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376Y1 - 볼 인출용 유희구 - Google Patents

볼 인출용 유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376Y1
KR200330376Y1 KR20-2003-0022099U KR20030022099U KR200330376Y1 KR 200330376 Y1 KR200330376 Y1 KR 200330376Y1 KR 20030022099 U KR20030022099 U KR 20030022099U KR 200330376 Y1 KR200330376 Y1 KR 200330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torage box
cap
ball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연중
Original Assignee
허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연중 filed Critical 허연중
Priority to KR20-2003-0022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3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8Raffle games that can be played by a fairly large number of peop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 인출용 유희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보관함체에 들어있는 볼을 외부로 인출시켜 정열이 되도록 구성된 볼 인출용 유희구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체는 반구형의 상부캡과 하부캡을 결합시켜 구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부캡의 중앙에는 외주연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보강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볼받침이 구비된 손잡이 고정부재를 갖는 볼인출구를 외측 하부에 고정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원뿔형 볼인출몸체를 형성하여 상부로 볼인출구가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캡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볼인출몸체는 내부에 형성된 인출가이드의 단부가 위치하는 곳에 인출공을 형성하고, 하단 외주연부에 볼정열부를 형성하여 정성을 들여 보관함체의 내부에 들어 있는 수십개의 볼이 잘 섞이도록 한 상태에서 보관함체를 볼 인출용 몸체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손잡이를 회전시켜 임의의 볼이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호기심을 자극하는 가운데 볼을 색깔이나 숫자별로 맞추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볼 인출용 유희구{The ball the playing system which pulls out}
본 고안은 볼 인출용 유희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구형의 함체를 상하 좌우로 흔들어 그 내부에 들어 있는 수십개의 볼이 잘 섞이도록 한 상태에서 함체를 볼 인출용 몸체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손잡이를 회전시켜 임의의 볼이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호기심을 자극하는 가운데 볼을 색깔이나 숫자별로 맞추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을 이용한 유희구는 통상 작은 용기 내에서 볼이 구르거나 흔들리는 가운데 일정한 곳으로 모이게 하거나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는 가운데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나, 그 유희의 내용이 단순하고, 변화성도 부족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988-11267호의 "볼 게임기"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볼 게임기는 밀폐용기의 내부를 연속한 복수개의 소실로 구분함과 동시에 연접한 소실간에 연통공을 개설하고, 밀폐용기의 각 소실내에 한개 이상이 수납되고, 연통공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지니는 큰공과 각 소실내에 복수개씩 수납되고, 연통공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는 작은공으로 구성되어져 큰공이나 작은공의 표면에 숫자나 색의 변화 또는소실들의 구성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소실내에 들어 있는 공들이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며 공의 숫자나 색깔별로 정열시키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볼 게임기 이외에 최근에는 각기 다른 색상을 갖는 수십개의 볼에 숫자가 인쇄된 볼을 무작위로 인출시켜 정열이 되도록 구성된 볼게임기가 제안되고 있다.
