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781B1 - 로또번호 추출기 - Google Patents

로또번호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781B1
KR100610781B1 KR1020040042324A KR20040042324A KR100610781B1 KR 100610781 B1 KR100610781 B1 KR 100610781B1 KR 1020040042324 A KR1020040042324 A KR 1020040042324A KR 20040042324 A KR20040042324 A KR 20040042324A KR 100610781 B1 KR100610781 B1 KR 100610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oupled
hook
enclosur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115A (ko
Inventor
허연중
Original Assignee
허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연중 filed Critical 허연중
Priority to KR102004004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78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5/00Generating random numbers; Lottery apparatus
    • G07C15/001Generating random numbers; Lottery apparatus with ball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5/00Generating random numbers; Lottery apparatus
    • G07C15/005Generating random numbers; Lottery apparatus with dispensing of lottery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또번호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관함체의 내부에 들어 있는 다수개의 볼 중 어느 하나가 볼인출구 및 인출가이드를 통해 함체의 내부에 수납된 볼정열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된 로또번호 추출기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체는 내부가 비어있는 반구형의 상부캡 하단 가장자리에 제 1요형걸고리를 형성하고, 하부캡의 상단 가장자리에 제 1철형걸고리를 형성하여 구의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부캡의 상단으로형성된 투입구에 피뢰침이 꽂혀있는 마개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캡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가이드에 인출핸들이 끼워진 인출몸체의 윗부분이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인출몸체의 아랫부분이 함체에 결합된 지지구 몸체의 결착공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보관함체로 부터 인출된 볼이 인출가이드를 따라 함체의 내부에 결합된 볼정열부로 인출되어 정열되도록 함으로써, 당첨이 예상되는 번호를 추출하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하고, 함체의 내부에 보관된 기록용지에 볼정열부로 인출된 볼의 숫자를 보고 마킹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인 것이다.
함체, 보관함체, 볼인출구, 지지구, 볼정열부

Description

로또번호 추출기{Lotto number extraction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또번호 추출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또번호 추출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또번호 추출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또번호 추출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또번호 추출기에 작용된 음향발생부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보관함체 2:볼인출구
3:인출가이드 4:함체
5:볼정열부 6:지지구 몸체
8:볼 11:상부캡
12:하부캡 13:마개
21:인출몸체 22:인출핸들
61:결착공 111:제 1요형걸고리
112:투입구 121:제 1철형걸고리
122:결합가이드 131:피뢰침
본 발명은 로또번호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 투입구를 통해 보관함체로 투입된 다수개의 볼 중 어느 하나가 볼인출구를 통해 그 하부에 결합된 인출가이드를 따라 함체의 내부에 결합된 볼정열부로 인출되도록 하여 당첨예상번호(볼)를 추출하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함체의 내부에 보관된 기록용지를 꺼내어 볼정열부로 인출된 볼의 숫자를 보고 마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기 다른 색상을 갖는 수십개의 볼에 숫자가 인쇄된 볼을 무작위로 인출시켜 정열 되도록 구성된 로또번호 추출기가 제안되고 있다.
