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275B1 - 분할 볼 마운트와 개방보전 장치를 가진 미러 - Google Patents

분할 볼 마운트와 개방보전 장치를 가진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275B1
KR100611275B1 KR20047006563A KR20047006563A KR100611275B1 KR 100611275 B1 KR100611275 B1 KR 100611275B1 KR 20047006563 A KR20047006563 A KR 20047006563A KR 20047006563 A KR20047006563 A KR 20047006563A KR 100611275 B1 KR100611275 B1 KR 10061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irror
mount
compartmen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700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4756A (ko
Inventor
웨인 럼시
티머시 에스. 데브리스
존 더블유. 카터
제이슨 홀랙
Original Assignee
젠텍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텍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젠텍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5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미러 구조가 소킷(32)을 가진 내부 후사경 하우징(31)을 포함하고 있고, 또 볼 구획을 형성하게 소킷(32)을 각을이루어 조정할 수 있게 교합하는 볼 구획(34)를 가진 미러 마운트(33)를 포함하고 있다.
내부 후사경 하우징

Description

분할 볼 마운트와 개방보전 장치를 가진 미러{MIRROR WITH SPLIT BALL MOUNT AND HOLD-OPEN DEVICE}
본 발명은 볼 마운트 상에 각도 조정을 위해 장착된 미러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조립을 손쉽게 하기 위해 배선을 옆으로 눕혀 안에 수용하도록한 적합된 볼 마운트를 가지는 미러에 관한 것이지만, 그것은 튼튼하며 내구력이 있는 각을 이루어 조정할 수 있는 볼 마운트 형식의 일관된 비틀림 조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개의 현대 차량은 미러의 각도 조정을 용납하는 조정가능한 볼 마운트에 의하여 앞 윈드실드(windshield)의 중앙 상부에 장착된 내부 후사경을 포함하고 있다. 현대의 내부 후사경의 대다수는 아니지만 많은 내부 후사경은 전기적으로 차량 전기 장치(예를 들어, 계기판의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와 마찬가지로 전력을 위해)에 연결된 구성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대의 미러는 전기적 작동의 현광 감소층, 킬레스 엔트리(keyless entry), 주/야 감지 장치, 온도 감지 장치, 및 통신 장치를 통상 포함하고 있다. 전형적으로, 전기 접속은 미러로부터 차량의 천정내장 아래의 윈드실드 마운트를 따라 또는 통해 그 다음 차량 보디 기둥을 통해 차량의 주 전기장치에 연장하는 배선으로 수행된다. 미러로부터 천정내장까지 배선을 송달하는 것은 배선이 조정 볼 접속부 주위(즉, 볼 접속부의 외측)를 도는 경우, 배선이 비교적 쉽게 보이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문제를 나타낼 수도 있다. 커버와 케이블 차폐물이 배선을 감추는 데 사용될 수도 있으나, 배선이 볼 주위를 도는 경우, 커버와 차폐물은 부피가 크고 바람직하지 않게 큰 구조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많은 현대의 차량은 배선의 전달을 용납하게 구멍낸 볼(ball)이나 또는 구멍뚫린 접속부를 가진 관형의 구성부분을 통상 포함하고 있다. 그렇지만, 통로를 통해 배선을 꿰어 넣는 것은 배선을 밀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성가시며 조립에 대해 바람직한 만큼 능률적이지 않다. 게다가, 통로는 통상적으로 전기 접속기를 통과시키기에 충분히 크지 않아서, 관형 구성부분을 통해 배선을 연장한 후에 전기 접속기는 배선에 부착(즉, "블로킹(blocking)")되어야 한다. 이는 조립을 비능률이 되게 할 수 있고, 관형 구성부분이 다소 "방해가 되기" 때문에, 배선 내의 도선(conductors)과 접속기의 빈약한 부착과 같은 조립 결함을 포함하는 것이다. 게다가, 그러한 결함들은 조립이 더 비싼(즉, 조립의 중요한 부분이 완성되는) 경우와 또한 동시에 결함들을 수리하기 더 어려운(즉, 배선을 제거하여 새 배선을 대신 넣기 전에 접속기는 배선을 벗겨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미러 구조내 분할 볼 접속부는, 배선을 볼 접속부를 통해 종방향으로 꿰어야하는 대신에, 배선을 볼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볼 접속부 내로 놓이게 함으로써 그들이 조립을 손쉽게 한다는 점에서는 유리할 것이다. 그렇지만, 분할 볼 접속부의 주된 문제는 작은 각도 조정을 방해하면서도 허용하는 양질의 비틀림 마찰력(high quality torsional friction force)을 유지할 수가 없다. 미러가 조정된 위치에 있도록, 비틀림 힘은 안전 때문에 당연히 유지되어야 한다. 게다가, 조정의 촉감은 차량 운전자에게 매우 중요할 수가 있다. 특히, 미러를 조정하는 동안의 굳세거나 균일하지 않은 촉감은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이 빈약한 품질이라는 잘못된 인상을 줄 수 있다. 