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983B1 - 인삼배지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배지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983B1
KR100610983B1 KR1020040058269A KR20040058269A KR100610983B1 KR 100610983 B1 KR100610983 B1 KR 100610983B1 KR 1020040058269 A KR1020040058269 A KR 1020040058269A KR 20040058269 A KR20040058269 A KR 20040058269A KR 100610983 B1 KR100610983 B1 KR 100610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cordyceps
cordyceps sinensis
cultivation
sapon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612A (ko
Inventor
이영철
허우덕
이영경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5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9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충하초 자실체 배양시 곤충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인삼을 사용하여 재배함으로써 동충하초 내에 여러 종류의 인삼 사포닌을 추가 포함시키면서, 동시에 동충하초내의 코디세핀 함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재배된 약효 성분이 강화된 동충하초 자실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충하초 자실체 재배시 일반적으로 기질로 사용되는 번데기를 대신하여 인삼을 첨가하여 동충하초를 재배하면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이 동충하초균주에 의해 유용 사포닌으로 전환되면서 코디세핀 함량이 증가된다. 특히, 동충하초균주를 인삼 혹은 인삼과 번데기 혼합물에 접종하여 약 60∼90일간 재배하면 동충하초균이 자실체로 성장하면서 영양원으로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의 일부 성분을 사용하여 다른 유용 사포닌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코디세핀 함량도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식품으로 허가된 자포니카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인삼, 사포닌전환, 코디세핀, 동충하초, 자실체

Description

인삼배지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Method for a cultivation of Cordyceps militaris by using Ginsaeng Culture medium}
도 1은 인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재배한 동충하초 자실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충하초 자실체 배양시 곤충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인삼을 사용하여 재배함으로써 동충하초 내에 여러 종류의 인삼 사포닌을 추가 포함시키면서, 동시에 동충하초내의 코디세핀 함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재배된 약효 성분이 강화된 동충하초 자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충하초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동충하초를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에 관한 특허로서 공개특허 2001-114093(동충하초 자실체를 코팅한 곡물과 그 제조방법), 2001- 106990(동충하초 자실체를 포함하는 국수), 2001-089859(버섯 식혜 제조방법), 2001- 084310(스테미나 증강용 조성물), 2001-069936(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2001 -069275(뽕잎, 누에, 동충하초가 함유된 기능성 선식의 조성 및 제조방법), 2001- 068702(약용식물과 버섯을 주재로한 건강발효 식초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건강발효식초), 2001-029439(한약재가 함유된 기능성 얼음), 2001-017629(스테미나 증강용 건강식품 조성물), 2001-017055(동충하초 함유 장류), 2000-024255(성인의 체력증진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000-018859(담자균 배양 곡물을 이용한 취반 제조법), 2000-018849(동충하초 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1999-080045(동충하초를 이용한 오리탕 및 그의 제조방법), 1999-078777(동충하초 함유 장류), 1999-046746(동충하초 함유차), 2000-001527(건강음료의 제조 방법), 1999-046085(동충하초함유 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2000-063670(버섯쌀), 1999-024211(담자균배양 찹쌀을 이용한 삼계탕과 오리탕), 1998-082143(동충하초 균사체 및 자실체 형성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동충하초를 이용한 차), 1997-068912(동충하초를 함유한 기능성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등이 있으며, 동충하초와 건강기능성 소재를 혼합하여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동충하초를 의약품 및 식품소재로 사용하고자 하는 특허로는 한국 공개 특허 2001-067974(혈전용해 작용이 있는 동충하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혈전 용해효소), 2001-054264(동충하초로 부터 분리 추출된 항암제용 코디세핀과 그 제조방법), 2001-039188(표고버섯 추출물 및/또는 동충하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2001-070923(눈꽃동충하초 유래의 아포토시스 유도성 항암성분), 2001-025469(눈꽃 동충하초 균주를 액체배양하여 단백다당체를 생산하는 방법), 2000-038315(동충하초 균사체 액체배양물로 부터 균체외 고분자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2000-000757(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용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제), 1999-052997(동충하초 버섯의 액체 배양으로부터 유래된 천연물질과 그 용도), 1999-038423(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1998-033798(당뇨병 치료용 의약조성물) 등이 있으며 주로 동충하초의 기능성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코디세핀, 단백다당체, 다당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조에 관한 특허가 주를 이루고 있다.