제안된 로또번호 추출기는 속이 빈 구형 몸체의 내부에 다수의 색상을 가지며 그 표면에 숫자가 인쇄된 볼을 넣고, 구형 몸체의 하부로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튕김판으로 볼이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튕겨지도록 하고, 이 튕김판에 의해 튕겨지는 볼이 구형 몸체의 일측에 수직되게 형성된 정열 가이드내로 정열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로또번호 추출기는 사용자에 의해 튕김판이 회전되는 시간에 따라 튕김판에 의해 볼이 불규칙적으로 튕겨져 나가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기계적인 선택에 따라 볼을 맞출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을 튕기기 위한 튕김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별도의 모터나 스위치 및 배터리를 필요로 하게 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배터리를 교환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구형 몸체의 내면이 평평함에 따라 튕김판으로 부터 튕겨져 나온 볼이 동일한 입사각과 반사각으로 튕겨지게 됨에 따라 볼의 혼합비율 내지는 섞임력이 낮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20-0330376(2003.10.17)호의 "볼 인출용 유희구"를 제안하였고, 제안된 볼 인출용 유희구는 보관함체에 들어있는 볼을 외부로 인출시켜 정열이 되도록 구성된 볼 인출용 유희구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체는 반구형의 상부캡과 하부캡을 결합시켜 구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부캡의 중앙에는 외주연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보강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볼받침이 구비된 손잡이 고정부재를 갖는 볼인출구를 외측 하부에 고정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원뿔형 볼인출몸체를 형성하여 상부로 볼인출구가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캡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볼인출몸체는 내부에 형성된 인출가이드의 단부가 위치하는 곳에 인출공을형성하고, 하단 외주연부에 볼정열부를 형성하여 정성을 들여 보관함체의 내부에 들어 있는 수십개의 볼이 잘 섞이도록 한 상태에서 보관함체를 볼 인출용 몸체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손잡이를 회전시켜 임의의 볼이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호기심을 자극하는 가운데 볼을 색깔이나 숫자별로 맞추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볼 인출용 유희구는 하부캡의 중앙으로 외주연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보강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보강부재에 볼인출구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많은 제작 및 조립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제품 의 가격이 높아지게 됨과 동시에 사용중 볼받침 및 이를 연결하고 있는 단축과 장축이 자주 분리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볼 투입구를 통해 보관함체로 투입된 다수개의 볼 중 어느 하나가 볼인출구를 통해 그 하부에 결합된 인출가이드를 따라 함체의 내부에 결합된 볼정열부로 인출되도록 하여 당첨이 예상되는 볼에 의한 번호를 추출하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함체의 내부에 보관된 기록용지에 볼정열부로 인출된 볼의 숫자를 보고 마킹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인 로또번호 추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관함체의 내부에 들어 있는 다수개의 볼 중 어느 하나가 볼인출구 및 인출가이드를 통해 함체의 내부에 수납된 볼정열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된 로또번호 추출기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체는 내부가 비어있는 반구형의 상부캡 하단 가장자리에 제 1요형걸고리를 형성하고, 하부캡의 상단 가장자리에 제 1철형걸고리를 형성하여 구의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부캡의 상단으로 형성된 투입구에 피뢰침이 꽂혀있는 마개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캡의 하단으로 형성된 결합가이드에 인출핸들이 끼워진 인출몸체의 윗부분이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인출몸체의 아랫부분이 함체에 결합된 지지구 몸체의 결착공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또번호 추출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로또번호 추출기(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체(1), 볼인출구(2), 인출가이드(3), 함체(4) 및 볼정열부(5) 그리고 다수개의 볼(8)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관함체(1)는 반구형태를 갖는 상부캡(11)과 하부캡(12)이 서로 맞닿게 결합되어지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상부캡(11) 및 하부캡(12)의 내측 공간이 제공하는 내부에는 적어도 45개 이상의 볼이 보관되어짐과 동시에 이를 흔들었을때 잘 섞일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캡(11)은 속이 비어있는 반구형태로 상단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투입구(112)를 형성하여 피뢰침(131)이 꽂혀 있는 마개(13)를 선택적으로 열어 그 내부로 볼(8)을 투입하거나, 내부로 투입된 볼(8)이 보관함체(1)를 흔드는 과정에서 밖으로 빠져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112)와 마개(13)의 결합은 주로 마개(13)의 하부 외주연부에 복수개의 제 1걸림돌기(132)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걸림돌기(132)가 투입구(112)의 내부연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걸림돌기(113)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일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마개(13)를 