분할 볼 접속부는 이들 모두의 문제로 어려움을 자주 가진다. 예를 들면, 분할 볼 접속부는 균일하지 않은 상태로 문질러 끓을 수 있는 분할의 모서리를 가지고 있고, 조정에 있어 "거친" 촉감을 주고, 및/또는 베어링 접촉면 내로 불결물과 먼지를 통과시킬 수 있고, 또한 조정에 있어 균일하지 않은 마찰력을 야기하며, 용납하기 어려운 "그립-및-슬립(grip-and-slip)" 형 움직임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분할 볼 접속부는 미끌어져 형상을 변화할 수 있고 시간, 온도, 및 응력으로,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체험하기도 하며, 비틀림 마찰 저항의 현저하며 용납하기 어려운 변화의 결과를 갖는다. 특히, 미러 마운트에 자주 사용되는 아연 다이 캐스트 재료가 이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시간, 온도, 및 응력에 의해 역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값비싼 고급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현재의 경쟁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는 경비상 효과적으로 고려되지도 않거니와 적당하지도 않다. 재료의 부가된 중량과 부가된 비용이 문제가 되고, 또한 증가한 사이즈가 미러를 지나 차량 앞 윈도 밖을 볼 수 있는 차량 운전자의 능력에 역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의 사이즈와 구조를 중대하게 증대시킴에 의해 "여유있는 설계" 부품으로 하는 것은 이들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언급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며 상기 언급의 장점들을 가지는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차량 앞 윈도우에 근접한 차량에 부착을 위한 미러 구조는 내부 후사경 어셈블리와, 차량 구성부분에의 부착되도록된 미러 마운트를 포함하고 있다. 볼 접속부에 마련되어 미러 어셈블리와 미러 마운트중의 일방에 볼 구획을 포함하며, 또 미러 어셈블리와 미러 마운트 중 타방에서의 소킷을 포함한다. 볼 구획은 각도 조정을 가능하도록 소킷 상의 치합표면(mating surface)을 슬라이드가능하게 각을이루어 교합하는 구체구성(sphere-defining)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배선을 볼 구획 내측에 옆으로 놓이게 하여 구체구성의 면을 차단하는 측면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볼 접속부는 또한 개구부를 열어 유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있어 볼 구획은 바람직한 형상을 유지하며 볼 접속부는 장기간에 걸친 사용 후에 각도 조정에 바람직한 비틀림 마찰 저항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미러 구조가 소킷을 가진 하우징을 가지는 내부 후사경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고, 또 차량 구성부분에 부착되도록된 볼 구획을 포함하는 미러 마운트를 포함하고 있다. 볼 구획은 소킷을 볼 접속부에 형성하도록 각을이루어 조정할 수 있게 교합하고 있으며, 볼 구획은 조립을 손쉽게 배선을 볼 구획 내 옆으로 놓이도록 허용하는 방사상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미러 구조는 볼 구획이 시간에 걸쳐 비틀리어 무너질 수 없도록 볼 구획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볼 구획을 교합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미러를 구성하는 방법이 소킷을 포함하는 내부 후사경 어셈블리와, 차량 구성부분에의 부착에 적합된 미러 마운트를 마련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고, 미러 마운트는 방사상-개구부를 가진 볼 구획을 포함한 다. 이 방법은 볼 구획의 방사상-개구부 내로 배선을 놓기와, 볼 접속부가 시간에 걸쳐 비틀리어 무너질 수 없도록 개구부를 개방 상태에 유지하게 개구부 내에 홀더를 배치하기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 방법은 후사경을 선택된 각도 위치에 두기 위하여 충분한 마찰로 소킷과 맞물린 볼과 함께 볼 구획을 각도 조정용 소킷 내로 작용할 수 있게 고정하는 것을 더욱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들과 타의 실시 예, 목적, 및 특징들은 하기의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의 도면을 살핌으로 기술에 숙련한 이들에 의해 이해되고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마운트를 가진 미러 구조의 측면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의 마운트의 측면, 평면 및 저면 도들이다;
도 5-6 및 6A는, 각각 도 4, 2, 및 2의 V-V, Ⅵ-Ⅵ 및 ⅥA-ⅥA 선들을 따라 그린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1의 마운트와 유사한 변경 마운트의 도 6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8-9는, 도 1에 보인 쐐기의 앞 및 뒤 사시도들이다;
도 10-12는, 도 8의 쐐기의 전면, 평면 및 측면 도들이다; 그리고
도 13 및 14는 ⅩⅢ-ⅩⅢ 및 ⅩⅣ-ⅩⅣ 선들을 따라 그린 단면도들이다.
