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891B1 - 카드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891B1
KR100607891B1 KR1020040082748A KR20040082748A KR100607891B1 KR 100607891 B1 KR100607891 B1 KR 100607891B1 KR 1020040082748 A KR1020040082748 A KR 1020040082748A KR 20040082748 A KR20040082748 A KR 20040082748A KR 100607891 B1 KR100607891 B1 KR 100607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rd
housing
upper cas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711A (ko
Inventor
야마다히로키
가와하타다카시
가가야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673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911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6737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093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6737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1007B2/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의 접점부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카드의 삽입 및 배출과 함께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 (10) 를 카드 삽입장착 위치에 유지하는 로크 부재 (7) 와,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검출 수단은 하우징 (1) 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과,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사이를 접속하는 가동 접점 (9) 을 가지며, 가동 접점 (9) 을 2 개의 좌권부를 갖는 하나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제 1 고정 접점 (5a) 과 맞닿는 제 1 접점 스프링 (9a) 과, 제 2 고정 접점 (5b) 과 맞닿는 제 2 접점 스프링 (9b) 을 형성하고, 제 1 접점 스프링 (9a) 및 제 2 접점 스프링 (9b) 을 각각 다른 좌권부로부터 연장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 장치{CONNECTING DEVICE FOR CARD}
도 1 은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커버 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카드 배출 위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카드 배출 위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카드 삽입 도중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카드 삽입 도중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카드 삽입장착 위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카드 삽입장착 위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구동 부재와 가동 접점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구동 부재와 가동 접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와 커버 부재의 걸어맞춤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카드 배출 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카드 삽입 도중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카드 삽입장착 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19 는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은 종래의 기판에 실장된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카드를 삽입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수납부
1b : 카드 삽입구 1c : 창문부
2 : 상부 케이스 2a : 창문부
2b : 절결부 2c : 걸어맞춤 오목부 (규제 수단)
2d : 관통구멍 3 : 하부 케이스
3a : 스프링 수용부 3b : 축구멍
3c : 지지구멍 4 : 커넥터 단자
4a : 접점부 4b : 도전부
4c : 접속단자 5a : 제 1 고정 접점 (검출 수단)
5b : 제 2 고정 접점 (검출 수단)
6 : 탄성지지 부재 7 : 로크 부재
8 : 구동 부재 8a : 아암부
8b : 작동부 8c : 제 1 유지부
8d : 제 2 유지부 9 : 가동 접점 (검출 수단)
9a : 제 1 접점 스프링 9b : 제 2 접점 스프링
10 : 슬라이드 부재 10a : 스프링 걸림부
10b : 하트형 캠홈 10c : 카드 맞닿음부
11 : 커버 부재 11a : 창절개부
11b : 누름편 11c : 걸림단부 (규제 수단)
12 : 카드 (RS-MMC) 12a : 외부 접촉부
13 : 카드 (SD-MINI)
본 발명은 휴대전화, PC 등 각종 휴대정보 단말,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AV 기기 등의 메모리 대응 기기에 사용되는 소형 메모리 카드 등에 사용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PC 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전자기기의 증설 기록장치로서 카드용 커넥터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기억매체로는 PC 카드나 메모리 카드가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로는, 하우징 등의 케이스체 내부에 카드를 삽입하는 수납부를 형성하여 이 수납부에 복수의 커넥터 단자 (컨택트) 를 병설하고, 이 커넥터 단자의 접점과 수납부에 삽입장착되는 메모리 카드 등의 외부 접점을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기입 및 판독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59557호 참조).
도 19 및 도 20 에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9 는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0 은 기판에 실장된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카드를 삽입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 (50) 는, 바닥판 (54) 과, 바닥판 (54) 의 후단에 형성된 인슐레이터 (51) 와, 인슐레이터 (51) 의 벽부 (51a) 에 유지된 가늘고 긴 도체로 이루어지는 컨택트 (52) 와, 인슐레이터 (51) 를 일단에서 덮도록 형성된 금속 커버 (53) 를 구비하고 있다. 또, 금속 커버 (53) 의 컨택트 (52) 를 구비한 인슐레이터 (51) 의 벽부 (51a) 의 반대측에는 카드 (20) 를 삽입장착하기 위한 개구부 (5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금속 커버 (53) 의 컨택트 (52)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카드가 삽입된 경우, 컨택트 (52) 가 밀려 올라갔을 때 금속 커버 (53) 에 접촉하지 않도록 컨택트 (52) 의 선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가늘고 긴 구멍 (55)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 63 은 카드 삽입장착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기판 (60) 에 실장된 카드용 커넥터 (50) 에 카드 (20) 를 삽입할 때, 바닥판 (54) 과 금속 커버 (53) 로 형성된 가이드부에 의해 카드 (20) 가 가이드되어 삽입된다. 카드 (20) 의 전단에는 접점 (21) 이 형성되어 있고, 카드 (20) 를 커넥터의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컨택트 (52) 의 접점 (52a) 과 카드 (20) 의 접점 (21) 이 접촉한다. 그 때, 카드 (20) 의 접점 (21) 이 컨택트 (52) 를, 그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컨택트 (52) 벽부의 고정 단부를 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밀어 올려, 구멍 (55) 내에 이르도록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 메모리 카드의 종류에 따라서는,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를 갖는 것도 개발되어 있고, 카드가 확실하게 커넥터 장치에 삽입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정보의 기입 및 판독 등을 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메모리 카드에 대한 기입 미스나 데이터의 파괴를 방지하는 요구에 대응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57917호 참조).
