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994B1 - 유출통과 능력을 갖는 인라인형 전환 밸브 - Google Patents

유출통과 능력을 갖는 인라인형 전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994B1
KR100615994B1 KR1020017016077A KR20017016077A KR100615994B1 KR 100615994 B1 KR100615994 B1 KR 100615994B1 KR 1020017016077 A KR1020017016077 A KR 1020017016077A KR 20017016077 A KR20017016077 A KR 20017016077A KR 100615994 B1 KR100615994 B1 KR 10061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axis
valve assembly
flui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738A (ko
Inventor
모너로날드에이.
Original Assignee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2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with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16K11/085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having all the connecting conduits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14Plug channel at 90 degrees to the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the wedge element being axially displaceable for releasing th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158With indicator, register, recorder, alarm or inspection means
    • Y10T137/8225Position or extent of motion indicator
    • Y10T137/8275Indicator element rigidly carried by the movable element whose position is indicated
    • Y10T137/8292Movable indicator element is a poin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38Rotary valve
    • Y10T137/86646Plug type
    • Y10T137/86662Axial and radial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Taps Or Cock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Float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Flow Control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몸체(52)와 이 몸체와 조립된 플러그(54)를 구비한 인라인형 전환 밸브가 제공된다. 몸체는, 제 1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1 단부 개구(64)로부터 제 2 단부 개구(66)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가동부(60)와, 이 가동부로부터 밸브의 제 2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3 단부 개구(72)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한 개의 환형 분지부(68)를 갖는다. 플러그는, 그 내부에 수납된 제 1 단부로부터 몸체의 제 2 단부 개구를 벗어나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단부를 향해 몸체 가동부와 동축으로 연장되며, 제 1 유출구와 동축으로 정렬된 제 3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는, 몸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고, 그것의 제 1 및 제 2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제 1 통로(130)와, 적어도 한 개의 수직한 제 2 통로(132)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 1 통로는 제 1 및 제 3 유출구와 함께 제 1 유체 유출 경로를 형성하고, 제 2 통로는, 제 1 유체 유출 경로 및 제 2 유출구와 함께 제 2 유체 유출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제 1 통로와 연통된다. 플러그의 제 1 단부는, 제 2 통로가 몸체 분지부와 동축으로 정렬되어 제 2 유체 유출 경로를 개방하는 제 1 각위치와, 제 2 통로가 분지부에 대해 각방향으로 변위되어 제 2 유체 유출 경로를 폐쇄하는 제 2 각위치 사이에서, 플러그를 회전시키기 위해 손이 들어갈 수 있게 형성된다(124). 플러그의 회전은, 몸체 상의 멈춤부 표면(196a, 196b)과 플러그 상의 맞물림 표면(193a, 193b)에 의해 제한된다.
전환 밸브, 정수 시스템, 플러그, 가동부, 분지부

Description

유출통과 능력을 갖는 인라인형 전환 밸브{IN-LINE DIVERSION VALVE WITH FLOW-THROUGH CAPABILITY}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환 밸브(diversion valv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콤팩트하고, 대략 T자 형태의 설계를 가지며, 급수 라인에 연결하기 위해 밸브의 가동부를 거쳐 일정한 흐름을 허용하고 정수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1개 또는 그 이상의 분기부로의 차단가능한 흐름을 허용함으로써, 이용 시점(point of use)의 거주용 또는 상업용 정수 시스템에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한 유출통과(flow-through) 능력을 갖는, 인라인형의 3 방향 또는 그 이상의 방향의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정수 시스템은, 이용 시점(point of use: POS) 설비로서 점점 더 보급이 되고 있는 중이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POU 설비를 10으로 일부절개 사시도로 나타낸 도 1을 참조하여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역삼투 또는 다중 뱅크(multi-bank) 여과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정수부(12)는, 통상적으로 싱크대 수조(16)와 관련된 수도꼭지(18)를 지지하는 캐비넷(14)의 내부에 배치된다. 수도꼭지(18)는, 그들 중에서 한 개가 20으로 도면부호가 부여되고, 구리 또는 플라스틱 배관이나 비닐 또는 꼬인 강철 호스일 수 있는 공급관 튜브 쌍(22a-b) 중에서 한개의 일단과 나사결합으로 일반적으로 3/8 인치의 구경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한쌍 의 아래쪽으로 매달린 스탠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공급관(22)의 타단은, 관련된 온수 또는 냉수 공급관(26a-b)으로부터의 물의 유입을 각각 허용하는 온수 또는 냉수 차단밸브(24a-b)에 각각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그리고 U.S. 특허 제 5,293,903호에 더 개시된 것과 같이, 냉수 공급관(22b)에의 분기관(28)의 30으로 가상선으로 나타낸 접속은, 튜브를 T자 형태의 체결부로 차단시킴으로써 달성되며, 이 체결부의 분기는 별개로 형성되거나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차단 밸브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부(30)는 물의 유입이 T자 형태의 부품의 인라인 "가동부(run)"를 통해 수도꼭지(18)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수직의 T자 형태의 분기를 거친 정수장치(12)로의 유동이 별개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점에 대해서, 정수장치(12)로의 물의 유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싱크대는 이 장치의 필터, 카트리지 등을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배치에 있어서는, 튜브(22b)가 관통 또는 비관통 새들 밸브로 마개가 설치되거나, 연결부(30)가 직접 수도꼭지 스탠드(2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 포함된 형태의 대표적인 밸브와 체결부는, 예를 들면, U.S. 특허 제 3,552,434, 3,630,231, 3,628,568, 3,896,842, 3,941,145, 3,974,848, 4,117,832, 4,703,956, 4,809,949, 4,832,083, 4,887,644, 5,234,193, 5,269,344, 5,293,903, 5,435,337 및 5,690,135호와 유럽 특허 제 EP 218,481, 750,155호와 국제특허출원(PCT) 제 WO 97/34096 및 98/4947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Dae Myung Chemical Co., Ltd.(Inchon, Korea), QMP. Inc(Sun Valley, CA), G.A. Murdock, Inc.(Madison, SD), Mazzer Industries, Inc.(Rochester, NY), SMC Corporation(Tokyo, Japan) 및 Parflex Division of Parker-Hannifin Corporation(Ravenna, OH)에서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캐비넷(14) 내부의 사용가능한 공간이 캐비넷 후방벽(32)에 의해, 또한 개장(retrofit) 설비에서는, 싱크대 수조(16)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숙련된 배관공이 아닌 설치자에게 있어서는 비교적 큰 외장과 나사결합된 연결에 대해서는 비교적 큰 각 변위를 갖는 T자 형태의 부품과 밸브 조립체의 설치 및 제거는 종종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작업이다. 실제로, 정수장치에 대한 T자 형태의 분기와 밸브의 특정한 방향을 유지할 필요성으로 인해, 나사결합된 연결부를 갖는 체결부재와 밸브의 설치는 한층 더 복잡해진다.
