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163B1 - 동전류의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동전류의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163B1
KR100610163B1 KR1020047011713A KR20047011713A KR100610163B1 KR 100610163 B1 KR100610163 B1 KR 100610163B1 KR 1020047011713 A KR1020047011713 A KR 1020047011713A KR 20047011713 A KR20047011713 A KR 20047011713A KR 100610163 B1 KR100610163 B1 KR 100610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stacker
plunger
extru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4751A (ko
Inventor
수가이카츠미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스가이소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스가이소교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스가이소교
Priority to KR102004701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1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4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코인 스태커(2)의 이면을 지지하는 본체 케이스(3)의 지지판(32)의 이면측에는 전자 솔레노이드(41)를, 그 플런저(43)의 동작방향이 지지판(32)의 상하방향을 대략 따라도록 배치하고, 수평 지지축(45)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링크편(44)의 일단을 플런저(43)에 연결하고, 타단을 압출체(20)의 베이스부에 연결하고, 비틀림 스프링(51)에 의해 압출체(20)를 코인스태커(2)에 있어서의 베이스체(12)의 규제홈(52)의 상면에 압압하도록 세트한다. 전자 솔레노이드(41)의 작동에 의해, 베이스체(12)에 있어서의 1쌍의 전방향 지지편(15) 사이의 통로(17)를 따라 압출체(20)는 전진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1쌍의 전방향 지지편(15)에 지지된 최하단의 코인류를 본체 케이스(3)의 전방부 하방에 배치된 경사로(5)에 압출하여, 기기 밖으로 방출한다.

Description

동전류의 인출장치{DISPENCER FOR COIN OR ITS KIND}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청산(淸算)기기 등에 있어서 동전 또는 대용 동전(token)(이하, 코인류라 함)를 금종별로 퇴적시켜 두고, 필요에 따라 인출을 행하는 코인류의 인출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이러한 종류의 코인류 인출장치에 있어서는 미국 특허 제5797476호 공보, 미국 특허 제5853322호 공보, 미국 특허 제583005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 종류의 금종의 코인류를 수납한 코인 스태커(coin stacker)가 인출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코인 스태커는 금종마다의 코인류를 다수개 적중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는 상하방향으로 긴 수납부가 케이스 본체에 병렬상으로 다수열 형성되어 있고, 각 수납부의 하단에 코인류를 1개씩 방출할 수 있는 방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장치 본체에는, 장착된 코인 스태커의 방출부 근방에 배치되어 컴퓨터 등의 계산기의 거스름돈 지령에 따라 작동하는 인출기구와, 이 인출기구에 의해 압출된 코인류를 인출장치 본체의 측부 등에 설치된 컵형상의 코인 수용부에 도입하기 위한 슈트부를 갖고 있다.
미국 특허 제5830055호 공보에서는 인출장치 본체에는 컴퓨터 등의 계산기의 거스름돈 지령에 따라 작동하는 인출기구가, 장착된 코인 스태커보다 이면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출기구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인 전자 솔레노이드는, 그것에 내장된 직동형 플런저를 수평의 돌출방향 및 후퇴방향의 2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플런저가 돌출하면 그 플런저에 의해 상기 적중된 코인류의 최하단의 코인류를 코인 스태커의 방출부로부터 전방으로 압출한다. 또한, 코인 스태커의 장착부의 전방 하부에는 경사진 형상의 슈트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방출된 코인류는 슈트부를 통해 인출장치 본체의 컵형상의 코인 수용부에 퇴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장치에 있어서 코인류를 압출하는 한편, 후퇴하여 적중된 코인류의 배면에 플런저의 선단을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플런저의 진퇴(이동)방향의 스트로크(이동거리)를, 최대지름의 코인류에 맞추어 크게 해야만 하고, 필연적으로 플런저의 진퇴(이동)방향의 치수가 큰 전자 솔레노이드를, 가로상태로 장착된 코인 스태커의 하단부 근방에 있어서 코인류의 방출방향(코인류의 적중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코인 스태커의 장착부보다 하방에 있어서의 인출장치 본체의 두께치수(코인 스태커의 코인류의 수납부가 나열되는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코인류의 적중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 즉, 코인류의 방출방향의 치수)가 크다.
