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436B1 -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및 상기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및 상기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436B1
KR100574436B1 KR1020040053612A KR20040053612A KR100574436B1 KR 100574436 B1 KR100574436 B1 KR 100574436B1 KR 1020040053612 A KR1020040053612 A KR 1020040053612A KR 20040053612 A KR20040053612 A KR 20040053612A KR 100574436 B1 KR100574436 B1 KR 100574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file
unit
song
user
song accompan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483A (ko
Inventor
박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04005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4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purchase action
    • G11B20/007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purchase action wherein accounting and payment are postponed, e.g. until the player can establish a network connection to the service provid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6Unified messaging, e.g. interactions between e-mail, instant messaging or converged IP messaging [CP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반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노래반주시스템을 사용하여 컴퓨터 음악파일로 된 자신만의 음악파일을 제작하는 경우, 노래반주시스템 제공업자가 상기 시스템의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래반주시스템은 사용자의 목소리와 반주음을 합성하여 컴퓨터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엠펙 인코딩부, 생성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로 상기 사용자가 음악파일을 만들고자 할 경우 소정의 음원사용료를 내기 위해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과금인증부를 포함하는 노래반주시스템을 제공한 업체의 서버에 과금을 요청하는 과금인증요청부, 및 상기 과금인증요청에 의해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되면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원하는 웹상에 업로드 할 수 있는 업로드부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스튜디오에서 녹음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 없이도 노래방에서 손쉽게 자신의 목소리 또는 친구들의 목소리가 담긴 가수의 앨범에 준하는 음악파일을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고, 동시에 노래반주시스템 제공업자는 상기 시스템의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GARAOKE SYSTEM FOR COLLECTING THE HIRE OF SOUND SOURCE AND METHOD OF COLLECTING THE HIRE OF SOUND SOURCE IN THE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2는 도1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제작된 음악파일의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노래반주장치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30: 엠펙인코딩부
140: 저장부 150: 과금인증요청부
160: 업로드부 170: 다운로드부
180: 컴퓨터 음악파일재생부 200: 업체서버
300: 웹사이트 400: 휴대용저장장치
본 발명은 노래반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노래반주시스템을 사용하여 MP3파일로 된 자신만의 음악파일을 제작하는 경우, 노래반주시스템 제공업자가 상기 시스템의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에는 외부의 카세트 타입의 녹음장치를 이용하여 녹음을 하는 기능은 구현되었으나 항상 별도의 녹음장비를 동원하여 녹음을 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았으며 부가적인 설비비용도 증가하였다. 또한, 이 경우 노래반주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자성저장매체인 카세트 테이프에 직접 녹음되게 되므로 저장매체 및 저장방식의 특성 상 카세트 테이프 데크로 입력되는 원음 보다는 녹음되는 음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1999-8265호는 사용자의 선곡용 키신호에 따라 선곡된 노래의 미디정보를 내부 메모리로부터 읽어 들여 반주음을 발생하고, 상기 반주음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마이크 신호를 합성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한편, 선곡된 노래의 가사정보를 내부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소정의 영상신호에 합성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녹음용 키신호를 출력하는 녹음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녹음용 키신호에 응하여 인코딩 제어신호 및 라이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인코딩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소정 엠펙 압축방식에 따라 압축하여 출력하는 엠펙 인코딩부; 및 상기 제 어부의 라이팅 제어신호에 따라 엠펙 인코딩부로부터 입력되는 압축신호를 저장하는 엠펙 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압축 및 녹음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이 제공하는 노래반주장치는 별도의 녹음장비를 동원할 필요 없이 녹음 품질이 우수한 MP3 파일을 제작할 수 있으나, 이렇게 제작된 MP3 파일이 노래반주기의 일 구성요소인 엠펙카드에 저장되어 있어, 상기 노래반주기 사용자가 자신이 녹음한 MP3 파일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노래반주장치 제공업체 또한 상기 장치의 음원사용료를 전혀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에 대한 당업계의 요구가 다수 존재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스튜디오에서 녹음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 없이도 노래방에서 손쉽게 자신의 목소리 또는 친구들의 목소리가 담긴 가수의 앨범에 준하는 음악파일을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래반주시스템 제공업자가 음원 상용의 비용을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노래반주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악파일을 제작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래반주시스템 제공업자가 음원 상용의 비용을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노래반주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악파일을 제작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선곡에 따라 선곡된 노래의 미디정보의 반주음을 발생하고, 상기 반주음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합성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한편, 선곡된 노래의 가사정보와 영상정보를 합성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음악파일 제작을 위한 각종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 엠펙 인코딩 제어신호, 라이팅 