동충하초의 재배 및 배양에 관한 특허로는 2001-108683(동충하초의 재배방법), 2001-093364(동충하초 배양 균사체로 부터 분리한 추출물 및 그 용도), 2001-087699(감마-아미노낙산의 함량이 높은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2001-084937(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및 그 재배방법), 2001-084051(눈꽃동충하초의 배양방법), 2001-069295(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2001-016736(동충하초 재배방법), 2001-027806(동충하초 속 균의 균사체 및 자실체 생산방법), 2001-008791(장수풍뎅이 유충을 기주로 한 동충하초 및 그 생산방법), 2001-008069(바나나 농축액을 배지로한 버섯균사체 대량생산 방법), 2001-004813(콩섬유박을 이용한 버섯류의 배양법), 2001-004812(콩섬유박을 이용한 동충하초의 배양법), 2001-000513(유기게르마늄 함유 동충하초의 제조방법), 2000-073245(나용 돌연변이 누에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인공재배 방법), 2000-067579(누에 동충하초의 재배시기 조절방법), 2000-065410(작잠 번데기 동충하초 재배방법), 2000-014368(동충하초버섯의 재배용기 및 그 재배방법), 1999- 078866(건조누에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인공재배방법), 1999-076445(동물성배지를 이용한 동충하초 재배방법), 1999-046312(번데기 동충하초 제배방법), 2000-059389(신규한 번데기동충하초 균주와 그 종균 및 자실체 재배방법), 1998-033558(동충하초 자실체 생산방법), 1998-025198(가잠을 이용한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militaris)의 인공재배 방법), 1998-025197(가잠을 이용한 번데기 봉형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farinosa)의 인공재배 방법), 1998-023908(가잠을 이용한 동충하초(Paecilomyces sp. J300)의 인공재배 방법), 1998-023907(가잠을 이용한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의 인공재배 방법), 1998-002244(동충하초 버섯용 곤충 종균배지 및 그 상자 재배방법), 1998-002241(동충하초 버섯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그 재배방법), 1998-000013(곤충을 이용한 동충하초 버섯 종균의 배양방법), 1997-068810(누에 번데기를 이용한 번데기 동충하초의 종균 배양방법 및 재배방법), 1997-068809(동충하초 대량 인공배양에 관한 신기술 및 배지 조제방법), 2000-018673(눈꽃 동충하초 배양용 배지조성물 및 그의 배양방법) 등이 있다. 동충하초 배양에 관한 특허는 초기에는 곤충과 누에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와 밀라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 방법에 관한 특허가 주 이었으며 그 이후로는 번데기, 콩섬유박 및 기타 동물성 배지를 이용한 재배 방법이 특허로 등록되어 있다. 동충하초 배양에 관한 특허는 주로 동충하초 기주의 다양화에 관한 특허와 동충하초의 자실체 생산방법에 관한 특허가 주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동충하초와 기능성소재의 접합에 의한 새로운 동충하초 배양에 관한 특허는 2001-000513(유기게르마늄 함유 동충하초의 제조방법)가 거의 유일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유기게르마늄 함유 동충하초의 제조방법은 동충하초 배양액 및 번데기 고체배지에 유기게르마늄을 첨가하여 동충하초로의 함유 증가를 유도한 특허로서 본 특허와는 먼저, 첨가하는 식품소재가 다르며 또한 인삼의 경우, 인삼에 존재하는 다양한 영양성분이 있으며, 이러한 인삼 배지를 이용하여 동충하초를 재배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성 사포닌을 포함하는 동충하초 자실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으며, 독창적인 특허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인삼의 약효 성분은 사포닌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포닌의 종류에 따라 효능이 다르다고 알려져 있어 최근에는 찌는 것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을 전환하고자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옛부터 백삼을 고온에서 장시간 찌면서 홍삼을 제조하면 백삼에 존재하지 않는 사포닌이 장시간 찜에 의해 새로운 사포닌이 홍삼에 존재하게되어 백삼보다 홍삼의 효능이 우수하다고 우리 조상들은 알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 사포닌을 전환하는 방법은 효소를 이용하는 방법, 유산균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으나, 동충하초의 재배를 이용한 방법은 보고된 바가 없다.
