 생성된 데이터는 사용자 실연 데이터라고 칭한다. 또한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 풀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라 칭하고, 반대로 사용자의 모습 또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녹화하여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 화상 데이터라 칭한다.
또한, 자기실연 음악파일은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믹싱한 음악 데이터 파일을 의미한다. 아울러, 자기실연 음악파일은 음악 데이터에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등의 영상 테이터 또는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결합한 데이터를 의미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데이터 베이스 풀,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은 서버(100), 데이터 베이스 풀(160), 제1 사용자 단말(300), 및 제2 사용자 단말(400)로 구성된다. 제1 사용자 단말(300)로서는 인터넷망인 제1 통신망(300a)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한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컴퓨터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T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400)로서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400a)을 통해 상기 서버(100)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휴대폰, 정보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 또는 디지털 T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 풀(160)은 사용자들에 대한 회원 ID, 패스워드, 기타 신상정보 등의 회원정보를 수록한 회원 DB와, 서버(100)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반주 데이터를 수록한 반주 데이터 DB와,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으로 이루어진 영상 데이터 DB 등을 포함한다.
제1 통신망(300a)으로는 개인용 컴퓨터 등의 제1 사용자 단말과 서버(100)를 연결하는 통신모뎀, 근거리 통신망(LAN), ADSL, 케이블 TV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비록 제2 사용자 단말(400)을 무선 통신망(400a)을 통해서 상기 서버에 연결되는 무선 통신기기로 도시하였으나,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또는 컴퓨터가 내장된 디지털 T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로서 개인용 컴퓨터 또는 컴퓨터가 내장된 디지털 TV 등을 이용하는 경우, 제2 통신망(400a)은 제1 통신망(300a)에 사용되는 통신모뎀, 근거리 통신망(LAN), ADSL, 케이블 TV망 등이 그대로 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400)로서 무선 휴대폰, 정보단말기, 휴대용 컴퓨터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2 통신망(400a)은 무선 인터넷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 템의 서버(100) 및 데이터 베이스 풀(16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의 서버(100)는 송수신부(12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 풀(160)은 회원 DB(162) 및 반주 데이터 DB(164)를 포함한다. 특히 반주 데이터 DB(164)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포함한다. 서버(100)의 송수신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개인용 PC, 무선 휴대폰, 정보단말기, 및 컴퓨터가 내장된 디지털 TV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40)는 송수신부(120)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흐름 및 각 구성부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데이터 베이스 풀(160)과 접속되어 회원 DB(162) 및 반주 데이터 DB(164)에 수록된 회원정보 및 반주 데이터를 판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에 따라, 서버(100)는 회원인증부(142), 결제처리부(144), 인코딩부(146) 또는 파일변환부(148)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인증부(142)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회원정보와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베이스 풀의 회원 DB(162)에 수록된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의 회원인증을 수행한다. 회원인증부(142) 및 회원 DB는 선택적 구성요소로서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서버(100)는 결제처리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반주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중가요 혹은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에 해당한다. 따라서 반주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저작료를 포함한 사용료를 지불할 것이 요구되며 그에 대한 비용을 상기 시 스템에 포함된 결제처리부(14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급받는 것이 필요하다.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한 곡에 해당하는 반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것을 요청받으면 결제처리부(144)는 제어부(14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에 결제정보를 요구하게 되고, 다시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반주 데이터 사용료에 대하여 결제를 처리하게 된다.
또한, 서버(100)는 인코딩부(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주 데이터로서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단 이용이 금지되므로 허락을 받지 않은 자가 무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암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주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에 대하여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특정한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받고, 또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반주 데이터 DB(164)로부터 해당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판독하게 된다. 이때, 인코딩부(146)는 제어부(140)로부터 반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인코딩한 후, 다시 제어부(140)로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인코딩된 반주 데이터는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된다.