이 검출스위치를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구조로는, 메모리 카드가 삽입장착되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이 수납부에 메모리 카드와 접촉하는 커넥터 단자가 배치된 하우징에, 메모리 카드의 삽입장착에 의해 구동되는 검출스위치를 형성하며,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 메모리 카드의 일단부가 맞닿음으로써 검출스 위치의 접점부가 구동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메모리 카드가 하우징에 삽입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구성에서는, 인슐레이터 (하우징 ; 51) 에 유지된 컨택트 (커넥터 단자 ; 52) 는, 그 접점 (52a) 이 형성되어 있는 자유단측이 카드 (20) 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안쪽에서 전방 (카드 삽입구 방향) 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이유에 의해 접점 (52a) 이 카드 수납부의 하측에 편중되어 부착된 경우에는 카드 (20) 가 삽입될 때 카드 (20) 의 선단과 접점 (52a) 의 선단이 충돌하여 컨택트 (52) 가 좌굴되거나 변형되게 되어 접촉 불량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접점 (52a) 의 선단이 카드 (20) 의 선단과 충돌하지 않도록 미리 상방으로 굴곡시켜 돌출시킨 경우에는, 카드 (20) 가 삽입장착되었을 때 접점 (52a) 이 인슐레이터 (하우징 ; 51) 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인슐레이터의 높이를 높게 형성해 두어야 하여, 커넥터 장치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인슐레이터 (하우징 ; 51) 에 유지된 컨택트 (커넥터 단자 ; 52) 는 접점 (52a) 이 형성되어 있는 자유단측을 카드 (20) 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안쪽을 향해 연장 돌출시켜 형성하면 되지만, 이 경우에는 컨택트 (52) 의 유지부가 반대로 카드 수납부의 삽입구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카드를 삽입할 때 컨택트 (52) 의 접점 (52a) 이 카드에 접촉하면, 인슐레이터 (51) 의 자유단측인 카드 삽입구측이 컨택트 (52) 의 스프링압에 의해 카드 수납부측으로 휘게 되어 카드와의 접촉압을 유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구성에서는,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의 접점부가, 회전운동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하는 한 장의 접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점 스프링의 자기 복귀용 탄성압과 접점부의 접점압을 동일한 접점 스프링으로 얻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접점 스프링이 늘어지고 접점압이 저하하여 접촉이 불안정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접점압을 올리려면 접점 스프링을 크게 해야 하고, 그 때문에 하우징을 크게 해야 하므로,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가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카드의 삽입장착시에 커넥터 단자의 접점부가 좌굴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접점부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나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의 접점부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카드가 삽입장착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드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접점부를 갖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로부터 도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상기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단자는 일단측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카드 삽입구측에서 안쪽을 향해 연장 설치되며, 상기 접점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창문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부 내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창문부의 양 측단을 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의 안쪽까지 연장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창문부에 배치된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접점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된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카드의 삽입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게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접속단자가 연속된 한 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일체로 매설되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에는, 삽입되는 상기 카드의 일단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과 이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사이를 접속하는 가동 접점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을 상기 상부 케이스의 안쪽까지 연장 설치된 상기 접속단자의 일부를 도출하여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카드가 삽입장착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드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카드의 일단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가지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과 이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사이를 접속하는 가동 접점을 가지며, 상기 가동 접점을 2 개의 좌권부 (座卷部) 를 갖는 하나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맞닿는 제 1 접점 스프링과, 상기 제 2 고정 접점과 맞닿는 제 2 접점 스프링을 형성하고, 이 제 1 접점 스프링 및 제 2 접점 스프링을 각각 다른 좌권부로부터 연장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카드의 일단부와 맞닿아 회전운동되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이 구동 부재에 상기 가동 접점이 유지되며,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구동 부재에는 상기 가동 접점의 상기 제 1 접점 스프링의 좌권부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의 좌권부를 유지하는 제 2 유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유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축지지하여 상기 제 1 접점 스프링을 상기 제 1 고정 접점에 접촉한 상태로 탄성지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유지부를 상기 제 1 유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하여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과 상기 제 2 고정 접점을 접속분리 가능하게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8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은,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의 좌권부가 비틀어짐으로써 상기 제 2 고정 접점 위를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9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접점 스프링이 상기 구동 부재의 복귀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이 상기 제 2 고정 접점과의 접점압 부여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0 해결수단으로서, 카드가 삽입장착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드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접점부를 갖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위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상기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카드 삽입구측에서 안쪽을 향해 연장 설치되며, 상기 접점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 중앙에 형성된 창문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부 내로 굴곡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카드가 삽입될 때 상기 접점부가 밀려 올라감에 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수납부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1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커버 부재를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이 금속판에 하방으로 굴곡된 걸림단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걸림단부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걸림단부를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수납부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걸림단부 및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를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카드 삽입구측 중앙에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 다.
