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861B1 -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861B1
KR100606861B1 KR1020040055524A KR20040055524A KR100606861B1 KR 100606861 B1 KR100606861 B1 KR 100606861B1 KR 1020040055524 A KR1020040055524 A KR 1020040055524A KR 20040055524 A KR20040055524 A KR 20040055524A KR 100606861 B1 KR100606861 B1 KR 100606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reinforcement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467A (ko
Inventor
주기범
나혜숙
이철규
박상근
김태학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55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86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교량, 하천 등 시설물유지관리의 효율성 증진을 위하여 현장업무의 전자화, 시설물유지관리에 필요한 정보의 체계화, 합리적인 시설물유지관리 의사결정지원 등을 위한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물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외부통신망과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제어,관리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한다.
시설물유지관리

Description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Infrastructu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business support system, the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서버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및 시스템연계대상과 정보제공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설물유지관리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과적적발정보의 처리 순서도 및 웹 페이지상에서의 단속실적보고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재해정보의 처리 순서도 및 웹 페이지상에서의 재해대장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설물제원정보에 따른 웹 페이지상에서의 시설물제원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점검/진단정보에 따른 웹 페이지상에서의 점검/진단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수/보강정보중 시설물 손상정보를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웹(Web)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자정보에 따른 웹 페이지상에서의 하자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정보제공자의 테블릿 PC 상에서의 외관조사망도를 도시한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데이터베이스 100a:과적적발정보
100b:내역정보 100c:재해정보
100d:검색정보 100e:결재정보
100f:시설물제원정보 100g:점검/진단정보
100h:보수/보강정보 100i:하자정보
100j:의사결정정보 100k:보고서정보
200:서버시스템 200a:시스템관리부
200b:과적적발관리부 200c:집행내역/내역서관리부
200d:재해관리부 200e:검색관리부
200f:결재관리부 210:시설물관리부
210f:제원관리부 210g:점검/진단관리부
210h:보수/보강관리부 210i:하자관리부
210j:의사결정관리부 210k:보고서작성관리부
220:시설물정보입력부 230:시스템연계부
본 발명은 시설물유지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교량, 하천 등 시설물유지관리의 효율성 증진을 위하여 현장업무의 전자화, 시설물유지관리에 필요한 정보의 체계화, 합리적인 시설물유지관리 의사결정지원, 시설물유지관리와 연계한 차량과적대장 및 재해대장 등의 업무처리 효율화를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유지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공공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시스템은 주로 정부기관이 주도되어 각 기관별로 별도의 시스템 및 독자적인 네트워크로 서로 연계되어 구축되어 있으며 이는 건설 CALS / EC 의 한 구성으로 기능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공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건설교통부(100)의 경우 도로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통합시스템(HMS)을 운영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에 의한 국도 관리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도를 구성하는 여러 시설물(포장, 교량, 도로부속물 등)에 대한 여러 정보는 건설교통부의 하위기관인 국도유지관리사무소(120)에서 직접 수집하고 있으며, 상기 정보는 별도의 네트워크(예컨대 CTNET, 건설교통부 전용네트워크)를 통하여 상위기관인 건설교통부의 본부 및 지방국토관리청(110)에 전송되는데 각 지방국토관리청에 의하여 먼저 정보가 취합되어 네트워크(CTNET)를 통해 건설교통부에 집중되어 관리된다. 또한 시설물안전진단업무를 주 업무로 하는 한국시설물안전관리공 단은 별도의 시설물정보통합관리시스템(FMS)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상기 두 시스템은 시스템의 성격상 관리되는 정보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가 많음에도 통합관리가 되지 않아 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무엇보다도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를 생성하는 하위기관이 정보수집 및 보고업무를 위한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요구되어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설물에 대하여 유지관리업무를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서, 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관리대상 정보의 객관적 도출을 위하여 시설물 유지관리 전체 업무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현장업무의 전자화를 유도하고, 상기 전자화된 현장업무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되도록 기존시스템의 연계를 통하여 동일한 정보의 반복적 처리에 의한 시스템 운영의 비합리성을 해소시키고, 시설물유지관리를 위한 관리자의 의사결정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은
시설물제원 정보, 시설물 점검/진단 정보 및 시설물 보수/보강 정보, 시설물 하자정보, 의사결정 정보, 보고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시설물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시설물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 관리작업 및 시설물 관리작업 결과물에 대한 전자 결재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서 버 시스템은
정보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시설물 관리작업에 요구되는 시설물 제원정보, 시설물 점검/진단정보, 시설물 보수/보강정보 및 시설물하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시설물 관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시설물정보입력부;
상기 제 1시설물 관리정보를 갱신한 제 2시설물 관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의사 결정정보를 이용하여 작성된 시설물의 유지 관리에 관한 의사결정내용에 기초하여 시설물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시설물 관리부;