아울러, 서버(100)는 파일변환부(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수신하면 이를 소정의 포멧으로 변환하여 제2 통신망(400a)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하게 된다. 제2 사용자 단말(400)은 무선 휴대폰 또는 정보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 전송할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3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제1 사용자 단말(300)은 서버(100)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송수신부(320)와, 상기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반주 데이터 또는 제1 사용자 단말 내에서 생성될 각종 데이터의 처리와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특정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를 포함하고,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를 통해 재생되는 반주 데이터는 헤드셋 등과 같은 출력부(342a)를 통해 출력된다. 이 때, 반주 데이터 재생부(344)로부터 재생되는 반주 데이터를 출력부(342a)를 통해 청취하면서 사용자가 반주데이터에 맞춰 따라부르거나, 또는 특정 악기를 연주하게 된다. 이렇게 반주 데이터에 맞춰 실연되는 사용자의 목소리 또는 악기음은 미리 설치된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부(344a)를 통해 사용자 실연녹음부(344)에 입력된다. 실연녹음부(344)는 사용자의 실연을 녹음하여 사용자의 목소리 또는 악기음 등을 담은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사용자 실연 데이터는 반주 데이터와 함께 믹싱처리부(346)로 입력되고, 믹싱처리부(346)는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상기 반주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데이터의 "레벨(level)", "울림(reverb)", "좌우스테레오(PAN)" 또는 "EQ(Equalization)" 등을 조절하거나, 기타 음색을 조절하여 음향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믹싱처리부(346)는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오토튠(auto tune)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반주 데이터를 믹싱(Mixing)하는 것이 완료되면, 데이터 결합부(348)에서 는 믹싱처리된 두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한편, 제1 사용자 단말(300)은 데이터 저장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360)는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사용자 실연녹음부(344)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데이터 결합부(348)를 통해 생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반주 데이터나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재생하여 검토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데이터 결합부(346)에 의해 생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재생하여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는 동기화되는 바람직하다. 즉 반주 데이터를 청취하면서 그에 따라 사용자가 실연한 데이터를 믹싱(Mixing)하기 위해서는 두 데이터가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의 동기화는 시간적 동기화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동기화 방식에 대하여는 종래의 방식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송수신부(320), 제어부(340),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 출력부(342a), 사용자 실연 녹음부(344), 입력부(344a), 믹싱처리부(346), 데이터 결합부(348) 및 데이터 저장부(360)의 기본구성은 도 3에 도시한 예와 동일하다.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반주 데이터가 인코딩된 경우에는 디코딩부(341)를 통해 디코딩하게 된다. 즉, 디코딩부(341)는 제어부(340)로부터 인코딩된 반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한 후 다시 제어부(340)로 출력하게 된다. 디코딩된 반주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360)에 저장되고, 또한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로 입력된다.
또한,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에 의해 재생되는 반주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가 실연하는 경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소리 또는 악기음을 녹음하여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의 모습을 담은 화상 또는 사용자가 실연하는 화상을 녹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미리 설치된 마이크 등의 제1 입력부(344a)를 통해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사용자 실연녹음부(344)에서 녹음함과 동시에, 미리 설치한 카메라 등과 같은 제2 입력부(345a)를 통해 사용자의 모습을 담은 화상 등을 사용자 실연녹화부(345)에서 녹화하여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사용자의 실연을 녹음 및 녹화함으로써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사용자 화상 데이터가 각각 사용자 실연녹음부(344) 및 사용자 실연 녹화부(345)에 의해 생성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실연 데이터는 상기 반주 데이터와 함께 믹싱처리부(346)로 입력되어 "레벨", "울림", "좌우스테레오" 또는 "EQ(Equalization)" 등이 조절되거나, 사용자 실연 데이터가 오토튠(auto tune)된다. 믹싱처리가 완료되면 반주 데이터와 사용자 실연 데이터는 데이터 결합부(348)로 입력되어 자기실연 음악파일이 생성된다. 이 때, 사용자 실연녹화부(345)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의 모습을 담은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등의 사용자 화상 데이터가 데이터 결합부(348)로 입력되어 자기실연 음악파일과 결합된다. 