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004B1 -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004B1
KR100616004B1 KR1020040064830A KR20040064830A KR100616004B1 KR 100616004 B1 KR100616004 B1 KR 100616004B1 KR 1020040064830 A KR1020040064830 A KR 1020040064830A KR 20040064830 A KR20040064830 A KR 20040064830A KR 100616004 B1 KR100616004 B1 KR 100616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ing
hole
seat belt
web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408A (ko
Inventor
박득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004B1/ko
Priority to US10/990,550 priority patent/US7458610B2/en
Publication of KR20060016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60R2022/1825Belt guides usin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은 롤러와; 상기 롤러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양측에 상기 롤러의 양단이 안착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의 양단을 감싸도록 접힘되어 상기 홀과 상기 롤러에 의한 틈새를 형성시키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롤러가 삽입된 채로 바디를 절곡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 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조립에 필요한 부품의 수가 적어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D-ring of seat belt for automobi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시트벨트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링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링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디링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링의 조립전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롤러 12 : 구름부
20 : 바디 20a : 홀
22 : 테두리부 24 : 평탄부
24a : 힌지홀 30 : 힌지
40 : 웨빙
본 발명은 차량 시트벨트의 디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를 접힘 방식으로 바디에 장착하여 조립 및 부품의 수가 단순화된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시트벨트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에는 차량의 충돌 또는 전복 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 벨트(seat belt)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벨트는 탑승자의 몸을 감싸는 웨빙(webbing, 1)과, 상기 웨빙(1)을 팽팽하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웨빙(1)을 권입하고 있는 리트랙터(미도시)와, 차량의 실내에 고정되어 상기 웨빙(1)이 탑승자의 어깨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웨빙(1)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디링(3)과, 상기 웨빙(1)의 중간에 위치되어 차량의 실내에 고정된 버클(4)과 결합되는 텅(tongue, 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링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디링(3)은 중앙에 상기 웨빙(1)이 이동될 수 있도록 홀(6a)이 형성된 바디(6)와, 상기 웨빙(1)과 접촉되어 상기 웨빙(1)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가이드롤러(7)와, 상기 가이드롤러(7)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6) 홀(6a)의 양측에 장착되는 롤러(9)와, 상기 롤러(9)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6)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가이드롤러(7)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웨빙(1)은 상기 홀(6a)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롤러(7)의 상측 면과 접 촉되고, 상기 홀(6a)을 관통하여 이동되는 웨빙(1)은 가이드롤러(7)를 회전시키며 이동된다.
그런데 종래 디링은 상기 가이드롤러(7)를 사용하기 위해 롤러(9) 및 베어링(8)의 기타 부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디링은 상기 바디(6)와 상기 가이드롤러(7)를 조립하는 조립과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순화된 부품으로 구성되어 조립이 간편한 시트벨트의 디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벨트의 디링은 웨빙과 접촉되어 상기 웨빙을 원활히 회전시키는 롤러와;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양측에 상기 롤러의 양단이 안착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의 양단을 감싸며 접힘되어 상기 웨빙이 이동되는 틈새를 형성하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링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디링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링의 조립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링은 롤러(10)와, 상기 롤러(10)를 장착한 채로 접힘되는 바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단차가 형성되는 구름부(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름부(12)는 중앙의 반경(R)보다 작은 반경(r)으로 형성되며 단차를 형성시킨다.
상기 바디(20)는 중앙에 홀(20a)이 형성되고, 상기 홀(20a)의 양측에는 상기 롤러(10)의 단차가 안착되는 테두리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22)의 상/하 측으로 접힘시 서로 밀착되는 평탄부(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20)는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접힘되고, 상기 바디(20)의 접힘 시 상기 테두리부(22)에 안착된 롤러(10)의 구름부(12)를 감싼다. 특히 상기 평탄부(24)에는 상기 바디(20)의 상/하 접힘 시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힌지홀(24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힌지홀(24a)에는 힌지(30)가 장착되어 바디(20)를 차량의 실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롤러(10)가 내부에 장착된 채로 상기 바디(20)를 접힘 할 경우 상기 롤러(10)는 상기 테두리부(22)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롤러(10)와 상기 홀(20a)의 외측 사이에는 틈새(t)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틈새(t)에는 탑승자를 밀착시키는 웨빙(40)이 끼워지고, 상기 웨빙(40)은 상기 틈새(t)를 통해 이동되며 상기 롤러(10)와 접촉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조립과정 및 사용과정을 도면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을 행하기 전의 바디(20)는 상기 홀(2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접힘을 실시하고, 소정각도 접힘된 상기 테두리부(22)에 상기 롤러(10)의 구름부(12)를 안착시킨 후, 상기 테두리부(22)의 끝단(22a)을 서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평탄부(24)를 밀착시켜 상기 힌지홀(24a)이 연통되게 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22)는 상기 롤러(10)의 구름부(12)와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롤러(10)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링은 상기 틈새(t)에 탑승자를 시트(미도시)에 밀착되게 하는 웨빙(40)이 끼워지고, 상기 웨빙(40)은 상기 롤러(10)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이동 시 상기 롤러(10)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힌지홀(24a)에는 힌지(30)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30)는 상기 힌지홀(24a)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20)를 차량의 실내에 고정시키며, 상기 힌지(30)는 상기 힌지홀(24a)이 형성된 평탄부(24)에 걸림되어 상기 바디(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할 경우 탑승자에 의해 상기 웨빙(4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바디(20)는 상기 힌지(30)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탑승자가 상기 웨빙(40)을 잡아당길 경우 상기 웨빙(40)은 상기 롤러(12)와 접촉되는 바 상기 롤러(12)를 회전시키며 상기 틈새(t)를 통해 이동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벨트의 디링은 롤러가 삽입된 채로 바디를 절곡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 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조립에 필요한 부품의 수가 적어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트벨트의 디링은 단순화된 부품으로만 구성되어 작동 상의 고장이 적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4)