또, 제 1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걸림단부 및 걸어맞춤 오목부를 상기 카드 삽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폭이 긴 형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5 에 나타낸다. 도 1 은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 도 2 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정면도, 도 3 은 커버 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 도 4 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5 는 카드 배출 위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 도 6 은 카드 배출 위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요부 단면도, 7 은 카드 삽입 도중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 도 8 은 카드 삽입 도중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9 는 카드 삽입장착 위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 도 10 은 카드 삽입장착 위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11 은 상부 케이스의 저면도, 도 12 는 상부 케이스의 요부 단면도, 도 13 은 구동 부재와 가동 접점의 저면도, 도 14 는 구동 부재와 가동 접점의 측면도, 도 15 는 상부 케이스와 커버 부재의 걸어맞춤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있어서, 하우징 (1)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전방이 개구된 사각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에 겹쳐진 상부 케이스 (2) 와 하부 케이스 (3) 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 (1) 의 중앙에는 수납부 (1a)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우징 (1) 에는, 상기 수납부 (1a) 에 연속하여 하우징 (1) 의 전면(前面)에는 카드 삽입구 (1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 납부 (1a) 에는, 탄성을 갖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단자 (4) 가 복수 병설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 (2) 는,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에 의해 대략 평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복수의 창문부 (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창문부 (2a) 에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 (4)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 단자 (4) 는, 일단측이 상기 상부 케이스 (2) 의 카드 삽입구측 (화살표 A 로 나타낸다) 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연장 설치되며, 상부 케이스 (2) 에 형성된 상기 창문부 (2a) 를 통하여 상기 수납부 (1a) 안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자유단에 접점부 (4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단자 (4) 는, 상기 상부 케이스 (2) 에 인서트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적으로 매설되어 있고, 그 중간의 도전부 (4b) 가, 상기 상부 케이스 (2) 의 상기 창문부 (2a) 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굴곡되어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전부 (4b) 가 상기 상부 케이스 (2) 의 후단부까지 연장 설치되고, 커넥터 단자 (4) 의 타단측이 상기 상부 케이스 (2) 의 후방 외측면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복수의 접속 단자 (4c)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접속 단자 (4c) 가 전자기기 등과 같은 외부의 회로 기판상의 회로 패턴과 납땜되어 고착됨으로써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단자 (4) 는, 상기 접점부 (4a) 와 접속 단자 (4c) 가 연속된 한 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의 도전부 (4b) 가 상기 상부 케이스 (2) 내에 일체로 매설되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 (2) 의 창문부 (2a) 에 설치된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와, 상부 케이스 (2) 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접속 단자 (4c) 는, 카드 삽입구측에서 카드 삽입 방향으로 연장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와 접속 단자 (4c) 가, 연속된 한 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중간의 도전부 (4b) 가 상부 케이스 (2) 내에 일체로 매설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단자 (4) 의 구조가 번잡하게 되지 않고 간이하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커넥터 단자 (4) 로부터 도출된 접속 단자 (4c) 가 하우징 (1) 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도,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를 카드의 삽입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단자 (4) 의 일단측에 연장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접점부 (4a) 가, 상기 수납부 (1a) 안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후술하는 카드 (12) 가 삽입장착되었을 때에, 이 접점부 (4a) 에 카드 (12) 의 외부 접촉부 (12a) 가 접속되게 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 (2) 에는, 카드 삽입구측과는 반대측의 안쪽에, 카드 (12) 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인 한 쌍의 접점부,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은, 도전성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은, 상기 상부 케이스 (2) 의 후단부까지 연장 설치된 상기 접속 단자 (4c) 의 일부를 도출하여, 마찬가지로 인서트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드 (12) 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인 한 쌍의 접점부,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을 상부 케이스 (2) 의 안쪽까지 연장 설치된 접속 단자 (4c) 의 일부를 도출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늘리지 않고 카드 (12) 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 (2) 의 일측부에는 절결부 (2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 (2b) 상에 후술하는 커버 부재 (11) 에 형성된 누름편 (11b) 이 배치되어, 이 누름편 (11b) 이 절결부 (2b) 를 통하여 하방에 배치된 하부 케이스 (3) 에 축지지되어 있는 후술하는 로크 부재 (7) 를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 (2) 의 카드 삽입구측의 중앙부에는, 오목형상의 걸어맞춤 오목부 (2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걸어맞춤 오목부 (2c) 는 카드 삽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폭이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오목부 (2c) 에, 후술하는 커버 부재 (11) 와 동일하게 카드 삽입구측의 중앙부에 형성된 훅 형상의 걸림단부 (11c) 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부 케이스 (2) 가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측으로 변위 (휨) 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 (2) 에는, 상기 커넥터 단자 (4) 의 중간의 도전부 (4b) 가 상기 상부 케이스 (2) 안에 일체로 매설되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복수 지점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 (2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 (2d) 은, 상부 케이스 (2) 에 커넥터 단자 (4) 를 일체로 인서트 성형한 후에, 각각의 커넥터 단자 (4) 를 개개로 독립시키기 위한 절단 펀치의 가공 흔적이다.
하부 케이스 (3) 는,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에 의해 상면 및 전면이 개구된 형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의 상측에 상부 케이스 (2) 가 겹쳐지고 이 개구부안에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하부 케이스 (3) 의 일측부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 (10) 를 카드 배출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지지 부재 (6) 를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 (3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수용부 (3a) 의 축선상에서 전면의 카드 삽입구측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 (10) 의 일단측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 (10b) 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금속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로크 부재 (7) 의 일단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축구멍 (3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 (3) 의 후방 단부에는, 후술하는 구동 부재 (8) 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지지구멍 (3c)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구멍 (3c)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구동 부재 (8) 가 카드 (12) 의 삽입에 수반하여 회전운동되게 되어 있다.
구동 부재 (8) 는,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가늘고 긴 형상의 아암부 (8a) 와, 이 아암부 (8a) 의 일단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부 (8b) 와, 이 작동부 (8b) 의 타단측에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지지축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유지부 (8c) 와, 상기 아암부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입벽형상의 제 2 유지부 (8d) 를 갖고 있다.