회전시킬 경우 쐐기작용에 의해 풀리지 않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상부캡(11)은 하단 가장자리에 하부의 외측방향으로 향하는 제 1요형걸고리(111)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 1철형걸고리(121)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요형걸고리(111)가 끝나는 부분 또는 시작되는 부분부터 상부캡(11)의 상단에 형성된 투입구(112)를 향한 내측면에 종방향을 갖는 제 1종방향돌기(113)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종방향돌기(113)에 직각을 맞닿는 제 1횡방향돌기(114)을 형성하여 보관함체(1)를 흔드는 과정에서 그 내부에 있는 볼(8)이 불규칙한 방향으로 더 많이 혼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1)은 그 내부에 보관된 볼(8)들이 혼합되거나 볼인출구(2)를 통해 인출되는 과정이 외부로 비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체의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캡(11)을 투명체의 플라스틱으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투명체의 플라스틱 이외에 불투명재로 사용할 경우, 그 내부에 보관된 볼(8)들이 외부로 비쳐지지 않게 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궁금중 내지는 신비감을 더 줄 수 있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부캡(11)의 내주연부에는 성좌나 북두칠성과 같은 별을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캡(12)은 상부캡(11)을 뒤집어 놓은 형태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하부캡(12)의 상단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제 1철형걸고리(121)를 형성하여 하부캡(12)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제 1요형걸고리(111)에 결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철형걸고리(121)가 형성된 상단 내측면으로 부터 하단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결합가이드(122) 외측면까지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갖도록 연장된 형태를 취한 제 2종방향돌기(124)가 모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종방향돌기(124) 사이를 횡방향으로 교차되는 제 2종방향돌기(125)를 일체로 형성하여 보관함체(1) 내부에 들어 있는 볼(8)들이 더 많이 혼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122)는 하부캡(12)의 중앙으로 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깊이 또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인출몸체(21)의 상단측이 삽입되어 안정되게 걸려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보관함체(1)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여러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가이드(122)의 내주연부에는 소정의 폭 및 높이를 갖는 위치결정홈(123)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위치결정홈(123)은 후술하는 인출몸체(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213)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결정홈(123)은 4개가 되도록 형성하여 보관함체(1)를 동서남북 등 4방향으로 회전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12)은 상부캡(11)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 또는 생산업자의 요구에 따라 불투명재나 약간의 색상를 갖도록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볼인출구(2)는 상부로 보관함체(1)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로 지지구 몸체(6)의 결착공(61)에 결합되는 인출몸체(21) 및 상기 인출몸체(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인출핸들(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몸체(21)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은 인출몸체(21)의 가운데로 부터 상부를 향해 여러 갈래로 갈라진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결합 가이드(12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 다.
또한, 갈라진 상단부에는 바깥쪽으로 향하는 걸림턱(211)을 형성하여 결합 가이드(1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쉽게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턱(211)이 형성된 바깥쪽의 외주연 하단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위치결정돌기(213)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 가이드(122)의 내측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123)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보관함체(1)를 동서남북으로 해당하는 4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켜 그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인출몸체(21)의 하단부는 인출핸들(22)을 용이하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 1힌지공(212)(212a)을 마주보도록 형성하되, 복수개의 제 1힌지공(212)(212a) 중 어느 하나는 통상의 관통된 구멍의 형태를 갖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관통된 구멍의 하단이 확관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후술하는 인출핸들(22)의 단축(222)이 관통된 형태를 갖는 제 1힌지공(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축(224)이 제1힌지공(212)과 마주하는 타측의 다른 제1힌지공(212a)의 확관된 하부로 부터 상부로 끼워넣어 제 1힌지공(212a)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핸들(22)은 인출몸체(21)의 내부에 삽입된 볼안착부재(221) 및 볼안착부재(221)를 좌우로 연결하는 장,단축(222)(224) 그리고 상기 장축(224)의 끝단에 손잡이(22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볼안착부재(221)는 보관함체(1)의 내부에 보관된 다수개의 볼(8) 중 하나씩 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볼(8)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는 반구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볼(8)이 안착된 상태에서 즉, 오목형태로 위치된 볼안착부재(221)에 볼(8)이 올려진 상태에서 손잡이(223)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인출몸체(21)의 내부에서 볼안착부재(221)가 180도 회전하여