상기 생성된 보고서를 포함한 시설물관리작업 결과물이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결재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결재관리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 정보를 외부시스템으로 전송시키고, 상기 생성된 결재정보를 상위기관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연계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시설물유지관리방법은
시설물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시설물관리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시설물정보입력부, 시설물관리부, 결재관리부 및 시스템연계부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정보입력부에 의하여 정보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시설물 관리 작업에 요구되는 시설물 제원 정보, 시설물 점검/진단 정보, 시설물 보수/보강 정보 및 시설물 하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시설물관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a1);
상기 시설물관리부에 의하여 정보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시설물관리정보를 갱신한 제 2 시설물관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제2 시설물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제원정보, 시설물 점검/진단 정보, 시설물 보수/보강 정보 및 시설물 하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시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시설물관리정보를 기준으로 의사결정정보를 생성시켜 시설물유지관리에 관한 의사결정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의사결정내용에 기초하여 시설물에 대한 보고서정보를 생성시켜 시설물유지관리에 관한 보고서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a2);
상기 결재관리부에 의하여, 상기 보고서내용이 전자 결재될 수 있도록 결재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a3); 및
상기 시스템연계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시설물 관리정보를 외부시스템 또는 상위기관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a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유지관리방법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같이, 상기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은
제 3자 외부입력프로그램, 관리자 또는 이용자(정보제공자)에 의하여 입력되 는 과적적발정보(100a), 내역정보(100b), 재해정보(100c), 검색정보(100d), 결재정보(100e), 시설물의 부재구성정보, 손상상태정보 및 부속시설물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제원정보(100f), 점검/진단정보(100g), 보수/보강정보(100h), 하자정보(100i), 의사결정정보(100j), 보고서정보(100k)를 포함하는 시설물관리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00); 외부통신망(네트워크)과 송/수신이 가능하고 시설물관리부(210), 시설물정보입력부(220), 시스템연계부(230), 시스템관리부(200a), 과적적발관리부(200b), 집행내역/내역서관리부(200c), 재해관리부(200d), 검색관리부(200e), 결재관리부(200f), 상기 시설물관리부(210)을 구성하는 제원관리부(200f), 점검/진단관리부(200g), 보수/보강관리부(200h), 하자관리부(200i), 의사결정관리부(200j), 보고서작성관리부(200k)를 포함하는 시설물관리작업이 수행되는 서버시스템(20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00) 및 서버시스템(200)은 외부시스템(300a)과 상위기관시스템(300b)에 인터넷 또는 전용네트워크로 연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시스템(300a)은 본 발명의 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관련기관의 시스템으로서 미리 약속된 규격에 의하여 관련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 직접 관련정보를 전송받는 상위기관 외부시스템(300b)이 상기 서버시스템(200)의 시스템연계부(23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기본정보를 제공하는 자는 제 3자 외부입력프로그램(300c) 및 본 발명의 시스템 이용자인 정보제공자(테블릿 PC 이용,300d)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3자 외부입력프로그램(300c)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본 입력프로그램 및 시설물관리정보를 전달받은 제 3자(시설물 시공자, 설계자, 점검/진단자, 하자보수시공자 등의 외부인력)가 추가 정보를 갱신시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정보를 갱신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정보제공자(300d, 본 발명의 시스템 이용자)는 통상의 단말기, 특히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역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본 입력프로그램 및 시설물관리정보를 전달받은 후 정보제공자가 직접 추가정보를 갱신시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정보를 갱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정보의 송/수신/갱신은 규격의 통일화, 갱신정보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반드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양식에 기초하여 관련정보를 송/수신/갱신 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으므로 이를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적 구성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이면 족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3자 외부입력프로그램은 주로 보조저장장치(CD 또는 DVD를 이용)를 통한 입력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정보를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제공자는 특히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포함되는 각 정보들은 서버시스템(200)의 각 관리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관리자, 이용자, 제 3자, 외부시스템에 의하여 제공/관리된다. 상기 관리자 및 이용자는 실질적인 본 발명의 시스템을 운영하고 이용하는 자이므로 제한적인 정보들의 입력, 가공 및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0)에 포함되는 각 정보들은 시설물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함께 사진과 사진에 대응하는 설계도면이 서로 연계되어 사용자(관리자, 이용 자, 제 3자 등)가 시각적으로 시설물에 대한 형황을 즉시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련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정보의 매핑(Mapping)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서버시스템에 포함되는 각종 관리부들은 데이터베이스의 각종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로서 가공하는 수단들로서 실제로는 서버내의 프로그램들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먼저 데이터베이스(100)의 각종 정보와 관련하여 서버시스템의 각종 관리부들의 기능을 살펴본다.