또한 동충하초는 코디세핀과 다당체에 의한 다양한 기능성이 있는 건강식품소재로서 각광 받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기존의 곤충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인삼배지를 사용하여 약효성이 우수한 기능성 사포닌을 포함하는 동충하초를 재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인삼배지를 이용하여 재배된 동충하초 자실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약효성분이 우수한 기능성 사포닌 진세노이드 Rh1, Rg3를 포함하며, 코디세핀의 함량이 강화된 동충하초 자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동충하초를 재배하여 얻어진 인삼 사포닌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누에 번데기에 대하여 인삼을 25~100%로 포함하는 배지에서 동충하초를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삼 함량은 누에 번데기에 대하여 50~95%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5~95%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충하초 배지에 첨가된 인삼은 외국인삼인 화기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인삼 배지에 동충하초 종균을 1 ∼ 10% 접종하여 18℃ ∼ 25℃에서 습도 60 ∼ 70%의 조건에서 약 70일 동안 재배할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누에 번데기에 대하여 인삼을 25~100%로 포함하는 배지에서 재배된 동충하초 자실체를 제공한다.
상기 인삼 함량은 누에 번데기에 대하여 50~95%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5~95%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충하초 배지에 첨가된 인삼은 외국인삼인 화기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누에 번데기에 대하여 인삼을 25~100%로 포함하는 배지에서 동충하초를 배양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인삼 사포닌을 제공한다.
상기 인삼 사포닌이 Rg1, Re, Rf, Rb1, Rc, Rb2, Rd, Rh1, Rg3일 수 있으며, 특히 Rh1, Rg3, Rd, Rc, 바람직하게는 Rh1, Rg3이다.
상기 인삼 함량은 누에 번데기에 대하여 50~95%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5~95%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충하초 배지에 첨가된 인삼은 외국인삼인 화기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인삼을 함유하는 배지(이하, 인삼 배지라 함)를 사용하여 재배된 동충하초 자실체는 인삼 사포닌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인삼 배지가 누에 번데기에 대하여 인삼 성분이 50~95% 포함된 배지에 재배한 경우, 인삼 배지에 첨가한 인삼사포닌에 포함되지 않았던 사포닌 Rg3와 Rh1이 새롭게 생성되며, 동충하초의 코디세핀 함량이 증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동충하초가 인삼성분이 누에 번데기에 대하여 75~95% 포함된 인삼 배지에서 배양된 경우, 인삼 성분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 비해 인삼 사포닌 Rc 및 Rd 함량이 증가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동충하초 재배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누에나 번데기 같은 곤충 소재만을 사용하지 않고, 일부 혹은 전부 인삼을 함유한 기질을 이용하여 동충하초를 배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이 동충하초 자실체에 포함되거나, 배지에 첨가된 인삼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사포닌이 새롭게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종균의 제조
본 특허에 사용한 균주는 Cordyceps militaris를 사용하였다. 동충하초 균사체의 종배양 배지는 감자배지(Potato Dextrose Broth, PD, DIFCO)를 사용하였다. 즉 보존균주를 종배양용 배지(PD 배지, pH 6.5) 50 ㎖에 직경 0.5 ㎝의 균편을 접종하여 24℃ 진탕항온기(shaking incubator)에서 7일간 종배양한 후 250 ㎖ 삼각 플라스크에 배양액을 50 ㎖씩 넣어 1.2 ㎏/㎠ 압력에서 15분간 멸균한 배지에 배양물을 균질기(homogenizer, model : AM, Nihonseiki Kaisha LTD., Japan)로 1분간 무균적으로 마쇄한 균사 현탁액 1 ㎖씩 접종하여 24℃, 110rpm에서 10일 동안 배양하여 종균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인삼 함유물의 제조
동충하초 자실체를 키우기 위해 인삼을 동충하초의 배지로 주로 사용되는 누에 번데기에 인삼을 0%(번데기100%, 인삼 0%), 25%(번데기75%, 인삼 0%), 50%(번데기50%, 인삼 50%), 75%(번데기25%, 인삼 75%), 95%(번데기5%, 인삼 95%)의 농도로 첨가·제조하여 121℃에서 10 ∼ 30분간 살균하여 방냉후 무균실에서 실시예 1의 동충하초 종균을 1 ∼ 10% 접종하여 18℃ ∼ 25℃에서 습도 60 ∼ 70%의 조건에서 약 70일 동안 재배하였다. 이때 사용한 인삼은 파쇄 인삼으로 크기는 약 1cm ∼ 3cm 정도 였다.