제어신호 또는 음원사용료 지불요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엠펙인코딩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컴퓨터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엠펙 인코딩부; 상기 엠펙 인코딩부에서 생성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제어부의 라이팅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에 대한 상기 제어부의 음원사용료 지불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서버에 과금을 요청하는 과금인증요청부; 및 상기 과금인증요청부의 과금인증요청에 따라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에 의해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사용자가 원하는 웹상에 업로드 할 수 있는 업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업로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컴퓨터 음악파일을 수신하고자 원하는 이메일(E-MAIL) 주소를 입력하는 이메일 주소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망으로 연결된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는 상기 컴퓨터 음악파일을 원하는 이메일 주소로 송부할 수 있는 이메일 발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금인증요청부의 과금인증요청에 의해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휴대용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다운로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컴퓨터 음악파일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망으로 연결된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는 상기 과금인증요청부의 과금인증요청을 승인하는 과금인증승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금인증승인부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과금인증요청부의 과금인증요청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악파일의 제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음악파일 제작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음악파일로 제작될 노래의 반주음이 노래반주기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반주음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합성한 오디오 신호가 압축되어 컴퓨터 음악파일로 저장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에 대해 소정의 음원사용료를 지불하기 위해 상기 노래반주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연결된 노 래반주기 제공업체의 서버에 과금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과금인증이 승인되어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컴퓨터 음악파일이 선택된 웹사이트 상에 업로드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에 과금인증을 요청하기 전에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이 재생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컴퓨터 음악파일이 선택된 웹사이트 상에 업로드 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음악파일이 원하는 이메일 주소로 송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휴대용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과금인증이 승인되어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되는 단계는 휴대폰 번호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에서 상기 음악파일의 제작신호는 선곡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2는 도1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제작된 음악파일의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은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의 미디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읽어 들여 반주음을 발생하고, 반주음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합성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197)로 출력하는 한편, 선곡된 노래의 가사정보를 소정의 영상신호에 합성하여 모니터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를 컴퓨터 음악파일(예를 들어 MP3, wave 등)로 제작하여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상기 컴퓨터 음악파일을 사용자의 소유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노래반주장치(100)와 상기 노래반주장치(100)에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노래반주기 제공업체서버(200) 및 각종 웹사이트(300)와 상기 컴퓨터 음악파일을 다운로드하는 휴대용 저장장치(400)를 포함한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40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노래반주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40), 코러스합성부(191) 및 미디합성부(192), 믹서(195), 엠펙 인코딩부(130), 과금인증요청부(150), 업로드부(160), 다운로드부(170), 컴퓨터 음악파일 재생부(180), 영상합성부(193), 모니터(194), 마이크(196) 및 스피커(197)를 포함한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다운로드부(170) 또는 컴퓨터 음악파일 재생부(18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곡용 신호 또는 노래반주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 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데, 특히 상기 입력부(110)는 음악파일 제작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여 음악파일제작신호, 음원사용료 지불요청 신호 등을 포함한 각종 조작신호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특히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음악파일 제작신호를 입력받아 엠펙 인코딩 제어신호 또는 라이팅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엠펙인코딩부(130) 또는 상기 저장부(140)를 제어하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40)를 통해 음원사용료를 지불하기 위한 조작을 하면 상기 입력부(14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음원사용료 지불요청 제어신호를 과금인증요청부(150)로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140)는 공지된 저장매체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곡될 수 있는 각종 노래의 정보(예를 들어 미디정보, 가사정보, 영상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특히 엠펙인코딩부(130)에 의해 생성된 컴퓨터 음악파일(예를 들어, MP3 등)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코러스합성부(191) 및 미디합성부(192)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정보에 따른 반주음을 발생하며, 상기 믹서(195)는 상기 발생된 반주음에 상기 마이크(196)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합성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여 앰프를 통해 상기 스피커(197)로 출력한다.
