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485B1 -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 - Google Patents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485B1
KR100607485B1 KR1020040075166A KR20040075166A KR100607485B1 KR 100607485 B1 KR100607485 B1 KR 100607485B1 KR 1020040075166 A KR1020040075166 A KR 1020040075166A KR 20040075166 A KR20040075166 A KR 20040075166A KR 100607485 B1 KR100607485 B1 KR 100607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way valve
valve
electrolytic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294A (ko
Inventor
윤대덕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4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해조 후방에 3웨이밸브를 설치하여 세정시에 사용자가 산성수를 음용할 수 없도록 한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전해조, 3웨이밸브, 세정

Description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 { Ion water purifier using 3-way valve }
도 1은 종래의 이온정수기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수급수밸브, 20 : 필터부,
30 : 정수급수밸브, 40 : 전해조유량계,
50 : 전해조, 52 : 배수구,
54 : 산성수출수구, 56 : 알칼리수출수구,
60 : 플렉시블관, 70 : 출수밸브, 3웨이밸브,
72 : 제1출수구, 74 : 제2출수구.
본 발명은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해조 후방에 3웨이밸브를 설치하여 세정시에 사용자가 산성수를 음용할 수 없도록 한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온정수기는 이온수기에 정수기능이 추가되어 필터링된 정수를 재차 전해조를 사용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온정수기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온정수기는 원수급수밸브(10), 필터부(20), 정수급수밸브(30), 전해조(50), 플렉시블관(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수급수밸브(10)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이고, 상기 필터부(20)는 상기 원수를 여과하는 장치이고, 상기 정수급수밸브(30)는 필터링된 정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그리고, 상기 전해조(50)는 필터링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이온화하는 장치이고, 상기 플렉시블관(flexible pipe, 6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연한 관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해조(50)는 정수가 유입되는 1개의 유입구와 알칼리수가 출수되는 알칼리수 출수구(56), 산성수가 출수되는 산성수 출수구(54), 사용 후 상기 전해조(50)의 잔류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52)로 이루어진다.
이온수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해조(50)에 물을 흐르게 한 뒤 중간을 격막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격막의 양쪽 룸의 전극에 각각 양극(+)과 음극(-)을 인가해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분리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때, 음극을 인가하여 알칼리수가 되는 룸의 전극판에는 이온이 흡착하여 스케일이 생성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세정동작을 행한다.
상기 세정동작은 상기 전해조(50)에 역전압을 인가하여야 하고 이때 상기 산 성수출수구(54)에서는 알칼리수가 출수되고 상기 알칼리수출수구(56)에서는 산성수가 나오고 되는데 사용자가 상기 산성수를 음용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자동세정시에는 경고메시지나 경고음을 띄우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이온정수기는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세정시에 산성수를 음용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3웨이밸브를 이용하여 이온정수기 세정시에 사용자가 산성수를 음용할 수 없도록 한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는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정수를 이온화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의 후방에 설치되는 출수밸브; 상기 출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출수밸브는 3웨이밸브이다.
상기 출수밸브인 3웨이밸브는 1개의 입수구와 2개의 출수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수구는 사용자에게 알칼리수를 공급하는 제1출수구와 산성수를 배수시키는 제2출수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출수밸브는 상기 전해조 세정시 상기 제1출수구가 폐쇄되고 상기 제2출수구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전해조의 세정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행하여 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웨이밸브(70)를 이용한 이온정수기는 원수급수밸브(10), 필터부(20), 정수급수밸브(30), 전해조유량계(40), 전해조(50), 출수밸브(70), 플렉시블관(60), 제어부(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수급수밸브(10)는 원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밸브이고 정수급수밸브(30)는 상기 필터부(20)에 의해 여과된 정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그리고 상기 전해조(50)는 상기 필터부(20)에 의해 여과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이온화하는 장치이고 상기 전해조(50) 유량계는 상기 전해조(50)의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해조(50)는 정수가 유입되는 1개의 입수구와 3개의 출수구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3개의 출수구는 알칼리수가 출수되는 알칼리수출수구(56), 