이 구동 부재 (8) 에는, 도전성의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고, 2 개의 좌권부를 갖는 하나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가동 접점 (9) 이 부착되어 있다. 이 가동 접점 (9) 에는, 2 개의 좌권부로부터 각각 연장돌출되는 제 1 접점 스프링 (9a), 및 제 2 접점 스프링 (9b) 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9) 은, 제 1 접점 스프링 (9a) 이 연장돌출된 좌권부가 구동 부재 (8) 의 제 1 유지부 (8c) 의 지지축에 유지되고, 제 2 접점 스프링 (9b) 이 연장된 좌권부가 구동 부재 (8) 의 제 2 유지부 (8d) 의 중공 입벽 내에 유지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 구동 부재 (8) 의 제 1 유지부 (8c) 의 지지축의 선단이 상기 하부 케이스 (3) 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지지구멍 (3c)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지지구멍 (3c)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구동 부재 (8) 가 카드 (12) 가 삽입될 때에 카드 (12) 의 일단부와 맞닿아 회전운동됨으로써, 구동 부재 (8) 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가동 접점 (9) 의 제 1 및 제 2 접점 스프링 (9a, 9b) 이 상기 상부 케이스 (2) 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과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 때, 구동 부재 (8) 는, 제 1 유지부 (8c) 를 상기 하부 케이스 (3) 의 지지구멍 (3c) 에 축지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접점 스프링 (9a) 을 상기 제 1 고정 접점 (5a) 에 접촉한 상태로 탄성지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유지부 (8d) 를 상기 제 1 유지부 (8c) 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 (9b) 과 상기 제 2 고정 접점 (5b) 이 접촉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 부재 (8) 에는, 가동 접점 (9) 의 제 1 접점 스프링 (9a) 의 좌권부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 (8c) 와, 제 2 접점 스프링 (9b) 의 좌권부를 유지하는 제 2 유지부 (8d) 를 형성하여, 제 1 유지부 (8c) 를 하우징 (1) 에 축지지시키고, 제 1 접점 스프링 (9a) 을 제 1 고정 접점 (5a) 에 접촉한 상태로 탄성지지시키는 동시에, 제 2 유지부 (8d) 를 제 1 유지부 (8c) 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제 2 접점 스프링 (9b) 과 제 2 고정 접점 (5b) 을 접촉분리 가능하게 배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동 접점 (9) 을 확실하게 구동 부재 (8) 에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 1 접점 스프링 (9a) 과 제 2 접점 스프링 (9b) 을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지지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접점 스프링 (9b) 이 제 2 고정 접점 (5b) 과 접촉하였을 때에, 구동 부재 (8) 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 (9b) 의 좌권부가 비틀림으로써, 이 좌권부의 비틀림 작용에 의해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 (9b) 이 상기 제 2 고정 접점 (5b) 의 접촉면 상에서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접점 스프링 (9b) 은, 구동 부재 (8) 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제 2 접점 스프링 (9b) 의 좌권부가 비틀림으로써 상기 제 2 고정 접점 (5b) 의 접촉면 상에서 슬라이딩 접촉하기 때문에, 서로의 접점부가 접촉할 때에는 서로 긁히는 셀프 클리닝 작용이 얻어지므로, 접촉 신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 (9) 을, 2 개의 좌권부를 갖는 제 1 및 제 2 접점 스프링 (9a, 9b) 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고, 제 1 접점 스프링 (9a) 으로 상기 구동 부재 (8) 의 회전운동 동작후의 복귀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 (9b) 으로 상기 제 2 고정 접점 (5b) 과의 접점압 부여용 스프링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접점 스프링 (9a) 이 구동 부재 (8) 의 복귀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제 2 접점 스프링 (9b) 이 제 2 고정 접점 (5b) 과의 접점압 부여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복귀용 스프링과 접점압 부여용 스프링을 다른 접점 스프링으로 형성하므로 접점압을 확실하게 부여시킬 수 있어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 부재 (10)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대략 역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카드 (12) 의 삽입 및 배출에 수반하여 카드 (12) 의 삽입 및 배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부재 (10) 의 기부의 일단측에는, 하부 케이스 (3) 의 스프링 수용부 (3a) 에 수용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탄성지지 부재 (6) 의 일단부가 걸리는, 스프링 걸림부 (10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부의 상면의 일단측에는, 하부 케이스 (3) 의 축구멍 (3b) 에 일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상기 로크 부재 (7) 와 협동하여, 상기 탄성지지 부재 (6)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 부재 (10) 를 카드 (12) 의 삽입장착 위치에 지지하는 하트형 캠홈 (10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 (10) 의 일단측에는, 기부로부터 카드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카드 (12) 의 일단부 (전단부) 와 맞닿는 카드 맞닿음부 (10c)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2) 의 상면측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부재 (11) 가 상부, 하부 케이스 (2, 3) 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커버 부재 (11) 는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배치된 상기 커넥터 단자 (4) 의 상면을 덮도 록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의 복사 노이즈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실드판의 역할도 한다.
또 커버 부재 (11) 의 일측부에는 창절개부 (11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창절개부 (11a) 의 한 변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탄성을 갖는 누름편 (11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편 (11b) 이 상부 케이스 (2) 의 절결부 (2b) 를 통해, 하부 케이스 (3) 에 축지지된 로크 부재 (7) 를 슬라이드 부재 (10) 의 하트형 캠홈 (10b) 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 (11) 의 카드 삽입구측의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굴곡된 훅 형상의 걸림단부 (11c) 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걸림단부 (11c) 는 카드 삽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폭이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 (11) 가 하우징 (1) 을 덮도록 장착되었을 때에는, 이 걸림단부 (11c) 와, 상부 케이스 (2) 의 동일하게 카드 삽입구측의 중앙부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 (2c) 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부 케이스 (2) 가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측으로 변위 (휨) 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부 케이스 (2) 에 커버 부재 (11) 를 장착할 때에는, 커버 부재 (11) 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간단하게 커버 부재 (11) 의 훅 형상의 걸림단부 (11c) 와 상부 케이스 (2) 의 걸어맞춤 오목부 (2c) 를 걸어맞출 수 있게 되어 있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 (11) 및 상부 케이스 (2) 에는, 카드 (12) 가 삽입될 때, 접점부 (4a) 가 밀어올려짐에 따라 (커넥터 단자 (4) 가 갖는 탄성에 의한 반 작용에 의해), 상부 케이스 (2) 가 수납부 (1a) 측으로 변위 (휨) 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걸림단부 (11c) 및 걸어맞춤 오목부 (2c) 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커버 부재 (11) 에 의해 접점부 (4a) 가 눌려졌을 때의 상부 케이스 (2) 의 변위가 규제되므로, 상부 케이스 (2) 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고, 하우징 (1) 의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 (11) 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금속판에 하방으로 굴곡된 걸림단부 (11c) 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금속의 커버 부재 (11) 에 걸림단부 (11c) 를 형성하만 하는 간단한 구조로 상부 케이스 (2) 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게 된다.