<실시예 3> 인삼 동충하초의 자실체 성장 특성
실시예 1에서 인삼의 첨가량에 따라 60일 동안 배양한 동충하초 자실체의 성장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인삼추출물 첨가에 따른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자실체 성장 특성
인산첨가량 지표
무게(g) 길이(㎜) 지름(㎜) 배지중량(g)
0% 16.5 87 1.65 100
25% 16.5 87 1.65 100
50% 16.7 90 1.69 100
75% 16.7 90 1.70 100
95% 16.8 88 1.67 100
상기 [표 1]을 보면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의 자실체 배양시 인삼첨가량이 증가하여도 자실체 성장 결과는 첨가하지 않은 것과 유사하여, 인삼 첨가량이 높아도 동충하초를 재배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종래 방법에 의한 동충하초 재배시 기질로 누에나 번데기 같은 곤충류를 소재로 사용하여 왔으나, 인삼을 사용하여도 동충하초를 재배할 수 있는 것을 밝힌 것은 본 특허에서 최초로 보고되는 것으로, 도 1은 인삼 첨가량에 따른 동충하초 자실체를 70일간 재배한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4> 사포닌 전환
인삼배지에서 70일간 배양한 동충하초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쇄물 0.5 g에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1 ㎖를 가해 혼합한 후 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 후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층을 제거하고 여기에 다시 물포화 부탄올 1 ㎖를 가해 혼합한 다음 원심 분리하여 부탄올층을 조사포닌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각 사포닌 함량은 조사포닌을 메탄올에 용해한 후 밀리포아 필터로 여과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이때 사용한 컬럼은 리크로소브(Lichrosorb NH3)였으며, 이동상은 아세토나이트릴:증류수:부탄올=80:20:10이었다. 검출기는 RI를 사용하였다. 즉 인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동충하초버섯을 재배시 사용한 인삼내의 유효성분인 사포닌 조성을 HPLC로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인삼첨가량에 따라 배양된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의 사포닌 성분 비교(단위 ug/100g)
인삼첨가량 지표
Rg1 Re Rf Rb1 Rc Rb2 Rd Rh1 Rg3
배양전 인삼 65.59 111.31 23.52 55.06 25.65 20.46 15.13 미검출 미검출
0%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25% 14.21 23.87 16.05 15.70 21.78 16.76 28.23 미검출 미검출
50% 16.72 20.17 15.20 15.18 17.88 14.96 23.24 0.50 1.00
75% 22.46 38.54 17.68 18.22 35.28 22.89 58.24 0.60 1.32
95% 29.34 47.39 21.82 19.81 50.19 28.53 94.90 0.63 1.62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를 보면, 동충하초를 배양하기 전 인삼에 존재하지 않는 사포닌 중 배양 후 생성되는 신규 사포닌은 인삼함량이 50%이상 함유한 배지에서 Rh1과 Rg3가 새롭게 생성됨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동충하초균주에 의해 신규 사포닌이 새롭게 제조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새롭게 제조된 인삼 사포닌 중 진세노이드(Ginsenoside)-Rh은 여러 효과중 주로 항암효과가 있는 사포닌으로 이미 알려져 있어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암세포의 재분화를 촉진하여 정상세포로 유도하고, 암세포의 능동적 세포 사멸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양삼인 화기삼과 중국삼인 전칠삼에는 존재하지 않다.
또한 진세노이드(Ginsenoside)-Rg3는 여러 효과중 주로 혈관의 이완과 수축에 작용하는 사포닌으로 알려져 있어 혈관확장, 혈소판 응집 억제, 뇌신경세포 보호 작용 및 항암제의 내성억제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진세노이드(Ginsenoside)-Rg3 사포닌 역시 서양삼과 전칠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표 2]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동충하초를 배양하기전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 중 배양 후 많이 생성되는 사포닌은 Rc와 Rd이다. 배양전 Rd는 25.65ug/100g이었으나, 인삼 95%를 사용한 동충하초에서는 50.19ug/100g으로 약 2배 증가하였으며, 또 다른 사포닌인 Rd는 배양전 15.13ug/100g이었으나, 인삼 95%를 사용한 동충하초에서는 94.90ug/100g으로 Rd가 약 6.2배 증가하였다.
