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915B1 -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 - Google Patents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915B1
KR100613915B1 KR1020050044406A KR20050044406A KR100613915B1 KR 100613915 B1 KR100613915 B1 KR 100613915B1 KR 1020050044406 A KR1020050044406 A KR 1020050044406A KR 20050044406 A KR20050044406 A KR 20050044406A KR 100613915 B1 KR100613915 B1 KR 100613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excavator
carriage
center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321A (ko
Inventor
김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지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지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지질
Priority to KR1020050044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9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5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8Shifting conveyors or other transport devices from one location at the working fac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굴착공사에 사용되는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의 일정구간을 굴착한 굴진기가 근접위치의 타구간을 다시 굴착할 수 있도록 굴진기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는 운반대차의 저부면 중앙에 볼베어링이 설치되어 굴착 지면에 일정압으로 밀착되게 함으로써 굴진기의 각도조정을 위해 상기 운반대차가 회전될 시 상기 볼베어링이 회전중심역할을 함에 따라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운반대차의 바퀴부에는 바퀴와 다리 사이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운반대차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굴진기가 운반대차에 손상없이 원활히 안치되는 한편 굴진기의 수평유지를 위한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진기가 상부면에 안치되는 다수개의 메인빔과 레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저부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 바퀴 및 상기 바퀴가 볼트결합되고 몸체부 하부면에 고정된 다리로 이루어진 바퀴부로 구성된 운반대차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부 중앙에는 볼베어링이 굴착 지면에 밀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운반대차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회전중심을 제공하고, 상기 바퀴부에는 운반대차의 높이조절을 위해 바퀴와 다리 사이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와 내측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이탈방지구가 설치되어 있는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이 제공된다.
굴진기, 운반대차, 볼베어링, 플레이트, 바퀴

Description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A special moving vehicle for shield machine and its rotation method}
도 1은 굴진기가 안치된 본 발명의 운반대차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운반대차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 상세도
도 4는 플레이트의 결합도
도 5는 바퀴부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운반대차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운반대차의 중앙부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C"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굴진기의 유턴 이동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부 2 : 바퀴부
3 : 메인빔 4 : 레일
5 : 바퀴 6 : 다리
7 : 고정판 8 : 결합판
9, 9' : 삽입홈 10 : 볼트삽입공
11 : 볼트 12 : 플레이트
13 : 이탈방지구 14 : 롤러베어링
15 : 체인 16 : 볼베어링
17 : 베어링고정구 18 : 유압잭
19 : 홈 20 : 유압실린더
21 : 단부 22 :굴진기
100 : 운반대차
