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402B1 -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402B1
KR100607402B1 KR1020050122225A KR20050122225A KR100607402B1 KR 100607402 B1 KR100607402 B1 KR 100607402B1 KR 1020050122225 A KR1020050122225 A KR 1020050122225A KR 20050122225 A KR20050122225 A KR 20050122225A KR 100607402 B1 KR100607402 B1 KR 100607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afety belt
chairs
pedestrian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표
Original Assignee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2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일반 건축물 또는 건축단지 등 아파트 진입도로에 설치되는 한편, 보행자가 이용하는 보행도로의 가변에 설치되어 보행자를 보호하는 안전대의 상면부에 의자를 설치하여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보행자가 일시적으로 쉴 수 있도록 하는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차량도로와 인접하는 보행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이 보행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는 유자형의 안전대에 있어서, 안전대의 상면에 다수 개의 볼트홀을 형성시키고, 안전대의 상면에는 의자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를 제공한다.
유(U)자형 안전대, 의자, 야광판, 체결밴드

Description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SEAT TYPE BOLLARD FOR INSTALLING AT SIDEWALK FOR BUILDING}
도 1은 종래 건축단지 진입도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상세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보행도로에 설치되는 안전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보행도로에 설치되는 안전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보행도로에 설치되는 안전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보행도로 안전대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보행도로에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진입도로 110: 차량도로
120: 보행도로 200: 의자
210: 몸체 220: 야광판
240: 밴드1 250: 밴드2
260: 체결밴드 270: 볼트
280: 덮개 300: 의자형 안전대
일반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등의 아파트 등의 진입도로에 설치되는 한편, 보행자가 이용하는 보행도로의 가변에 설치되어 보행자를 보호하는 안전대의 상면부에 의자를 설치하여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보행자가 일시적으로 쉴 수 있도록 하는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차량도로에 인접하도록 보행자들이 이용하는 보행도로가 구비된다.
즉, 상기 차량도로와 보행도로의 사이에는 경계석이 설치되고 경계석을 기분으로 차량도로와 보행도로가 구분되며, 상기 보행도로에는 차량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보행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각종 볼라드 및 안전대를 설치하여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보행도로와 차량도로가 서로 인접하면서 단턱이 형성되지 않은 일부 영역 또는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볼라드는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직립식 볼라드 및 유(U)자형 안전대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직립식 볼라드는 콘크리트 제품, 대리석 제품 및 강봉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유자형 안전대는 강봉을 이용하여 보행도로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 1은 종래 건축단지 진입도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도면이다.
일반 건축물 또는 건축단지 내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도로(10)는 차량도로(11)와 보행도로(12)로 구분되고, 차량도로(11)와 보행도로(12)의 사이에는 안전대(15)가 설치되어 차량도로(11)를 주행하는 차량이 보행도로(12)로 진입하지 못하게 한다.
특히, 이러한 안전대(15)가 설치된 보행도로(12)에서 보행자들이 신호를 기다리는 동안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나 노약자들이 안전대(15)에 걸터앉아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단지 내 진입도로에 형성된 보행자가 이용하는 보행도로의 가변에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는 안전대의 상면부에 의자를 설치하여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보행자가 일시적으로 쉴 수 있도록 하여 편의시설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도로와 인접하는 보행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이 보행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는 유(U)자형 안전대에 있어서, 상기 유자형 안전대의 상면에 다수 개의 볼트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유자형 안전대의 상면에는 의자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의자는, 저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반원모양의 반원홈부가 형성되고, 상면부에 다수 개의 미끄럼방지돌기와 나사홀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야광 판이 착설되고, 저면부에 형성된 반원홈부의 근접부에 연결봉과 삽입 굴곡부를 형성시킨 밴드1,2가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시킨 체결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보행도로에 설치되는 안전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보행도로에 설치되는 안전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보행도로에 설치되는 안전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보행도로 안전대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보행도로에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건축단지 내 진입도로(100)에는 보행자가 이용하는 보행도로(120)에 인접하는 차량도로(110)를 통해 주행하는 차량이 경계석을 넘어 보행도로(120)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행도로(120)에는 가변에 유(U)자형의 안전대(130)와 의자(200)(200')로 구성된 의자형 안전대(300)가 설치된다.
상기 안전대(130)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볼트홀(132)을 형성시키고, 강봉으로 제작된 안전대(130)의 상면부에는 의자(200)(200')가 착설된다.