전술한 내용을 감안하면, POU 정수 시스템에 대한 밸브와 연결부의 설계에 있어서의 개량이 제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다 같이 요청되어 온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값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제공하는 전환 밸브 구조가 요구되어 왔다.
(발명의 요약)
결국,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환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뢰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고, 대체로 T자 형태의 설계를 갖는 인라인형의 3 방향 또는 그 이상의 방향의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출통과 능력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전화 밸브는, 급수 라인과 수도꼭지 사이에 연결하기 위해 밸브의 인라인 가동부를 거쳐 일정한 흐름을 허용하고 급수라인과 1개 또는 그 이상의 정수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1개 또는 그 이상의 분기부로의 차단가능한 흐름을 허용함으로써, 거주용 또는 상업용 POU 정수 시스템에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조립체에 비해 축소된 외장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 밸브의 핸들 또는 손잡이는 밸브의 인라인 가동부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밸브는, 몸체와, 이 몸체와 함께 조립된 대략 원통형의 플러그를 구비한다. 이 몸체는, 대략 환형의 가동부와 적어도 한 개의 대략 환형의 횡단 또는 분기부를 갖도록 제공된다. 몸체 가동부는, 제 2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밸브의 제 1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1 단부 개구로부터 제 2 단부 개구로 연장된다. 몸체 분기부는, 개체로 제 1 축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 2 축을 따라 제 1 및 제 2 단부 개구의 중간에 있는 가동부로부터 밸브의 제 2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3 단부 개구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플러그는, 몸체의 제 1 및 제 3 단부 개구의 중간에 있는 몸체 내부에 수납된 제 1 단부로부터, 몸체의 제 2 단부 개구를 벗어나 외부로 연장되고 제 1 유출구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밸브의 제 3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2 단부로, 몸체의 제 1 축을 따라 몸체의 가동부와 동축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플러그는, 몸체의 제 1 축을 중심으로 몸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고, 내부 및 외부 단부를 거쳐 제 1 축과 동축으로 연장되는 제 1 유체 통로를 갖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한 개의 제 2 유체 통로가 그 내부에서 제 1 축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된 제 3 축을 따라 연장된다. 제 2 유체 통로는 제 1 및 제 3 유출구와 함께 밸브를 통과하는 제 1 유체 유출 경로를 형성하고, 제 2 유체 통로는, 제 1 유체 유출 경로와 제 2 유출구와 함께 밸브를 통과하는 제 1 유체 유출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유체 통로와 연통한다. 물 또는 다른 유체의 흐름을 밸브 몸체를 통과하도록 향하게 하기 위해, 제 2 유체 통로의 제 3 축이 몸체 횡단부의 제 2 축과 동축으로 정렬되어 제 2 유체 유출 경로를 개방하는 제 1 각 위치(angular position)와, 제 3 축이 제 2 축에 대해 각방향으로 변위되어 제 2 유체 유출 경로를 폐쇄하는 제 2 각 위치 사이에서 플러그를 회전시키기 위해 플러그의 제 2 단부에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밸브 플러그의 적어도 제 2 유출구가, 구리, 플라스틱 또는 기타 배관의 일정 길이, 또는 꼬인 호스 등의 일정 길이에 연결된 근접 단부를 갖는 체결부재 어댑터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말단 튜브와 해제가능한 푸시인(push-in) 연결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플러그는, 제 1 유체 통로와 동축으로 플러그의 제 2 단부 내부에 형성된 내부 글랜드(gland)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글랜드는, 글랜드 내부에 저널링된 내부 단부로부터 외부 단부로 제 1 축과 동축으로 연장된 환형 콜릿(collet)을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콜릿은, 콜릿을 통해 튜브 단부의 삽입 및 제거하기 위한 콜릿부재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의 팽창을 수용하는 후방 위치와, 튜브를 중심으로 콜릿부재의 반경방향의 안쪽으로의 수축을 이루어 콜릿으로부터 튜브 단부의 제거의 한계를 설정하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전방 위치의 중간에서 글랜드 내부에서 활주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튜브 단부가 콜릿부재에 의해 제 2 유출구에 연결될 때, 플러그가 콜릿과 튜브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유출구는 대응하는 말단의 튜브 단부와 해제가능한 푸시인 연결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있어서는, 밸브가 개장 설비를 위한 현존하는 라인 내부로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유출구가 전술한 방식으로 그들 각각의 배관 단부에 연결될 때, 밸브도 분기 라인에 제 3 유출구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360°선회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예시된 구성, 구성요소의 조합과 부품의 배치를 갖는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점으로는, 가동 핸들 또는 손잡이가 콤팩트한 인라인형 배치로 밸브 플러그 내부에 일체화된 플러그 밸브 구조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은, 경제적으로 제조와 조립할 수 있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아세탈 또는 휴대형 정수기 용도로 승인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재료로 전부 성형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구조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은, 개장 응용분야에서도 용이한 설치를 위해 푸시인 배관 연결을 위해 적용가능한 밸브 구조를 들 수 있다. 이들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은,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근거하여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본 발명의 내용과 목적의 이래를 돕기 위해,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은 통상적인 이용 시점(POU) 정수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몸체, 회전가능한 플러그와, 플러그를 몸체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인라인형 유출통과 밸브 조립체의 우측 사시도이며,
도 3은 고정 클립의 위치를 나타낸 도 2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밸브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6-6선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의 몸체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밸브 몸체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9-9선에 따른 도 7의 밸브 몸체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의 플러그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밸브 플러그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12-12선에 따른 도 10의 밸브 플러그의 축방향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밸브 플러그에 대한 한쌍의 O-링 홈 삽입재 중 한 개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2의 밸브 조립체의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의 시스템 내부의 도 2에 도시된 밸브의 설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이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한적인 목적이라기 보다는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정한 전문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어 "전방의", "후방의", "우측", "좌측", "상부" 및 "하부"는 참조되고 있는 도면 내부의 방향을 표시하고, 용어 "안쪽의", "내부의" 또는 "몸체의 안쪽의"와 "바깥쪽의", "외부의" 또는 "몸체의 바깥쪽의" 는 각각 참조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중심을 향하고 이 구성요소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나타내며, 용어 "반경방향의" 및 "축방향의"는 각각 참조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수직하고 평행한 방향을 표시하고, 용어 "하류측의" 및 "상류측의"는 각각 유체 흐름에 대한 위치를 나타낸다. 위에서 특별히 언급한 용어 이외의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는, 마찬가지로 제한적인 의미라기보다는 편의를 도모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생각하여야 한다.