본 발명은 지하 굴착공사에 사용되는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의 일정구간을 굴착한 굴진기가 근접한 위치의 타구간을 다시 굴착할 수 있도록 굴진기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는 운반대차의 저부면 중앙에 볼베어링이 설치되어 굴착 지면에 일정압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굴진기의 각도조정을 위하여 상기 운반대차를 회전시킬 시 상기 볼베어링이 회전중심역할을 함에 따라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운반대차의 바퀴부에는 바퀴와 다리 사이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운반대차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굴진기가 운반대차에 손상없이 원활하게 안치되는 한편 굴진기의 수평유지를 위한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굴진기는 점토, 모래, 자갈 등을 포함하는 연약지반을 가진 도심지에서 지하철공사나 상하수도, 전기, 통신설로 등과 같은 도시기간시설공사를 수행할 시 지하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굴착작업에 사용되는 기구로서 몸체를 이루는 원통체의 전면부에는 분쇄날이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되어 나온 분쇄물은 원통체 내부의 이송통로를 거쳐 후면의 외부로 제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지하철이나 도시기간시설의 건설을 위해서는 일정크기 이상의 지하공간이 필요하므로, 지하의 일정구간을 굴착한 굴진기는 근접한 위치의 타구간을 다시 굴착할 수 있도록 상기 굴착될 타구간으로 이동되어야 했는데, 상기 굴진기는 일반적으로 500~600톤으로 중량이 상당하므로, 지상에 설치된 이동구로 상기 굴진기를 들어올려 굴착될 타구간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굴진기 자체에 이동장치를 설치하여 이동시키는 방식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따라, 상기 굴진기를 상부면에 안착시킨 후 소망하는 위치와 각도로 이동시키는 운반대차가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운반대차는 굴진기가 상부면에 안치되는 다수개의 메인빔과 레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저부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 바퀴 및 상기 바퀴가 볼트결합되고 몸체부 하부면에 고정된 다리로 이루어진 바퀴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바퀴는 이동각도가 조정될 수 있어 굴진기를 소망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킬 시에는 가장자리 둘레에 설치된 다수개의 바퀴를 동일각도로 조정하고, 굴진기를 소망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시에는 상기 바퀴의 각도를 각각 달리하여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운반대차는 상기와 같이 바퀴의 각도를 각각 달리하여 회전시킬 시에는 회전중심이 잡혀 있지 않음에 따라 바퀴가 굴착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한편 각각의 바퀴의 회전중심이 서로 달라서 회전시 간섭현상이 일어나 회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소망하는 각도로 회전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운반대차는 굴착이 이루어진 구간과 앞으로 굴착될 구간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여유공간에서 굴진기를 먼저 상부면에 안치시킨 후 이동 또는 회전되었다.
여기서, 굴진기와 운반대차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가 많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굴진기를 운반대차에 안치시키는 과정에서 굴진기가 운반대차의 상부면에 부딪쳐 손상되거나 굴진기가 운반대차에 안치시키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의 일정구간을 굴착한 굴진기가 근접한 위치의 타구간을 다시 굴착할 수 있도록 굴진기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는 운반대차의 저부면 중앙에 볼베어링이 설치되어 굴착 지면에 일정압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굴진기의 각도조정을 위하여 상기 운반대차를 회전시킬 시 상기 볼베어링이 회전중심역할을 함에 따라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운반대차의 바퀴부에는 바퀴와 다리 사이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운반대차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굴진기가 운반대차에 손상없이 원활하게 안치되는 한편 굴진기의 수평유지를 위한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굴진기용 운반대차(100)는, 굴진기(22)가 상부면에 안치되는 다수개의 메인빔(3)과 레일(4)로 이루어진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 저부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 바퀴(5) 및 상기 바퀴(5)가 볼트결합되고 몸체부(1) 하부면에 고정된 다리(6)로 이루어진 바퀴부(2)로 구성된 운반대차(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의 저면부 중앙에는 볼베어링(16)이 고정된 베어링고정구(17)가 일정범위 내에서 수직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고정구(17)에 근접된 위치에는 유압실린더(20)가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고정구(17)를 밀어 상기 볼베어링(16)이 운반대차(100)가 위치한 굴착 지면에 일정압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운반대차(100)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바퀴부(2)에는 