나아가, 반주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에 녹음 및 녹화되는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사용자 화상 데이터는 시간적 동기화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300)의 데이터 저장부(360)는 반주 데이터 저장부(362), 사용자 실연 데이터 저장부(364), 사용자 화상 데이터 저장부(366), 자기실연 음악파일 저장부(368)을 별도로 구성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2에 도시한 서버(100)에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 풀(160)은 별도의 영상 데이터 DB(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버(100)를 통해 별도의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상술한 사용자 화상 데이터 대신에 다운로드 받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믹싱처리된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에 영상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은 뮤직 비디오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지금까지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에 의하여 사용자가 실연한 음악파일을 제작하고, 이를 다시 자신의 휴대폰 등에 전송받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300)을 구동하고(S502),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하면(S504), 서버(100)는 회원인증부(142)를 통해 회원임을 확인한다.(S506) 회원인증부(142)에서는 서버측 제어부(140)를 통해 입력된 회원정보와, 데이터 베이스 풀(160)의 회원 DB에 수록된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기존 회원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의 회원인증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로는 회원 ID 및 패스워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만약 회원 ID 및 패스워드가 다르게 되면 회원인증부(142) 는 서버측 제어부(14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300)에 회원가입을 안내하게 되고 회원가입에 필요한 회원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S508a)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회원가입의 수락지시 및 회원정보를 수신하면, 서버측 제어부(140)는 데이터 베이스 풀(160)의 회원 DB(162)에 사용자의 회원 디렉토리를 생성하게 되고 여기에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받은 회원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사용자의 회원인증이 완료되면(S508), 서버측 제어부(140)는 데이터 베이스 풀(160)의 반주 데이터 DB(164)로부터 반주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는 음악에 대한 리스트를 제1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고, 사용자가 음악 리스트를 통해 특정 음악에 대하여 반주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게 된다.(S510)
다음으로, 서버(100)의 결제처리부(144)는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요청한 반주 데이터의 사용료를 처리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300)에 결제여부 및 결제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 입력된 결제정보에 따라 결제를 처리하게 된다.(S514) 반주 데이터의 사용료에 대한 결제는 미리 예정된 포인트에 따라 분기별로 계산되어 처리될 수도 있고, 금융사에서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의 신용카드 정보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반주 데이터의 사용료에 대하여 상기 결제처리부(144)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제어부(140)는 데이터 베이스 풀(160)의 반주 데이터 DB(164)로부터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요청한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1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서버(10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으면, 제1 사용자 단말(300)의 제어부(340)는 이를 데이터 저장부(360)에 저장하게 된다.(S516) 제1 사용자 단말측 제어부(340)는 다운로드 받은 반주 데이터를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로 출력한다. 만약, 서버(100)가 인코딩부(146)를 포함하여 상기 반주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기 전에 소정의 방식으로 인코딩한 경우에는, 제1 사용자 단말(300)은 디코딩부(34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저장된 반주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 제어부(340)는 디코딩부(341)에서 디코딩하여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340)는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에서 반주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사용자 실연녹음부(344)에 연결된 입력부(344a)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목소리 또는 악기음을 녹음함으로써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S520) 이렇게 생성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360)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다시 재생하여 봄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최상의 데이터를 얻을 때까지 반복하여 실연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실연 데이터가 생성된 후에는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가 믹싱처리부(346)에 입력된다. 믹싱처리부(346)에서는 두개의 데이터를 믹싱처리한다.(S522) 이때, 믹싱처리부(346)에서는 두 데이터의 "레벨(level)", "울림(reverb)", "좌우스테레오(PAN)" 또는 "EQ(Equalization)" 등을 조절하게 된다. 나아가 믹싱처리부(346)은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오토튠(auto tune)하는 것도 가능하다. 믹싱처리부(346)에서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반주 데이터를 믹싱하게 되면 그 결과를 데이터 결합부(348)에 입력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게 된다.(S523)