이하에 뒤따르는 설명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용 시점(POU) 정수 설비 내부의 푸시인 배관 연결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조와 연계하여 본 발명의 유출 밸브의 내용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내용은, 다른 유체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나사결합이나 다른 연결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른 적용분야에의 사용과 이러한 다른 연결과의 사용은 본 발명의 범주에 명시적으로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다수의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표시하는데 대응하는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동등한 구성요소가 프라임 표시를 사용하여 표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조립체는 도 2∼도 4의 사시도에 총괄적으로 50으로 나타내었다. 기본적인 구성에서, 밸브 조립체(50)는, 튜브 형태의 대체로 T자 형태의 몸체 부재(52)와, 몸체(52) 내부에 회전하도록 수납된 대체로 원주 형태를 갖는 플러그 부재(54)와, 도 3 및 도 4의 도면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으며, 몸체 부재(5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플러그 부재(54)를 고정하는 고정 클립(56)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 1의 정수 시스템(10) 내부에 푸시인 배관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밸브 조립체(50)는 각각의 접속을 위해 58로 총괄적으로 나타낸 콜릿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의 단면도와, 추가적으로 도 7∼도 9의 다수의 투영도를 추가로 참조하면, 몸체 부재(52)는, 밸브(50)의 제 1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1 단부 개구(64)로부터 제 2 단부 개구(66)로 제 1 축(62)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된 대체로 환형의 가동부(60)를 갖도록 주조, 가공 또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대체로 환형의 횡단 또는 분기부(68)는, 제 1 축에 대체로 수직하게 배치된 제 2 축(70)을 따라 가동부의 제 1 및 상기 제 2 단부 개구의 중간에 있는 가동부(60)로부터 제 3 단부 개구(72)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3 단부 개구(72)는, 밸브(50)의 제 2 유출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제 1 단부 개구(64)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예상된 특정한 응용분야에 필요한 분기 연결부의 개수에 따라, 몸체 부재(52)는 추가적인 분기부(68)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그들 중 한 개를 분기부(68)에 대향하는 축(70)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도 8 및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분기부들은, 예를 들어, 제 2 축(70)에 대해 각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 8의 평면도에 도면부호가 부여된 반경방향의 축 70', 70" 및 7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분기부(68)를 사용하여, 밸브(50)가 다중 방향의 유체 흐름 또는 전환 능력을 갖는 것으로 주어질 수 있다.
도 6의 조립도를 추가로 참고하여 도 9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배관 접속을 위해 각각의 몸체의 제 1 및 제 3 단부 개구(64, 72)는 내부 홈(80)과 인접한 계단부(81)를 갖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홈(80)은 관련된 O-링 또는 다른 환형 밀폐부재(82)(도 6)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통해, 배관 단부가 삽입되어 그것의 유체밀폐 밀봉을 달성하게 된다. 한편, 각각의 계단부(81)는, 열가소성 구성재료의 경우에는 그 내부에 초음파 용접될 수 있는 관련된 삽입재(86)(도 6)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배치는 주조에 의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몸체(52)를 제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삽입재(86)를 사용하여, 몸체의 단부 개구 64 및 72 각각은, 외부에 배치된 전방 단부(90)를 더 갖는 관련된 콜릿부재(58)의 후방 단부(89)를 동축으로 수납하도록 구성된 내부 글랜드(88)를 형성한다. 누름 연결 튜브 체결부의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것과 같이, 각각의 콜릿부재(58)의 후방 단부(89)는, 그것을 통한 배관(미도시)의 길이의 말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내경의 탄성 팽창시키기 위한 복수의 아치 형태의 단편으로 분할되는데, 그들 중에서 한 개를 92로 나타내었다. 단편(92) 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이들 단편 각각은,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쐐기 형태의 돌출부 또는 "파지 가장자리(grip edge)"(94)와, 삽입재(86)의 대응하는 내부 캠 작용(camming) 표면(98)과 동작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확대된 외경을 갖는 베어링 표면(96)을 형성하는 외면 또는 어깨부를 갖는 말단에서 끝난다. 각각의 파지 가장자리(94)는, 전방 및 후방으로 향하는 경사진 표면 100 및 102 각각의 교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 표면은 적절한 크기를 갖는 배관과 캠 작용을 나타내어, 배관의 삽입을 위해 콜릿 단편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의 팽창을 일으킨다. 즉, 콜릿부재(58)는 그것의 정규 또는 완화된 내경으로부터, 몸체 단부 개구 64 및 72를 각각을 통한 대응하는 배관 단부의 삽입과 해제가능한 포착을 수용하는 팽창된 내경으로 약 5∼10% 또는 그 이상만큼 탄성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각각의 글랜드(88) 내부에서, 콜릿의 후방 단부(89)는, 콜릿의 전방 단부(90)가 멈춤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삽입재(86)를 가압하는 후방 위치와, 후방 위치(8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콜릿의 이동 또는 상승 거리를 형성하는 전방 위치에서 콜릿을 변위시키기 위해 활주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동작시에, 콜릿부재(58)는, 콜릿의 내부 후방 단부(89)가 글랜드(88) 내에 위치하는 그것의 후방 위치로 수동으로 전진하여, 배관 단부의 삽입가능한 연결과 제거가능한 분리 모두를 위해 그것의 내경을 탄성적으로 팽창하는 단편(92)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의 이동을 수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배관의 가압 또는 전방으로 향하는 인장력의 인가에 응답하여 그것의 전방 위치로 전진한 콜릿 부재(58)를 사용하여, 콜릿의 내 후방 단부(89)가 글랜드(88)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콜릿 단편(92)의 베어링 표면(96)이 삽입재의 내부 캠 작용 표면(98)과 인접하면서 힘이 전달되는 맞물림 상태로 가압되어,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향하는 수직력 성분을 콜릿 부재의 돌출부(94)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힘의 전달은, 배관의 외경을 중심으로 한 "파지부(grip)"의 조임이나 압축과 배관 내부로의 콜릿 단편 돌출부의 부분적인 침투를 일으킴으로써, 콜릿 부재(58)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몸체의 단부 개구 64 및 72로부터 배관의 제거가 제한되고, 삽입재에 의해 유체 밀폐 밀봉이 달성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형태의 푸시인 배관 접속에 대해서는, U.S. 