상기 과적적발정보(100a)는 시설물관리작업(구체적으로는 국도관리작업)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되는 차량과적적발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과적적발정보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처리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 4a 및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작성된 실제 웹페이지 상의 단속실적보고서를 도시한 도 4b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국도를 통과하는 차량이 만약 과적차량인 경우에 과적차량(과적상태 사진을 포함), 과적적발장소, 시기 등을 포함하는 과적챠량 단속 및 과적차량 기초정보에 관하여 국도유지관리사무소에서 취합된 기초정보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설물정보입력부(220)에 의하여 인터넷 등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하고, 본 발명의 과적적발관리부(200b)에 의하여 단속일지, 단속반관리, 과적단현황, 보고서 형태로 가공되어 과적적발정보(100a)로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 및 필요 시 검색(도 4b의 단속실적보고서 형태) 될 수 있고, 도 2와 같이 외부시스템(300a, 예컨데 국도유지관리사무소의 과적적발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연계되어 시스 템연계부(230)를 경유하여 시설물정보입력부(220)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내역정보(100b)는 시설물관리작업과 관련하여 대상 시설물의 공사비, 점검/진단비, 보수/보강비, 하자관리비와 같이 시설물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적산 또는 집계하고, 내역서를 꾸미기 위한 각종 단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비용관련 기초정보를 의미하며, 본 시스템의 관리자, 이용자(정보제공자), 외부시스템이 해당 정보를 시설물정보입력부(220)를 통하여 서버시스템(200)에 제공하고, 이러한 내역정보는 데이터베이스(100)의 내역정보(100b)에 저장된다. 상기 이용자는 서버시스템의 집행내역/내역서관리부(200c)를 이용하여 내역정보(100b)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재해정보(100c)는 시설물관리작업과 관련하여 각종 재해에 의하여 시설물이 피해를 입은 경우에, 그 재해내역을 파악하고, 피해액 및 복구비를 산정하며, 재해관리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다. 상기 재해정보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처리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 5a 및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작성된 실제 웹페이지 상의 재해대장을 도시한 도 5b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재해발생에 의하여 관련자가 재해현황(재해지역, 재해시기, 피해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피해액 및 복구비를 산정하고, 응급복구 지원현황 및 재해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예컨대 국도유지관리사무소에서 취합하여 역시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설물정보입력부(220)에 의하여 인터넷 등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하고, 본 발명의 재해관리부(200d)에 의하여 재해일지, 피액액 및 복구비 집계, 재해대장의 형태로 가공되어 재해정보(100c)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 및 필요 시 재해대장(도 5b참조)의 형태로 검색 될 수 있고, 도 2와 같이 외부시스템(300a, 구체적으로는 국도유지관리사무소의 재해관리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연계부(230)를 경유하여 시설물정보입력부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검색정보(100d)는 시설물관리작업과 관련하여 각 정보들이 취합되어 이용자 및 관리자에게 필요한 정보의 형태로 가공된 정보이다. 본 발명의 테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정보들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검색관리부(200e)에 의하여 가공처리되어 소정의 양식으로 검색을 할 수 있게 된다. 국도의 예를 들면, 국도 구간정보, 구간 시공사, 구간 공사시기, 점검/진단 여부, 하자여부 등을 소정의 양식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재정보(100e)는 본 시스템의 이용자 및 관리자가 각종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위기관 또는 내부용 결재를 받기 위한 정보이다. 이러한 결재정보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결재관리부(200f)에 의하여 자동 처리되며, 이러한 결재정보는 내부 결재 및 상위기관 결재를 위하여 인터넷 또는 전용네트워크를 통해 내부 결재시스템 및 도 2의 상위기관시스템(300b)로 전송되게 된다.
상기 시설물제원정보(100f)는 시설물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시설물에 대한 기본적인 관리정보(본 발명의 시스템상의 관리번호, 시설물종류, 분류, 관리주체, 관련법규 등), 위치정보(시점 및 종점위치 등), 시공정보(공사명, 시공사, 설계사, 공사비, 준공연월일 등)정보를 의미하며, 추가적으로는 시설물의 부재구성정보, 손상상태정보, 부속시설물정보를 포함한다. 시설물중 교 량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교량에 관한 시설물제원정보는 교량의 기본제원, 상세제원, 교량부속시설물 제원이 될 것이다. 본 시스템의 관리자, 이용자(정보제공자), 외부시스템(300a), 제 3자외부입력프로그램(300c,시설물시 공사 등)이 해당 정보를 시설물정보입력부(220)를 통하여 서버시스템(200)에 제공하고, 이러한 시설물제원정보는 데이터베이스의 시설물제원정보(100f)에 제원관리부(210f)에 의하여 저장, 관리된다. 이러한 시설물제원정보는 시설물에 관한 설계도면 및 사진이 매핑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게 되어 이용자가 추후 용이하게 시설물관리작업이 가능해지는 기초가 된다. 도 6은 시설물제원정보가 매핑된 정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상의 웹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이용자는 직접 현장에 가지 않더라도 시설물에 대한 각종 기본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제 3자 등에게 전달되어 갱신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점검/진단정보(100g)는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점검(정기점검, 정밀점검, 특별긴급점검, 정밀안전진단 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이전의 점검진단에 대한 사진 및 설계도면을 포함한 매핑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시설물점검/진단에 관한 정보이다. 관리자 및 이용자가 시설물을 자체 점검/진단할 경우에는 관리자 및 이용자가 생성시킬 수 있지만, 성질 상 제 3자가 점검/진단결과를 외부입력프로그램(300c)을 이용하여 생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외부시스템(300a)에 전송되어 시설물에 대한 중복적인 관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점검/진단정보도 시설물정보입력부(220)를 통하여 서버시스템(200)에 제공하고, 이러한 점검/진단정보는 본 발명의 서버시스템 내의 점검/진단관리부(210g)에 의하여 관리되어 데이터베이스의 점검/진단정보(100g)에 저장된다.