만약 제1 사용자 단말(300)이 사용자 실연녹화부(345)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2 입력부(345a)을 통해 사용자의 실연 화상을 녹화함으로써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얻은 경우에는, 데이터 결합부(348)에서 믹싱처리된 반주 데이터,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결합하여 뮤직비디오 형태의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 풀(160)이 영상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1 사용자 단말(300)은 서버(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다운로드 받은 영상 데이터는 데이터 결합부(348)에 입력되어, 믹싱처리부(346)에서 믹싱된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함께 결합되어 뮤직 비디오 형태의 자기실연 음악파일이 생성된다.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반주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한 경우이거나, 혹은 여기에 사용자 화상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결합한 경우이거나, 어느 경우든 최종적으로 생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서버(100)에 다시 전송하게 된다.(S524)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서버(100)는 파일변환부(148)를 통해 소정의 포멧으로 파일변환하고(S526), 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제2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하게 된다.(S528)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에서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믹싱처리하고 두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음악파일을 제작하게 되고 제작된 음악파일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실연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서버에 전송하면, 서비스 제공자는 사 용자가 업로드한 실연 데이터와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사용자의 실연이 담긴 음악파일을 제공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보다 고품질의 음악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신의 실연이 담긴 음악파일을 2차적 저작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의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100) 및 제1 사용자 단말(300)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서버(100)는 송수신부(120), 믹싱처리부(150), 데이터 결합부(152), 및 제1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120)는 제1 사용자 단말(300) 및 제2 사용자 단말(40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믹싱처리부(150)는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사용자가 선택한 반주 데이터를 믹싱처리한다. 데이터 결합부(152)는 믹싱처리된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한다. 제어부(140)는 반주 데이터 DB(164)로부터 음악 리스트 및 반주 데이터를 판독하여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고, 데이터 결합부(152)에 의해 생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제1 통신망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회원인증부(142), 결제처리부(144), 인코딩부(146) 및 파일변환부(148)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부, 즉 믹싱처리부(150) 및 데이터 결합부(152)에 대하여 설명한다. 믹싱처리부(150)는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사용자가 선택한 반주 데이터를 믹싱처리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후, 이를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았던 반주 데이터와 함께 믹싱처리부(150)에 출력한다. 믹싱처리부(150)는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반주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데이터의 "레벨", "울림", "좌우스테레오" 또는 "EQ(Equalization)" 등을 조절한다. 나아가 믹싱처리부(150)는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오토튠"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믹싱처리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반주 데이터는 데이터 결합부(152)로 출력된다. 데이터 결합부(152)는 믹싱처리된 두 데이터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실연한 음악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데이터 결합부(152)에서 생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사용자가 지정한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단말로 재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파일변환부(148)를 통해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함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데이터 베이스 풀(160)은 회원 DB(162), 반주 데이터 DB(164) 이외에도 영상 데이터 DB(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 풀(160)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DB(166)에 수록된 영상 데이터 리스트를 제1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한다. 만약 사용자가 특정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DB(166)로부터 판독하여 데이터 결합부(152)에 출력한다. 데이터 결합부(152)는 믹싱처리부(150)에서 믹싱처리된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은 뮤직 비디오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제1 사용자 단말(300)은 송수신부(320),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 사용자 실연녹음부(344), 및 제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송수신부(320)는 서버(10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서버(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는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반주 데이터를 재생한다. 사용자 실연녹음부(344)는 반주 데이터 재생부에 의해 반주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에 사용자의 실연을 기록하여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340)는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반주 데이터를 상기 반주 데이터 재생부에 출력하고, 사용자 실연녹음부(344)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송수신부(320)를 경유하여 서버(100)에 전송한다.