또, 걸림단부 (11c) 및 걸어맞춤 오목부 (2c) 를 커버 부재 (11) 및 상부 케이스 (2) 의 카드 삽입구측의 중앙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 (2) 가 가장 크게 변위되는 곳을 규제할 수 있어, 확실하게 상부 케이스 (2) 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게 된다. 또, 걸림단부 (11c) 및 걸어맞춤 오목부 (2c) 를, 카드 삽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폭이 긴 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변위 방향에 대한 규제부의 폭이 넓어지므로, 강도가 강고해져 더욱 확실하게 상부 케이스 (2) 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게 된다.
카드 (12) 는 예를 들어 RS-MMC 카드 (리듀스 사이즈 - 멀티 미디어 카드) 로, 내부에 집적회로 (IC) 가 수납되어 있어 기록매체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 카드 (12) 의 한 표면에는, 그 일단측에 복수의 외부 접촉부 (12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외부 접촉부 (12a) 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배치된 상기 커 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와 접촉함으로써, 외부에 접속된 전자기기와의 각종 정보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카드 (12) 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삽입되었을 때, 카드 (12) 의 전단부가 슬라이드 부재 (10) 의 카드 맞닿음부 (10c) 에 맞닿음으로써, 슬라이드 부재 (10) 가 카드 (12) 의 삽입에 따라 삽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0 을 사용하여 상기 카드 (12) 를 커넥터 장치에 삽입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카드 (12) 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 즉 상기 카드 (12) 를 삽입하지 않은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 (10) 는 상기 탄성지지 부재 (6)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카드 배출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카드 (12) 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용부 (1a) 에 삽입되면, 상기 카드 (12) 의 전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 (10) 의 카드 맞닿음부 (10c) 에 맞닿아 지지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카드 (12) 의 외부 접촉부 (12a) 는 상기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와는 이간되어 있다. 또 카드 (12) 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인 가동 접점 (9) 은, 구동 부재 (8) 의 복귀용 스프링으로서의 제 1 접점 스프링 (9a)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구동 부재 (8) 가 카드의 배출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고, 제 1 접점 스프링 (9a) 과 제 1 고정 접점 (5a) 은 접촉하고 있으나, 제 2 접점 스프링 (9b) 과 제 2 고정 접점 (5b) 이 이간된 상태 로 되어 있다 (도 5, 도 6 참조).
다음에 상기 카드 (12) 를 카드 삽입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 (10) 가 카드 (12) 의 삽입에 따라 삽입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상기 탄성지지 부재 (6)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 부재 (10) 가 카드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카드 (12) 의 전단부가,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구동 부재 (8) 의 작동부 (8b) 에 맞닿고, 구동 부재 (8) 를 제 1 접점 스프링 (9a)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카드 삽입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 (10) 의 이동에 수반하여 로크 부재 (7) 의 일단부가 슬라이드 부재 (10) 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 (10b) 을 트레이스한다 (도 7, 도 8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 단자 (4) 는, 일단측이 상부 케이스 (2) 의 카드 삽입구측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접점부 (4a) 가 상부 케이스 (2) 에 설치된 창문부 (2a) 를 통해 수납부 (1a) 내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또, 타단측은 상부 케이스 (2) 의 창문부 (2a) 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케이스 (2) 의 안쪽까지 연장되어, 하우징 (1) 의 외방으로 돌출되어 접속단자 (4c) 를 형성하기 때문에,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를 카드 삽입구측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시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수납부 (1a) 에 카드 (12) 를 삽입장착할 때에, 카드 (12) 의 선단이 커넥터 단자 (4) 에 맞닿았다고 해도 무리없이 상방으로 휘기 (피하기) 때문에,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가 좌굴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점부 (4a) 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측이 상부 케이스 (2) 의 카드 삽입구측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어, 접점부 (4a) 의 선단에 좌굴방지용으로서의 가이드편 등을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카드 (12) 의 삽입장착시에 가이드편 등이 하우징 (1) 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우려가 없으므로, 하우징 (1) 의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없어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카드 (12) 를 카드의 삽입 방향으로 더욱 누르면, 로크 부재 (7) 의 일단부가 슬라이드 부재 (10) 에 연장된 하트형 캠홈 (10b) 을 트레이스하여 로크 위치에 로크되어, 상기 카드 (12) 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카드 삽입장착 위치에 삽입장착된다. 이 때, 상기 카드 (12) 의 외부 접촉부 (12a) 는 상기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구동 부재 (8) 는 카드 (12) 의 삽입장착과 동시에 카드 삽입 방향으로 회전운동됨으로써, 접점압 부여용 제 2 접점 스프링 (9b) 이 제 2 고정 접점 (5b) 과 접촉하여, 가동 접점 (9) 을 통해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카드 (12) 의 삽입장착이 검출된다 (도 9, 도 10 참조).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상기 카드 (12) 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일단 다시 카드 (12) 를 삽입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 (7) 가 상기 하트 캠홈 (10b) 의 로크 위치에서 벗어나, 상기 탄성지지 부재 (6)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 (10) 가 카드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슬라이드 부재 (10) 와 함께 상기 카드 (12) 가 배출위치까지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 (1) 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 (10) 를 카드 배출 방향 으로 탄성지지하는 상기 탄성지지 부재 (6) 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 (10) 를 상기 탄성지지 부재 (6)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카드 삽입장착 위치에 유지하는 로크 부재 (7) 를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카드 (12) 를 배출할 때에는, 상기 탄성지지 부재 (6) 의 탄성지지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카드 (12) 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카드 (12) 의 일단부에 의해 구동되어 카드 (12) 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상기 하우징 (1) 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과, 이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사이를 접속하는 가동 접점 (9) 으로 형성하고, 이 가동 접점 (9) 을, 2개의 좌권부를 갖는 1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상기 제 1 고정 접점 (5a) 과 맞닿는 제 1 접점 스프링 (9a) 과, 상기 제 2 고정 접점 (5b) 과 맞닿는 제 1 접점 스프링 (9b) 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접점 스프링 (9a) 및 제 2 접점 스프링 (9b) 을, 각각 다른 좌권부로부터 연장하였기 때문에, 또한 카드 (12) 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의 접점부를, 접점 스프링의 자기 복귀용 탄성압과 접점부의 접점압을 다른 접점 스프링으로 얻도록 하였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였다고 해도 접점부의 접점 스프링이 늘어지고 접점압이 저하되는 일이 없어져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접점압을 높이기 위해, 접점 스프링의 형상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져,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하우징 (1) 에는, 카드 (12) 의 일단부와 맞닿아 회전운동되는 상기 구동 부재 (8) 를 구비하고 있고, 이 구동 부재 (8) 에 상기 가동 접점 (9) 이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축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카드 (12) 의 삽입장착을 상기 구동 부재 (8) 를 통해 확실하게 가동 접점 (9) 에 전달할 수 있어, 카드 (12) 의 삽입장착 검출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8 은,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6 은 카드 배출 위치, 도 17 은 카드 삽입장착 중간, 도 18 은 카드 삽입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상이한 점은, 하우징 (1) 에 배치된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의 연장 방향이 상이한 점과, 카드의 종류와,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의 구성이 상이한 점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1) 은 하부 케이스만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하우징 (1) 에 복수의 커넥터 단자 (4) 가 일체적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커넥터 단자 (4) 의 접속단자 (4c) 는, 동일하게 하우징 (1) 의 후방 외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삽입되는 카드의 외부 접촉부와 접속되는 접점부 (4a) 는, 하우징 (1) 의 안쪽으로부터 카드삽입구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점부 (4a) 가 하우징 (1) 에 설치된 창문부 (1c) 를 통해 수납부 (1a) 내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단자 (4) 는,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안쪽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카드 (13) 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인 1쌍의 접점부,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은,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측면부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동일하게 이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은, 도전성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은, 하우징 (1) 의 후방 외측면으로 돌출된 상기 접속단자 (4c) 의 일부와 도출되어, 동일하게 인서트 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납부 (1a) 에 설치되어 카드 (13) 의 삽입에 따라 회전운동되는 구동 부재 (8) 와, 이 구동 부재 (8) 에 지지되는 가동 접점 (9) 에 대해서는,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카드 (13) 는 도 2 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이 카드 (13) 는 예를 들어 SD-MINI 카드 (시큐어 디지털 미니 카드) 로, 동일하게 내부에 집적회로 (IC) 가 수납되어 있어 기록매체로서 사용된다. 이 제 1 카드 (13) 의 일 표면에는 그 일단측에 복수의 외부 접촉부 (도시생략)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외부 접촉부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설치된 상기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와 접촉함으로써, 외부에 접속된 전자기기와의 각종 정보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초기 상태, 즉 상기 카드 (13) 를 삽입하지 않은 때에는, 슬라이드 부재 (10) 는 탄성지지 부재 (6)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카드의 배출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카드 (13) 가 하우징 (1) 의 수용부 (1a) 에 삽입되면, 카드 (13) 의 좌측 전단부가, 슬라이드 부재 (10) 의 카드 맞닿음부 (10c) 에 맞닿아 지 지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카드 (13) 의 외부 접촉부 (도시생략) 는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와는 이간되어 있다. 또 카드 (13) 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인 가동 접점 (9) 은, 구동 부재 (8) 의 복귀용 스프링으로서의 제 1 접점 스프링 (9a)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구동 부재 (8) 가 시계 반대 방향 (도시 왼쪽 방향) 으로 탄성지지되어 있고, 제 1 접점 스프링 (9a) 과 제 1 고정 접점 (5a) 은 접촉되어 있지만, 제 2 접점 스프링 (9b) 과 제 2 고정 접점 (5b) 이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6 참조).
다음에, 상기 카드 (13) 를 카드의 삽입 방향으로 멀어 넣으면, 슬라이드 부재 (10) 가 카드 (13) 의 삽입에 수반하여 삽입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탄성지지 부재 (6)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 부재 (10) 가 카드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카드 (13) 의 오른쪽 전단부가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구동 부재 (8) 의 작동부 (8b) 에 맞닿고, 구동 부재 (8) 를 제 1 접점 스프링 (9a)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시계 방향 (도시 오른쪽 방향) 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 (10) 의 이동과 함께 로크 부재 (7) 의 일단부가 슬라이드 부재 (10) 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 (10b) 을 트레이스한다 (도 17 참조).
다음에, 또한 상기 카드 (13) 를 카드의 삽입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로크 부재 (7) 의 일단부가 슬라이드 부재 (10) 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 (10b) 을 트레이스하여 로크 위치에 로크되고, 상기 카드 (13) 가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카드 삽입장착 위치에 삽입장착된다. 이 때, 상기 카드 (13) 의 외부 접촉부는 커넥터 단자 (4) 의 접점부 (4a) 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구동 부재 (8) 는 카드 (13) 의 삽입장착과 함께 시계 방향 (도시 오른쪽 방향) 으로 회전운동됨으로써 접점압 부여용 제 2 접점 스프링 (9b) 이 제 2 고정 접점 (5b) 에 접촉하고, 가동 접점 (9) 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5a, 5b)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카드 (13) 의 삽입장착이 검출된다 (도 18 참조).