특허 제 3,653,689, 3,999,783, 4,005,883, 4,009,896, 4,059,295, 4,111,575, 4,178,023, 4,302,036, 4,335,908, 4,573,716, 4,600,223, 4,606,783, 4,637,636, 4,645,246, 4,650,529, 4,657,286, 4,722,560, 4,770,445, 4,804,213, 4,884,829, 4,923,220, 4,946,213, 5,024,468, 5,046,763, 5,230,539, 5,303,963, 5,314,216, 5,330,235, 5,370,423, 5,401,064, 5,437,483, 5,439,258, 5,443,289, 5,468,027, 5,511,830, 5,584,513, 5,607,193 및 5,683,120호와 U.K. 특허 제 1,602,077호에 더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푸시인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는 다른 단부 연결이 채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푸시인 형태의 다른 연결부는, 배관을 체결부재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핑거(finger)와 배관 외벽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해제 슬리브를 사용하여 채용되는 배관을 쥐기 위한 복수의 탄성 핑거로 이루어진 그랩(grab) 링을 갖는 변형예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나사결합된 파이프 또는 압축 연결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이외에 체결부재의 재사용이 예상되지 않는 경우에는 용접이나 접착제로 접착된 연결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도 10∼도 12의 다수의 도면의 돌출부를 참조하고, 도 6의 단면 조립체를 계속 참조하면, 플러그 부재(54)는 마찬가지로, 제 1 단부(110)로부터 제 2 단부(112)로 제 1 축(62)을 따라 몸체의 가동부(60)와 동축으로 연장되도록 주조, 가공 또는 다른 방식으로 튜브 형태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플러그 제 1 단부(110)는, 제 1 및 제 3 단부 개구 64 및 72가 중간에 있는 몸체 부재(52)의 내부에 수납된다. 한편, 플러그 제 2 단부(112)는, 몸체의 제 2 단부 개구(66)를 벗어나 외부로 연장되고, 밸브(50)의 제 3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이 제 3 유출구는 제 1 유출구와 동축으로 정렬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9를 잠시 참조하면, 몸체 부재(52)는 플러그 제 1 단부(110)에 대해 내부 멈춤부 및/또는 베어링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내부 단부 벽(114)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의 제 2 단부 개구(666)의 축방향 표면(116)은 플러그 제 2 단부(112)의 확장된 외경의 축두 부분(118)(도 10∼도 12)에 대해 외부 멈춤부 및/또는 베어링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몸체 가동부(60)의 내부 계단부(120)와 플러그 부재의 제 1 단부(110)에 인접한 대응하는 어깨부(122)의 접합을 통해, 다른 내부 멈춤부 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플러그 제 2 단부(112)는, 바람직하게는 널링(knurled)되거나, 스플라인이 형성되거나, 12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날개가 형성되거나, 축(62)을 중심으로 몸체(52) 내부에서 수동 회전시키기 위한 다른 손잡이로 구성된다.
밸브(50)를 통해 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선택가능하게 향하게 하기 위해, 플러그 부재(54)는, 제 1 및 제 2 플러그 단부 110 및 112를 통해 제 1 축(62)과 동축으로 그 내부에 제 1 유체 통로(130)를 갖도록 설치된다. 몸체(52)의 분기부(68)의 개수에 의존하여, 플러그 부재(54)는, 제 3 축(134)을 따라 그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제 2 유체 통로(132)를 갖도록 더 제공되는데, 이것은 도 6의 조립체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몸체 부재(52)의 제 1 축(62)에 대체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도 6을 계속 참조하여 볼 수 있듯이, 제 1 유체 통로(130)는 제 1 및 제 3 유출구와 함께 화살표 140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밸브(50)를 통한 제 1 유체 유출 경로를 형성한다. 제 2 유체 통로(132)는, 제 1 유체 유출 경로(140) 및 제 2 유출구와 함께 화살표 142로 표시된 방향으로 밸브(50)를 통한 제 2 유체 유출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유출 경로(130)와 연통된다. 이때, 화살표 140 및 142로 각각 표시된 제 1 및 제 2 유체 유출 경로의 방향은 밸브(50)에 대한 의도된 적용분야에 의존하여 역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어진 응용분야에 대해, 제 1, 제 2 및 제 3 유출구는 밸브(50) 내부에서 유체 입구 또는 출구로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몸체의 단부 개구 64 및 72와 같이, 플러그 부재(54)의 제 2 단부(112)도 마찬가지로, 푸시인 배관 연결을 위해, O-링(도 6)을 수납하는 내부 홈(80)과, 관련된 삽입재(86)(도 6)를 수납하는 인접한 계단부(8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재(86)를 사용하여, 플러그의 제 2 단부(122)는, 콜릿의 전방 및 후방 위치의 중간에서의 축방향 이동을 위해, 관련된 콜릿 부재(58)의 후방 단부(89)를 동축으로 수납하도록 구성된 다른 내부 글랜드(88)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푸시인 배관 연결에 있어서, 플러그 부재(54)는, 밸브(50)의 작동을 수용하기 위해, 관련된 콜릿 부재(58)와 그 내부에 지지된 배관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푸시인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는 다른 단부 연결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계속 참조하면, 플러그 부재(54) 그 자체는, 플러그 주위에 주면방향으로 형성된 대응하는 상부 및 하부 홈(152a-b) 내부에 수납된 상부 및 하부 O-링(150a-b)을 통해 몸체(52) 내부에 밀봉될 수 있다. 제 2 유체 통로(132)는, 대응하는 환형 홈 또는 글랜드(154) 내부에 수납되는 다른 O-링(153)을 통해 밸브(50)의 온/오프 조작을 위해 밀봉된다. 도 10 및 도 12를 추가로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글랜드(154)는, 몸체 가동부(60)의 마주보는 내부 반경방향의 표면(158)에 가압하기 위해, 플러그(54)의 외부 반경방향의 표면(156) 내부에 형성된 제 2 통로(132)를 중심으로 대체로 동축으로 연장된다. 부품의 부피, 중량과 재료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15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러그 외부의 반경방향의 표면(156)의 일부가 함몰되어 있다.