운반대차(100)의 높이조절을 위해 바퀴(5)와 다 리(6) 사이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2)와, 내측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플레이트(1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이탈방지구(1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고정구(17)는 상측이 경사면으로 되어 유압실린더(20)의 쐐기형 단부(21)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삽입되면서 베어링고정구(17)가 상하로 수직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고정구(17)는 볼트(11)로 몸체부(1)에 고정되고, 상기 볼트(11)는 몸체부(1)의 저부면에 일정깊이로만 체결되어 몸체부(1)의 저부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볼트(11)를 따라 상기 베어링고정구(17)가 수직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플레이트(12)는 이등분된 한쌍으로 되어 있고, 내측면으로 이탈방지구(13)의 측면 형상의 홈(19)이 형성되어 이탈방지구(13)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바퀴부(2)에 용이하게 결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운반대차의 회전방법은, 바퀴(5)에 근접된 위치의 유압잭(18)을 작동시켜 바퀴(5)를 굴착 지면에서 일정높이 들어 올리는 바퀴수직이동단계, 바퀴(5) 상측의 고정판(7)과 다리(6)의 결합판(8)을 분리한 후 결합판(8)의 조정된 볼트삽입공(10) 상으로 상기 바퀴(5)와 결합판(8)을 결합시켜 바퀴(5)의 이동각도를 조정한 다음 바퀴(5)를 다시 굴착 지면에 밀착시키는 바퀴이동각도조정단계, 운반대차(1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설치된 바퀴(5)를 구동시켜 운반대차(100)가 회전되도록 하는 바퀴구동단계를 거쳐 굴진기(22)가 상부면에 놓인 운반대차(10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여 상기 굴진기(22)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바퀴이동각도조정단계와 바퀴구동단계 사이에 유압실린더(20)로 운반대차(100)의 저 면부 중앙에 위치한 베어링고정구(17)를 수직으로 밀어 베어링고정구(17)의 볼베어링(16)이 굴착 지면에 일정압으로 밀착되게 하는 볼베어링밀착단계를 추가하여 운반대차(100)의 회전중심이 형성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운반대차(100)는 각종 지하 굴착시공에 사용되는 굴진기(22)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기구로, 굴진기(22)가 상부면에 안치되는 다수개의 메인빔(3)과 레일(4)로 이루어진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 저부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 바퀴(5) 및 상기 바퀴(5)가 볼트결합되고 몸체부(1) 하부면에 고정된 다리(6)로 이루어진 바퀴부(2)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굴진기용 운반대차(100)는 상기 몸체부(1)의 저부면 중앙에 볼베어링(16)이 굴착 지면에 일정압으로 밀착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운반대차(100)의 회전시 상기 볼베어링(16)이 회전중심의 역할을 하여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운반대차(100)의 바퀴부(2)에 바퀴(5)와 다리(6) 사이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2)가 설치되어 운반대차(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굴진기(19)가 운반대차(100)에 손상없이 원활하게 안치되는 한편 굴진기(19)의 수평유지를 위한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운반대차(100)는 도 1과 같이 상부에 굴진기(22)가 놓인 후 이동 또는 회전하여 굴진기(22)를 소망하는 위치와 각도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운반대차(100)에는 도 2와 같이 저부면에 다수개의 바퀴부(2)가 설치되는데, 상기 바퀴부(2)는 도 6과 같이 몸체부(1)의 저부면 가장자리 둘 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부에 놓인 굴진기(22)의 중량을 분산시키는 한편, 다수개의 바퀴(5)의 이동각도를 달리함으로써 운반대차(100)가 회전가능하게 한다.
상기 바퀴부(2)는 도 5와 같이 회전되면서 굴착 지면에 밀착되는 다수개의 롤러베어링(14)과 상기 롤러베어링(14)을 회전시키는 체인(15)이 무한궤도를 이루는 바퀴(5)와, 상기 바퀴(5)가 볼트(11)로 고정되는 결합판(8)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의 몸체부(1)에 고정되는 다리(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퀴(5)와 다리(6) 사이에는 일정두께의 금속판인 플레이트(12)가 다수개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 플레이트(12)는 운반대차(100)의 수직높이를 미세하여 조정하여 굴진기(22)가 운반대차(100)에 안치될 시 손상없이 안정되게 안치되도록 하는 한편 굴진기(22)가 수평유지를 위한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12)가 바퀴부(2)에 삽입고정될 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바퀴부(2)에서 분리되거나 결합될 시 플레이트(12)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바퀴(5)의 