도 7은 시설물점검/진단정보(100g)를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웹(Web)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특정교량의 부재에 따른 손상상태 및 진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에 이용자는 직접 현장에 가지 않더라도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점검/진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제 3자 등에게 전달되어 갱신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수/보강정보(100h)는 시설물에 대한 각종 보수/보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이전의 보수/보강에 대한 사진 및 설계도면을 포함한 매핑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시설물보수/보강에 관한 정보로서 성질 상 제 3자가 점검/진단결과를 외부입력프로그램(300c)을 이용하여 생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정보는 외부시스템에 전송되어 시설물에 대한 중복적인 관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역시 시설물정보입력부(220)를 통하여 서버시스템에 제공되고, 이러한 보수/보강정보는 데이터베이스의 보수/보강정보(100h)에 본 발명의 서버시시템 내의 보수/보강관리부(210h)에 의하여 저장된다.
도 8은 보수/보강정보중 시설물 손상정보를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웹(Web)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특정교량의 사고위치, 사고일자의 상세조회, 삭제 및 수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상세조회를 선택하면 하자발생사진 및 하자조치 사진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제 3자 등에게 전달되어 갱신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자정보(100i)는 시설물에 대한 각종 하자대상을 구분하고, 하자내역을 관리하고, 하자에 대한 사진 및 설계도면을 포함한 매핑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시설물하자에 관한 정보이다. 시설물정보입력부(220)를 통하여 서버시스템(200)에 제공하고, 이러한 하자정보(100i)는 데이터베이스의 하자관리부(210i)에 의하여 저장된다. 도 9는 하자정보중 하자이력정보를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웹(Web)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세조회를 선택하면 하자발생사진 및 하자조치 사진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정보는 제 3자 등에게 전달되어 갱신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의사결정정보(100j)는 점검/진단정보, 보수/보강정보, 하자정보에 기초하여 시설물에 대하여 점검/진단여부, 어떠한 보수/보강공법을 적용하여 어떠한 우선순위로 필요한 조치를 내릴 것인가에 대한 정보이다. 서버시스템에서 의사결정관리부(210j)에 의하여 관리되어 데이터베이스의 의사결정정보(100j)에 의하여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의사결정정보는 시설물의 보수/보강공법 매뉴얼, 보수/보강우선순위리스트 및 시설물상태평가매뉴얼을 포함하여 공법결정을 보조할 수 있게 하고, 각종 가중치를 입력시켜 의사결정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한 의사결정을 돕게 된다.
상기 보고서정보(100k)는 본 시스템의 이용자가 시설물제원정보, 보수/보강정보, 하자정보, 의사결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위기관 또는 내부용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정보로서, 구체적으로 보고서정보(160)는 보고서법정양식정보, 내부양식정보, 보고문서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보고서작성관리부(210k)에 의하여 관리된다.