바람직한 배치에 있어서, 도 10의 정면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글랜드(154)의 곡률이 플러그(54)의 대략 원통의 반경방향의 표면(156) 상의 O-링(82)의 돌출부와 일치하도록, 글랜드(154)는 대략 타원형의 기하구조를 갖는 외부 측벽(160)과 대략 원형 기하구조의 내부 측벽(162)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원형 내부 측벽(162)은, 플러그의 외부 반경방향의 표면(156)에 형성된 도 10에 가상선으로 166a-b로 나타낸 축방향으로 이격된 슬롯 쌍 내부에 끼워맞추 어지는 원형 삽입재(164)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재(164)는 한쌍의 반원형 부분(164a-b)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부분(164a-b)은, 부분 164b에 대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끼워맞춤 공차를 위해 구성되고 대응하는 슬롯(166) 내부에 접착되거나 다른 방식의 끼워맞추어진 한쌍의 돌기(168a-b)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서 도 7 및 도 9를 추가로 참조하면, 제 2 유체 유출 경로(142)에 대해 몸체의 가동부 및 분기부 60 및 68의 중간에 있는 몸체(52) 내부에 개구(170)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개구(170)는, 대체로 이와 같은 개구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대체로 쌍곡선 형태의 박육부(172)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 2 유출 경로(142)를 개폐하기 위해 플러그(54)가 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구(170)를 가로지를 때, O-링(153)이 그것의 글랜드(154)를 박육부(172)에 압착가능하게 유지한다. 이와 같은 유지는 개구(170) 내부로의 O-링(153)의 돌출을 최소화하여, 이와 같이 구성하지 않을 경우에, 개구(170)의 외주 가장자리에 대한 마모의 결과로써 줄어들 수 있는 O-링의 내용 년수를 향상시킨다. 박육부(172)의 쌍곡선 형태는, 유체 유동을 위해 개방된 사용가능한 면적을 최대화하면서 O-링을 지지한다.
조립되었을 때에는, 도 3, 도 4 및 도 6의 조립도에서 볼 수 있듯이, 고정 클립(56)이 플러그 부재(54)를 몸체 부재(5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한다. 도 14에 도시된 사시도를 보면, 클립(56)은, 그것의 기본 구성에서, 플러그 부재 주위에 동축으로 삽입가능하게 수납되도록 구성된 지지부(180)와, 접촉부(181)를 포함 하는 한 개의 대체로 C자 형태의 기하 구조인 것을 알 수 있다. 지지부(180)는, 말단 쌍의 외팔보로 연결된 단편 또는 다리부(182a-b)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이들 다리부 각각은 기저 어깨부(183a-b)를 포함한다. 클립(56)이 탄성을 갖는 폴리머 재료 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편(182)이 클립의 내주연을 확대시키기 위해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팽창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러그의 외경을 초과하는 지지부(180)의 삽입을 수용한다. 도 10 및 도 12를 잠시 참조하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플러그(54)는 클립(56)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주면방향의 지지 홈(184)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7∼도 9를 더 참조하면, 몸체 가동부(60)의 벽을 통해 형성된 (도 8에 가상선으로) 186으로 번호가 부여된 슬롯을 통해 홈(184) 내부에 클립(56)이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롯(186)은, 몸체 가동부(60)로부터 플러그 부재(54)의 축방향의 제거를 제한하는 클립(56)의 접촉부(181)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일정한 주면방향의 크기를 갖도록 설치된다. 클립(56)의 반경방향의 제거를 제한하기 위해, 몸체의 가동부(60)는 한쌍의 서 있는 멈춤부 표면(188a-b)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들 표면 각각은 클립(56)의 대응하는 어깨부(183)에 의해 스냅 끼워맞춤 배치로 맞물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립(56)의 사용에 의해 밸브(50)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한 도구가 불필요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시에, 플러그 부재(54)의 제 2 또는 손잡이 단부(112)는, 제 1 또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과 제 2 또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 사이에서 190a-b로 나타낸 대향하는 각방향으로 플러그를 회전시키기 위해 손을 집어넣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개방 상태에서는, 제 2 유체 통로(132)(도 6)의 축(134)이 몸체 횡단부(68)의 축(70)과 동축으로 정렬되어, 밸브의 제 2 유출구로 제 2 유체 유출 경로(142)를 개방시킨다. 축 134의 134'으로의 이동으로 표시된 폐쇄 상태에서는, 통로가 몸체 축(70)에 대해 각도방향으로 변위되어, 몸체의 내부 표면(158)에 대해 통로를 밀봉함으로써, 제 2 유체 유출 경로(142)를 폐쇄한다. 선택적으로, 제 2 유체 통로(140)를 통한 흐름을 막도록 제 2 통로가 부분적으로 제 2 유출구로 개방되는 중간 상태가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 상태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모든 상태에 대해, 제 1 유체 유출 경로(140)를 통해 일정한 흐름이 유지된다(도 6).
바람직하게는,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 상태 사이에서의 플러그 부재(54)의 회전이 손잡이(112)의 1/4, 즉 90°로 제한된다. 이와 관련하여, 손잡이(112)는 한쌍의 서 있는 단부 표면의 중간에 있는 플러그(54)의 외주에 대해 90°연장되는 반원형의 링(192)을 갖도록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 단부 표면 중에서 한 개를 도 10에 193a로 나타내었다. 도 8 및 도 9를 잠시 참조하여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이와 같은 링(192)은, 축(62)을 중심으로 180°연장되도록 몸체(52)의 제 2 단부 개구(66) 내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반원형 홈(194)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홈(194)의 각각의 단부는, 플러그 링(192)의 대응하는 단부 표면(193)과 대향하는 도 8에 196a-b로 나타낸 대체로 서 있는 멈춤부 표면에서 끝난다. 이에 따라,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와전 개방 상태에서는, 링 단부 표면(193a)이 홈 멈춤부 표면(196a)과 접촉가능하게 맞물려, 방향 190a로의 손잡이(112)의 추가적인 각변위를 제한한다. 완전 폐쇄 상태에서는, 링 단부 표면(193b)(미도시)이 마찬가지로 홈 멈춤부 표면(196b)과 접촉가능하게 맞물려, 방향 190b로의 손잡이(112)의 추가적인 각변위를 제한한다.