볼안착부재(221)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됨에 따라 안착된 볼(8)을 받치는 힘이 소멸되어 볼(8)이 하부로 낙하되어지고, 이와 동시에 인출몸체(21)의 내부에서 볼안착부재(221)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있음으로써, 낙하되는 볼(8) 이외에 다른 볼(8)이 연속해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23)는 장축(224)의 끝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일측단은 둥근형태를 가지며, 타측단은 뾰족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223)의 전면 즉, 사용자가 보았을때 보이는 정면에는 볼안착부재(221)의 볼록한 쪽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 화살표를 각인하여 볼안착부재(221)의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함체(4)는 보관함체(1)가 옆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안정되게 받치는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미리 보관된 미도시한 기록용지를 사용자가 쉽게 꺼내 마킹을 할 수 있는 기능과 아울러 보관함체(1)로 부터 인출된 볼(8)이 흐트러지지 않고 인출된 순서대로 정열시키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함체(4)는 하부몸체(41), 상부몸체(42) 및 힌지도어(4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몸체(41)는 직사각형의 평판형태로 그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제 3철형걸고리(411)가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철형걸고리(411)가 위치한 일측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볼정열 삽입구(4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42)는 하부몸체(41)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 내부로 소정의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방된 하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3철형걸고리(411)에 결합되는 제 3요형걸고리홈(421)이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정면의 양측에는 힌지공(422)(422')을 형성하여 힌지도어(43)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42)의 상부 모서리에는 지시구 삽입홈(44)을 형성하여 방향지시구(47)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다수개의 제 2요형걸고리(45)를 형성하여 지지구 몸체(6)가 용이하게 결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요형걸고리(45)가 형성된 중앙부근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가이드 고정공(46)을 형성하여 중공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 인출가이드(3)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볼인출구(2)를 통해 하부로 인출된 볼(8)이 후술하는 볼정열부(5)로 용이하게 굴러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인출가이드(3)의 상단은 지지구 몸체(6)의 결착공(61)에 삽입된 인출몸체(21)의 하단이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 몸체(6)는 피라미드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단은 만곡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보관함체(1)의 하부가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소정의 직경을 갖는 결착공(61)을 형성하되, 상기 결착공(61)의 일측에 인출핸들 노출홈(63)이 연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 몸체(6)의 하부는 가장자리 양측에 제 2철형걸고리(62)를 형성하여 상부몸체(42)에 형성된 제 2요형걸고리(45)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 몸체(6)는 피라미드의 색상에 따라 황금 갈색의 표면 도장을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고, 표면이 도장처리된 상태에서 여러가지 모양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처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더 많은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장 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정열부(5)는 보관함체(1)의 내부에 보관된 다수개의 볼(8) 중 선택된 하나의 볼이 볼인출구(2)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가운데 인출가이드(3)를 따라 함체(4)의 내부로 이동되는 인출된 순서대로 정열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볼정열부(5)는 볼정열 몸체(51) 및 음향발생부(5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볼정열 몸체(51)는 인출가이드(3)로 부터 하부로 낙하되는 볼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정열된 볼을 함체(4)의 바깥쪽으로 꺼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서랍식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있다.