  1. 롤러와;
    상기 롤러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양측에 상기 롤러의 양단이 안착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의 양단을 감싸도록 접힘되어 상기 홀과 상기 롤러에 의한 틈새를 형성시키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벨트의 디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홀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벨트의 디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차량의 실내에 힌지 고정되기 위한 힌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벨트의 디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바디의 접힘 시 상기 테두리부가 감싸지도록 양단에 단차진 구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벨트의 디링.
KR1020040064830A 2004-08-17 2004-08-17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 KR100616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30A KR100616004B1 (ko) 2004-08-17 2004-08-17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
US10/990,550 US7458610B2 (en) 2004-08-17 2004-11-18 Roller D-ring for seat belt of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30A KR100616004B1 (ko) 2004-08-17 2004-08-17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408A KR20060016408A (ko) 2006-02-22
KR100616004B1 true KR100616004B1 (ko) 2006-08-28

Family

ID=3590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830A KR100616004B1 (ko) 2004-08-17 2004-08-17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58610B2 (ko)
KR (1) KR100616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1759B2 (en) * 2015-03-05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mounting system
CN115230632B (zh) * 2022-07-27 2024-02-06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腰部预紧器支架及汽车腰部预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1052A (en) * 1975-07-23 1976-09-21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Low friction guide loop
US4101171A (en) * 1976-07-31 1978-07-18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Tongue plate for seat belt device
DE2905862C2 (de) * 1979-02-15 1982-02-11 Repa Feinstanzwerk Gmbh, 7071 Alfdorf Umlenkbeschlag für einen Sicherheitsgurt
US5286057A (en) * 1982-09-08 1994-02-15 Forster Lloyd M Comfort feature
DE3414917A1 (de) * 1984-04-17 1985-12-05 Rud-Kettenfabrik Rieger & Dietz Gmbh U. Co, 7080 Aalen Umlenkbeschlag fuer sicherheitsgurte
US4650214A (en) * 1985-12-16 1987-03-17 Trw Automotive Products Inc. Belt turning ring and clamping device
US4993746A (en) * 1989-09-05 1991-02-19 Ford Motor Company Locking frictional D-ring
DE4211009A1 (de) * 1992-04-02 1993-10-07 Trw Repa Gmbh Gurtstraffer für Fahrzeug-Sicherheitsgurtsysteme
US5415432A (en) * 1993-07-30 1995-05-16 Alliedsignal Inc. D-ring for seat belt
DE29502192U1 (de) * 1995-02-10 1995-05-04 Trw Repa Gmbh Umlenkbeschlag für Sicherheitsgurte
DE29510050U1 (de) * 1995-06-21 1995-08-24 Trw Repa Gmbh Umlenkbeschlag für Sicherheitsgurte
US6217070B1 (en) * 1996-04-19 2001-04-17 Takata Corporation Three-point safety belt system with roller deflection fitting
JP2000025566A (ja) 1998-07-10 2000-01-25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支持装置
DE19913423C1 (de) * 1999-03-25 2000-05-11 Autoliv Dev Umlenkein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10032803C2 (de) * 2000-06-28 2003-06-26 Norbert Janz Beschichtete Gurtumlenk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408A (ko) 2006-02-22
US7458610B2 (en) 2008-12-02
US20060038392A1 (en)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543B1 (ko) 자동차 시트벨트용 버클장치의 회동수단
CN106627476B (zh) 弹簧加载的圈状导向件
CN105531160A (zh) 安全带卷收器及安全带装置
JP5845055B2 (ja) スルーアンカ、スルーアンカ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616004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디링
JP2008285135A (ja) 安全ベルトリトラクターのトーションバー支持構造
US20060124793A1 (en) Modular torsion bar
US7770836B2 (en) Locking unit for seat belt retractor
US6092869A (en) Apparatus to improve the retention of a child seat in a vehicle
JP4496210B2 (ja) 端部引張装置
KR101998656B1 (ko)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JP360711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139169B2 (ja) シートベルト案内装置
US20030034415A1 (en) Seat belt retractor
JP368963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9283927B2 (en) Webbing take-up device
US20090115178A1 (en) Tongue Plate Stopper and Seat Belt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20014550A1 (en) Seat belt retractor
JP4658409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48861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080061620A1 (en) Seatbelt assembly for improved belt safety and comfort
JP6775409B2 (ja) トング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427888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방지장치
JP5613204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03244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