미러 구조(30)(도 1)는 소킷(32)을 가진 내부 후사경 하우징(31)을 포함하고 있으며, 소킷(32)을 각을 이루어 조정할 수 있게 교합하여 볼 접속부를 형성하게 되는 볼 구획(34)을 가진 미러 마운트(33)를 포함하고 있다. 볼 구획(34)은, 조립을 손쉽게 볼 구획(34)의 개구부(35) 내로 옆으로 놓여지는 배선 하니스(wiring harness)(36')의 배선(36)을 허용하는 방사상 개구부(35)를 가지고 있다. 홀더(이하 "쐐기 37"이라 한다)가 볼 구획(34)이 시간에 걸쳐 비틀리어 무너질 수 없도록 개구부(35)를 유지하기 위해 개구부(35)에 꼭 맞아 있다. 마운트(33)는 배선 하니스(36')의 배선(36) 상의 전기 접속기(39)의 스냅 부착(snap attachment)을 위한 윈도(38)를 포함하고 있다.
차량용 내부 후사경 및 앞 윈도장착의 미러 마운트는 공업분야에 잘 알려져 있어서, 그들의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6,068,380 호(2000. 5. 30 부여) 기재의, 내부로 관통된 배선을 가진 전형적인 볼 마운트를 참조하기 바란다.
예시된 미러 마운트(33)는 아연 다이 캐스트이다. 그렇지만, 타의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바람직하게, 마운트(33)(도 5)는 형상지어진 것 처럼 최종 형상에 주조된다. 마운트(33)는, 모두가 연속적인 재료로 일체적으로 주조돼 있는 보디(41), 부착 구획(42), 관 또는 목 구획(43), 및 볼 구획(34)을 포함하고 있다. 부착 구획(42)은, 총중량을 최소화하고 성형성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최적의 응력 분배와 강도를 위해 부착 플랜지(44)와 보강 리브(45)로 모양지어져 있다. 부착 플랜지(44)는 차량 앞 윈도(47)에 접착물(46')에 의해 부착된 앵커 피스 또는 "버튼"(46)(도 1)을 치합하여(matingly) 확실히 교합하게 형상지어져 있다.
보디(41)(도 5)는 대항 측벽(49)과, 마운트(33)의 저부를 가로질러 세로로 연속하는 채널(51)을 구성하는 상벽(top wall)(50)을 포함하고 있다. 채널(51)은 볼 구획(34)의 개구부(35)와 정열하며 배선 하니스(36')가 마운트(33) 내로 놓이는 때 배선(36)을 수용하게 형상지어져 있다. 벽(49-50)은 배선 하니스(36')의 일단에 접속된 전기 접속기(39)를 수용하여 유지하게 형상지어진 윈도(38)를 또한 구성한다. 리브(54)는 윈도(38) 인접에 걸쇠 또는 제 2의 윈도(55)를 형성한다. 스프링 클립 리테이너(56)가 전기 접속기(39)의 슬릿 내로 가로로 슬라이드하여 접속기를 윈도(38)에 항구적으로 유지하게 돼 있다. 클립 상의 돌기는 마찰되기 적당하도록 제 2의 윈도우(55)와 맞물린다.