상기 엠펙 인코딩부(130)는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공지의 엠펙 압축방식에 따라 압축하여 MP3 등의 컴퓨터 음악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상기 과금인증요청부(150)는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사용자가 자신만의 음악파일로 소유하고자 할 경우 즉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원하는 웹사이트(300)에 업로드하거나 원하는 휴대용저장장치(400)에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경우, 소정의 음원사용료를 지불하기 위해 상기 입력부(110)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음원사용료 지불요청 제어신호가 상기 과금인증요청부(150)로 출력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과금인증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200)로 전송하여 과금을 요청한다.
상기 업로드부(160)는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업체서버(200)로부터 상기 과금인증요청이 승인되어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되면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사용자가 원하는 웹사이트(300)상에 업로드 하며,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업로드부(16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컴퓨터 음악파일을 원하는 E-MAIL 주소로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E-MAIL 주소를 입력하는 E-MAIL 주소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합성부(193)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입력되는 가사정보를 소정의 영상신호에 합성하여 모니터(194)로 출력한다.
상기 다운로드부(170)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휴대용 저장장치(플래시 메모리 등)(40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음악파일 재생부(180)는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재생하여 사용자가 음악파일의 녹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에서 특히 제작된 음악파일의 음원사용료를 징수하기 위한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노래반주장치(100)에 구비된 입력부(110)를 통해 선곡 한다. 그 다음 상기 선곡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선곡된 노래의 미디정보 및 가사정보를 각각 상기 믹서(195) 및 영상합성부(193)로 출력하여 신호처리한 후 상기 스피커(197)를 통해 곡을 연주한다. 이 때 상기 모니터(194)를 통해서는 노래의 가사정보 및 영상정보가 출력된다.
이 때 사용자가 이러한 동작 과정 중에(예를 들어 곡목을 선택한 후) 상기 입력부(110)에서 음악파일 제작을 위한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120)로 상기 음악파일 제작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음악파일이 제작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10)에서 음악파일 제작을 위한 조작부를 조작하지 않게 되면 통상적인 노래반주장치와 동일하게 선곡된 곡목이 연주되고 이 연주에 따라 사용자는 노래를 부르면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별도로 상기 입력부(110)에서 음악파일 제작을 위한 조작을 하지 않고 단지 선곡만으로 상기 제어부가(120)가 음악파일을 제작하도록 상기 엠펙인코딩부(130)와 상기 저장부(140)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엠펙 인코딩부(130)는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상기 믹서(195)로부터 입력되는 반주음과 사용자가 상기 반주음에 맞추어 부르는 상기 마이크(196)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공지의 엠펙 압축 방식에 따라 압축한 컴퓨터 음악파일을 상기 저장부(140)로 출력하고,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상기 엠펙 인코딩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압축 데이터 즉 컴퓨터 음악파일을 저장한다.
그 후,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자신만의 음악파일로 활용하고자할 때,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음원사용료 지불요청 신호가 입력되도록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된 음원사용료 지불요청신호에 따라 음원사용료 지불요청 제어신호를 상기 과금인증요청부(150)로 출력하고, 상기 과금인증요청부(150)에서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200)에 소정의 음원사용료 지불 요청에 대한 과금인증요청을 한다.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200)는 과금인증승인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과금인증요청에 대해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과금인증승인부의 승인방법은 공지된 모든 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휴대폰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과금인증요청부(150)의 과금인증요청이 승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는 음원사용료 지불 요청신호를 입력하기 전에 컴퓨터 음악파일 재생부(180)를 동작시켜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의 녹음된 연주상태를 확인한 후 마음에 들면 음원사용료를 지불하고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하여 자신만의 음악파일로 소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과금인증요청부(150)의 과금인증요청에 따라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200)의 과금인증승인부에 의해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되면 사용자는 상기 업로드부(160)를 통해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원하는 웹사이트(300) 상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업로드부(160)에 이메일(E-MAIL) 주소 입력부(미도시)가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200)에는 이메일 발송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컴퓨터 음악파일을 원하는 이메일 주소로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이메일 주소를 상기 업로드부(160)의 이메일 주소 입력부에 입력하면,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200)의 이메일 발송부를 통해 상기 입력된 이메일 주소로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송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저장된 MP3 음악파일을 원하는 이메일 주소로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상기 다운로드부(170)에 의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40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400)는 플래시메모리장치, 각종 스마트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2를 참조하여 도1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제작된 음악 파일의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동작 흐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선택하여 선곡한다(S10).