도 2 및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것과 같이, 플러그 부재 제 2 단부(112)와 몸체의 외부 표면(198) 각각은 밸브(50)의 상대적인 설정을 표시하기 위한 시각적으로 알 수 있는 표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배치에 있어서, 플러그의 화살표(200)는 몸체의 연속적인 변화 단계(220)와 정렬가능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밸브(50)의 완전 개방 상태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표지 200 및 202의 제 1 정렬상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완전 폐쇄 상태는 200'으로 가상선으로 나타낸 제 2 정렬상태로 표시되며, 중간 상태는 제 1 및 제 2 정렬상태 사이의 범위로 표시된다.
마지막으로, 도 1의 순환로(10)와 같은 대표적인 흐름 순환로 내부에 밸브(50)를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면, 연결부(30)는 도 15에 30'으로 재현된다. 연결부(30')에서, 204 및 206으로 도면부호가 부여된 밸브(50)의 제 1 및 제 3 유출구 각각은 푸시인 연결을 통해 냉각수 공급 라인(22b)에 체결되고, 208로 나타낸 제 2 유출구는 마찬가지로 푸시인 연결을 통해 분기 라인(28)에 체결된다. 라인 22b 및 28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제 배관으로 제공되므로, 푸시인 연결이 곧바로 행해질 수 있다. 개장 응용분야에서는, 밸브의 길이를 수용하기 위해 배관 22b의 일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호스 연결에 대해서는, 추가된 용도를 위해 나사결합된 커넥터에의 통상적인 배관이 채용될 수 있다. 제 3 유출구(208)를 연결하기 전에, 유출구 204와 206이 라인 22b에 연결된 상태에서, 배관(28)과 밸브 몸체의 분기부(68)와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밸브 몸체(52)가 화살표 210a-b로 나타낸 각방향으로 360°회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설치되면, 밸브(50)의 설정을 위해 플러그 손잡이(112)가 배관(22b) 주위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경제적으로 제조가능하며, 용이한 설치를 위해 밸브의 외장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신뢰할 수 있는 동작을 제공하는, 독특한 인라인형 전환 밸브 구조를 설명하였다.
그것의 구성 재료에 의존하여, 본 발명의 밸브 조립체는, 주조, 단조, 가공 또는 다른 통상적인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구성 재료는 관련된 용도에 대해 통상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재료는 일반적으로 내부식성을 갖고, 전달되는 유체와의 양립 가능성이나 원하는 기계적 특성에 대해 이와 다르게 선택된다. 클립, 플러그 및 몸체 부재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 재료로는 플라스틱과 기타 폴리머 물질 이외에, 연강, 스테인레스 스틸 및 황동 등의 철 또는 비철 금속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플라스틱 재료로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이미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부틸렌 테레푸탈레이트, 나일론, 불화폴리머(fluoropolymer), 폴리술폰 및 폴리에스터를 들 수 있으며, 휴대형 수처리 응용분야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세탈 호모 및 코폴리머, 폴리염화비닐과, 특히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밸브 밀폐부재에 대한 바람직한 재료로는, 탄화불소, SBR, 폴리부타디엔, EPDM, 부틸 네오프렌, 니트릴, 폴리이소프렌, 실리콘, 불화실리콘(fluorosilicon), 부나- N(buna-N)과 공중합체 고무 등의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들 수 있으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 같은 블렌드가 휴대형 수처리 분야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포함된 발명내용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있어서 특정한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전술한 설명에 포함한 모든 내용은 제한적인 의미라기보다는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참고문헌은 참조를 위해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Claims (12)

  1. 유체 흐름을 통과시키도록 그것을 향하게 하는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의 제 1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1 단부 개구로부터 제 2 단부 개구로 제 1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가동부와, 상기 제 1 축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 2 축을 따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단부 개구의 중간에 있는 상기 가동부로부터 상기 밸브 조립체의 제 2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3 단부 개구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한 개의 환형 횡단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3 단부 개구의 중간에 있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납된 제 1 단부로부터, 몸체의 제 2 단부 개구를 벗어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유출구와 동축으로 정렬된 상기 밸브 조립체의 제 3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2 단부로, 상기 제 1 축을 따라 상기 몸체의 가동부와 동축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플러그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플러그 부재는, 상기 제 1 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 내에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단부를 통해 상기 제 1 축과 동축으로 그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3 유출구와 함께 상기 밸브 조립체를 통해 제 1 유체 유출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유체 통로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 부재는, 상기 제 1 축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 3 축을 따라 그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체 통로와 연통하여 상기 제 1 유체 유출 통로 및 상기 제 2 유출구와 함께 상기 밸브 조립체를 통해 제 2 유체 유출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제 2 유체 통로를 갖고, 상기 플러그 부재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유체 통로의 상기 제 3 축이 상기 몸체의 횡단부의 상기 제 2 축과 동축으로 정렬되어 상기 제 2 유체 유출 경로를 개방시키는 제 1 각위치와, 상기 제 3 축이 상기 제 2 축에 대해 각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제 2 유체 유출 경로를 폐쇄시키는 제 2 각위치 사이에서 상기 플러그를 회전시키기 위해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2 유출구는, 상기 제 1 유체 통로와 동축으로 상기 플러그 부재의 제 2 단부 내부에 형성된 내부 글랜드를 갖도록 구성되어 말단 튜브와 해제가능한 연결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글랜드 내부에 저널링된 내부 단부로부터 외부 단부로 상기 제 1 축과 동축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한 개의 환형 콜릿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콜릿 부재는 후방 위치와 이 후방 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전방 위치의 중간에서 글랜드 내부에서 활주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후방 위치는 튜브 단부의 삽입과 제거를 위해 상기 콜릿 부재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의 팽창을 수용하며, 전방 위치는 튜브 단부 주위에서의 상기 콜릿 부재의 반경방향의 안쪽으로의 수축을 행하여 상기 콜릿 부재로부터 튜브 단부의 제거를 제한하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튜브 단부가 상기 콜릿 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유출구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콜릿 부재와 큐브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3 유출구 중에서 한 개 또는 모두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유체 통로 각각과 동축으로 상기 몸체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3 단부 개구 내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내부 글랜드를 갖도록 구성되어, 대응하는 상기 말단 튜브와 해제가능한 연결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제 