즉, 이것은 동충하초균주가 인삼 사포닌의 구성성분의 하나인 부착된 당을 영양원으로 소비하였기 때문이므로, 인삼을 사용하여 동충하초를 배양하면 동충하초균에 의해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이 구조가 전환되며, 이에 따라 인삼에 존재하지 않던 사포닌이 생성되었다. 이것으로 동충하초균주에 의해 인삼 성분이 구조 전환된 것을 알 수 있다.
약리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진세노이드(Ginsenosides)의 함유 조성비율을 보면, 일반적으로 서양삼은 G-Rb1과 G-Re이 전체 진세노이드의 약 75%를 차지하여, 편중 분포되어 있는 반면, 고려삼은 G-Rb1 23%, G-Rg1 19%, G-Re 15%, G-Rc 12%, G-Rb2 11% 정도로 미국삼에 비해 진세노이드의 분포가 매우 균등한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인삼을 함유한 기질을 이용하여 동충하초를 재배하면 외국삼도 Rc와 Rd의 함량은 2배 이상 높이면서, Rh1과 Rg3를 새롭게 생성된 인삼사포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실시예 5> 동충하초 유용성분인 코디세핀 함량
인삼을 첨가하여 재배한 인삼 동충하초의 자실체에 존재하는 코디세핀 (cordycepin)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삼 함량에 따른 동충하초시료(인삼함유량 0, 25, 50, 70, 95%) 분말 1 g을 정확히 칭량한 후 증류수 100 mL을 넣은 후 5시간 동안 수욕상에서 가열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후 원심분리(8,000 rpm for 20 min)하여 상등액에 에탄올 2배량을 가하여 제단백한 후 0.45 ㎛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이때 HPLC 분석 조건은 UV검출기에서 260nm, 컬럼 온도는 30℃, 컬럼은 μ-Bondapak C18 column(125Å, 3.9×300 mm, Waters, USA)에 SentriTM μ-Bondapak C18 guard column(125Å, 3.9×20 mm, Waters, USA)을 부착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용 용매는 2가지 용매로 A용매로는 0.04M sodium acetate buffer (pH 5.0), B 용매로는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을 사용하여 Gradient법으로 A와B 용매의 비율을 100%에서 70%로 혼합하면서 총40분간 용매를 공급하면서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인삼 함유 동충하초의 코디세핀(cordycepin) 함량 변화
인삼함유량(%) 코디세핀(Cordycepin) 함량(mg/g)
0 2.158 ± 0.0391
25 3.091 ± 0.0300
50 3.873 ± 0.0843
70 2.057 ± 0.0050
95 1.756 ± 0.0167
배양전 인삼 N.D.
상기 [표 3]에서 코디세핀 함량은 인삼 함유량 50%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즉, 번데기 100%로 재배한 동충하초(인삼함유량 0%)에는 2.518mg/g 존재하나, 50%까지는 1.8배 증가하여 3.873mg/g 존재하였다. 인삼 70%를 함유한 동충하초는 2.057mg/g으로 번데기 100%로 재배한 동충하초(인삼함유량 0%)의 함량인 2.518mg/g 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인삼을 50%까지 첨가하면 동충하초의 유효성분이라고 알려진 코디세핀 함량을 약1.8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충하초 자실체 배양시 인삼을 첨가한 인삼배지에서 배양하면 배지에 사용된 인삼에 포함된 사포닌보다 더 유용한 사포닌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건강기능성이 보강된 새로운 타입의 동충하초를 얻을 수 있다. 즉 동충하초를 배양하기전 인삼에 존재하지 않는 사포닌 중 배양 후 생성되는 신규 사포닌은 Rh1과 Rg3로 새롭게 얻어진 것이며, 배양전 사포닌인 Rc와 Rd는 약 2배와 6배 증가하였으며, Rc와 Rd, Rh1과 Rg3를 포함하는 인삼사포닌 조성물을 동충하초 배양으로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동충하초의 유효성분인 코디세핀 함량은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누에 번데기에 대하여 인삼을 25~100%로 포함하는 배지에서 동충하초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의 배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함량이 누에 번데기에 대하여 5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의 배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함량이 누에 번데기에 대하여 75~95%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의 배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 배지에 첨가된 인삼이 외국인삼인 화기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의 배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배지에 동충하초 종균을 1 ∼ 10% 접종하여 18℃ ∼ 25℃에서 습도 60 ∼ 70%의 조건에서 70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의 배양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40058269A 2004-07-26 2004-07-26 인삼배지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100610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269A KR100610983B1 (ko) 2004-07-26 2004-07-26 인삼배지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269A KR100610983B1 (ko) 2004-07-26 2004-07-26 인삼배지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612A KR20060009612A (ko) 2006-02-01