아울러, 제1 사용자 단말(300)에 사용자 실연 녹화부(345)가 구비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실연 모습 등을 담은 화상 데이터가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생성된다. 이렇게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사용자 화상 데이터가 서버(100)에 전송된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300)은 데이터 저장부(3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저장부(360)는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반주 데이터, 사용자 실연 데이터 또는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사용자 단말(300)을 구성하는 각부의 기능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들을 상기 서버(100)에 전송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3의 경우에는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의 믹싱처리부(346)에서 믹싱한 후에 데이터 결합부(348)에서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본 제2 실시예의 제1 사용자 단말(300)에서는 믹싱처리 또는 데이터 결합을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 실연 데이터 또는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하여, 서버(100)에서 이들 데이터의 믹싱 및 결합이 행해지게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사용자 단말(300)이 인터넷망 등의 제1 통신망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하면(S604), 서버(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반주 데이터 DB에 수록된 음악 리스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게 된다.(S609) 이 때, 회원인증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하면 회원인증부(142) 및 회원 DB(162)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상정보, 예컨대 회원 ID 및 비밀번호 등을 확인한다. 만약 기존회원인 경우에는 회원임을 인증하거나(S608), 기존회원이 아니면 회원가입을 안내한 후 회원가입이 수락되면 회원인증을 수행하게 된다.(S608a)
다음으로, 사용자가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음악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특정 음악에 대하여 반주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것을 요청한다.(S610) 사용자의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서, 서버(100)의 제어부(140)는 반주 데이터 DB(164)로부터 해당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게 된다.(S614) 이 경우, 서버(100)는 결제처리부(144)를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300)에 반주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저작료를 포함한 사용료의 지불을 요청할 수 있음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결제처리부(144)는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요청한 반주 데이터에 대한 사용료를 처리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300)에 결제여부 및 결제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 입력된 결재정보에 따라 결체처리를 수행한다.(S612) 또한, 상기 서버(100)는 인코딩부(146)를 통해 상기 반주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는 서버(10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된다. 제1 사용자 단말(100) 측에서는, 서버(100)로부터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수신한 후,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에서 이를 재생한다. 만약, 반주 데이터가 인코딩부(146)에 의해 암호화된 경우에는 반주 데이터를 재생하기 전에 디코딩부(341)에서 디코딩된 후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로 출력된다.
반주 데이터 재생부(342) 및 출력부(342a)를 통해 반주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에 사용자는 이를 청취하면서 자신의 목소리 또는 연주하는 악기음을 제1 입력부(344a) 및 사용자 실연녹음부(344)를 통해 상기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S616) 만약, 제1 사용자 단말(300)이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사용자 실연녹화부(345)를 구비한 경우에는, 사용자 실연녹화부(345) 및 제2 입력부(345a)를 통해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또는,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사용자 화상 데이터)는 다시 서버(100)로 전송된다.(S618)
다음으로, 서버(100)에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는,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가 믹싱처리부(150)에서 믹싱처리된다.(S620) 믹싱처리부(150)에서는 두 데이터의 "레벨", "울림", "좌우스테레오" 또는 "EQ(Equalization)" 등을 조절하게 되고, 나아가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오토튠하게 된다. 믹싱방식으로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입력한 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믹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 풀(160)에 영상 데이터 DB(166)가 구비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영상 데이터 리스트를 다운로드 받을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S622), 만약 사용자가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특별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제1 사용자 단말(300)측에 영상 데이터 리스트를 전송하게 된다.(S624) 다음으로, 사용자가 특정한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 면(S626), 그에 대한 사용료의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628) 결제처리 방식은 앞에서 설명한 반주 데이터의 결제처리방식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S622 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것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S620 단계에서 믹싱된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데이터 결합부(152)에서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게 된다.(S630) 또한, 데이터 결합부(152)는, 사용자가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함께 결합함으로써 뮤직 비디오 형태의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데이터 결합부(152)는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사용자 화상 데이터가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 결합부(152)에서 생성되는 자기실연 음악파일은, (i) 반주 데이터 및 사용자 실연 데이터가 결합된 형태의 파일이거나, (ii) 반주 데이터,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결합된 형태의 파일이거나, (iii) 반주 데이터,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사용자 화상 데이터가 결합된 형태의 파일일 수 있다. 이들 중에서 (ii) 및 (iii)는 뮤직 비디오로서 이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생성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은 서버(100)의 파일변환부(148)에 의해 소정의 포멧으로 변환되고(S632), 변환된 파일은 제1 통신망을 통해 다시 제1 사용 자 단말(300)에 전송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된다.