마운트(33)의 목 구획(neck section)(43)(도 5)은 볼 구획(34)을 보디(41)에 접속시킨다. 목 구획(43)은 채널(51) 및 볼 구획(34)의 개구부(35)와 제휴하는 개방 채널(57)을 포함하고 있다. 개구부(35)와 채널(51 및 57)은 그들을 형성하는 다이 돌기(die protrusion)의 측면 상의 드래프트 앵글(draft angle) 때문에 테이퍼진 형상을 구성한다. 예시의 채널(57)은 폭을 목 구획(43)의 직경의 약 50% 내지 90%로 확장하거나, 더 바람직하게는 목 구획(43)의 직경의 약 70% 내지 80%로 확장하나, 채널 폭은 어떤 사이즈이어도 좋다. 볼 구획(34)은 직경이 목 구획(43)보다 크다. 볼 구획(34)의 예시의 개구부(35)는 폭을 볼 구획 직경의 약 50% 내지 90%로 확장하거나, 더 바람직하게는 볼 구획 직경의 약 60% 내지 70%로 확장하나, 개구부(35)는 미러 구조의 기능적 요구에 적당한 어떠한 사이즈이어도 좋다. 예시의 마운트(33) 상에서는, 채널(51 및 57)과 개구부(35)의 내면이 (마운트가 차장착 위치에 있을 경우) 마운트(33)(도 4)의 저부에 향해 하향으로 정렬하여 개방한다. 그렇지만, 채널과 개구부는 마운트의 상부에나 측면에 있을 수도 있을 수 있다. 예시의 채널(51 및 57)과 개구부(35)는 목 구획(43)의 중심에 그리고 배선 하니스(36')가 최종적으로 위치되는 볼 구획(34) 상의 정렬된 구역에 확대되며, 장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세로로 연장하는 드래프트 앵글(draft angle)을 형성하는 내면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채널(51 및 57)과 개구부(35)는 다이 캐스팅 형 내의 풀러(puller)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시의 볼 구획(34)(도 4 및 6)은 볼 구획의 주위에 약 270 내지 350도로, 또는 더 바람직하게 약 300 내지 약 330도로,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 약 320도로 연장하는, 아치형으로 연장하는 암(60)을 포함하고 있다. 그렇지만, 암(60)은 볼이 어울리게 형성되는 한 요구되는 어떤 거리에도 연장할 수 있다. 대안의 볼 구획(34')은 개구부(35)에 대향하는 위치에 융기(34")를 포함하고 있다. 융기(34")는 쐐기(37) 상의 암(67)의 단(70)을 교합하게 형상지어진 쐐기를 형성하게 구성되어,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쐐기(37)의 암(67)이 무너질 수 없게 더 확실하게 보장하는 구조 지지체를 제공하게 된다.
쐐기(37)는 폴리머 재료 따위, 접촉하는 연속 재료로 모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채움관부(cylinder-filling tube portion) (62'), 구면형상의 돌기 부(63), 및 꼬리 부(64)를 포함하고 있다. 원통채움관부(62')(도 14)는 센터(66)와 대향의 암(67)을 가지고 있다. 센터(66)와 대향의 암(67)은 볼 구획(34)의 원통 형상을 교합하여 지지하게 형상지어진 외면(68)을 가지고 있으며, 또 배선 하니스(36') 용 연속 통로를 구성하는 내면(69)을 가지고 있다. 암(67)의 단(70)은 쐐기(37)의 원통채움관부(62') 내측에 배선 하니스(36')를 옆으로 수용하기 위한 갭을 두고 있다. 센터(66)와 암(67)은 볼 구획(34)의 내면에 마찰 맞춤(friction fit)으로 형상지어져 있고, 돌기 부(63)는 볼 구획(34)의 개구부(35)의 개방 구면부에 딱 들어맞아 채우도록 되어 있으며, 꼬리부(64)는 볼 구획(34)의 단으로부터 뻗어져 있다. 돌기부(63)의 외면은 볼 구획의 외 구형면의 구면 형상을 완성한다. 변경 볼 구획(34')(도 7)에 있어서는, 융기(34")가 볼 구획(34')에 부가되어 암(67)의 단(70) 사이에 맞아 암(67)을 외향으로 유지하므로 암들(67)은 서로를 향해 무너질 수 없게 된다. 융기(34")는 필요하다면, 쐐기(37)를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마찰을 발생시키게 암(67)을 외향으로 테이퍼지게할 수가 있다. 대신, 쐐기(37)는 볼 구획(34)의 내면의 리세스 안으로 적절하게 마찰적으로 물리도록 형상지어진 걸쇠나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접착물, 땜납을 포함하거나 적절하게 위치시 킬 수 있다. 바람직한 열팽창 및/또는 열 안정성 계수를 가지는 쐐기에 대한 재료를 선택함에 의하여, 비틀림힘조정(torsional force adjustment)이 광범위한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면말히 제어될 수 있음에 유의할 일이다.
