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773B1 -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773B1
KR100609773B1 KR1020000000191A KR20000000191A KR100609773B1 KR 100609773 B1 KR100609773 B1 KR 100609773B1 KR 1020000000191 A KR1020000000191 A KR 1020000000191A KR 20000000191 A KR20000000191 A KR 20000000191A KR 100609773 B1 KR100609773 B1 KR 100609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ochlorite
viscosity
sodium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330A (ko
Inventor
김종현
이일휴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0000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773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3Sulfon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5Amino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염소산염 0.1 내지 10 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무기알칼리염 0.05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100cps이상이며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살균, 소독, 계면활성제, 차염소산염, 무기알칼리염

Description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Thickner cleaner composition having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roperties}
본 발명은 세정력과 사용감이 우수한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염소산 이온(hypochlorite ion)을 함유하는 살균, 소독제 화합물과 함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력이 우수하면서도 점도가 있어 사용감이 우수한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염소산염 화합물은 클로로아민, 클로로이민, 클로로아미드, 클로로이미드 등의 화합물과 함께 살균 및 소독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차염소산염 화합물은 계면활성제와 배합하여 사용할 경우 차염소산 이온의 살균, 소독기능에 계면활성제의 세정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오염 제거능력의 향상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소독력까지 나타내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차염소산 이온에 의한 살균소독효과와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력은 그 조성물이 오염에 대한 부착성 정도에 따라 오염제거 능력이 좌우된다. 즉 조성물이 점도가 없을 경우 오염에 대한 부착성이 없어 살균소독 및 세정효과가 저하된 다. 이러한 이유로 점도가 100cps이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성물에 점도를 부여하기 위해 폴리아크릴산, 계면활성제를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지방산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많은 노력이 있었다. 기존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하여 점도를 부여할 경우 제조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생산의 어려움이 있으며 지방산을 사용할 경우 지방산을 용해하기 위한 스팀장치등 설비의 어려움과 생산성이 나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 외에도 차염소산염 화합물과 함께 사용되어지는 유기 계면활성제는 화학적으로 차염소산염 화합물에 안정성 있어야 한다. 차염소산 이온은 그의 강력한 산화력으로 인하여 유기 계면 활성제와 함께 사용하면 조성물 전체의 저장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일부 계면활성제 성분은 차염소산염과 함께 사용시 용해도가 저하되어 조성물의 상이 전체적으로 뿌옇게 되는 문제점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점도가 있어 살균소독 및 세정효과가 있는 세정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음이온 계면활성제 알킬에테르설페이트염과 비이온 계면활성제 알킬아민산화물을 세정성분으로 사용하면 점도 및 세정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점도에 의한 살균소독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차염소산염 0.1 내지 10 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무기알칼리염 0.05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알칼리 수용액 중의 차염소산 이온 (hypochlorite ion, OCl-)을 살균, 소독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한다(참조: 미합중국 특허 제4,005,027호).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차염소산으로는 차염소산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을 언급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차염소산나트륨, 차염소산칼륨, 차염소산칼슘 및 차염소산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차염소산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살균, 소독제인 차염소산염화합물의 대부분은 고체, 농축된 액체 또는 물에 용해된 수용액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차염소산염 화합물은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0 중량% 범위로 사용한다.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살균, 소독제로서의 기능을 나타내기 어렵고 10 중량% 초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으며 차염소산 이온 자체의 안정성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본 발명에서 차염소산 이온의 살균, 소독력을 증대 시킴과 동시에 세정효과 및 점도를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여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하기 화학식 1의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와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하기 화학식 2의 알킬 아민산화물의 혼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0000082723-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0000082723-pat00010