(S634)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동시에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변형예가 적용가능함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로서 인터넷망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를 예로 들었지만,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정보단말기(PDA)를 통해서도 실시될 수 있음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방법은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하고 또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메모리카드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이용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잇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서버로부터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또한 자신이 직접 실연하여 자신의 목소리 또는 악기의 연주음을 다운로드 받은 반주데이터에 결합하여 새로운 음악파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 은 자신의 실연이 담긴 음악파일을 휴대폰 등에 다운로드하여 컬러링 또는 링백톤(RBT) 등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단순한 음악파일로서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실연이 담긴 뮤직비디오를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음원데이터를 저작권 침해없이 다운로드받아 자신이 직접 실연한 목소리 또는 악기음을 믹싱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음악파일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덧붙여 자신의 모습이나 원하는 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생성된 사용자의 실연이 담긴 음악파일은 2차적 저작물로서 이용이 가능하며, 또한 자신이 실연하여 제작한 음악파일을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하여 무선 휴대폰에 전송받음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창작 욕구를 고취시키고 차별화된 만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된형태로 구현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으로서,
    반주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풀, 서버,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반주 데이터 DB에 수록된 음악 리스트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가 요청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음악 리스트 및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상기 반주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실연을 기록하여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반주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믹싱(Mixing)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음악 리스트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가 요청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수신하여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와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제2 송수신부;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반주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주 데이터 재생부;
    상기 반주 데이터 재생부에 의해 반주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의 실연을 기록하여 상기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실연녹음부;
    상기 반주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믹싱(Mixing)하는 믹싱처리부;
    상기 믹싱처리된 상기 반주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데이터 결합부; 및
    상기 반주 데이터 재생부, 상기 사용자 실연녹음부, 상기 믹싱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결합부를 제어하며 상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상기 제2 송수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사용자 실연녹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실연녹화부는 상기 반주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결합부는 믹싱처리된 상기 반주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실연녹화부에서 생성된 상기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 풀은 회원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회원정보와 상기 회원 DB로부터 판독된 회원 DB의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인증 및 회원가입을 안내하는 회원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회원정보 및 상기 회원 DB로부터 판독한 회원정보를 상기 회원인증부에 출력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결제정보에 따라 반주데이터 사용료의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결제처리부에서 상기 반주 데이터 사용료의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상기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판독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을 받은 특정 반주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인코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판독한 반주 데이터를 상기 인코딩부에 출력하고 상기 인코딩부에 의해 암호화된 반주 데이터를 상기 인코딩부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제1 송부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인코딩된 반주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인코딩된 반주 데이터를 상기 디코딩부에 출력하고 상기 디코딩부로부터 입력받은 디코딩된 반주 데이터를 상기 반주 데이터 재생부에 출력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변환하는 파일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변환부로부터 입력받은 파일변환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며,
    상기 믹싱처리부는 상기 반주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의 레벨(Level), 울림(Reverb), 좌우스테레오(PAN) 또는 EQ(equaliz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며,
    상기 믹싱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오토튠(auto-tune)하며,
    상기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은 통신모뎀, 근거리 통신망(LAN), ADSL, 케이블 TV망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 통신망은 무선 통신망이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디지털 TV, 무선 휴대폰, 및 정보단말기(PDA)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반주 데이터 DB에 수록된 반주 데이터는 음악 데이터 중에서 음성 데이터를 제거한 반주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20. 