예시의 쐐기(37)가 볼 구획 형상을 두가지 방법으로 유지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첫째, 돌기부(63) 및 꼬리부(64)는 볼 구멍(35)의 단을 교합하여 외향의 압축 압력을 창출하는 것이다. 또한, 원통채움관부(cylinder-filling tube portion)(62')가 연장하는 볼암(60)의 내면을 교합하여 방사상의 외향 압력을 창출하는 것이다. 용어 "홀더"는 이들 두 방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또한 볼 구획(34) 내에 "C" 형상의 스프링을 삽입함에 의하거나, 캐비티필러(cavity fillers), 보강재, 및 응력분배 부재을 마련함에 의하는 따위의, 볼암의 형상을 유지하는 다른 방법들을 포함하는 뜻으로 의도된다.
미러 하우징(31)(도 1)은 소킷(32)를 구성하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각종 소킷이 있어 이용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소킷(32)은 각도 조정을 위해 볼 구획(34)를 수용하여 마찰식으로 교합하기 위하여 구면 형상을 형성하는, 플랜지(72) 상의 아치형의 면들에 의해 형성된다. 플랜지(72)의 뒷 부분은 스프링 리테이너(73)에 의하여 붙잡혀져 있다. 플랜지(72)과 스프링 리테이너(73)는 일관된 스무스한 조정력으로 여러축의 각도 조정을 허용하는 식으로 볼 구획(34)을 붙잡도록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미러 구조(30)는 상이한 방법들로 조립될 수 있음을 특히 유의할 일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립 방법은, 소킷(32)을 포함하는 내부 후사경 어셈블리와, 차량 구성부분에의 부착에 알맞는 미러 마운트(33)를, 방사상 개구 부(35)를 가진 볼 구획(34)을 포함하는 미러 마운트(33)와 함께 마련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전기 접속기(39)는 배선 하니스(36')를 형성하게 막음에 의하여 배선(36)에 부착되며, 다음 배선(36)이 볼 구획(34)의 방사상 개구부(35) 내로 마운트(33)의 목 구획(43)과 보디(41)의 채널을 따라서 놓여진다. 전기 접속기(39)는 다음 마운트의 윈도를 통해 연장되어 클립 리테이너(56)와 알맞게 마찰식으로 고정된다. 쐐기(37)는 한 위치의 볼 구획(34)의 개구부(35)에 배치되어 개방 상태의 볼 구획(34)의 아치형 측면 암(60)을 유지하게 되므로 볼 구획(34)은 시간에 따라 비틀어 무너지지 않는다. 볼 구획(34)은 그때 소킷(32) 내로 작동가능하게 맞추어지며 스프링 리테이너(73)가 부가되어 에셈블리를 완성하게 되어, 볼 구획(34)이 소킷(32) 내에 고정되어 소킷(32) 내에서 각을이루어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마운트(33)로부터 스프링 리테이너(73)를 제거함에 의하여, 배선 하니스는 마운트(33)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어 전기 접속기(39)를 절단하지 않고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개념을 일탈하지 않고서도 앞서 언급한 구조에 대해서 변형과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하며, 또한 명백하게 말로써 달리 표현하지 않는 한 그러한 개념은 하기와 같은 청구범위에 의해서 설명되도록 의도된는 점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9)

  1. 차량의 앞 윈도우에 근접한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미러 구조(30)에 있어서,
    내부 후사경 어셈블리(31);
    차량 구성부분에의 부착되도록된 미러 마운트(33)와;
    상기 내부 후사경 어셈블리(31)와 상기 미러 마운트(33)의 일방에 볼 구획(34)을 포함하고, 미러 어셈블리(31)와 미러 마운트(33) 중의 타방에 소킷(32)을 포함하는 볼 접속부를 지니며, 상기 볼 구획(34)은 각도 조절을 가능하도록 소킷(32) 상의 치합표면(mating surface)을 슬라이드할 수 있게 각을이루어 교합하는 구체구성 표면을 가지며,
    더욱이,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배선(36)을 볼 구획(34) 내측에 옆으로 놓이게 하여 구체구성 표면들을 차단하는 측면 개구부(35)를 형성하는 추가의 표면들을 더 가지며, 볼 접속부는 공간을 둔 상태의 개구부(35)의 추가면을 개방 유지하기 위하여 추가 면들을 교합하는 분리된 홀더(37)를 더 포함하여 볼 구획(34)의 형상을 유지하고 또 볼 접속부는 장기간에 걸친 사용 후에도 각도 조정에 바람직한 비틀림 마찰 저항을 유지하는, 차량 앞 윈도우에 근접한 차량에 부착하기위한 미러 구조(30).