또한, 볼정열 몸체(51)의 하부 윗면은 소정의 반경을 가지며 노브(53)가 형성된 바깥쪽으로 높낮이가 낮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홈(54)을 형성하여 볼(8)이 바깥쪽으로 굴러 인출된 순서대로 정열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함체(4)를 들어서 이동할 경우, 볼정열부(5)에 결합되도록 삽입된 볼정열 몸체(5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볼정열 몸체(51)에 볼이 모두 정열된 상태에서 이를 꺼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측면의 바깥쪽에 상기 안내돌기(412)에 결합되는 안내홈(5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향발생부(52)는 인출가이드(3)를 통해 그 하부에 위치한 볼정열 몸체(51)로 하나의 볼(8)이 낙하됨과 동시에 이를 감지하여 일정한 소리(음)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공급부(521)에 특정 음향이 메모리된 음향IC(522)가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음향IC(522)의 입출력단에는 각각 볼감지센서(523) 및 출력부(524)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감지센서(523)는 볼(8)의 이동만을 감지하는 것으로 기계적인 리미트 스위치와 빛을 이용한 광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또번호 추출기(A)의 조립 및 이를 이용한 게임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번호 추출기의 조립방법은 하부몸체(41)의 테두리를 상부몸체(42)의 하부 테두리에 맞춘 상태에서 이들을 서로 눌러 하부몸체(41)에 형성된 제 3철형걸고리(411)가 제 3요형걸고리(421)에 결합되도록 한 후 힌지도어(43)의 일측을 제2힌지공(422)에 끼운 상태에서 이를 약간 휘어지도록 잡아당기면서 타측에 위치한 다른 제2힌지공(422a)에 힌지도어(43)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함체(4)의 조립이 마무리된다.
다음, 조립된 함체(4)의 상부에 형성된 인출가이드 고정공(46)에 인출가이드(3)를 끼워 고정한 후 지지구 몸체(6)의 하단에 형성된 제 2철형걸고리(62)를 제 2요형걸고리(45)에 맞추어 결합시키고, 이어서 지지구 삽입홈(44)에 방향지시구(47)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함체(4)의 모든 조립이 끝나게 된다.
다음, 상부캡(11)의 하단과 하부캡(12)의 상단이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을 누르게 되면 제 1철형걸고리(121)가 제 1요형걸고리(111)에 끼워지는 것으로 보관함체(1)의 조립이 끝나고, 이어서 피뢰침(131)이 끼워진 마개(13)를 상부캡(11)의 상단에 형성된 투입구(112)에 삽입하여 소정 각도록 회전시켜 이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인출몸체(21)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 1힌지공(212)에 인출핸들(22)의 단축(222)을 삽입하고, 장축(224)을 상부쪽으로 밀어 올림에 따라 다른 제 1힌지공(212a)에 장축(224)이 끼워져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다음, 인출몸체(21)에 인출핸들(22)이 결합된 볼인출구(2)를 하부캡(12)에 형성된 결합 가이드(122)에 걸림턱(211)이 형성된 부위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것으로 보관함체(1)의 모든 조립이 마무리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립된 보관함체(1)의 하단에 노출된 상태로 있는 인출몸체(21)를 지지구 몸체(6)의 상부에 형성된 결착공(61)에 결합시키되, 인출핸들(22)의 장축(224)이 인출핸들 노출홈(63)에 안전하게 끼워지도록 결합시키면 된다.
다음, 번호 추출기를 이용한 게임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캡(11)에 결합된 투입구(112)를 개방시킨 후 투입구(112)를 통해 일정량의 볼(8)을 넣고 투입구(112)를 다시 닫고, 지지구 몸체(6)에 안착된 보관함체(1)를 분리시켜 사용자가 임의대로 흔든다.
보관함체(1)를 흔드는 과정에서 그 속에 있는 다수개의 볼(8)을 상부캡(11) 및 하부캡(12)의 내면에 부딪혀 섞이게 되며, 상부캡(11) 및 하부캡(12)의 내면에 형성된 각각의 제 1,2종횡방향 돌기(113)(114)(124)(125)에 볼(8)이 부딪혀 무작위의 방향으로 튕기게 됨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볼(8)이 섞이게 된다.