그 다음, 음악파일을 제작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0).
그 다음, 상기 단계 S20에서 사용자가 음악파일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계 S10에서 선곡된 곡이 연주된다(S30).
그 다음 상기 연주된 곡이 MP3 음악파일로 제작되어 저장된다(S40).
그 다음 상기 저장된 MP3 음악파일을 재생할지 여부를 확인한다(S50).
그 다음 상기 단계 S50에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이 재생된다(S60).
그 다음 상기 재생된 MP3 음악파일에 대해 과금인증요청을 할 것인지 확인한다(S70).
그 다음 상기 단계 S70에서 사용자가 상기 재생된 MP3 음악파일의 녹음상태가 마음에 들어 과금인증요청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MP3 음악파일에 대한 과금인증이 요청된다(S90).
그 다음 상기 과금인증요청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결제방식으로 과금인증이 승인된다(S90).
그 다음 상기 단계 S90에서 과금인증이 승인되면 원하는 웹사이트상에 업로드 할 것인지 확인하다(S100).
그 다음 상기 단계100에서 사용자가 업로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과금인증승인된 MP3 음악파일을 원하는 웹사이트 상에 업로드하고(S110), 종료(S120)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0에서 사용자가 음악파일을 제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계 S31에서 선곡된 곡이 연주되고, 상기 단계 S31이 종료되면 사용자가 계속해서 노래 부를지 여부를 확인한다(S32). 그 다음 상기 단계 S32에서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는 상기 단계S10으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종료한다(S33).
또한, 상기 단계 S50에서 상기 MP3 음악파일을 재생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는 바로 단계S70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단계 S70에서 사용자가 과금인증요청을 하지 않는 경우는 사용자가 계속해서 노래 부를지 여부를 확인한다(S71)하여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는 상기 단계S10으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종료한다(S72).
여기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단계 S50 및 S6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S100과 S130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은 별도의 스튜디오에서 녹음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 없이도 노래방에서 손쉽게 자신의 목소리 또는 친구들의 목소리가 담긴 가수의 앨범에 준하는 음악파일을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노래반주시스템 제공업자가 음원 상용의 비용을 회 수할 수 있도록 상기 노래반주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악파일을 제작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을 이용하면, 별도의 스튜디오에서 녹음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 없이도 노래방에서 손쉽게 자신의 목소리 또는 친구들의 목소리가 담긴 가수의 앨범에 준하는 개인앨범을 완성하여 휴대용 저장장치로 듣거나 웹상에서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원 상용에 대한 비용 회수도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노래반주시스템을 제공한 업체의 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선곡에 따라 선곡된 노래의 미디정보의 반주음을 발생하고, 상기 반주음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합성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한편, 선곡된 노래의 가사정보와 영상정보를 합성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음악파일 제작을 위한 각종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 엠펙 인코딩 제어신호, 라이팅 제어신호 또는 음원사용료 지불요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엠펙인코딩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컴퓨터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엠펙 인코딩부;
    상기 엠펙 인코딩부에서 생성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제어부의 라이팅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에 대한 상기 제어부의 음원사용료 지불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서버에 과금을 요청하는 과금인증요청부; 및
    상기 과금인증요청부의 과금인증요청에 따라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에 의해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사용자가 원하는 웹상에 업로드 할 수 있는 업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업로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컴퓨터 음악파일을 수신하고자 원하는 이메일(E-MAIL) 주소를 입력하는 이메일 주소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통신망으로 연결된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는 상기 컴퓨터 음악파일을 원하는 이메일 주소로 송부할 수 있는 이메일 발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과금인증요청부의 과금인증요청에 의해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휴대용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다운로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컴퓨터 음악파일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통신망으로 연결된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는 상기 과금인증요청부의 과금인증요청을 승인하는 과금인증승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과금인증승인부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과금인증요청부의 과금인증요청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8. 음악파일의 제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음악파일 제작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음악파일로 제작될 노래의 반주음이 노래반주기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반주음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합성한 오디오 신호가 압축되어 컴퓨터 음악파일로 저장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에 대해 소정의 음원사용료를 지불하기 위해 상기 노래반주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연결된 노래반주기 제공업체의 서버에 과금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과금인증이 승인되어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컴퓨터 음악파일이 선택된 웹사이트 상에 업로드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노래반주기 제공 업체서버에 과금인증을 요청하기 전에 상 기 저장된 컴퓨터 음악파일이 재생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10. 