1 및 상기 제 3 단부 개구 내부에 형성된 상기 내부 글랜드 각각은 상기 콜릿 부재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3 유출구 중에서 한 개 또는 모두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유체 통로 각각과 동축으로 상기 몸체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3 단부 개구 내부에 각각 형성된 내부 글랜드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대응하는 상기 글랜드 내부에 저널링된 내부 단부로부터 외부 단부로 상기 제 1 축 또는 상기 축과 동축으로 각각 연장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환형 콜릿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콜릿 부재는 후방 위치와 이 후방 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전방 위치의 중간에서 상기 각각의 글랜드 내부에서 활주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후방 위치는 콜릿 부재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의 팽창을 수용하며, 전방 위치는 튜브 단부 주위에서의 상기 콜릿 부재의 반경방향의 안쪽으로의 수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는 주면방향의 홈을 포함하는 외부의 반경방향의 표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가동부는 상기 플러그 부재 홈과 일치하여 배치된 일정한 외주 영역을 갖는 슬롯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몸체 가동부 내부에 상기 플러그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슬롯을 통해 지지되도록 상기 플러그 부재 홈 내부에 삽입된 내부의 클립부와, 상기 슬롯의 외주 영역과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몸체 가동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부재의 축방향의 제거를 제한하는 외부의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클립부는 적어도 한 개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어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 가동부는 상기 어깨부와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멈춤부 표면을 가져, 상기 슬롯으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의 반경방향의 제거를 제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가동부의 제 2 단부 개구는, 제 1 및 제 2 멈춤부 표면의 중간에 있는 상기 제 1 축 주위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 홈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부재의 제 2 단부는 제 1 및 제 2 단부 표면의 중간에 그것의 주면 주위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 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링은, 상기 플러그 부재의 상기 제 1 각위치에서, 상기 링의 한 개의 상기 단부 표면이 상기 홈의 한 개의 상기 멈춤부 표면과 접촉가능하게 맞물려 제 1 각방향으로의 상기 플러그의 각변위를 제한하고, 상기 제 2 각위치에서, 상기 링의 나머지 상기 단부 표면이 상기 홈의 나머지 상기 멈춤부 표면과 접촉가능하게 맞물려, 상기 제 1 각방향과 반대의 제 2 각방향으로 상기 플러그의 각변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홈 내부에 활주가능하게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의 제 2 단부는 제 1 표지를 포함하는 손잡이로서 구성되고, 상기 몸체는 제 2 표지를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표지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제 1 각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제 2 표지와 제 1의 시각적으로 알 수 있는 표시를 나타내는 정렬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제 2 각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제 2 표지와 제 2의 시각적으로 알 수 있는 표시를 나타내는 정렬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는 제 2 유체 통로를 중심으로 동축으로 그 내부에 형성된 환형 홈을 포함하는 외부 반경방향의 표면을 더 갖고, 상기 몸체 가동부는 상기 플러그 부재의 내부 반경방향의 표면과 대향하여 배치된 내부 반경방향의 표면을 가지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홈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몸체 가동부의 상기 내부 반경방향의 표면에 대해 압축되어, 상기 제 2 유체 통로의 유체밀폐 밀봉을 이루는 환형 밀폐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타원형의 기하구조를 갖는 외부 측벽과 원형의 기하구조를 갖는 내부 측벽을 갖도록 상기 플러그 부재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측벽은 상기 플러그 부재 내부에 끼워맞추어지는 원형 삽입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가동부와 상기 횡단부의 중간에 상기 제 2 유체 유출 경로를 반경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쌍곡선 형태의 박육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부재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각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박육부에 대해 상기 홈 내부에서 압축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KR1020017016077A 1999-06-18 1999-08-13 유출통과 능력을 갖는 인라인형 전환 밸브 KR100615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00499P 1999-06-18 1999-06-18
US60/140,004 1999-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738A KR20020020738A (ko) 2002-03-15
KR100615994B1 true KR100615994B1 (ko) 2006-08-28

Family

ID=2248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077A KR100615994B1 (ko) 1999-06-18 1999-08-13 유출통과 능력을 갖는 인라인형 전환 밸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13149B1 (ko)
EP (1) EP1185811B1 (ko)
JP (1) JP2003502607A (ko)
KR (1) KR100615994B1 (ko)
AT (1) ATE278900T1 (ko)
AU (1) AU772570C (ko)
CA (1) CA2375404A1 (ko)
DE (1) DE69920977D1 (ko)
MX (1) MXPA01013188A (ko)
NZ (1) NZ515840A (ko)
WO (1) WO20000791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638Y1 (ko) * 2015-05-14 2015-11-06 김윤수 튜빙관 중간 연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562B1 (en) * 2002-06-17 2004-08-10 Dennis Dadamo Building perimeter fire suppressing system
ITTO20050394A1 (it) * 2005-06-09 2006-12-10 Borla Ind Regolatore di flusso per liquidi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US7222642B2 (en) * 2005-10-27 2007-05-29 Emerson Electric Co. Enhanced water valve tube stop
ES2657091T3 (es) * 2006-05-15 2018-03-01 Thomas J. Hollis Válvula de control rotativa digital
JP4972422B2 (ja) * 2007-02-02 2012-07-11 日立金属株式会社 管継手
ITBO20070760A1 (it) * 2007-11-16 2009-05-17 O T M A S N C Di Spaggiari & C Impianto combinato con pannelli solari e caldaia murale
US8490948B2 (en) * 2011-01-26 2013-07-23 Qi-jun LU Apparatus for flow control and shutoff
JP5747278B2 (ja) * 2011-04-26 2015-07-15 株式会社Lixil 混合水栓
CN102345315B (zh) * 2011-07-15 2014-04-30 厦门立业卫浴工业有限公司 一种多功能进水阀
KR101283655B1 (ko) * 2011-07-25 2013-07-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분기 연결구
EP2788647A4 (en) * 2011-11-04 2015-08-19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PLUMBING ACCESSORY COMPRISING A REMOVABLE SAMPLING VALVE
CN102704556B (zh) * 2012-06-08 2014-07-02 厦门立业卫浴工业有限公司 一种进水阀
KR20150078140A (ko) * 2013-12-30 2015-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3-웨이 밸브
JP6620680B2 (ja) * 2016-06-17 2019-12-18 株式会社デンソー 流路切替弁
JP6511427B2 (ja) * 2016-12-19 2019-05-15 株式会社不二工機 流路切換弁