상측 고정판(7)과 다리(6)의 하측 결합판(8)에는 중앙에 삽입홈(9)(9')이 형성되고, 바퀴부(2)의 내측 중앙으로 이탈방지구(13)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7)과 결합판(8)의 삽입홈(9)(9')에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플레이트(12)는 도 4와 같이 이등분된 한쌍으로 되어 있어 플레이트(12)가 바퀴부(2)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바퀴(5)와 다리(6) 사이에는 중앙으로 이탈방지구(13)가 삽입되어 있음 에 따라, 플레이트(12)가 상기 바퀴(5)와 다리(6) 사이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상기 이탈방지구(13)에도 플레이트(12)가 삽입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트(12)가 이등분되어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탈방지구(13)의 상단 또는 하단 위치에서 상기 이탈방지구(13)로 삽입시키지 않고 곧바로 이탈방지구(13)의 측면에서 단순하게 밀어 넣은 후 볼트(11)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써, 플레이트(12)를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개수를 조정한 후, 다시 바퀴부(2)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12)에는 볼트삽입공(10)이 상기 바퀴(5)의 상측 고정판(7)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볼트(11)가 삽입된 후 다리(6)의 결합판(8)과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6)의 결합판(8)에는 도 3과 같이 바퀴(5)의 상측 고정판(7)이 정위치한 상태와 고정판(7)이 일정각 회전된 상태의 볼트삽입공(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볼트삽입공(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써, 바퀴(5)는 일정각 회전된 상태에서도 단단히 고정되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3의 (b)와 같이 바퀴(5)가 일정각 회전된 상태로 고정판(7)과 결합판(8)이 볼트결합되도록 하는 것은 운반대차(100)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플레이트(12)를 이용하여 굴진기(22)의 수직높이와 운반대차(100)의 수직높이를 일치시켜 굴진기(22)가 운반대차(100)에 안정되게 안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굴진기(22)의 전면부와 운반대차(100)의 일단부를 밀착시켜 수직높이차를 확인한 다음 운반대차(100)에 설치된 플레이트(12)의 제거 또는 추가여부와, 조정될 플레이트(12)의 개수 또한 결정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유압잭(18)을 이용하여 바퀴부(2)를 굴착 지면에서 일정높이 들어 올린 후 바퀴(5), 플레이트(12), 다리(6)를 동시에 결합시킨 볼트(11)를 풀어 플레이트(12)를 바퀴부(2)에서 빼낸다.
그리고, 플레이트(12)의 개수를 조정한 후 다시 바퀴부(2)에 플레이트(12)를 삽입하여 볼트(11)로 바퀴(5), 플레이트(12), 다리(6)를 동시에 결합시켜 운반대차(100)의 수직높이를 조정하게 된다.
여기서, 굴진기(22)의 수평유지를 위한 조정작업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도 6과 도 7에는 본 발명의 운반대차(100)의 저부면의 중앙부에 설치된 볼베어링(16)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볼베어링(16)은 도 8에서와 같이 베어링고정구(17)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고정구(17)는 몸체부(1)의 저부면에 삽입된 후 볼트(11)로 고정되는데, 상기 베어링고정구(17)가 일정길이 범위 내에서 상기 볼트(11)를 따라 수직이동가능할 수 있도록 볼트(11)를 몸체부(1)의 저부면에 일정깊이로만 삽입시켜 체결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고정구(17)에 근접된 위치에는 유압실린더(20)가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0)에 의해 상기 베어링고정구(17)가 상하 수직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고정구(17)의 상측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20)의 단부(21)는 쐐기형으로 되어 유압실린더(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베어링고정구(17) 상측 경사면을 타고 삽입되면서 상기 베어링고정구(17)를 아래로 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베어링고정구(17)는 볼트(11)를 따라 일정길이 범위 내에서 수직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유압실린더(2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굴착 지면에 밀착되어 있게 되는데, 유압실린더(20)를 작동시켜 상기 베어링고정구(17)를 아래로 밀면, 베어링고정구(17)에 고정된 볼베어링(16)이 굴착 지면으로 돌출되면서 일정압으로 밀착되게 되는데, 이로써 상기 볼베어링(16)은 운반대차(100)의 회전시 회전중심의 역할을 하게 되어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도 6과 도 7에는 운반대차(100)의 저면부 중앙의 볼베어링(16)을 포함한 다수개의 볼베어링(16)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중앙의 볼베어링(16)의 전후 