이와 같은 코인류 인출장치를 카운터 공간 상에 배치하면 그 카운터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제한으로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콤팩트한 코인류 인출장치를 제공하고, 카운터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스트로크가 짧은 전자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코인류의 압출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수납부의 하단부에서 코인류를 1개씩 방출하는 압출체의 배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제 1 형태는 인출기구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코인류를 퇴적하여 수용할 수 있는 코인 스태커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고, 본체 케이스 내에 배치한 인출기구에 의해 상기 코인 스태커의 하단으로부터 방출된 코인류를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경사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코인류의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인 스태커의 이면을 지지하는 본체 케이스의 지지판의 이면측에는 상기 인출기구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를, 그 동작방향이 상기 지지판의 상하를 따르도록 배치하고, 상기 코인 스태커에 있어서의 하단 베이스부의 코인류를 상기 경사로에 압출하기 위한 압출체가 상기 코인 스태커에 있어서의 하단 베이스부를 대략 따라서 돌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자 솔레노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동작방향이 상기 지지판의 상하방향을 대략 따르도록 배치된 것이다.
제 2 형태는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압출체와,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연동 연결하는 링크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출체는 상기 지지판에 형성 된 안내부를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링크수단은 그 중도부가 수평 지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피벗되어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제 3 형태는 상기 인출기구에는 상기 플런저를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코인 스태커에 있어서의 하단 베이스부에는 상기 압출체가 돌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압출체의 높이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고,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압출체를 상기 규제부에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인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IIIA-IIIA선 화살표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b)는 코인 스태커의 위치결정 지지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코인 스태커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코인 스태커의 이면도이다.
도 6은 코인 스태커를 단일체로 세워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7은 인출기구부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7의 VIIIa-VIIIa선 화살표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VIIIb-VIIIb선 화살표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c)는 도 8(a)의 VIIIc-VIIIc선 화살표로 바라본 도면이다.
이어서, 도 1~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인류의 인출장치(1)는 복수 종류의 금종마다 코인류(10)를 퇴적시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 스태커(2)와, 이 코인 스태커(2)를 앞면에서 착탈가능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인출기구(4)를 내장하는 본체 케이스(3)로 이루어진다. 본체 케이스(3)의 전방부의 하방위치에는 코인 스태커(2)의 하단 베이스부로부터 인출기구(4)의 작동에 의해 인출된 코인류(10)를 기기 밖으로 방출하기 위한 경사로(shoot)(5)를 구비하고(도 2 참조), 본체 케이스(32)의 일측면에는 경사로(5)의 하단에 연통하는 방출구멍(6)이 뚫려 있다. 또한, 상기 방출구멍(6)에 연통하는 접시형상의 코인 수용부(7)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고정되어 있다.