볼 게임기는 속이 빈 구형 몸체의 내부에 다수의 색상을 가지며 그 표면에 숫자가 인쇄된 볼을 넣고, 구형 몸체의 하부로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튕김판으로 볼이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튕겨지도록 하고, 이 튕김판에 의해 튕겨지는 볼이 구형 몸체의 일측에 수직되게 형성된 정열 가이드내로 정열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볼 게임기는 사용자에 의해 튕김판이 회전되는 시간에 따라 튕김판에 의해 볼이 불규칙적으로 튕겨져 나가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기계적인 선택에 따라 볼을 맞출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을 튕기기 위한 튕김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별도의 모터나 스위치 및 배터리를 필요로 하게 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배터리를 교환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구형 몸체의 내면이 평평함에 따라 튕김판으로 부터 튕겨져 나온 볼이 동일한 입사각과 반사각으로 튕겨지게 됨에 따라 볼의 혼합비율 내지는 섞임력이 낮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구형 함체를 흔들어 그 내부에 들어 있는 수십개의 볼이 잘 섞이도록 하고, 손잡이를 이용하여 섞여진 볼 가운데 하나씩 순차적으로 인출되면서 인출가이드를 따라 볼인출몸체의 바깥쪽에 정열이 되도록 함으로써, 호기심을 자극하는 가운데 볼을 원하는 숫자나 색깔별로 맞추면서 즐길 수 있는 볼 인출용 유희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관함체에 들어있는 볼을 외부로 인출시켜 정열이 되도록 구성된 볼 인출용 유희구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체는 반구형의 상부캡과 하부캡을 결합시켜 구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부캡의 중앙에는 외주연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보강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볼받침이 구비된 손잡이 고정부재를 갖는 볼인출구를 외측 하부에 결합시켜 고정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원뿔형 볼인출몸체를 형성하여 상부로 볼인출구가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캡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볼인출몸체는 내부에 형성된 인출가이드의 단부가 위치하는 곳에 인출공을 형성하고, 하단 외주연부에 볼정열부가 형성되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인출용 유희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볼 인출용 유희구의 내외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볼 인출용 유희구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볼 인출용 유희구의 상부만을 분리하여 볼을 혼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a∼4c는 본 고안에 따른 볼 인출용 유희구를 이용하여 볼을 인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보관함체 2:보강부재
3:볼인출구 4:볼인출 몸체
5:볼 11:상부캡
12:하부캡 13:돌기부
14:충격흡수부재 21:수나사
31:손잡이 고정부재 31a:장축
31b:단축 32:인출구 몸체
32a:암나사 33,33':축공
34:볼받침 41:인출가이드
42:인출공 43:볼정열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볼 인출용 유희구(A)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체(1)와 보강부재(2) 및 볼인출구(3) 그리고 볼인출 몸체(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관함체(1)는 다수개의 볼(5)이 내부에 보관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서, 반구형의 상부캡(11)과 하부캡(12)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캡(11)은 볼(5)이 부딪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충격흡수부재(14)가 그 내면에 적층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볼(5)이 혼합 또는 섞임비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내측 상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곳에 돌기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14)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폰지재나 고무재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13)는 중심에 소정의 높이와 직경을 갖는 제 1돌기(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돌기(13a)를 중심으로 부채꼴을 가지면서 상부가 만곡형으로 구비된 제 2돌기(1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돌기(13b) 사이에는 제 1돌기(13a)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 3돌기(13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부(13)는 상부캡(11)내측의 중앙을 제외한 4곳에 즉, 정육면체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곳에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캡(12)의 상단에 맞닿는 상부캡(11)의 하단은 링형태의 결합철부(16)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하부캡(12)의 결합요부(15)에 맞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투명한 접착제 또는 고주파 접착을 하여 외부로 부터 접착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캡(12)은 상부캡(11)을 뒤집어 놓은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하부중앙에는 볼(5)이 하나씩 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볼인출구(3)를 고정하기 위한 주된 기능을 갖는 보강부재(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캡(12)은 볼(5)을 