US10288202B2 (en) * 2017-08-11 2019-05-14 Cheng Yu Faucet Hardware Co., Ltd. Installation between valve connector and pipe of ice maker
IT201800004454A1 (it) * 2018-04-12 2019-10-12 Impianto di riscaldamento a combustibili solidi
EP3591268B1 (de) * 2018-07-06 2021-08-04 Voss Automotive GmbH Fluidleitungsverbinder mit fixiertem einsatzteil zur drosslung
AT521523B1 (de) * 2018-08-09 2021-01-15 Rettig Icc Bv Anschlussarmatur zur Steuerung der Flussrichtung eines Heizungsmediums in einem Heizkörper
WO2020041505A1 (en) * 2018-08-21 2020-02-27 Jess Briley Manufacturing Company Tubular assembly and method of connecting tubulars
JP6999177B2 (ja) * 2018-11-08 2022-01-18 株式会社不二工機 弁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IT201900006977A1 (it) * 2019-05-17 2020-11-17 Rbm Ibox S R L Filtro per il trattamento di un fluido in una tubatura di un impianto di riscaldamento e/o raffrescamento, in particolare di tipo domestico e/o industriale
US10914390B2 (en) * 2019-06-06 2021-02-09 Robert Bosch Llc Fluid valve assembly including valve body with seal retention features
CN113323727A (zh) * 2020-02-28 2021-08-31 北京汽车动力总成有限公司 一种分配式动力阀、发动机和具有其的车辆
CN111895128B (zh) * 2020-08-14 2022-04-15 四川飞球(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工业球阀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5796A (en) * 1936-08-01 1940-01-02 Daniel K Mcinnis Container
US3079088A (en) 1961-09-29 1963-02-26 Hermann Lawrence Fountain attachment for faucets
US3552434A (en) 1969-04-18 1971-01-05 Fwi Inc Cammed plug valve
DE1937840A1 (de) 1969-07-25 1971-02-11 Clemens Lohmann Kg Ventil
US3628568A (en) 1969-08-14 1971-12-21 Dow Jones & Co Inc Valve assembly
US3630231A (en) 1970-02-06 1971-12-28 Techap F G Miller Techn Chem A Multiway switch valve
US3896842A (en) 1974-05-13 1975-07-29 Continental Ind Inc Combination punch and valve tee fitting
US3941145A (en) 1974-08-05 1976-03-02 Continental Industries, Inc. Safety valve
US3974848A (en) 1975-05-16 1976-08-17 Thomas Wheatley Three pot two way check valve
US4043337A (en) 1976-07-12 1977-08-23 Baugher Wilfred G Dental syringe attachment for shower
US4177832A (en) 1977-07-11 1979-12-11 Lee Industries, Inc. Inline ball valve
US4240767A (en) 1979-03-07 1980-12-23 Brown & Root, Inc. Valv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flooding and grouting offshore jacket sleeves
US4722560A (en) * 1983-07-21 1988-02-02 Guest John D Quick release tube coupling
FR2559546A1 (fr) 1984-02-09 1985-08-16 Picard Ginot Mecanisme de vidange associe a un carter
US4662387A (en) 1985-10-03 1987-05-05 King Lloyd H Sr Inline dispersal valve
US5269344A (en) 1986-06-16 1993-12-14 Agf Manufacturing, Inc. Supply valve and arrangement for fire suppression water sprinkler system
US4703956A (en) 1986-10-16 1987-11-03 The Scott & Fetzer Company T-fitting for use with different diameter pipes
US4832083A (en) 1987-07-20 1989-05-23 Bruner Thomas M Valve apparatus
US4809949A (en) 1988-01-26 1989-03-07 Dresser Industries, Inc. Plug valve
US4887644A (en) 1988-05-24 1989-12-19 Whitey Co. Tee fitting integrally formed in valve body
US5234193A (en) 1992-02-03 1993-08-10 Parker-Hannifin Corporation Rotary plug valve with seat seal
US5293903A (en) * 1992-08-27 1994-03-15 G. A. Murdock, Inc. T-connector for use in plumbing
US5435337A (en) 1993-12-15 1995-07-25 Fike Corporation Inlin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fluid flow
GB9512513D0 (en) 1995-06-20 1995-08-23 Guest John 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connectors
US5701934A (en) * 1996-02-02 1997-12-30 V. A. Butler, Inc. Rotary diverter valve
US5690135A (en) 1996-02-06 1997-11-2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Diverter valve with shutoff feature
WO1997034096A1 (en) 1996-03-11 1997-09-18 North American Manufacturing Company Flow control valve with elongated valve member
GB2324568A (en) 1997-04-25 1998-10-28 Walkern Victoria Ind Ltd Clamps
FR2768481B1 (fr) 1997-09-17 1999-12-03 Sides Vanne d'alimentation d'une pompe de vehicule de lutte contre l'incend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638Y1 (ko) * 2015-05-14 2015-11-06 김윤수 튜빙관 중간 연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72570B2 (en) 2004-04-29
JP2003502607A (ja) 2003-01-21
ATE278900T1 (de) 2004-10-15
DE69920977D1 (de) 2004-11-11
US6213149B1 (en) 2001-04-10
AU772570C (en) 2004-12-02
CA2375404A1 (en) 2000-12-28
AU5483299A (en) 2001-01-09
EP1185811A1 (en) 2002-03-13
NZ515840A (en) 2003-06-30
EP1185811B1 (en) 2004-10-06
WO2000079161A1 (en) 2000-12-28
MXPA01013188A (es) 2002-06-04
KR20020020738A (ko) 200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994B1 (ko) 유출통과 능력을 갖는 인라인형 전환 밸브
US8800962B2 (en) Valve assembly having improved connections
US10047890B2 (en) Quick connection coupling
CA2987174C (en) Ball valve with components integrated into the ball member
US20070284296A1 (en) Filter cartridge and head assembly with internal shutoff valve
US20220056676A1 (en) Plumbing fitting
CN107246488B (zh) 多通道流体管路切换装置
JP4376603B2 (ja) 水道用メータユニット
WO2001061235A1 (en) Pipe connector
JP7215142B2 (ja) 浄水器
KR200308839Y1 (ko) 배관연결구
KR100712401B1 (ko) 배관연결구 밀봉수단
AU2017100675B4 (en) Improved Tap
GB2300695A (en) A water supply assembly
WO2009005499A1 (en) Filter cartridge and head assembly with internal shutoff valve
AU721337B2 (en) A rising stem tap of plastic, preferably with a metal threaded insert
GB2616065A (en) A control key mounting device for use with an isolation valve of a water flow system
RU2464478C1 (ru) Быстро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CA2802804A1 (en) Fluid delivery assembly (2-in and 1-out, plus quick-connect diverter housing assembly)
KR200272069Y1 (ko) 수도꼭지 부착형 정수기용 만능 어댑터
JP2001159163A (ja) 湯水混合栓の配管接続機構
GB2310697A (en) Connector for a water h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