우선, 코인 스태커(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인 스태커(2)에 있어서의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칼럼체(13)가, 좌우 1쌍의 금속판제의 측판(18)과 상측 이면판(19)과 금속판제의 단면 L자형상의 베이스체(1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9)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칼럼체(13)는 금종마다의 코인류(10)를 수평상태로 퇴적할 수 있는 대략 원통형상의 가로로 긴 수용 칼럼(14)이 복수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각 수용 칼럼(14)의 앞면에 가로방향의 개방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수용 칼럼(14)에 있어서의 개방홈(14a)은 각 금종의 코인류의 직경보다 좁은 폭치수(W1)를 갖고[도 8(a) 참조], 각 수용 칼럼(14)의 상면은 각 코인류(10) 를 삽입할 수 있는 입구로 된다. 또한, 각 수용 칼럼(14)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체(12)의 하단의 전방향 지지편(15)에 고정 지지되어, 각 수용 칼럼(14) 내에 퇴적된 코인류(10)의 저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각 수용 칼럼(14)의 하단에는, 대응하는 코인류(10)의 직경(D0)보다 약간 큰 폭(D1)으로, 또한, 상기 전방향 지지편(15) 상에 퇴적된 코인류(10) 중 최하단의 1개의 코인류(10a)만이 전방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높이 치수(t0)의 좌우 1쌍의 방출홈(16,16)이 노치되어 형성되어 있다[도 8(b) 참조]. 따라서, 상기 1쌍의 방출홈(16,16) 사이가 상기 수평상태로 퇴적된 코인류(10) 중 최하단의 1개의 코인류(10a)의 출구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출해야할 코인류(10)는 EC 통화 동맹에 의한 유로 동전(단위:유로)으로서, 0.01 유로(직경:16.25mm, 두께:1.70mm), 0.02 유로(직경:18.75mm, 두께: 1.70mm), 0.05 유로(직경: 21.25mm, 두께: 1.66mm), 0.10 유로(직경:19.75mm, 두께: 1.91mm), 0.20 유로(직경: 22.25mm, 두께: 2.11mm), 0.50 유로(직경: 24.25mm, 두께: 2.39mm), 1 유로(직경: 23.25mm, 두께: 2.34mm), 2 유로(직경: 25.75mm, 두께: 2.20mm)의 8금종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의 동전은 직경이 작은 순서로 1엔, 50엔, 5엔, 100엔, 10엔, 500엔의 6금종이고, 이 경우의 칼럼체(13)에는 6개의 수용 칼럼체(14)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전방향 지지편(15) 및 베이스체(12)의 하단 베이스부에 걸쳐서, 코인류(10)의 직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후술하는 압출체(20)가 전후이동가능한 통로(17)가 형성되어 있다[도 8(a) 및 도 8(b) 참조], 프레임체(9)에 있어서의 상측 이면판(19)의 상단에는 칼럼체(13)의 상부, 즉 모든 수용 칼럼(14)의 앞면 상부 및 상단면(코인류의 입구부)을 덮는 금속제의 덮개체(21)가 경첩(22)을 통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덮개체(21)의 좌우 양측면부에 설치되고, 결합방향으로 뒤틀림 스프링(25)에 의해 가압된 훅(23)이, 프레임체(9)의 좌우 양측판(18)에 돌출되게 설치한 핀(24)에 걸림이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 도 3(a) 참조]. 덮개체(21)의 상면에는 코인 스태커(2)의 휴대 이동에 용이하도록 파지 손잡이(26)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코인 스태커(2)는 코인류(10)를 보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 칼럼(14)이 가로방향의 경사로 되도록 세워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칼럼체(13)의 좌우방향의 대략 중도부에는 가로로 긴 수납홈(27)이 코인 스태커(2)의 이면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홈(27)에 끼는 판형상의 지지체(29)의 상단부에는 긴 구멍(30)이 뚫려 있다. 이 긴 구멍(30)에, 칼럼체(13)에 설치된 피벗 핀(28)이 끼어서, 지지체(29)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29)의 하단측을 코인 스태커(2)의 밖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는 지지체(29)의 하단면이 테이블 등에 접촉한다. 지지체(29) 앞면 상부의 경사면(29a)이 상기 수납홈(27)의 저면에 접촉하면 상기 지지체(29)의 칼럼체(13)에 대한 개방 각도가 그이상 크게 되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인 스태커(2)의 앞면을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세워 설치할 수 있다. 긴 구멍(30)의 하방에 피벗 핀(28)이 오도록 지지체(29)를 일단 상승시킨 후, 지지체(29)의 수납홈(27)에 평행상태로 끼워넣으면 지지체(29)의 하단이 베이스체(12)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어 지지체(29)는 빠질 수 없게 된다.