섞을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부캡(11)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충격흡수부재(14)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적층되어 있고, 볼(5)이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튕겨져 혼합 되도록 하기 위해 돌기부(13)가 적소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캡(1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링형태를 갖는 결합요부(15)가 형성되어 상부캡(11)의 결합철부(16)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요부(15)와 결합철부(16)는 산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2)는 중공의 형태로 상부 가장자리에는 링형태의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22)의 하부인 외측면에는 수나사(2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인출구 몸체(32)의 암나사(32a)에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2)은 가장자리로 부터 중심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볼(5)이 용이하게 굴러 보강부재(2)의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보강부재(2)는 하부캡(12)을 제작(제조)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사출성형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턱(22)의 외주연부에 연결되는 하부캡(12)의 주변에는 상부캡(11)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돌기부(13)가 형성되어 있어 볼(5)의 혼합율이 더 불규칙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캡(11)과 하부캡(12)은 그 내측에 보관된 다수개의 볼(5)이 외부로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내부의 볼(5)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투명 플라스틱재로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그 표면에 다양한 무늬나 컬러를 인쇄하거나 도색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많은 신비감을 더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볼인출구(3)는 보관함체(1)의 내부에 보관된 많은 볼(5)중에서 보강부재(2)의 중앙에 위치하게된 하나의 볼(5)만을 외부로 인출시키고, 다른 볼(5)이 더 이상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보강부재(2)의 상부에 형성된 보관함체(1)를 상기 볼인출 몸체(4)에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인출구 몸체(32)에 삽입된 손잡이 고정부재(31) 및 인출구 몸체(32)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31)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볼받침(3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인출구 몸체(32)는 중공의 형태로 내측면에는 소정 길이로 암나사(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축공(33)(33')이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내측 상부로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31)는 장축(31a)과 단축(31b)으로 구비하되, 장축(31a)의 일측단에는 노브(35)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단에는 사각봉의 형태를 갖는 고정단(3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축(31b)에는 스톱링(36)이 삽입되는 걸림홈(31b")과 사각봉의 형태를 갖는 다른 고정단(31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받침(34)은 볼(5)의 일측면을 받침과 동시에 이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볼(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반구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는 사각형태의 고정공(34a)(34b)이 형성되어 상기 장축(31a)과 단축(31b)에 형성된 고정단(31a')(31b')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볼받침(34)의 양측에 연결되는 장축(31a)과 단축(31b)의 고정은 고정단(31a')(31b')의 길이를 볼받침(34)의 두께보다 약 0.5∼1배 정도 길게하여 고정단(31a')(31b')이 볼받침(34)에 형성된 고정공(34a)(34b)을 통해 소정 길이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프레스 등의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단(31a')(31b')과 고정공(34a)(34b)이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장축(31a)에 형성된 노브(35)를 회전시키면 볼받침(34)이 헛돌지 않고 같이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한편, 인출구 몸체(32)에 형성된 축공(33)의 일측을 그 직경보다 약간 넓게 형성하여 단축(31b)의 걸림홈(31b")에 삽입된 스톱링(36)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인출 몸체(4)는 볼(5)을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인출된 볼(5)을 정열시키는 기능과 함께 보관함체(1)의 내부에 보관된 많은 볼(5)을 흔들기 쉽도록 한 것으로서, 안정적인 형태를 갖도록 속이 비어있는 원뿔형태로 그 하부가 폐쇄되도록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는 인출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출공(42)을 포함하는 외주연부에는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갖는 볼정열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인출 몸체(4)의 내부에는 볼받침(34)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볼(5)을 인출공(42)까지 안내하는 인출 