제1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에 음악 리스트를 전송하고, 상기 음악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반주 데이터를 믹싱하고, 믹싱처리된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상기 반주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음악 리스트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가 요청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1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수신하여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 풀은 회원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회원정보와 상기 회원 DB로부터 판독된 회원 DB의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인증 및 회원가입을 안내하는 회원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회원정보 및 상기 회원 DB로부터 판독한 회원정보를 상기 회원인증부에 출력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결제정보에 따라 반주데이터 사용료의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결제처리부에서 상기 반주 데이터 사용료의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의 반주 데이터를 상기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판독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을 받은 특정 반주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인코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판독한 반주 데이터를 상기 인코딩부에 출력하고 상기 인코딩부에 의해 암호화된 반주 데이터를 상기 인코딩부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제1 송부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변환하는 파일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변환부로부터 입력받은 파일변환된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며,
    상기 믹싱처리부는 상기 반주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의 레벨(Level), 울림(Reverb), 좌우스테레오(PAN) 또는 EQ(equaliz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며,
    상기 믹싱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오토튠(auto-tune)하며,
    상기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은 통신모뎀, 근거리 통신망(LAN), ADSL, 케이블 TV망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 통신망은 무선 통신망이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디지털 TV, 무선 휴대폰, 및 정보단말기(PDA)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반주 데이터 DB에 수록된 반주 데이터는 음악 데이터 중에서 음성 데이터를 제거한 반주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용 서버.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a) 제1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로에 다운로드가 가능한 음악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음악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 풀의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반주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믹싱(Mixing)하는 단계;
    (e) 믹싱처리된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상기 반주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제1 통신망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음악에 대한 반주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제정보에 따라 상기 반주 데이터 사용료의 결제를 처리하며, 상기 반주 데이터의 사용료 결제가 완료되면 선택된 반주 데이터를 상기 반주 데이터 DB로부터 판독하는 것이며,
    상기 (c)단계는, 상기 반주 데이터와 동기화된 사용자 실연 데이터 및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이며,
    상기 (d)단계는,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를 오토튠(auto-tune)하고, 상기 반주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의 레벨(Level), 울림(Reverb), 좌우스테레오(PAN) 또는 EQ(equaliz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것이며,
    상기 (e)단계는, 믹싱처리된 상기 반주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실연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화상 데이터를 결합하여 자기실연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방법.
  29. 삭제
  30. 삭제
KR1020040012495A 2004-02-25 2004-02-25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061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495A KR100616102B1 (ko) 2004-02-25 2004-02-25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495A KR100616102B1 (ko) 2004-02-25 2004-02-25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507A Division KR20060026118A (ko) 2006-03-10 2006-03-10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139A KR20050086139A (ko) 2005-08-30
KR100616102B1 true KR100616102B1 (ko) 2006-08-25

Family

ID=3727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495A KR100616102B1 (ko) 2004-02-25 2004-02-25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436B1 (ko) * 2004-07-09 2006-04-27 주식회사 금영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및 상기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KR101218801B1 (ko) * 2009-12-21 2013-01-18 주식회사 인코렙 미디어 편집 장치, 미디어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KR101650071B1 (ko) * 2013-09-03 2016-08-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온라인 음원 제작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139A (ko) 200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20399A1 (en) Live concert/event video system and method
CN110097416B (zh) 具有卡拉ok和照相亭功能的数字点播设备及相关方法
JP200608504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EA003762B1 (ru) Мобильная система караоке
KR101924205B1 (ko)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관리 방법
JP2006091901A (ja) カラオケオーディション装置およびカラオケ審査装置
JP2014219443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100616102B1 (ko)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JP2014186177A (ja) 再生装置
KR20020095001A (ko) 다운로드와 스트리밍의 혼합 방식을 이용한 파일 전송 방법
KR20130053718A (ko) 모바일 음원관리 시스템, 오픈 마켓 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20060026118A (ko)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8647A (ko) 노래 저장 시스템과, 이에 적합한 노래방 기기 및 노래방시스템
JP4513274B2 (ja) 電子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収録送出装置、情報編集配信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2037451A (ja) カラオケ装置
JP2010060627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6154777A (ja) 音楽生成システム
JP6601615B2 (ja) 動画処理システム、動画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JP4150580B2 (ja) 配信システム、再生機器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2008145650A (ja) 再生制限付き音楽コンテンツの配信システム及び配信方法並びに携帯端末
KR102307639B1 (ko) 핸드폰 영상밴드 노래반주 시스템
JP5224508B2 (ja) カラオケ録画装置
TWI286737B (en) Karaoke system
JP4114344B2 (ja) カラオケデータ再生装置
JP7149203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