다음, 지지구 몸체(6)에 보관함체(1)를 내려놓은 상태에서 보관함체(1)의 방향을 바꾸고자 할 경우, 상부캡(11)이나 하부캡(12)의 외주연부를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게 되면 인출몸체(21)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213)가 결합 가이드(122)의 내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123)으로 부터 빠져나와 좌우 어느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 도록 되며, 이 같은 상태에서 임의 방향으로 이를 회전시켜 놓으면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위치결정돌기(213) 및 결합 가이드(122)에 의해 보관함체(1)가 어느 한 방향으로 방향이 바뀐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 인출핸들(22)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볼안착부재(221)에 안착된 볼(8)이 인출몸체(21)의 하부로 낙하되며, 낙하된 볼(8)은 인출가이드(3)를 통해 함체(4)의 내부에 있는 볼정열 몸체(51)로 떨어지게 된다.
다음, 볼정열 몸체(51)로 볼이 떨어짐과 동시에 볼감지센서(523)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가 음향IC(522)로 인가됨과 동시에 출력부(524)를 통해 메모리된 음향이 발생됨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볼이 볼정열 몸체(51)내로 떨어졌음을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볼정열 몸체(51)로 떨어진 볼은 경사홈(54)을 통해 노브(53)가 형성된 앞쪽으로 이동하여 모이게 됨에 따라 다음 낙하되는 볼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게 되며, 낙하되는 볼의 순서대로 정열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된 과정을 통해 6개의 볼이 볼정열부(5)에 모두 정열되었을 경우, 음향IC(522)는 메모리된 음향 중 당첨에 해당하는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는 색다른 음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볼정열부(5)를 함체(4)로 부터 꺼내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볼정열부(5)에 정열된 볼을 보고 기록지에 그대로 기록할 경우, 상부몸체(42)의 앞쪽에 힌지결합된 힌지도어(43)를 열고, 그 내부의 공간에 별도로 보관된 기록용지를 꺼내 마킹하여 주문을 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몸체(42)의 내부에 기록용지만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그 일측에 별도의 반고리형태의 탄성편을 개재할 경우, 기록용지에 기록하는데 필요한 필기구를 외부에 별도로 보관하지 않고 기록용지와 같이 보관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볼 투입구를 통해 보관함체로 투입된 다수개의 볼 중 어느 하나가 볼인출구를 통해 그 하부에 결합된 인출가이드를 따라 함체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결합된 볼정열부로 인출되도록 하여 당첨이 예상되는 볼에 의한 번호를 추출하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함체의 내부에 보관된 기록용지에 볼정열부로 인출된 볼의 숫자를 보고 마킹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인 것이다.

Claims (4)

  1. 보관함체(1)의 내부에 들어 있는 다수개의 볼(8) 중 어느 하나가 볼인출구(2) 및 인출가이드(3)를 통해 함체(4)의 내부에 수납된 볼정열부(5)로 인출되도록 구성된 로또번호 추출기(A)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체(1)는 내부가 비어있는 반구형의 상부캡(11) 하단 가장자리에 제 1요형걸고리(111)를 형성하고, 하부캡(12)의 상단 가장자리에 제 1철형걸고리(121)를 형성하여 구의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부캡(11)의 상단으로형성된 투입구(112)에 피뢰침(131)이 꽂혀있는 마개(13)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캡(12)의 하단으로 형성된 결합가이드(122)에 인출핸들(22)이 끼워진 인출몸체(21)의 윗부분이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인출몸체(21)의 아랫부분이 함체(4)에 결합된 지지구 몸체(6)의 결착공(61)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또번호 추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인출구(2)는 중공의 인출몸체(21) 및 상기 인출몸체(21)에 회동되도록 결합된 인출핸들(22)로 구성하고, 상기 인출몸체(21)는 여러 갈래로 갈라진 상단부의 바깥쪽에 걸림턱(21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 가이드(122)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하단부에 제 1힌지공(212)(212a)을 마주보도록 형성하되, 상기 제 1힌지공(212)(212a) 중 하나는 원형태를 갖도록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하단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인출핸들(22)은 반구형태를 갖는 볼안착부재(221)의 일측에 단축(222)을 형성하여 상기 제1힌지공(212)에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단축(222)과 마주하는 타측에 손잡이(223)가 구비된 