가이드(4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인출 가이드(41)는 입구측은 넓게 형성되어 있고, 출구측은 볼(5)의 직경과 거의 비슷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인출 몸체(4)의 상부는 하부캡(12)에 밀착되도록 만곡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캡(12)의 보강부재(2)에 나사결합 고정된 인출구 몸체(32)가 삽입되는 삽입홈(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44)의 중앙은 관통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구비되어 볼(5)이 인출 가이드(41)측으로 자유롭게 낙하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44)의 가장자리는 테이퍼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인출구 몸체(32)의 하단이 삽입되는 가운데 그 중심이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삽입홈(44)의 일측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절개홈(45)을 형성하여 상기 인출구 몸체(32)에 구비된 장축(31a)이 걸리적 거림없이 간단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인출 몸체(4)와 그 내부에 형성된 인출 가이드(41)는 투명체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투명체 이외에 다수의 컬러나 그림 또는 글자 등을 넣어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관함체(1)에 보관된 볼(5)은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임의 방향에서 볼수 있도록 구비된 다각형체의 디스플레이부재(51)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재(51)는 정육면체로서 각각의 면에는 숫자나 그림 또는 글씨가 인쇄되거나 각인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육면체의 모서리 부분은 볼(5)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재(51)는 단색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단색 이외에 여러 가지의 컬러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재(51)는 정육면체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정육면체 이외에 원뿔형태를 갖는 정사면체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체(1)의 내부에 볼(5)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보관함체(1)를 상부로 잡아 당겨 볼인출 몸체(4)로 부터 분리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체(1)를 상하, 좌우로 흔들게 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 보관된 볼(5)은 임의 방향으로 튕기면서 상부캡(11)과 하부캡(12)의 내측면에 부딪치게 되며 이때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13)를 이루는 제 1,2,3돌기 (13a)(13b)(13c)에 볼(5)이 부딪치면서 화살표의 방향처럼 튕겨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캡(11)과 하부캡(12)의 내측면에 부딪치는 볼(5)은 충격흡수부재 (14)에 의해 그 충격력이 완화됨에 따라 밖으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관함체(1)가 깨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인출구 몸체(32)에 형성된 볼받침(34)이 상부로 만곡한 형태로 있음으로써, 볼(5)이 외부로 방출 또는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 보관함체(1)내의 볼(5)이 어느 정도 섞인 상태에서 인출구 몸체(32)의 하단을 볼인출 몸체(4)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44)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인출구 몸체(32)의 하단 내측과 삽입홈(44)의 내측면이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자동으로 중심이 일치하면서 삽입이 되며, 인출구 몸체(32)의 상부 근처에 위치한 하부캡(12)의 외측면이 볼인출 몸체(4)의 상부에 안착됨과 동시에 보관함체(1)가 올려지게 된다.
이때, 인출구 몸체(32)의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장축(31a)은 절개홈(45)을 통해 삽입이 됨으로써,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리적 거림이 없이 용이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볼인출 몸체(4)의 상부 일측으로 노출된 노브(35)를 손가락으로 잡고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장축(31a)에 연결된 볼받침(34)이 연동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오목한 상태가 되면서 다수개의 볼(5)중 하나의 볼(5)만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안착된다.
다음, 노브(35)를 더 회전시킴과 동시에 장축(31a)에 연결된 볼받침(34)이 볼(5)을 감싼형태로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상부에 있는 볼(5)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볼받침(34)에 안착되어 있던 볼(5)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낙하된다.