  2.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37)은 개구부(35)을 형성하는 볼 구획(34) 상의 표면들를 교합하는 쐐기를 포함하고 있는 미러 구조(30).
  3.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37)는 구체구성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돌출부(63)를 포함하고 있는 미러 구조(30).
  4.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37)는 구체구성 표면으로부터 내향으로 공간을 둔 위치에서 개구부(35) 안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원통형구성 부(62')를 포함하고 있는 미러 구조(30).
  5.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37)는 개구부(35) 내에 끼워 맞추어지는 C형상 부(62')를 포함하고 있는 미러 구조(30).
  6. 제 1 항에 있어서,
    볼 구획(34)은 제 1의 직경을 가지는 구멍을 구성하는 내표면을 가지고 있고, 홀더(37)는 내표면을 교합하며 구멍 둘레에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암(67)을 가지고 있는 미러 구조(30).
  7.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37)는 볼 구획(34)의 배선(36)의 보유를 돕는 미러 구조(30).
  8.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37)는 볼 구획(34)의 배선(36)의 보호를 돕는 미러 구조(30).
  9. 제 1 항에 있어서,
    마운트(33)는 옆으로 개방하는 제 1의 채널을 구성하는 관형 구획(43)을 포함하며 볼 구획(34)의 개구부(35)는 제 1의 채널과 제휴하는 제 2의 채널을 구성하는 미러 구조(30).
  10. 제 1 항에 있어서,
    볼 구획(34)은 미러 마운트(33) 상에 위치되어 있는 미러 구조(30).
  11. 제 10 항에 있어서,
    미러 마운트(33)는 전기 접속기를 수용하게 형성지어진 벽을 포함하고 있는 미러 구조(30).
  12. 제 1 항에 있어서,
    개구부(35) 내로 눕혀진 배선(36)을 가진 배선 하니스(36')를 포함하는 미러 구조(30).
  13. 제 12 항에 있어서,
    배선 하니스(36')는 전기 접속기(39)를 포함하고, 마운트(33)는 전기 접속기(39)를 수용하는 리세스(38)를 가지고 있는 미러 구조(3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전기 접속기(39)는 마운트(33)에 전기 접속기(39)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 리테이너(56)을 포함하고 있는 미러 구조(30).
  15. 제 1 항에 있어서,
    마운트(33)는 구멍을 포함하고 있으며, 개구부(35) 내로 눕혀진 배선(36)을 포함하여 배선은 구멍을 통해 연장하고 있는 미러 구조(30).
  16.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37)는, 설치되는 경우, 볼 구획(34)의 구멍 내측으로 연장하며 볼 구획(34)의 구체구성 표면 주위의 개구부(35)를 채우는 미러 구조(30).
  17. 제 16 항에 있어서,
    홀더(37)는 볼 구획(34)의 내측 둘레에 적어도 약 180도 연장하는 대향하는 아치형 날개을 가지고 있는 미러 구조(30).