장축(224)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장축(224)의 일부가 상기 제 1힌지공(212a)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또번호 추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4)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제공되는 하부 몸체(41) 및 상부 몸체(42)로 구성하되, 상기 하부 몸체(41)는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제 3철형걸고리(411)가 형성된 평판형태로 안내돌기(412)가 형성된 볼정열 삽입구(413)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몸체(42)는 제 3철형걸고리(411)에 결합되는 제 3요형걸고리(421)가 개방된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정면 양측으로 형성된 제 2힌지공(422)(422a) 사이에 힌지도어(43)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몸체(42)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지지구 삽입홈(44) 및 제 2요형 걸고리(45)에각각의 방향지시구(47)와 지지구 몸체(6)의 제 2철형 걸고리(62)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또번호 추출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정열부(5)는 상부가 개방된 서랍식 형태의 볼정열 몸체(51) 및 음향 발생부(52)로 구성하되, 상기 볼정열 몸체(51)의 하부 윗면은 소정의 반경을 가지며 노브(53)가 형성된 바깥측으로 낮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홈(54)을 형성하고, 양측면 바깥측에 안내홈(55)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돌기(412)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음향발생부(52)는 전원공급부(521), 음향IC(522) 및 볼감지센서(523) 그리고 출력부(524)가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속되어 볼정열 몸체(51)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또번호 추출기.
KR1020040042324A 2004-06-09 2004-06-09 로또번호 추출기 KR100610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324A KR100610781B1 (ko) 2004-06-09 2004-06-09 로또번호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324A KR100610781B1 (ko) 2004-06-09 2004-06-09 로또번호 추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115A KR20050117115A (ko) 2005-12-14
KR100610781B1 true KR100610781B1 (ko) 2006-08-10

Family

ID=3729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324A KR100610781B1 (ko) 2004-06-09 2004-06-09 로또번호 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51B1 (ko) * 2007-06-08 2009-01-30 손창부 로또 번호 추출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2Y1 (ko) 1997-10-20 2000-11-01 강승식 추첨기
KR100369592B1 (ko) 1998-11-05 2003-01-29 박노송 추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2Y1 (ko) 1997-10-20 2000-11-01 강승식 추첨기
KR100369592B1 (ko) 1998-11-05 2003-01-29 박노송 추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115A (ko)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8455C (en) Rotator game device
US6164647A (en) Casino wheel game system
US5121920A (en) Air driven random ball type lot mixer
US8651488B2 (en) Three dimensional game device
US2940760A (en) Three dimensional game
US20020109298A1 (en) Collectible dice
US4530503A (en) Lottery selectors
US5702101A (en) Handheld gaming ball display device
US5725212A (en) Random number selector
KR100610781B1 (ko) 로또번호 추출기
US20100148437A1 (en) Gam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778182A (en) Lucky number selector
US4280702A (en) Gambling aid
US6375186B1 (en) Mini-lottery abacus
KR100513101B1 (ko) 볼 인출용 유희구
KR200330376Y1 (ko) 볼 인출용 유희구
JP2602489B2 (ja) 回転玉出し器
JP4078458B2 (ja) 抽選器
US3464698A (en) Numbers game ball
JPH0615632Y2 (ja) 調理ゲ−ム玩具
JP2000233066A (ja) ゲーム器具
KR200210220Y1 (ko) 카드 게임기
KR200235620Y1 (ko) 정12면체의 주사위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
JP3869587B2 (ja) クレーンゲーム機の景品トレイ
KR200331542Y1 (ko) 휴대형 번호 추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