다음, 볼인출 몸체(4)의 내측 하부로 낙하된 볼(5)은 인출가이드(41)를 따라이동한 후 인출공(42)을 통해 볼정열부(43)로 나오게 됨에 따라 정열이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볼정열부(43)에는 목적한 갯수의 볼이 자동으로 정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볼정열부(43)로 인출된 다수개의 볼(5)을 다시 보관함체(1)로 넣을 경우에는 볼인출 몸체(4)로 부터 보관함체(1)를 분리시켜 꺼꾸로 든 다음 인출구 몸체(32)의 일측에 형성된 노브(35)를 회전시켜 볼받침(34)이 하부로 오목하게 방향이 전환되도록 한 상태에서 넣고자 하는 볼(5)을 올려 놓고 노브(35)를 회전시키면 인출될때와 같이 하나씩 보관함체(1)로 넣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구형태의 함체를 흔들어 그 내부에 들어 있는 수십개의 볼이 튕기면서 볼들이 잘 섞이도록 하고, 볼이 잘 섞여진 보관함체를 볼인출 몸체에 올려 놓고 노브 또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섞여진 볼 가운데 하나씩 순차적으로 인출시키면 인출 가이드를 따라 볼인출 몸체의 바깥쪽에 형성된 볼정열부에 볼이 정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가운데 볼을 원하는 숫자나 색깔별로 맞추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손수 흔들거나 인출된 볼을 다시 보관함체로 넣은 과정에서 사용자의 정성이 들어감에 따라 더 한층 재미를 복돋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보관함체(1)에 들어있는 볼(5)을 외부로 인출시켜 정열이 되도록 구성된 볼 인출용 유희구(A)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체(1)는 반구형의 상부캡(11)과 하부캡(12)을 결합시켜 구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부캡(12)의 중앙으로 외주연에 수나사(21)가 형성된 보강부재(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재(2)는 볼받침이(34)이 구비된 손잡이 고정부재(31)를 갖는 볼인출구(3)를 외측 하부에 고정하고, 하부가 폐쇄된 중공의 원뿔형 볼인출몸체(4)를 형성하여 상부로 볼인출구(3)가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캡(12)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볼인출몸체(4)는 내부에 형성된 인출가이드 (41)의 단부가 위치하는 곳에 인출공(42)을 형성하고, 하단 외주연부에 볼정열부 (43)가 형성되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인출용 유희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1)은 내면에 충격흡수부재(14)를 적층되도록 형성하되, 다수의 곳에 돌기부(13)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캡(12)은 내면에 충격흡수부재(14)를 적층되도록 형성하되, 보강부재(2)가 형성된 주변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곳에 형성된 돌기부(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인출용 유희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인출구(3)는 중공형태인 인출구 몸체(32)의 내면에 암나사(32a)를 형성하여 보강부재(2)의 수나사(21)에 나사결합되도록 형성하고, 인출구 몸체(32)에 축공(33)(33')을 관통되도록 형성하여 장축(31a)과 단축(31b)의 형태를 갖는 손잡이 고정부재(31)를 삽입하되, 상기 장축(31a)과 단축(31b) 사이에는 볼받침(34)이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인출용 유희구.
KR20-2003-0022099U 2003-07-09 2003-07-09 볼 인출용 유희구 KR200330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99U KR200330376Y1 (ko) 2003-07-09 2003-07-09 볼 인출용 유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99U KR200330376Y1 (ko) 2003-07-09 2003-07-09 볼 인출용 유희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467A Division KR100513101B1 (ko) 2003-07-09 2003-07-09 볼 인출용 유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376Y1 true KR200330376Y1 (ko) 2003-10-17

Family

ID=4933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099U KR200330376Y1 (ko) 2003-07-09 2003-07-09 볼 인출용 유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3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099B1 (ko) 2005-01-13 2007-01-26 류근원 번호 추출식 게임기구
KR20190011510A (ko) * 2017-07-25 2019-02-07 임광철 스마트 토이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099B1 (ko) 2005-01-13 2007-01-26 류근원 번호 추출식 게임기구
KR20190011510A (ko) * 2017-07-25 2019-02-07 임광철 스마트 토이 및 그 작동방법
KR101963349B1 (ko) 2017-07-25 2019-03-28 임광철 스마트 토이 및 그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4338A (en) Shape-matching spin-action toy
US10556187B2 (en) Toy top
US4703930A (en) Creative challenge game
US5368306A (en) Game for improving eye-hand coordination
US20090200742A1 (en) Game Apparatus for playing tossing game
US3679208A (en) Game apparatus for catching randomly moving articles
US6899336B2 (en) Outdoor game apparatus
US6773329B2 (en) Amusement device including a thematic play set
KR200330376Y1 (ko) 볼 인출용 유희구
US4437668A (en) Puzzle post toy
KR100513101B1 (ko) 볼 인출용 유희구
US5328173A (en) Device for the random selection of letters and game utilizing same
US5702101A (en) Handheld gaming ball display device
US8011509B1 (en) Product package and prize for crane claw arcade game
US4900026A (en) Whirling ball collecting game
US3813810A (en) Coordination top
US8408548B2 (en) Gam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1990005568A1 (en) Random indicia selector
US4778182A (en) Lucky number selector
US5683083A (en) Top game and method of playing same
CN201231059Y (zh) 幸运五彩仪
US6120023A (en) Random access game toy
CN216023108U (zh) 一种防作弊的全封闭掷骰盅
US4248429A (en) Method of using ball-in-cup game
US20140346735A1 (en) Spinning Ball Game Apparatus and Game 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