위에서 살펴본 각종 정보들은 제 1 시설물관리정보로써 본 발명의 서버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 서버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관리부들에 의하여 원하는 정보들로 편집, 갱신되며 이러한 갱신된 정보는 본 발명의 제 2 시설물관리정보로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정보들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관리부(200a)에 의하여 제어 관리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각 정보의 파라메타 및 서버시스템 이용자 및 관리자 및 대상시설물 추가/삭제가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시설물유지관리방법은
시설물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00) 및 시설물관리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시설물정보입력부, 시설물관리부, 결재관리부 및 시스템연계부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200)을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방법에 있어서,
(a)상기 시설물정보입력부에 의하여 정보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시설물 관리 작업에 요구되는 시설물 제원 정보, 시설물 점검/진단 정보, 시설물 보수/보강 정보 및 시설물하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시설물관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상기 시설물관리부에 의하여 정보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시설물관리정보를 갱신한 제 2 시설물관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제2 시설물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제원정보, 시설물 점검/진단 정보, 시설물 보수/보강 정보 및 시설물 하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시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시설물관리정보를 기준으로 의사결정정보를 생성시켜 시설물유지관리에 관한 의사결정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 장하고, 상기 의사결정내용에 기초하여 시설물에 대한 보고서정보를 생성시켜 시설물유지관리에 관한 보고서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상기 결재관리부에 의하여, 상기 보고서내용이 전자 결재될 수 있도록 결재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d)상기 시스템연계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시설물 관리정보를 외부시스템 또는 상위기관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100) 및 서버시스템(200)에 필요하고 기초적인 각종 정보를 입력시키는 단계로서 도 2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정보들을 서버시스템(200)의 시설물정보입력부(220)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각 정보를 입력시키는 단계이다.
시설물을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기초 데이터가 수집되어야 하며, 이러한 데이터는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에 있어 통일된 형식을 가지고 기존의 시스템과의 자유로운 전송이 가능하여 다른 시스템의 이용자가 동일한 테이터에 대하여 중복적인 관리 작업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이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접근하여 편집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기존의 시설물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데이터구조를 마련하고, 필요한 경우 기존 데이터구조를 새로이 마련하였으며, 이는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를 위하여 다른 시스템의 기존 데이터구조를 참조하여 마련되었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즉, 이용자 입장에서 데이터를 손쉽게 입력, 수정, 삭제, 검색할 수 있도록 모든 데이터는 관련된 실제시설물 사진과 이에 대응하는 설계도면(통상 캐드도면)이 항상 연결되어 이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모든 테이터가 매핑(Mapping)되어 시스템 정보로서 기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은 종래 구축된 정보도 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시스템 구축 상 필요한 정보의 새로운 입력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시설물은 통상 시설물을 구성하는 각종 구조물, 상기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종 부재가 미리 설계도면에 의하여 물량이 확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시설물의 구조물 및 부재들은 미리 일정한 양식 및 특정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양식 및 특정기준에 따라 제 3자가 미리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합한 형태의 정보로 제작하여 납품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제 3자 외부입력프로그램(300c)이라고 하였다.
예컨대 시설물에 대한 설계도면은 시설물을 설계하는 자가 해당 설계도면을 외부입력프로그램에 특정양식에 의하여 포함시키고, 상기 설계도면에 따라 시설물을 시공하는 자가 설계도면에 해당하는 사진을 외부입력프로그램에 특정양식에 의하여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운영하는 관리자는 외부입력프로그램을 서버시스템 상에 간단하게 업로드 시킴으로서 시설물관리정보를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입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설물관리정보는 다시 본 발명의 시스템 이용자가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다시 제 3자(도급점검/진단업자, 도급보수/보강업자 등)에게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외부입력프로그램의 형태로 제 3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일단 입력된 각 정보들을 이용자가 임의로 갱신하고, 갱신된 정보들에 의하여 의사결정을 하고 이를 보고서의 형태로 생성시키는 단계이다.
일단 기초적인 시설물유지관리에 필요한 각 정보(시설물관리정보)가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면 지속적인 정보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시설물의 경우 새로운 구조물이 추가될 수 있고, 시설물의 특성에 따라서는 정기적으로 또는 임의로 검검/진단이 필요하며, 그 결과에 따라 보수/보강이 실시되며, 시설물의 하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모든 작업에 의한 결과는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지속적이고 통일된 절차, 양식에 의하여 통합적으로 관리된다.