본체 케이스(3)의 앞면측의 지지판(32)은 그 상방으로 감에 따라 후방향으로 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32)의 하부는 전방향으로 굴곡한 부위(32a)에 이어져서 전방 하향의 벽판(38)을 구비하고, 이 벽판(38)과 전방 커버체(39) 사이에 코인류(10)를 방출하는 경사로(5)를 갖는 금속판제의 미끄러짐대(5a)를 고정하는 것이다[도 2 및 도 3(a) 참조]. 또한, 상기 부위(32a)의 상면 좌우 양측부위에 세워 설치한 절두 원추형상의 위치결정돌기(37)[도 2 및 도 3(b) 참조]에 대해서 코인 스태커(2)의 하단 좌우양측에 뚫린 장착구멍(50)을 끼워넣고, 위치결정돌기(37)의 베이스대(37a)에 베이스체(12)의 하면이 접촉함으로써 코인 스태커(2)의 좌우 및 높이의 장착위치가 규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인 스태커(2)를 본체 케이스(3)의 앞면에 세트할 때, 지지체(29)의 상부 돌출부(29b)는 본체 케이스(3)의 지지판(32)에 뚫린 가로홈(도시안함)에 끼운다. 또한, 본체 케이스(3)의 상면에 설치된 자물쇠(33)의 수평회동하는 잠금볼트(34)의 선단부가, 상기 상부 돌출부(29b)에 뚫린 구멍(35)에 결합하면 코인 스태커(2)가 본체 케이스(3)와 일체로 되어, 떨어지지 않는다[도 3(a) 참조]. 상기 잠금 및 잠금해제조작은 키(36)에 의해 행하는 것이다.
이어서, 본체 케이스(3) 내의 인출기구(4)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체 케이스(3)의 지지판(32)과 착탈가능한 이면 커버체(40)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수용 칼럼(14)마다, 인출기구(4)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의 1열로서의 전자 솔레노이드(41)와, 이 전자 솔레노이드(41)에 연동 연결된 링크수단(42)과, 이 링크수단(42)에 연결되는 압출체(20)가 배치된다(도 2 참조). 전자 솔레노이드(41)는 상기 지지 판(32)의 이면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고, 전자 솔레노이드(41)의 플런저(43)는 그 동작방향이 지지판(32)의 상하를 따르도록 한다. 링크수단(42)은 측면으로 바라봐서 역 L자형상의 링크편(44)의 중도부가 수평 지지축(45)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피벗된 것이다. 따라서,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32)의 이면측에서 수평으로 지지된 1개의 수평 지지체(45)에, 수용 칼럼(14)의 수와 동일한 후의 링크편(44)이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되어 있다.
각 전자 솔레노이드(41)는 전기신호(구동신호)가 OFF인 상태에서는 플런저(43)는 돌출상태이다. 이 각 플런저(43)의 선단에, 링크편(44)의 암 길이가 짧은 부위를, 핀(46)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링크편(44)의 긴 암부위를 압출체(20)의 베이스부에 동일하게 핀(47)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압출체(20)는, 도 8(a)~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하향 コ자형상으로서, 코인류(10)의 압출방향을 따라 긴 상면판부(20a)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긴 안내홈(49)이 뚫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32)에 있어서의 안내부로서 뚫린 안내구멍(54)에 대해서 압출체(20)의 선단측이 코인 스태커(2)의 베이스체(12)에 있어서의 통로(17)에 면한다.