도 18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상기 카드 (13) 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다시 카드 (13) 를 일단 삽입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로크 부재 (7) 가 하트 캠홈 (10b) 의 로크 위치에서 벗어나 탄성지지 부재 (6)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 (10) 가 카드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슬라이드 부재 (10) 와 함께 상기 카드 (13) 가 배출위치까지 배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1) 이 하부 케이스만이어도 되며, 상부 케이스가 필요없기 때문에 부품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 하우징 (1) 내에 도전부를 둘러치지 않아도 되므로, 커넥터 단자 (4) 의 구성이 간이해지고 저비용화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는, 카드가 삽입장착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수납부에 배치되어 카드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접점부를 갖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고, 커넥터 단자로부터 도출되어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접속단자를 갖고,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단자는 일단측이 상부 케이스의 카드 삽입구측에서 안쪽을 향해 연장 설치되며, 접점부가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창문부를 통하여 수납부 내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은 상부 케이스의 창문부의 양 측단을 따라 상부 케이스의 안쪽까지 연장 설치되며,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하여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커넥터 단자의 접점부를 카드 삽입구측에서 안쪽을 향해 연장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부에 카드를 삽입장착할 때, 카드의 선단이 커넥터 단자에 맞닿았다고 해도 무리없이 상방으로 휘기 (피하기) 때문에, 커넥터 단자의 접점부가 좌굴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점부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하우징의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상부 케이스의 창문부에 배치된 커넥터 단자의 접점부와,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된 접속단자를, 카드의 삽입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 돌출시켜 형성한 점에서, 커넥터 단자로부터 도출된 접속단자가 하우징의 안쪽에서 돌출된 커넥터 장치에서도 점점부의 접촉신뢰성이 우수한 커넥터 단자 구조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또, 커넥터 단자와 접속단자가 연속된 한 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가 상부 케이스 내에 일체로 매설되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커넥터 단자의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고 간이하기 때문에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하우징의 수납부에는, 삽입되는 카드의 일단부에 의해 구동되어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검출 수단은,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과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사이를 접속하는 가동 접점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을 상부 케이스의 안쪽까지 연장 설치된 접속단자의 일부를 도출하여 형성한 점에서, 부품수를 늘리는 일없이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는, 카드가 삽입장착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수납부에 배치되어 카드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접점부를 갖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고, 카드의 일단부에 의해 구동되어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며, 검출 수단은,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과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사이를 접속하는 가동 접점을 가지며, 가동 접점을 2 개의 좌권부를 갖는 하나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제 1 고정 접점과 맞닿는 제 1 접점 스프링과, 제 2 고정 접점과 맞닿는 제 2 접점 스프링을 형성하고, 제 1 접점 스프링 및 제 2 접점 스프링을 각각 다른 좌권부로부터 연장 설치한 점에서,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의 접점부를, 접점 스프링의 자기 복귀용 탄성압과 접점부의 접점압을 다른 접점 스프링으로 얻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였다고 해도 접점부의 접점 스프링이 늘어져 접점압이 저하되는 일이 없어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점압을 높이기 위해 접점 스프링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하우징에는, 카드의 일단부와 맞닿아 회전운동되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구동 부재에 가동 접점이 유지되며, 하우징의 수납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점에서, 카드의 삽입장착을 구동 부재를 통하여 확실하게 가동 접점에 전동 (傳動)할 수 있어 카드의 삽입장착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 구동 부재에는 가동 접점의 제 1 접점 스프링의 좌권부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제 2 접점 스프링의 좌권부를 유지하는 제 2 유지부를 형성하고, 제 1 유지부를 하우징에 축지지하여 제 1 접점 스프링을 제 1 고정 접점에 접촉한 상태로 탄성지지시키는 동시에 제 2 유지부를 제 1 유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하여 제 2 접점 스프링과 제 2 고정 접점을 접촉분리 가능하게 배치한 점에서, 가동 접점을 확실히 구동 부재에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 1 접점 스프링과 제 2 접점 스프링을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지지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2 접점 스프링은 구동 부재의 회전운동에 따라 제 2 접점 스프링의 좌권부가 비틀어짐으로써 제 2 고정 접점 위를 슬라이딩 접촉하는 점에서, 서로의 접점부가 접촉할 때에는 서로 긁히는 셀프 클리닝 작용이 얻어지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제 1 접점 스프링이 구동 부재의 복귀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제 2 접점 스프링이 제 2 고정 접점과의 접점압 부여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는 점에서, 복귀용 스프링과 접점압 부여용 스프링을 다른 접점 스프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접점압을 확실하게 부여시킬 수 있어 접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는, 카드가 삽입장착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수납부에 배치되어 카드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접점부를 갖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고, 하우징 위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를 갖고, 하우징은 상부 케 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단자는 상부 케이스의 카드 삽입구측에서 안쪽을 향해 연장 설치되며, 접점부가 상부 케이스 중앙에 형성된 창문부를 통하여 수납부 내로 굴곡되어 상부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부재 및 상부 케이스에는 카드가 삽입될 때 접점부가 밀려 올라감에 따라 상부 케이스가 수납부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형성한 점에서, 카드의 삽입장착시에 커넥터 단자의 접점부가 좌굴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점부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커버 부재에 의해 접점부가 눌려졌을 때의 상부 케이스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고, 하우징의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를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금속판에 하방으로 굴곡된 걸림단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부 케이스에 걸림단부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림단부를 걸어맞춤으로써 상부 케이스가 수납부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한 점에서, 금속의 커버 부재에 걸림단부를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만으로 상부 케이스의 변위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걸림단부 및 걸어맞춤 오목부를 커버부재 및 상부 케이스의 카드 삽입구측 중앙에 형성한 점에서, 상부 케이스가 가장 크게 변위되는 지점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상부 케이스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걸림단부 및 걸어맞춤 오목부를 카드 삽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폭이 긴 형상으로 형성한 점에서, 변위 방향에 대한 규제부의 폭이 확대되 므로 강도가 강해지고, 또한 확실하게 상부 케이스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Claims (15)

  1. 카드가 삽입장착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드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접점부를 갖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로부터 도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상기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단자는 일단측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카드 삽입구측에서 안쪽을 향해 연장 설치되며, 상기 접점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창문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부 내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창문부의 양 측단을 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의 안쪽까지 연장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창문부에 배치된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접점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방으로 돌출된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카드의 삽입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접속단자가 연속된 한 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일체로 매설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접속단자가 연속된 한 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일체로 매설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에는, 삽입되는 상기 카드의 일단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과 이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사이를 접속하는 가동 접점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을 상기 상부 케이스의 안쪽까지 연장 설치된 상기 접속단자의 일부를 도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6. 