산성수가 출수되는 산성수출수구(54), 사용 후 상기 전해조(50)의 잔류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수밸브(70)는 3웨이밸브로써 상기 전해조(50)의 후방에 설치되며 이온수의 출수방향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3웨이밸브(70)는 1개의 입수구와 2개의 출수구(72, 74)로 이루어 지고, 상기 출수구(72, 74)는 사용자에게 알칼리수를 공급하는 제1출수구(72)와 산성수를 배수시키는 제2출수구(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밸브(70)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는 이온정수기의 정상 동작시에는 제1출수구(72)를 개방하여 알칼리수가 나오게 하고, 세정시에는 제1출수구(72)를 닫고 제2출수구(74)를 개방하여 제2출수구(74) 방향으로 산성수를 나오게 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지 않는 시간에 세정동작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이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출수밸브(70)는 3웨이밸브(70) 뿐만 아니라 4웨이밸브 등을 사용함으로서 본 발명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온정수기, 이온수기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 방법 및 순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온수 동작시 동작 플로우(flow)를 알아보면, 운전이 작동되면 상기 급수밸브(10, 20)와 상기 출수밸브(70)가 개방되어 이온수를 생산하고,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급수밸브(10, 20) 및 출수밸브(70)를 폐쇄한다.
세정동작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 플로우는 다음과 같다.
운전이 작동되면 상기 급수밸브(10, 20)는 개방되고 상기 출수밸브(70)는 상기 제1출수구(72)가 개방되어 알칼리수를 누적하게 된다.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출수밸브(70)는 상기 제1출수구(72)를 닫고 상기 제2출수구(74)를 개방한 후 상기 전해조(50)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세정동작을 취한다.
세정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급수밸브(10, 20)와 상기 제2출수구(74)를 폐쇄한다.
본 발명인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전해조 후방 3웨이밸브를 설치함으로서, 세정시에 상기 알칼리수출수구로 나오는 산성수를 제2출수구로 배출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산성수를 음용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에 세정동작을 행함으로서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이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정수를 이온화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의 후방에 설치되는 출수밸브;
    상기 출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출수밸브는 1개의 입수구와 2개의 출수구로 구성된 3웨이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수구는 사용자에게 알칼리수를 공급하는 제1출수구와 산성수를 배수시키는 제2출수구로 구성되며,
    상기 전해조 세정시 상기 제1출수구는 폐쇄되고 상기 제2출수구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의 세정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
KR1020040075166A 2004-09-20 2004-09-20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 KR100607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166A KR100607485B1 (ko) 2004-09-20 2004-09-20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166A KR100607485B1 (ko) 2004-09-20 2004-09-20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294A KR20060026294A (ko) 2006-03-23
KR100607485B1 true KR100607485B1 (ko) 2006-08-02

Family

ID=3713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166A KR100607485B1 (ko) 2004-09-20 2004-09-20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4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294A (ko)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485B1 (ko) 3웨이밸브를 이용한 이온정수기
KR100613362B1 (ko) 이온정수기의 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66559B1 (ko) 이온수기
KR101443817B1 (ko) 수소수 발생 장치
KR20170046955A (ko) 석회 성분 제거 기능을 갖는 이온수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4936423B2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し台
JP4556711B2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し台
WO2012132600A1 (ja) 電解水生成装置
JP2001327968A (ja) 電解水生成装置
JP2953648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0541888B1 (ko) 이온수기
JPH0550066A (ja) イオン水供給装置
KR102265758B1 (ko) 스케일 침착 방지 기능을 가진 전기분해 이온수 제공 장치
JPH06335681A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JP3906518B2 (ja) ビルトインアルカリ整水器
JPH07251177A (ja) イオン水生成装置
JP3283938B2 (ja) 先止めの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
JP4358382B2 (ja) 電解水の発生装置
JP3760676B2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JP4182559B2 (ja) イオン整水器用カルシウム供給装置
JP3915169B2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JPH06335679A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JPH09271773A (ja) 電解水生成装置
JPH10468A (ja) 電解水生成装置
JPH06335682A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