또한, 압출체(20)와 링크편(44)의 연결을 위한 핀(47)의 둘레에 가압수단으로서의 뒤틀림 스프링(51)을 배치하고, 이 뒤틀림 스프링(51)의 일단을 압출체(20)의 하면측에 걸고, 뒤틀림 스프링(51)의 타단을 링크편(44) 후방측에 걸음으로써 압출체(20)의 선단측이 지지판(32)에 뚫린 안내구멍(54)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가압한다(도 7 참조). 압출체(20)의 선단의 상면이 상기 안내구멍(54)의 상면에 접촉하 고, 그 압압력의 반력에 의해, 압출체(20)의 베이스부측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회동력이 링크편(44)을 도 7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플런저(43)의 선단이 돌출하도록 가압되는 것이다. 안내구멍(54)에는 그 상면 중앙부에 하향으로 돌출하는 안내 볼록편(53)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 볼록편(53)이 압출체(20)의 상면판부(20a)에 있어서의 안내홈(49)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안내구멍(54)의 높이 치수와 안내 볼록편(53)의 하향 돌출의 치수의 관계는 안내 볼록편(53)의 하단이 상면판부(20a)에 지지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압출체(20)의 선단부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을 정도이다.
또한, 코인 스태커(2)에 있어서의 베이스체(12)의 베이스부에는 압출체(20)의 상면판부(20a)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압출체(20)의 선단의 높이 위치가 압출되야 할 1개의 코인류(10)의 두께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규제하는 규제홈(52)이 통로(17)에 연통하는 개소에 노치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8(b) 참조].
즉, 제작시에 있어서 베이스체(12)에 있어서의 전방향 지지편(15) 상면으로부터 규제홈(52)의 상단면(52a)까지의 높이 치수(t2)를, 각 수용 칼럼(14)에 수용하는 코인류(10)의 두께(t1)보다 약간 낮게 되도록 형성하는 것만으로, 코인 스태커(2)의 베이스체(12)의 하면을 상기 베이스대(37a)에 접촉한 상태(세트상태)일 때에는 압출체(20)의 상면판부(20a)는 반드시 상기 규제홈(52)의 상단면에서 하향으로 눌려내려지고, 상면판부(20a) 중 압출체(20)의 선단측은 베이스체(12)의 전방향 지지편(15) 상에 적재된 최하단의 1개의 코인류(10a)의 후면에 있어서 코인류(10)의 두께 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압수단으로서의 뒤틀림 스프링(51) 에 의한 압출체(20)의 선단측을 상향으로 가압하는 구성과, 상기 규제홈(52)의 높이 치수를 정밀도 있게 하는 것만으로, 전방향 지지편(15) 상의 최하단의 1개의 코인류(10a)만을 압출하도록 압출체(20)를 세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칼럼체(13)에 대한 베이스체(12)의 설치작업시에 높이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다소 어긋나더라도 2개이상의 코인류(10)를 동시에 압출하는 경우는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규제홈(52)보다 약간 높은 위치[퇴적 코인류(10)의 개수로 5~10개정도]에는 지지판(32)과 칼럼체(13)의 각 수용 칼럼(14)의 배면 개소에 걸쳐서 관통하는 투과구멍(55a,55b)을 뚫고, 지지판(32)의 이면측에 고정한 기판(56)에 투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한 광반사식 센서(57)를 배치하고, 이 광반사식 센서(57)의 투광이 각 수용 칼럼(14)에 퇴적되어 있는 코인류(10)의 이면에서 반사되어 수광부에서 감지할 때에는 거스름돈으로서의 코인류(10)가 충분히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투광이 퇴적되어 있는 코인류(10)보다 위를 통과할 때(따라서 수광부에서 반사광을 감지하지 않을 때)에는 거스름돈의 인출이 불완전하게 될 우려가 많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들 판단은 본체 케이스(3) 내에 세트한 제어 및 전자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담당하는 전자기판(58), 또는, 외부 설치한 금전등록기기(60)의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에서 판단하고, 작동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코인류의 인출조작을 강제적으로 정지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코인류 인출장치(1)에 매상의 품목이나 개수, 입금액을 키조작으로 입력하면 그 품목이나 개수, 단가, 합계금액, 입금액, 거스름돈의 금액 등을 표시 또는 종이조각에 기록하여 출력하고, 또한, 코인류 인출장치(1)를 구동시켜 소 정의 금종의 조합으로 소정액의 거스름돈을 인출지령할 수 있는 핸디 타입(handy type)의 계산기(61)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3)의 외측면에 핸디 타입의 계산기(61)를 수납할 수 있는 포켓(62)을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
거스름돈의 인출동작시에 있어서 거스름돈[코인류(10)]의 금종 및 그 개수의 인출지령이 있으면 소정의 수용 칼럼(14)에 대응하는 전자 솔레노이드(41)가 그 개수분만큼 ON/OFF 작동한다. 전자 솔레노이드가 OFF시에는 플런저(43)는 자중과 상기 가압수단인 뒤틀림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상태로 되고, 또한, 압출체(20)는 그 선단이 최하단의 코인류(10a)의 후면과 대치하는 후퇴위치에 유지된다(도 7의 실선상태 참조).