상기 화학식에서
R 및 R'는 각각 C10∼C16 알킬을 나타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나트륨 또는 칼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및 알킬 아민 산화물은 1:20 내지 20:1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계면활성제 상호간의 상승효과와 계면활성제, 차염소산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우수한 점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각각 사용량은 0.1 내지 1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0 중량% 인데 음이온, 비이온 계면활성제 각각을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오염에 대한 충분한 세정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점도 형성이 곤란하고 10 중량% 초과 사용 시에는 차염소산 이온에 대한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알카리성을 유지시켜 주기 위함 동시에 계면활성제와 차염소산이온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점도형성을 촉진하기 위해서 무기알카리염을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0 중량% 사용한다. 무기알칼리염으로는 탄산나트륨(Na2CO3), 중탄산나트륨(NaHCO3), 규산나트륨 (Na3SiO3, Na4SiO4) 및 수산화나트륨(NaOH) 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 이상을 사용한다. 이들 중에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무기알칼리염의 종류 및 사용량은 pH를 10.0 내지 14.0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선택되는데, 여기서 pH를 10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것은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극대화하는데 중요한 요소일 뿐만 아니라 계면활성제의 오염제거 능력을 향상시키는 요인이기도 하다. 또한 조성물의 pH를 10 내지 14로 유지하는 것은 수용액 상에서의 차염소산염 화합물의 화학적 분해를 최소화하고 차염소산염 화합물과 계면활성제간의 화학적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서 물은 용해성 물질들을 한곳에 용해시키는 매개체로 사용한다. 물에 칼슘 또는 마그네슘 이온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오염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세정력이 저하되며, 전이금속 특히 구리, 코발트, 니켈 등의 전이금속은 차염소산 이온의 분해를 촉진시키므로 이러한 금속이온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탈이온수를 사용한다.
살균, 소독력을 갖는 본 발명의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은 사용시 차염소산 이온의 강한 냄새를 줄이고 심미적인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향을 사용할 수 있다. 향은 차염소산 이온에 안정한 것을 선택해야 하며, 0.01 내지 2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pH는 10 내지 14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조된 조성물의 pH가 이 범위 내에 있지 않을 경우 추가로 pH 조절제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pH로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pH 조절제로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슘을 언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 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기존 세정제 조성물에 비해 점도가 있어 우수한 살균, 소독 및 세정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조성비로 성분물질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차염소산나트륨 4.0 4.0 4.0 4.0 4.0 4.0 4.0
Na(C12-C14)에테르술페이트 2.5 2.0 1.5 2.5 - 2.5 -
Na(C12-C16)벤젠술포네이트 - - - - - - 2.5
(C12-C16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0.45 0.35 0.25 - 0.45 - 0.45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놀에테르 - - - - - 0.45 -
수산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0.1 0.1 0.1 0.1
92.45 93.05 93.65 92.90 94.95 92.45 92.45
총 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세정력 평가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 3 및 4의 세정제 조성물에 대해 하기 방법에 준하여 각각의 세정력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오염액 조제(무기오염)
소프 스컴(soap scum) 15g, 카본 블랙(carbon black) 0.2g, 올레산(oleic acid) 1.0g을 IPA 83.8g 에 넣은 후 호모(homo) 믹서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2) 시편 제작
유리 시편(76㎜ ×26㎜ ×1㎜)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하고 미리 조제된 오염액속에 완전히 침적시킨 다음, 꺼내어 자연상태에서 건조시켜 오염된 시편을 만들었다.
3) 세정력 평가 실험
시편을 45도 기울려서 둔 다음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세정제 조성물을 시편에 묻어 있는 오염의 상층부에 10g 정도를 흘린 후 5분 정도 방치한다. 상기 동일한 방법으로 10회 정도 반복한 다음 시편을 맑은 물로 헹군 다음 자연건조시키고 하기 식에 의거하여 세정력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00000082723-pat00003
4) 세정력 평가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3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세정율 80 70 5이하 20 20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와의 상호작용에 인해 점도효과가 있어 오염에 대한 부착성이 향상됨에 따라 비교예 2, 3 및 4에 비해 세정력이 더 효과적으로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점도효과 평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세정제 조성물에 대해 하기 방법에 준하여 각각의 점도효과를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1) 점도효과 평가 실험
샘플 조성물을 20℃에서 점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점도형성 정도를 측정한다.