KR100610983B1 true KR100610983B1 (ko) 2006-08-10

Family

ID=3712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269A KR100610983B1 (ko) 2004-07-26 2004-07-26 인삼배지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9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22B1 (ko) 2011-03-28 2011-07-19 주식회사 고려동충하초농장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CN109105153A (zh) * 2018-09-05 2019-01-01 辽宁省农业科学院大连生物技术研究所 一种柞蚕蛹虫草的高效培育方法
KR20220095540A (ko) 2020-12-30 2022-07-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번데기 동충하초의 재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0783B (zh) * 2014-03-17 2017-10-03 宜宾学院 一种利用食、药用菌发酵仙茅的方法
CN105900691A (zh) * 2016-05-24 2016-08-31 兰陵县政和菌业有限公司 一种利用玉米芯栽培蛹虫草的工艺方法
CN106171529A (zh) * 2016-08-05 2016-12-07 吴剑翔 高含量虫草素的虫草培养方法及其使用的培养基
KR101828217B1 (ko) * 2017-08-25 2018-02-09 임세규 대마씨 및 광천수를 배지로 한 동충하초 배양 및 생육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22B1 (ko) 2011-03-28 2011-07-19 주식회사 고려동충하초농장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CN109105153A (zh) * 2018-09-05 2019-01-01 辽宁省农业科学院大连生物技术研究所 一种柞蚕蛹虫草的高效培育方法
KR20220095540A (ko) 2020-12-30 2022-07-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번데기 동충하초의 재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612A (ko)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43086B (zh) 玫瑰酵素的制备方法
KR100922311B1 (ko) 활성화된 당 관련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식 배양 방법
KR101347219B1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CN101760478B (zh) 一种葛根红曲的制造方法
CN101707966B (zh) 以幼虫为寄主人工培育的活体虫草及其培育方法
CN102612985A (zh) 一种蛹虫草菌丝体的生产工艺
KR100919070B1 (ko) 사포닌을 함유하는 근채류 발효 활성을 갖는 균주를 이용한근채류 발효물의 제조방법
CN104350942A (zh) 一种用桑枝蚕蛹粉制备虫草菌丝体的方法
KR101908392B1 (ko) 버섯주의 제조 방법
KR100610983B1 (ko) 인삼배지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20030026140A (ko) 발아곡물 및 식이섬유 원료를 이용한 버섯 균사체(菌絲體)생산방법
CN109479613A (zh) 一种用离子维c桑叶培养虫草菌丝的组合物及其培养方法
CN105154297A (zh) 一种养生、保健虫草酒的制备新方法
KR100340663B1 (ko) 이노노투스 오브리쿠우스의 인공배양물로부터 분리된 항암면역활성 다당류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100959496B1 (ko) 혈당강하 기능성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상엽차
KR100432360B1 (ko) 약용식물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 및 자실체의 고체배양방법 및 이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물을 함유한건강보조식품
KR100762819B1 (ko) 호박벌(땅뒤영벌)을 이용한 동충하초의 대량 재배방법
KR20030028638A (ko) 버섯 균사체 배양에 의한 기능성 뽕잎 건강식품의제조방법
KR101797663B1 (ko) 동충하초로 고상발효된 사포닌 함유 생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9980082143A (ko) 동충하초 균사체 및 자실체 형성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동충하초를 이용한 차
KR100644243B1 (ko) 동충하초의 재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재배 방법
KR101851395B1 (ko) 상황버섯 발효 그라비올라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05286B1 (ko) 대추나무의 열매, 잎, 가지, 뿌리를 이용한 청국장제조방법
KR20060062083A (ko) 인삼 사포닌 조성의 전환방법
KR100225050B1 (ko) 상황버섯 조성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