구체적으로 이용자의 입장에서 가장 용이하게 관련 시설물관리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고, 시설물유지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의 기본 정보로 기능할 수 있어 체계적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이 기능하도록 하고, 각 정보들은 외부시스템과 연계되어 통일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외부입력프로그램으로도 갱신될 수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이 보다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예컨대 이용자는 본 발명에서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시설물관리정보를 생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이용자가 해야 할 작업을 모두 전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일종의 전자야장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자야장은 이용자가 현장에서 시설물의 점검/진단, 보수/보강, 하자관리를 위한 모든 작업을 테블릿 PC 상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로서 종래에는 이러한 관련 작업이 수작업으로 거의 이루어져 업무의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리고, 반복적인 작업이 증대되는 것을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용자가 시설물관리정보를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갱신시키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용자는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화면상으로 갱신이 가능하며 갱신대상은 시설물의 외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위에서 살펴본 시설물점검/진단정보가 생성되며 이러한 정보는 점검/관리부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를 가능하게 하는 외부입력프로그램을 이용자는 본 발명의 서버시스템에서 파일형태로 다운받아 테블릿 PC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외부입력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필요한 시설물관리정보를 테블릿 PC에서 직접 저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설물관리정보를 조회하고, 불러들여 추가정보를 입력하여 시설물관리정보를 갱신시킨다. 도 10은 특히 이용자가 시설물점검/진단정보를 갱신시키기 위하여 테블릿 PC상에서 외관조사망도를 테블릿 PC상에서 전자야장형태로 불러들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방식을 포함하여 실제 시설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외관조사망도를 자유롭게 수정, 추가, 삭제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한 시설물외관을 종이에 도시하고 이를 관리하는 것과 비교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증진되며, 이러한 외관조사망도는 본 발명의 제 1 시설물관리정보에 추가되어 시설물관리정보를 갱신시켜 제 2시설물관리정보를 생성시키고 본 발명의 시스템 및 외부시스템에 그대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점검/진단정보, 하자정보, 의사결정정보, 결재정보 및 보고서정보에 누적되어 통합적으로 관리되며, 실제 시설물사진과 매핑되어 이용자 및 관리자가 용이하게 타인의 정보에 접근하여 필요한 작업이 가능하도 록 한다. 이러한 외관조사망도는 제 3자에게 제공되어 외부입력프로그램(예컨대 현장점검, 도급점검/진단, 도급보수/보강공사 외부입력프로그램 등)으로 완성될 수 있어 이용성의 폭이 넓어진다.
이용자는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의 시설물제원관리부, 검색관리부를 이용하여 시설물유지관리에 필요한 부가적 정보를 조회,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단말기로서 테블릿 PC를 이용할 수 있는데, 유/무선통신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시설물관리정보를 갱신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라면 다른 장치도 포함한다. 이로서 이용자는 현장에서의 작업결과를 즉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전송시킬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관리정보가 갱신되어 처리되면 이를 이용하는 관리자 또는 이용자는 자신의 업무에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시설물유지관리의 대상결정, 유지관리에 필요한 공법적용 선택,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과 같은 시설물유지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작업을 본 발명의 의사결정정보 및 의사결정관리부로 실행하고, 의사결정된 정보를 정리하여 필요한 양식(각종 법정양식, 내부양식 등)에 맞추어 필요한 보고서를 자동 작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보고서를 포함한 시설물관리작업의 결과물은 관리자 및 이용자가 상위기관 등에 자동으로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결재정보 및 결재관리부로 실행된다.
상기 (d)단계는 (a)단계 내지 (c)단계에서 갱신된 각종 정보들을 필요로 하는 외부시스템(300a) 및 상위기관시스템(300b)에 전송시키는 단계이며, 본 발명의 시스템상에서 시스템연계부(23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과적적발관리부에 의하여 과적차량의 적발대장에 관한 기초정보를 시스템연계부를 통해 전송받아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정보를 저장하고, 가공하여 역시 외부시스템(300a) 및 상위기관시스템(300b)에 전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집행내역/내역서관리부에 의하여 시설물관리에 필요한 비용에 관한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내역정보를 생성시킨 후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재해관리부에 의하여 재해에 관한 기초정보를 시스템연계부를 통해 전송받아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재해정보로써 저장하고, 가공하여 역시 외부시스템(300a) 및 상위기관시스템(300b)에 전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검색관리부에 의하여 각종 시설물에 관한 검색정보를 저장하고, 가공하여 검색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결재관리부에 의하여 시설물에 관한 각종 정보가 포함된 기초정보를 본 발명의 시스템에 결재정보로써 저장하고, 가공하여 역시 외부시스템(300a) 및 상위기관시스템(300b)에 전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은 이용자의 입장에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정보구조가 구축되고, 외부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하여 중복된 시설물관리작업이 줄게 되어 업무의 효율성이 확보되고, 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합리적이고 객 관적인 시설물유지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시설물제원 정보, 시설물점검/진단 정보 및 시설물보수/보강 정보, 시설물 하자정보, 의사결정 정보, 보고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시설물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00); 및
    상기 시설물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 관리작업 및 시설물 관리작업 결과물에 대한 전자 결재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서버시스템(200)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 시스템은