점도 측정기: 브룩크 필드 DVⅡ+, 2번 스핀들, 60rpm으로 측정함.
평가 방법:
Figure 112000000082723-pat00004
: 점도가 100cps 이상임
△: 점도가 40∼100cps 임
×: 점도가 40cps 이하임
2) 점도효과 평가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점도효과
Figure 112000000082723-pat00005
Figure 112000000082723-pat00006
Figure 112000000082723-pat00007
× × ×
상기 조성물로 점도효과를 평가한 결과 계면활성제로 알킬에테르 설페이트와 알킬 아민 산화물을 혼합 사용한 조성물(실시예 1, 2 및 3)이 100cps이상의 점도를 나타내나 이들을 각각 사용한 조성물(비교예 1-4)은 점도 효과가 아주 약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은 점도 및 세정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점도에 의한 살균, 소독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차염소산염 0.1 내지 10 중량%,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1의 알킬에테르 술페이트 0.1 내지 10 중량% ,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2의 알킬 아민 산화물 0.1 내지 10 중량%, 무기알칼리염 0.05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함유하며, 점도 100cps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29382543-pat00012
    [화학식 2]
    Figure 112006029382543-pat00013
    상기 화학식에서
    R 및 R'는 각각 C10∼C16 알킬을 나타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나트륨 또는 칼륨을 나타낸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알킬에테르 술페이트 및 알킬아민산화물이 1:20 내지 20:1의 비로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차염소산염이 차염소산나트륨, 차염소산칼륨, 차염소산칼슘 및 차염소산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알칼리염이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및 규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KR1020000000191A 2000-01-04 2000-01-04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KR100609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191A KR100609773B1 (ko) 2000-01-04 2000-01-04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191A KR100609773B1 (ko) 2000-01-04 2000-01-04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330A KR20010068330A (ko) 2001-07-23
KR100609773B1 true KR100609773B1 (ko) 2006-08-09

Family

ID=1963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191A KR100609773B1 (ko) 2000-01-04 2000-01-04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073B1 (ko) 2015-09-02 2017-08-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소독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399B1 (ko) * 1995-12-12 1998-10-15 성재갑 살균, 소독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399B1 (ko) * 1995-12-12 1998-10-15 성재갑 살균, 소독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330A (ko) 200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6324B2 (en) Low-foaming hydrogen peroxide cleaning solution for organic soils
US3816320A (en) Stable dishwa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sodium dichloroisocyanurate dihydrate
US6255270B1 (en) Cleaning and disinfecting compositions with electrolytic disinfecting booster
PL200532B1 (pl) Wodna kompozycja czyszcząca do twardych powierzchni
CN110591833B (zh) 一种洁厕清洁剂及其制备方法
CA2683421A1 (en) Ecological quaternary ammonium disinfectant cleaner
KR20200035254A (ko) 세탁용 시트
KR100533123B1 (ko) 의료의 세탁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제 조성물
DE60027550T2 (de) Farbstabiler hypochloriger entkeimer und entkeimungsverfahren
KR100609773B1 (ko)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JPH0762154B2 (ja) 漂白組成物
JP3329613B2 (ja) 漂白剤組成物
KR20210118327A (ko) 친환경 약알칼리 표면세정제
KR20200063986A (ko) 액체 세탁 세제
WO2008043638A1 (en) Aqueous liquid bleach compositions
US3468803A (en) Dishwashing compositions
DE10163650A1 (de) Sanitär-Reinigungsmittel
KR101857117B1 (ko) 세정 효과가 우수한 배수관 세정제 조성물
KR0149399B1 (ko) 살균, 소독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CA2454437A1 (en) Low-foaming hydrogen peroxide cleaning solution for organic soils
JPS62158799A (ja) 漂白剤組成物
JP3363314B2 (ja) 着色漂白剤組成物
JPH07331280A (ja) 漂白剤組成物
CA2361741C (en) Low-foaming hydrogen peroxide cleaning formulation for organic soils
JP2534551B2 (ja) 台所用粉体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