즉, 상기 안전대(130)는 종래와 동일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의자(200)(200')의 몸체(210) 상면은 사람들이 쉴 수 있도록 수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몸체(210)의 상면부에는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211)와 나사홀(212)이 형성되고, 상기 의자(200)(200')의 하부와 측면부에는 각각 반원홈부(213)와 야광판(220)이 착설되며, 상기 야광판(220)에 의해 야간에 차량 운전자가 쉽게 안전대(130)의 설치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보행도로(120)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부연 하자면, 상기 의자(200)(200')의 하부, 즉 저면부에는 원호의 형상을 갖는 반원홈부(213)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반원홈부(213)는 안전대(130)의 외주면과 같은 형상을 함으로써 의자(200)(200')가 안전대(130)의 상면부에 원활하게 안착됨과 아울러, 볼트(270)로 의자(200)(200')와 안전대(13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의자(200)(200')의 저면부에는 반원홈부(213)의 근접부에 위치하는 체결밴드(260)가 착설되는 한편, 상기 체결밴드(260)는 반원홈부(213)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밴드1(240)과 밴드2(250)가 착설된 상태에서 끝단이 연결봉(242)과 삽입 굴곡부(252)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의자(200)(200')가 안전대(130)의 상면에 착설된 상태에서 볼트(270)를 나사홀(212)에 삽입시키고, 그 나사홀(212)에 삽입된 볼트(270)를 안전대(130)의 상면부에 형성된 볼트홀(132)에 나사결합시킨다. 상기 볼트(270)가 나사홀(212)을 통해 볼트홀(132)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의자(200)(200')는 안전대(13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안전대(130)의 상면에 의자(200)(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의자(200)(200')의 저면부에 착설된 체결밴드(260)를 안전대(130)의 저면부를 감싸도록 하면서 밴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체결밴드(260)를 구성하는 각 밴드1(241)과 밴드2(252)의 끝단에는 암·수의 연결봉(242)과 삽입 굴곡부(252)가 형성되어 상호 착설되고, 이때 상기 체결밴드(260)는 안전대(130)의 저면부를 감싸도록 밴드1(241)과 밴드2(251)의 연결봉(242)과 삽입 굴곡부(252)를 상호 결합시켜 안전대(130)에 의자(200)(200')를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의자(200)(200')는 1인용 또는 다수의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의자(200)(200')는 일 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결합돌기(214)와 결합홈(215)을 형성시켜 다수개의 의자(200)(200')를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의자(200)(200')에는 반원홈부(213)가 형성된 위치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돌기(214)와 결합홈(215)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의자(200)(200')가 밀착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의자(200)(200')의 상면부에 형성되는 나사홀(212)의 내측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바, 그 나사홀(212)에 볼트(270)가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홀을 덮을 수 있도록 덮개(280)를 삽설시키게 된다. 상기 덮개(280)가 나사홀(212)에 설치됨으로써 의자(200)(200')의 상면부가 매끄럽게 형성되고, 나사홀(212)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의자(200)(200')는 안전대(130)에 결합되는 경우, 안전대(130)와 돌기(211)가 십자형 형태인 것이 의자(200)이고, 안전대(130)와 돌기(211')가 동일한 방향인 것이 의자(200')이다.
또한,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의자(200")가 저면부에 반원홈부(213')가 2개가 형성된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의자(200")가 2개의 반원홈부(213')가 형성되는 바, 하부에 안전대(130)가 2개가 설치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먼저, 보행도로(120)의 진입도로 및 횡단보도에 인접한 지역에 설치되는 안전대(130)의 상면부에는 다수 개의 볼트홀(132)을 형성시킨다. 상기 안전대(130)의 상면부에 의자(200)(200')를 착설시킴으로써 일부 보행이 불편한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앉아서 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의자(200)(200')는 1인용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다수의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길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의자(200)(200')의 상면부에는 다수 개의 나사홀(212)을 형성시키고, 그 나사홀(212)의 내측부에는 단턱을 형성시킴으로써 나사홀(212)에 덮개(280)를 삽설시키게 된다.
상기 볼트(270)의 상부에는 덮개(280)를 나사홀(212)에 삽설시킴으로써 의자(200)(200')의 상면부를 미려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의자(200)(200')가 1인용으로 제작될 경우 다수 개의 의자를 연속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1인용의 의자(200)(200')는 일측면에 결합돌기(214)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홈(21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의자(200)(200')는 결합돌기(214)가 결합홈(215)에 삽설되는 구조를 제작하게 되므로 다수 개의 의자를 결합시켜 길게 형성시킨 후 안전대(130)의 상면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의자(200)(200')의 저면부에는 원호 모양의 반원홈부(213)가 형성되고, 그 반원홈부(213)가 안전대(130)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의자(200)(200')가 안전대(130)에 고정된다.