    정보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시설물 관리작업에 요구되는 시설물 제원정보, 시설물 점검/진단정보, 시설물 보수/보강정보 및 시설물하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시설물 관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시설물정보입력부;
    상기 제 1시설물 관리정보를 갱신한 제 2시설물 관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의사 결정정보를 이용하여 작성된 시설물의 유지 관리에 관한 의사결정내용에 기초하여 시설물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시설물 관리부;
    상기 생성된 보고서를 포함한 시설물관리작업 결과물이 전자결재될 수 있도록 결재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결재관리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 정보를 외부시스템으로 전송시키고, 상기 생성된 결재정보를 상위기관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연계부;
    를 포함하는 시설물 유지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설물관리 정보는
    정보제공자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 1시설물관리정보를 제공받아 현장에서 상기 정보제공자가 단말기에 직접 제 1시설물관리정보를 갱신시킨 제 2 시설물관리정보를 서버시스템에 입력시키거나
    제 3자가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 1 시설물관리정보를 제공받아 갱신시킨 제 2 시설물관리정보가 포함된 외부입력프로그램을 서버시스템에 제공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의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 가능한 테블릿 PC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 정보는 상기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입력되고 갱신되며, 상기 제 1 시설물관리 정보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기본 정보, 상기 시설물의 사진, 상기 시설물의 설계도면 및 상기 사진과 설계도면에 대응하는 현장의 점검결과를 상기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작성된 외관조사망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에 대한 기본 정보, 상기 시설물의 사진, 설계도면 및 상기 외관조사망도는 상호 연계되어 상기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갱신됨으로써 상기 제 2 시설물관리 정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유지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는 i)시설물의 부재구성정보, ii) 상기 부재의 과거 및 현재의 손상 상태에 대한 사진 또는 사진에 대응하는 설 계도면을 포함하는 손상상태 정보,iii)부속시설물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유지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관리부는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실제 시설물사진과 상기 시설물사진에 대응한 설계도면이 서로 매핑되어 입력된 시설물제원정보에 의하여 시설물제원 및 부속시설물을 관리하는 제원관리부;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실제 시설물사진과 상기 시설물사진에 대응한 설계도면이 서로 매핑되어 입력된 시설물점검/진단정보에 의하여 시설물점검/진단계획 및 시설물점검/진단이력을 관리하고, 시설물손상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시설물점검/진단계획 및 시설물점검/진단이력을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점검/진단관리부;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실제 시설물사진과 상시 시설물사진에 대응한 설계도면이 서로 매핑되어 입력된 시설물보수/보강정보에 의하여 시설물보수/보강계획 및 시설물보수/보강이력을 관리하고, 시설물 손괴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시설물보수/보강계획 및 시설물보수/보강이력을 외부 시스템에 전송하는 보수/보강관리부;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실제 시설물사진과 사진에 대응한 설계도면이 서로 매핑되어 입력된 시설물하자정보에 의하여 하자대상, 하자내역/이력을 관리하는 하자관리부;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보수/보강공법 매뉴얼, 보수/보강우선순위 리스트 및 시설물상태평가매뉴얼을 포함하는 의사결정정보를 이용하여, 보수/보강공법을 선정하고, 선정된 보수/보강공법에 의하여 시설물보수/보강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시설물상태평가와 보수/보강공법을 관리하는 의사결정관리부; 및
    시설물관리정보를 필요한 양식에 대응한 양식 및 보고내용이 포함된 보고서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고서를 생성시키는 보고서작성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각 정보의 파라메타 및 서버시스템 이용자 및 관리자 및 대상시설물 추가/삭제가 관리되는 시스템관리부;
    시설물유지와 관련하여 과적차량단속일지, 단속반관리 및 시간별 집계현황에 관하여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과적적발정보를 이용하여 보고서를 포함하는 과적단속대장을 생성시키는 과적적발 관리부;
    상기 제 1시설물 관리정보 및 제 2시설물관리정보와 관련된 각 공사집행내역, 예산, 업체 및 기준별집계에 관한 집행내역 및 공사비내역서를 포함하는 내역정보를 이용하여 집행내역보고서 및 내역서를 생성시키는 집행내역/내역서 관리부; 및
    시설물유지와 관련하여 재해내역, 복구비용 및 처리현황에 관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재해정보를 이용하여 보고서를 포함하는 재해대장을 생성시키는 재해관리부; 및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생성 및 갱신된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정보를 임의 검색조건에 의하여 검색할 수 있는 검색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7. 시설물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시설물관리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시설물정보입력부, 시설물관리부, 결재관리부 및 시스템연계부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정보입력부에 의하여 정보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시설물 관리 작업에 요구되는 시설물 제원 정보, 시설물 점검/진단 정보, 시설물 보수/보강 정보 및 시설물하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시설물관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시설물관리부에 의하여 정보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시설물관리정보를 갱신한 제 2 시설물관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제2 시설물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제원정보, 시설물 점검/진단 정보, 시설물 보수/보강 정보 및 시설물 하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시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시설물관리정보를 기준으로 의사결정정보를 생성시켜 시설물유지관리에 관한 의사결정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의사결정내용에 기초하여 시설물에 대한 보고서정보를 생성시켜 시설물유 지관리에 관한 보고서내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결재관리부에 의하여, 상기 보고서내용이 전자 결재될 수 있도록 결재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연계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시설물 관리정보를 외부시스템 또는 상위기관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과적적발정보, 내역정보, 재해정보,검색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시스템은 과적적발관리부, 집행내역/내역서 관리부, 재해관리부, 검색관리부 및 시스템관리부가 더 포함되어,