전자 솔레노이드(41)가 ON하면 뒤틀림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플런저(43)는 상향으로 끌어올려지고, 링크편(44)은 도 7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고, 압출체(20)는 전방향 지지편(15)의 사이의 통로(17)에서 전단방향으로 돌출한다(도 7의 이점쇄선상태 참조). 이 때, 링크편(44)의 회동의 관계로부터 압출체(20)의 전진에 따라 상기 압출체(20)의 선단은 하향으로 되도록 경사지면서 압출체(20)는 통로(17)를 따라 전진한다. 플런저(43)의 순간적인 움직임은 링크편(44)의 긴 암에 보다 확대되어 압출체(20)의 전진(돌출)속도가 빠르고, 또한, 전진 및 후진의 스트로크가 길기 때문에 그 전진 스트로크의 전반 부분에서 퇴적한 코인류(10)의 중량의 구속으로부터 개상되고, 최하단의 코인류(10a)를 힘있게 압출하고, 1개의 코인류(10a)만을 칼럼체(13)의 방출홈(16)으로부터 전방으로 방출하고, 경사로(5)에 낙하시켜 코인 수용부(7)에 코인류(10)가 쌓이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32)의 이면에서 플런저(43)를 하향으로 하여 전자 솔레노이드(41)를 배치하였지만 지지판(32)의 하방의 본체 케이스(3)의 공간에 플런저(43)가 상방향으로 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인 스태커(2)의 지지부의 이면측에서 액추에이터인 전자 솔레노이드(41)를 그 플런저(43)가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배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플런저(43)의 동작거리를 포함한 길이가 긴 액추에이터를, 코인류(10)의 방출방향과 평행상태인 본체 케이스(3)의 전후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코인류의 인출장치의 본체 케이스(3)의 전후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어서 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출기구(4)를 통해서 플런저(43)의 상하동작을 압출체(20)의 전후방향의 동작으로 변환하는 것이므로 구성도 간단하고, 또한, 인출기구(4)의 링크편(44)의 암길이의 설정에 의해 플런저(43)의 후퇴거리보다 압출체(20)의 진퇴거리를 대폭적으로 크게 하는 것도 지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액추에이터인 전자 솔레노이드(41)를 소형화할 수 있고, 콤팩트화와 제조비용의 저감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출기구(4)에는 플런저(43)를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뒤틀림 스프링(51)]을 설치함으로써, 전자 솔레노이드(41)는 ON하였을 때,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것만으로 OFF시에는 플런저(43)에 강제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편방향 동작형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코인류 인출장치의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수단으로서의 뒤틀림 스프링(51)에 의한 압출체(20)의 선단측을 상향 가압하는 구성과, 상기 규제홈(52)의 높이 치수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만으로 전방향 지지편(15) 상의 최하단의 1개의 코인류(10a)만을 압출하도록 압출체(20)를 세트하는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압출체(20)의 진퇴이동에 의한 코인류(10)의 1개씩의 인출을 정확하게 행한다. 또한, 베이스체(12)의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안내수단으로서의 안내 볼록편(53)과, 압출체(20)에 있어서의 안내홈(49)과, 가압수단으로서의 뒤틀림 스프링(51)에 의한 압출체(20)의 선단측을 상향 가압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압출체(20)의 직선적 진퇴이동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도 거둔다.