양측 볼베어링(16)은 굴진기(22)의 무거운 중량을 분산시키는 역할과 회전시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본 발명의 운반대차(100)의 회전은 다음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바퀴수직이동단계로 바퀴(5)에 근접된 위치의 유압잭(18)을 작동시켜 바퀴(5)를 굴착 지면에서 일정높이 들어 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바퀴(5)가 일정높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작업자는 용이하게 이후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바퀴이동각도조정단계로 바퀴(5)의 고정판(7)과 다리(6)의 결합판(8)을 서로 분리한 후 결합판(8)의 조정된 볼트삽입공(10) 상으로 상기 바퀴(5)와 결합판(8)을 결합시켜 바퀴(5)의 이동각도를 조정하여 운반대차(100)가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바퀴(5)의 이동각도가 조정되면 유압잭(18)을 작동시켜 바퀴(5)가 굴착 지면에 다시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은 볼베어링밀착단계로 유압실린더(20)로 운반대차(100) 저면부 중앙의 베어링고정구(17)를 수직으로 밀어 상기 베어링고정구(17)에 고정된 볼베어링(16)을 아래로 돌출시켜 굴착 지면에 일정압으로 밀착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볼베어링(16)은 운반대차(100)가 제자리에서 회전될 시 회전중심의 역할을 하게 되어 운반대차(100)가 정확하고 안정되게 회전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운반대차(1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설치된 바퀴(5)를 구동시켜 굴착 지면과 밀착된 볼베어링(16)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운반대차(100)가 회전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지하의 일정구간을 굴착한 굴진기(22)가 근접한 위치의 타구간을 다시 굴착할 수 있도록 굴진기(22)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는 운반대차(100)의 저부면의 중앙에 볼베어링(16)이 설치되어 굴착 지면에 일정압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굴진기(22)의 각도 조정을 위하여 상기 운반대차(100)를 회전시 킬 시 상기 볼베어링(16)이 회전중심 역할을 함에 따라 회전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운반대차(100)의 바퀴부(2)에는 바퀴(5)와 다리(6) 사이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2)가 설치되어 운반대차(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굴진기(19)가 운반대차(100)에 안치될 시 상기 굴진기(19)의 높이에 운반대차(100)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굴진기(19)이 손상없이 원활하게 운반대차(100)에 안치되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12)가 이등분된 한쌍으로 이루어져 바퀴부(2)에 간편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됨으로써 굴진기(22)의 수평유지를 위한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6)

  1. 굴진기(22)가 상부면에 안치되는 다수개의 메인빔(3)과 레일(4)로 이루어진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 저부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 바퀴(5) 및 상기 바퀴(5)가 볼트결합되고 몸체부(1) 하부면에 고정된 다리(6)로 이루어진 바퀴부(2)로 구성된 운반대차(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의 저면부 중앙에는 볼베어링(16)이 고정된 베어링고정구(17)가 일정범위 내에서 수직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고정구(17)에 근접된 위치에는 유압실린더(20)가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고정구(17)를 밀어 상기 볼베어링(16)이 운반대차(100)가 위치한 굴착 지면에 일정압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운반대차(100)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진기용 운반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베어링고정구(17)는 상측이 경사면으로 되어 유압실린더(20)의 쐐기형 단부(21)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삽입되면서 베어링고정구(17)가 상하로 수직이동되는 굴진기용 운반대차.
  3. 제 1항에 있어서, 베어링고정구(17)는 볼트(11)로 몸체부(1)에 고정되고, 상기 볼트(11)는 몸체부(1)의 저부면에 일정깊이로만 체결되어 몸체부(1)의 저부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볼트(11)를 따라 상기 베어링고정구(17)가 수직이동되도록 한 굴진기용 운반대차.
  4. 제 1항에 있어서, 바퀴부(2)에는 운반대차(100)의 높이조절을 위해 바퀴(5)와 다리(6) 사이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2)와, 내측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플레이트(1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이탈방지구(13)가 설치된 굴진기용 운반대차.