제8항에서, 상기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컴퓨터 음악파일이 선택된 웹사이트 상에 업로드 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음악파일이 원하는 이메일 주소로 송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11. 제8항에서, 상기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된 컴퓨터 음악파일을 휴대용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12. 제8항에서,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과금인증이 승인되어 소정의 음원사용료가 징수되는 단계는 휴대폰 번호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음악파일의 제작신호가 선곡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KR1020040053612A 2004-07-09 2004-07-09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및 상기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KR100574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612A KR100574436B1 (ko) 2004-07-09 2004-07-09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및 상기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612A KR100574436B1 (ko) 2004-07-09 2004-07-09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및 상기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483A KR20060004483A (ko) 2006-01-12
KR100574436B1 true KR100574436B1 (ko) 2006-04-27

Family

ID=3711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612A KR100574436B1 (ko) 2004-07-09 2004-07-09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및 상기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6547A1 (en) * 2010-12-23 2012-06-28 Sharp Michael A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and distributing medi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849U (ko) * 1999-05-14 2000-12-15 윤재환 엠펙 압축 및 녹음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JP2002232845A (ja) 2001-02-02 2002-08-16 Canon Inc 映像記録再生装置、カラオケ装置、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課金方法、映像記録再生方法、及び記憶媒体
KR20030018509A (ko) * 2001-08-30 2003-03-06 주식회사 라피 온라인용 오디션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51545A (ko) * 2003-06-04 2003-06-25 경민규 동영상 씨디롬 제작장치
KR20050086139A (ko) * 2004-02-25 2005-08-30 정시욱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849U (ko) * 1999-05-14 2000-12-15 윤재환 엠펙 압축 및 녹음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JP2002232845A (ja) 2001-02-02 2002-08-16 Canon Inc 映像記録再生装置、カラオケ装置、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課金方法、映像記録再生方法、及び記憶媒体
KR20030018509A (ko) * 2001-08-30 2003-03-06 주식회사 라피 온라인용 오디션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51545A (ko) * 2003-06-04 2003-06-25 경민규 동영상 씨디롬 제작장치
KR20050086139A (ko) * 2004-02-25 2005-08-30 정시욱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483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689B2 (en) Media presentation with supplementary media
EP0977200A1 (en) Recorder / reproducer,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and data processor
AU1422299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CN101689392A (zh) 利用电子设备来自动地对多首歌曲进行节拍混合的系统和方法
CN108428441A (zh) 多媒体文件生成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02014683A (ja) 記録媒体並びにその記録データ作成装置及びデータ復元装置
JP200201468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4122936B2 (ja) ミキシング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H10207476A (ja) カラオケ装置
JP2002116768A (ja) 携帯電話端末、楽曲同定方法及び装置、楽曲同定配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5739369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574436B1 (ko) 음원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노래반주시스템 및 상기시스템에서 음원사용료를 징수하는 방법
JP6051075B2 (ja) 通信障害時にデュエット歌唱を継続可能な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5274992A (ja) 楽曲識別用情報検索システム、楽曲購入システム、楽曲識別用情報取得方法、楽曲購入方法、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6170692B2 (ja) 通信障害時にデュエット歌唱を継続可能な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1209389A (ja) 携帯電話を用いたカラオケシステム
JP2015041091A (ja) 通信デュエット時における音声等の切換処理に特徴を有する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5218509B2 (ja) カラオケ装置、カラオケシステム
KR100616102B1 (ko) 자기실연 음악파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JP3743321B2 (ja) データ編集方法、情報処理装置、サーバ、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224508B2 (ja) カラオケ録画装置
JP2004005832A (ja) データ再生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947184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1042865A (ja) オーディオ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方法、オーディオ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22130028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