Claims (8)

  1. 인출기구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코인류를 퇴적하여 수용할 수 있는 코인 스태커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고, 본체 케이스 내에 배치한 인출기구에 의해 상기 코인 스태커의 하단으로부터 방출된 코인류를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경사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코인류의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인 스태커의 이면을 지지하는 본체 케이스의 지지판의 이면측에는 상기 인출기구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를, 그 동작방향이 상기 지지판의 상하를 따르도록 배치하고, 상기 코인 스태커에 있어서의 하단 베이스부의 코인류를 상기 경사로에 압출하기 위한 압출체가 상기 코인 스태커에 있어서의 하단 베이스부를 따라서 돌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자 솔레노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동작방향이 상기 지지판의 상하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인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압출체와,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연동 연결하는 링크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출체는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안내부를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링크수단은 그 중도부가 수평 지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피벗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 의 인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기구에는 상기 플런저를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인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스태커에 있어서의 하단 베이스부에는 상기 압출체가 돌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압출체의 높이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인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압출체를 상기 규제부에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인출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스태커에는 코인류의 금종별로 코인류를 퇴적하는 복수의 수용 칼럼을 병렬상으로 갖고, 상기 수용 칼럼의 개소마다 대응시켜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 및 인출기구를 병렬상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인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는 상기 코인 스태커에 있어서의 하단 베이스부의 근방에서 상기 수용 칼럼마다의 퇴적 코인류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광반사형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인출장치.
KR1020047011713A 2004-07-29 2003-12-12 동전류의 인출장치 KR100610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1713A KR100610163B1 (ko) 2004-07-29 2003-12-12 동전류의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1713A KR100610163B1 (ko) 2004-07-29 2003-12-12 동전류의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751A KR20050044751A (ko) 2005-05-12
KR100610163B1 true KR100610163B1 (ko) 2006-08-09

Family

ID=3724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713A KR100610163B1 (ko) 2004-07-29 2003-12-12 동전류의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210B1 (ko) 2009-03-18 2011-09-07 김두호 다방향 회동장치와 이를 구비한 토치봉의 각도 조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210B1 (ko) 2009-03-18 2011-09-07 김두호 다방향 회동장치와 이를 구비한 토치봉의 각도 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751A (ko)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1891B2 (en) Adjustable push forward dispensing mechanism
KR960015330A (ko) 동전자동배출장치
AU747032B2 (en) Apparatus for lifting circular plate bodies
KR100610163B1 (ko) 동전류의 인출장치
JP3995164B2 (ja) コイン類の払出し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コインスタッカー
US6085937A (en) "Golf ball vendor" and "alternate" product vendor
JP3664774B2 (ja) 物品投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物品投出機
US20110182020A1 (en) Automated supplier for flash memory
JP2007179158A (ja) 物品払い出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ゲーム機
JP3691118B2 (ja) 物品投出装置
EP1420371A1 (en) Coin ejection unit of coin dispenser
JPH067435Y2 (ja) 商品販売機の商品押出し機構
KR200317589Y1 (ko) 게임구슬 카운터 공급장치
JPH08141207A (ja) 景品払出し機
JPH0241019Y2 (ko)
JP2869599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H044295Y2 (ko)
JPH08315206A (ja) 釣銭払い出し装置
JPH09231462A (ja) 物品払出装置
JPH03263289A (ja) カード排出装置
JP3826514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装置
JPH04172592A (ja) 硬貨保留払出装置における硬貨返却機構
JP3031116U (ja) カード排出装置
JP2716408B2 (ja) 自動販売機及び商品ストックユニット
JPH10162207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