  5. 제 4항에 있어서, 플레이트(12)는 이등분된 한쌍으로 되어 있고, 내측면으로 이탈방지구(13)의 측면 형상의 홈(19)이 형성되어 이탈방지구(13)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바퀴부(2)에 용이하게 결합된 굴진기용 운반대차.
  6. 바퀴(5)에 근접된 위치의 유압잭(18)을 작동시켜 바퀴(5)를 굴착 지면에서 일정높이 들어 올리는 바퀴수직이동단계, 바퀴(5) 상측의 고정판(7)과 다리(6)의 결합판(8)을 분리한 후 결합판(8)의 조정된 볼트삽입공(10) 상으로 상기 바퀴(5)와 결합판(8)을 결합시켜 바퀴(5)의 이동각도를 조정한 다음 바퀴(5)를 다시 굴착 지면에 밀착시키는 바퀴이동각도조정단계, 운반대차(1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설치된 바퀴(5)를 구동시켜 운반대차(100)가 회전되도록 하는 바퀴구동단계를 거쳐 굴진기(22)가 상부면에 놓인 운반대차(10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여 상기 굴진기(22)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바퀴이동각도조정단계와 바퀴구동단계 사이에 유압실린더(20)로 운반대차(100)의 저면부 중앙에 위치한 베어링고정구(17)를 수직으로 밀어 베어링고정구(17)의 볼베어링(16)이 굴착 지면에 일정압으로 밀착되게 하는 볼베어링밀착단계를 추가하여 운반대차(100)의 회전중심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대차의 회전방법.
KR1020050044406A 2005-05-26 2005-05-26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 KR100613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406A KR100613915B1 (ko) 2005-05-26 2005-05-26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406A KR100613915B1 (ko) 2005-05-26 2005-05-26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321A KR20050058321A (ko) 2005-06-16
KR100613915B1 true KR100613915B1 (ko) 2006-08-22

Family

ID=3725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406A KR100613915B1 (ko) 2005-05-26 2005-05-26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9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390A (ja) * 1991-08-08 1993-02-23 Taisei Corp シールドマシンの方向転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390A (ja) * 1991-08-08 1993-02-23 Taisei Corp シールドマシンの方向転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321A (ko)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0639A (zh) 一种大粒径砂卵石的盾构运输系统
JP6345077B2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JP6537397B2 (ja) トンネル掘削工事におけるずりの搬出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移動式ステージ
JP2017031583A (ja) インバート施工方法、トンネル施工方法およびトンネル用テルハクレーン
JP2006336259A (ja) トンネルインバート施工法及び移動式桟橋
KR100613915B1 (ko)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회전방법
JP2003269074A (ja) 既設トンネルの拡大工法
CN109680748A (zh) 一种挖沟机
AU2019379377B2 (en) Mining system
CN204000496U (zh) 一种适应铁路隧道狭窄作业面作业的挖掘装置
JP2539151B2 (ja) トンネル内の底床部掘削方法
JP5528049B2 (ja) トンネル掘削装置
KR20050108330A (ko)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직선이동방법
CN108331590B (zh) 装载式隧道双侧壁导坑台车及操作方法
CN206942772U (zh) 一种大粒径砂卵石的盾构运输系统
CN216272849U (zh) 一种斜巷转向提升装置
JP4149789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構築装置
JP202404850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CN105442396A (zh) 一种适应铁路隧道狭窄作业面作业的挖掘装置
JP4172330B2 (ja) 既設トンネルの拡幅装置および拡幅工法
JP2015175124A (ja) シールドトンネル用の枕木およびシールドトンネル用の枕木の盛り替え方法。
JP2004231346A (ja) ブロックの搬送装置とその搬送方法
JP3357654B2 (ja) トンネル掘削方法に使用するガントリ
CN215256311U (zh) 一种综掘工作面胶带机机尾可升降滑靴装置
JP2002294605A (ja) 鉄道用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