상기 의자(200)(200')의 저면부에는 체결밴드(260)가 착설되는 한편, 상기 체결밴드(260)의 끝단에는 밴드1,2(240)(250)에 의해 안전대(1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단단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의자(200)(200')의 측면에는 야광판(220)을 착설시켜 운전자가 야광판(220)을 통해 의자(200)(200') 및 안전대(130)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의자(200)(200')의 상면부에는 다수 개의 미끄럼방지돌기(211)(211')를 형성시켜 안정된 상태로 의자(200)(200')에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도로와 인접한 보행도로에 설치되는 차량이 보행도로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안전대의 상면에는 의자를 설치하여 보행자가 일시적으로 걸터앉을 수 있도록 설치시키는 한편, 상기 의자는 상면부에 수직방향으로 나사홀을 다수 개 형성시키고, 안전대에도 볼트홀을 다수 개 형성시켜, 안전대의 상면부에 의자가 밀착되면서 볼트에 의해 의자가 안전대에 고정되게 된다.
즉, 안전대의 상면에 고정된 의자에 보행자가 앉을 수 있게 되어 보행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아울러, 건축단지 내 진입도로에 일측 또는 양측에 안전대를 제공하므로 기존과 다른 편의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차량도로와 인접하는 보행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이 보행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유(U)자형의 안전대 상면에 다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되고 그 안전대의 상부를 덮도록 의자가 밀착설치되어 체결되며, 체결볼트가 체결된 상부에 덮개로 마감되는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에 있어서,
    안전대의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의자(200)(200')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211)(211')가 돌출형성되어 의자로 이용될 수 있도록 수평면을 가지며,
    의자(200)(200')는, 저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반원모양의 반원홈부(213)가 형성되고, 상면부에 다수 개의 미끄럼방지돌기(211)(211')와 나사홀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야광판(220)이 착설되고, 저면부에 형성된 반원홈부의 근접부에 연결봉(242)과 삽입 굴곡부를 형성시킨 밴드1,2(240)(250)로 구성된 체결밴드(260)가 체결되어 유동방지되도록 설치됨은 물론,
    의자(200)(200')에는 반원홈부(213)가 형성된 위치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돌기(214)와 결합홈(215)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의자(200)(200')가 밀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
  2. 삭제
KR1020050122225A 2005-12-13 2005-12-13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 KR100607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225A KR100607402B1 (ko) 2005-12-13 2005-12-13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225A KR100607402B1 (ko) 2005-12-13 2005-12-13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402B1 true KR100607402B1 (ko) 2006-08-02

Family

ID=3718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225A KR100607402B1 (ko) 2005-12-13 2005-12-13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4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541B1 (ko) * 2006-11-08 2007-02-26 (주)해석 보행자 보호를 위한 도로용 펜스
KR20200041018A (ko) * 2018-10-11 2020-04-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럭형 카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541B1 (ko) * 2006-11-08 2007-02-26 (주)해석 보행자 보호를 위한 도로용 펜스
KR20200041018A (ko) * 2018-10-11 2020-04-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럭형 카시트
KR102110681B1 (ko) * 2018-10-11 2020-05-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럭형 카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37B1 (ko)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1647608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슬라이딩 커버형 난간
KR100607402B1 (ko) 건축단지 진입도로 보행도로 안전대 구조
US20100032634A1 (en) Guide rail covers
JPH1018255A (ja) ガードレール
KR101345707B1 (ko) 차량진입 방지대를 이용한 간이 의자
KR100820732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조립식 경사 보도판 및 이의시공방법
KR101166683B1 (ko)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KR200451675Y1 (ko) 안전보호구용 계단커버
KR101440604B1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101571365B1 (ko)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1843988B1 (ko) 횡단보도 진출입로의 도로경계석
KR200308583Y1 (ko) 계단용 경사구
KR20110007772U (ko) 그레이팅용 미끄럼방지 클립
KR100589444B1 (ko)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
KR100431674B1 (ko) 확장된 보행면을 갖는 스틸그레이팅
KR200377816Y1 (ko) 시설물 보호 및 교통사고 방지용 안전펜스
KR100733901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경사 보도판 및 이의 시공방법
JP3827510B2 (ja) 歩行者プロテクトレール付き防護柵
KR100820733B1 (ko)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조립식 경사 보도판 및 이의시공방법
KR200201249Y1 (ko) 조립식경사로장치
KR101804885B1 (ko) 도로경계석
KR102019668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자전거 도로용 블록
KR101230360B1 (ko) 교량용 가설인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