  18. 차량의 앞 윈도우에 근접한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미러 구조(30)에 있어서
    소킷(32)을 포함하는 내부 후사경 어셈블리(31)와;
    차량 구성부분에 부착되도록된 볼 구획(34)을 포함하는 미러 마운트(33)와;
    상기 볼 구획(34)은 소킷(32)을 볼 접속부에 형성하도록 각을 이루어 조정할 수 있게 교합하고 있으며, 조립을 손쉽게 하기 위해 배선(36)을 볼 구획(34) 내로 옆으로 눕혀지게 허용하는 방사상(radially)과 옆으로 개구부를 구성하는 표면들을 가지며, 시간에 걸쳐 비틀어져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볼 구획(34)의 형상을 유지하고 공간을 둔 상태의 표면들을 유지하기 위한 볼 구획(34)의 표면들을 교합하는 분리형 홀더(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앞 윈도우에 근접한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미러 구조(30).
  19. 제 18 항에 있어서,
    홀더(37)는 개구부(35)의 쐐기로 이루어져 있는 미러 구조(30).
KR20047006563A 2001-11-02 2002-10-21 분할 볼 마운트와 개방보전 장치를 가진 미러 KR100611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04,254 2001-11-02
US10/004,254 US6467919B1 (en) 2001-11-02 2001-11-02 Mirror with split ball mount and hold-open device
PCT/US2002/033443 WO2003040797A1 (en) 2001-11-02 2002-10-21 Mirror with split ball mount and hold-ope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756A KR20040054756A (ko) 2004-06-25
KR100611275B1 true KR100611275B1 (ko) 2006-08-10

Family

ID=2170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7006563A KR100611275B1 (ko) 2001-11-02 2002-10-21 분할 볼 마운트와 개방보전 장치를 가진 미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67919B1 (ko)
EP (1) EP1451626B1 (ko)
JP (1) JP4034731B2 (ko)
KR (1) KR100611275B1 (ko)
AT (1) ATE323625T1 (ko)
DE (1) DE60210812T2 (ko)
WO (1) WO20030407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297B1 (ko) * 1999-10-07 2007-03-23 라이터 운트 쉐페나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자동차용 내부 백미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5006B2 (en) 2002-08-21 2009-07-21 Gentex Corporation Image acquisition and processing methods for automatic vehicular exterior lighting control
US20040207940A1 (en) * 2003-04-02 2004-10-21 Carter John W Interior rearview mirror with magnesium components
WO2004103773A2 (en) 2003-05-19 2004-12-02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ies incorporating hands-free telephone components
JP2005119562A (ja) * 2003-10-17 2005-05-12 Murakami Corp 車両用付属ユニットの電気接続構造およびインナーミラーの電気接続構造
US20050128610A1 (en) * 2003-11-03 2005-06-16 Parker Brian R. Rearview mirror assembly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wiring cover
KR100718766B1 (ko) * 2006-03-15 2007-05-16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차량용 다관절 인사이드 미러 장치
DK1931168T3 (da) * 2006-12-04 2012-05-14 Sennheiser Comm As Headset med svingelige dele
CN104068925B (zh) 2008-03-26 2017-07-14 斯恩蒂斯有限公司 用于将物体附接在骨组织上的通用锚固件
WO2009149371A1 (en) 2008-06-05 2009-12-10 Synthes Usa, Llc Articulating disc implant
US8882838B2 (en) * 2008-06-05 2014-11-11 DePuy Synthes Products, LLC Articulating disc implant
EP2385800B1 (en) 2008-12-05 2015-08-19 Synthes GmbH Anchor-in-anchor system for use in bone fixation
US9060808B2 (en) 2008-12-05 2015-06-23 DePuy Synthes Products, Inc. Anchor-in-anchor system for use in bone fixation
US8210695B2 (en) * 2009-04-30 2012-07-03 Gentex Corporation Channeled mirror mount
US8736943B2 (en) 2012-01-17 2014-05-27 Gentex Corporation Variable transmission electrochromic window and associated aircraft window system
US8960629B2 (en) * 2012-10-04 2015-02-24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ounting device
US9545882B2 (en) * 2014-05-08 2017-01-17 Gentex Corporation Rearview device with exposed carrier plate
CN103994407A (zh) * 2014-05-29 2014-08-20 江苏迅驰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前照灯球头防脱落机构
NL2013508B1 (nl) * 2014-09-22 2016-09-29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 V Verstelinstrument, Buitenspiegeleenheid, Motorvoertuig.