카드가 삽입장착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드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카드의 일단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카드의 삽입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과 이 제 1 및 제 2 고정 접점 사이를 접속하는 가동 접점을 가지며, 상기 가동 접점을 2 개의 좌권부 (座卷部) 를 갖는 하나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맞닿는 제 1 접점 스프링과, 상기 제 2 고정 접점과 맞 닿는 제 2 접점 스프링을 형성하고, 이 제 1 접점 스프링 및 제 2 접점 스프링을 각각 다른 좌권부로부터 연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카드의 일단부와 맞닿아 회전운동되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이 구동 부재에 상기 가동 접점이 유지되며,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에는 상기 가동 접점의 상기 제 1 접점 스프링의 좌권부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의 좌권부를 유지하는 제 2 유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유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축지지하여 상기 제 1 접점 스프링을 상기 제 1 고정 접점에 접촉한 상태로 탄성지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유지부를 상기 제 1 유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하여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과 상기 제 2 고정 접점을 접속분리 가능하게 배치한 것카드용 커넥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은,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의 좌권부가 비틀어짐으로써 상기 제 2 고정 접점 위를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은,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의 좌권부가 비틀어짐으로써 상기 제 2 고정 접점 위를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 스프링이 상기 구동 부재의 복귀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상기 제 2 접점 스프링이 상기 제 2 고정 접점과의 접점압 부여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12. 카드가 삽입장착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드의 외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접점부를 갖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위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상기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카드 삽입구측에서 안쪽을 향해 연장 설치되며, 상기 접점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 중앙에 형성된 창문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부 내로 굴곡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카드가 삽입될 때 상기 접점부가 밀려 올라감에 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수납부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를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이 금속판에 하방으로 굴곡한 걸림단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걸림단부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걸림단부를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수납부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부 및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를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카드 삽입구측 중앙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부 및 걸어맞춤 오목부를 상기 카드 삽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폭이 긴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KR1020040082748A 2003-10-28 2004-10-15 카드용 커넥터 장치 KR100607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67370 2003-10-28
JPJP-P-2003-00367372 2003-10-28
JP2003367372A JP4291108B2 (ja) 2003-10-28 2003-10-28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367371A JP4209307B2 (ja) 2003-10-28 2003-10-28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367370A JP4191007B2 (ja) 2003-10-28 2003-10-28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JP-P-2003-00367371 2003-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711A KR20050040711A (ko) 2005-05-03
KR100607891B1 true KR100607891B1 (ko) 2006-08-03

Family

ID=3479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748A KR100607891B1 (ko) 2003-10-28 2004-10-15 카드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07891B1 (ko)
CN (1) CN1321484C (ko)
TW (1) TWI2575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480B1 (ko) * 2005-09-27 2007-12-03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KR100998174B1 (ko) * 2007-04-27 2010-12-03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JP4966729B2 (ja) * 2007-04-27 2012-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カード挿入口付き電子機器
JP2009093890A (ja) * 2007-10-05 2009-04-30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コネクタ
JP4866451B2 (ja) * 2009-08-03 2012-02-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5024687B2 (ja) * 2010-04-20 2012-09-12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5623204B2 (ja) * 2010-09-08 2014-11-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163A (ja) 1998-06-29 2000-01-14 Alps Electric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20061493A (ko) * 2001-01-15 2002-07-24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커넥터장치
JP2003123028A (ja) 2001-10-18 2003-04-25 Sony Corp 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
KR20040047700A (ko) * 2002-11-29 2004-06-05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커넥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73060Y (zh) * 1996-09-09 1998-01-21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2458772Y (zh) * 1998-12-08 2001-11-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402024Y (zh) * 1999-11-16 2000-10-18 张春荣 改良结构的记忆卡连结器
JP3385252B2 (ja) * 1999-12-06 2003-03-10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163A (ja) 1998-06-29 2000-01-14 Alps Electric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20061493A (ko) * 2001-01-15 2002-07-24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커넥터장치
JP2003123028A (ja) 2001-10-18 2003-04-25 Sony Corp 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
KR20040047700A (ko) * 2002-11-29 2004-06-05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2418A (zh) 2005-05-04
KR20050040711A (ko) 2005-05-03
TW200525446A (en) 2005-08-01
CN1321484C (zh) 2007-06-13
TWI257585B (en) 200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5889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KR100416284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KR100484570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US7427206B2 (en) Card connector
US7717724B2 (en) Connector card housing with a slider restraining protrusion
KR100503101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US676432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end position switch
US669227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spring switch
WO2005073899A1 (en) Memory card connector
EP1508874B1 (en) Memory card connector
US6839431B2 (en) Card connector
EP1678662B1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card eject mechanism
KR100607891B1 (ko) 카드용 커넥터 장치
JP514765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80188134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JP420930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26805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29110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19100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1076652B1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JP200215120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0322145B1 (ko) 접점구조
US20040259399A1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card lock
WO2004082076A1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board mounting means
JP2011233076A (ja) カード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機構およびカー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