CN104515078A (zh) * 2014-12-22 2015-04-15 江苏洪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灯具反射镜用球头座连接结构
US10096922B2 (en) 2016-11-07 2018-10-09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biased electrical connection
WO2018165301A1 (en) 2017-03-10 2018-09-13 Gentex Corporation Rearview assembly
WO2019111234A1 (en) 2017-12-08 2019-06-13 Gentex Corporation Pre-loaded two-lobe spring twist-on rearview mounting assembly
US10974650B2 (en) 2017-12-11 2021-04-13 Gentex Corporation Rearview device mount and attachment method
WO2020070570A1 (en) * 2018-10-02 2020-04-09 Gentex Corporation Adjustable mounting mechanism for a rearview assembly
DE102021108507B3 (de) * 2021-04-06 2022-07-07 Mekra Lang Gmbh & Co. Kg Indirektes Rücksichtsystem mit beiderseits einer Trennfläche vorhandenen Kontaktbereichen eines Tragelementes, lastoptimierte Verstellkugel und Montageverfahren für ein indirektes Rücksicht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5212A (ja) * 1990-12-26 1992-08-14 Nikon Corp 投影露光装置、並びに投影露光方法、及びその投影露光方法を用いたデバイス製造方法、及びそのデバイス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5212A (en) * 1978-06-02 1980-09-30 Werner Grabowski Outside rear vision mirror
US6326613B1 (en) * 1998-01-07 2001-12-04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interior mirror assembly adapted for containing a rain sensor
US6068380A (en) 1998-07-28 2000-05-30 Gentex Corporation Mirror mount having an integral spherical bearing
DE29917715U1 (de) * 1999-10-07 1999-12-16 Reitter & Schefenacker Gmbh Inn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5212A (ja) * 1990-12-26 1992-08-14 Nikon Corp 投影露光装置、並びに投影露光方法、及びその投影露光方法を用いたデバイス製造方法、及びそのデバイス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デバイ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297B1 (ko) * 1999-10-07 2007-03-23 라이터 운트 쉐페나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자동차용 내부 백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51626A1 (en) 2004-09-01
JP4034731B2 (ja) 2008-01-16
DE60210812D1 (de) 2006-05-24
WO2003040797A8 (en) 2003-12-24
JP2005508272A (ja) 2005-03-31
EP1451626A4 (en) 2004-12-29
ATE323625T1 (de) 2006-05-15
WO2003040797A1 (en) 2003-05-15
DE60210812T2 (de) 2006-11-02
US6467919B1 (en) 2002-10-22
KR20040054756A (ko) 2004-06-25
EP1451626B1 (en)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275B1 (ko) 분할 볼 마운트와 개방보전 장치를 가진 미러
US6540193B1 (en) Rearview mirror mounting assembly
US6877709B2 (en)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polymeric components
US5487522A (en) Mirror support bracket
US4352518A (en) Visor
EP2492144B1 (de) Aussenrückblickspiegel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5984482A (en)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 automatic dimming rearview mirror
US8720845B2 (en) Wear compensator for a pivoting detent joint
EP0169732B1 (en) A rear view mirror assembly
US20010050329A1 (en) Swing-down ceiling mount for motor-vehicle mirror or monitor
DE102012107516B4 (de) Befestig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elektronischen Geräts in einem Fahrzeug
US20070124923A1 (en) Rotatable clamp for wire harness and unit utilizing same
US10744944B2 (en)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DE102018106946A1 (de) Fahrradbatteriehalter
EP2399781B1 (de) Außenrückblickspiegel mit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zu einer im Außenrückblickspiegelgehäuse beherbergten elektrischen Komponente
CA2252951A1 (en) Trailer hitch cover and accessory components
US7249845B2 (en) Spring hinge
CN211979391U (zh) 一种具有连接装置的相机保护罩
EP0730996A2 (de) Scheinwerfer für Fahrzeuge
DE202009003860U1 (de) Fahrzeughalterung und elektrische Anschlusseinheit für elektronische Geräte, insbesondere mobile Navigationsgeräte
DE10027882B4 (de) Halter für eine Antenne
US5737972A (en)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US4411403A (en) Pivot support bracket for mirror assembly
CN212890166U (zh) 车用外置摄像头的固定座及车用外置摄像头
CN219740496U (zh) 车载监控装置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