    상기 과적적발관리부에 의하여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과적적발정보를 이용하여 보고서를 포함하는 과적단속대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집행내역/내역서관리부에 의하여 상기 제 1시설물 관리정보 및 제 2시설물관리정보와 관련된 상기 내역정보를 이용하여 집행내역 및 내역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재해관리부에 의하여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재해정보를 이용하여 보고서를 포함하는 재해대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관리부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정보를 임의 검색조건에 의하여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관리부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 각 정보의 파라메타 및 서버시스 템 이용자 및 관리자 및 대상시설물 추가/삭제를 포함하는 시스템관리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관리부는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실제 시설물사진과 상기 시설물사진에 대응한 설계도면이 서로 매핑되어 입력된 시설물제원정보에 의하여 시설물제원 및 부속시설물을 관리하는 제원관리부;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실제 시설물사진과 상기 시설물사진에 대응한 설계도면이 서로 매핑되어 입력된 시설물점검/진단정보에 의하여 시설물점검/진단계획 및 시설물점검/진단이력을 관리하고, 시설물손상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시설물점검/진단계획 및 시설물점검/진단이력을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점검/진단관리부;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실제 시설물사진과 상시 시설물사진에 대응한 설계도면이 서로 매핑되어 입력된 시설물보수/보강정보에 의하여 시설물보수/보강계획 및 시설물보수/보강이력을 관리하고, 시설물 손괴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시설물보수/보강계획 및 시설물보수/보강이력을 외부 시스템에 전송하는 보수/보강관리부;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실제 시설물사진과 사진에 대응한 설계도면이 서로 매핑되어 입력된 시설물하자정보에 의하여 하자대상, 하자내역/이력을 관리하는 하자관리부;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보수/보강공법 매뉴얼, 보수/보강우선순위 리스트 및 시설물상태평가매뉴얼을 포함하는 의사결정정보를 이용하여, 보수/보강공법을 선정하고, 선정된 보수/보강공법에 의하여 시설물보수/보강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시설물상태평가와 보수/보강공법을 관리하는 의사결정관리부; 및
    시설물관리정보를 필요한 양식에 대응한 양식 및 보고내용이 포함된 보고서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고서를 생성시키는 보고서작성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 가능한 테블릿 PC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시설물관리 정보는 상기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입력되고 갱신되며, 상기 제 1 시설물관리 정보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기본 정보, 상기 시설물의 사진, 상기 시설물의 설계도면 및 상기 사진과 설계도면에 대응하는 현장의 점검결과를 상기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작성된 외관조사망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에 대한 기본 정보, 상기 시설물의 사진, 설계도면 및 상기 외관조사망도는 상호 연계되어 상기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갱신되어 상기 제 2 시설물관리 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설물관리 정보는
    정보제공자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테블릿 PC로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 1시설물관리정보를 제공받아 현장에서 상기 정보제공자가 단말기에 직접 제 1시설물관리정보를 갱신시킨 제 2 시설물관리정보를 서버시스템에 입력시키거나
    제 3자가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 1 시설물관리정보를 제공받아 갱신시킨 제 2 시설물관리정보가 포함된 외부입력프로그램을 서버시스템에 제공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유지 관리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는 i)시설물의 부재구성정보, ii) 상기 부재의 과거 및 현재의 손상 상태에 대한 사진 또는 사진에 대응하는 설계도면을 포함하는 손상상태 정보,iii)부속시설물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KR1020040055524A 2004-07-16 2004-07-16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KR100606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24A KR100606861B1 (ko) 2004-07-16 2004-07-16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24A KR100606861B1 (ko) 2004-07-16 2004-07-16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67A KR20060006467A (ko) 2006-01-19
KR100606861B1 true KR100606861B1 (ko) 2006-08-01

Family

ID=3711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524A KR100606861B1 (ko) 2004-07-16 2004-07-16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86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3221A1 (en) * 2008-11-07 2010-05-14 Solideo System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ies management
KR101398027B1 (ko) * 2013-12-03 2014-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관점 정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시설물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436423B1 (ko) * 2013-12-03 2014-09-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 유지보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5237A (ko) 2015-02-02 2016-08-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회기반시설물의 성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6792B1 (ko) 2018-08-09 2019-10-25 (주)바인테크 업무안내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039666B1 (ko) 2018-08-06 2019-11-01 (주)바인테크 사고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5339A (ko) 2020-08-24 2022-03-03 에이아이안전연구원 주식회사 Qr코드를 활용한 자율비행 드론에 의한 시설물 점검시스템
KR20220084575A (ko)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Catia를 이용한 코드화된 디지털외관망도 구축을 위한 bim 모델 구축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31B1 (ko) * 2007-02-12 2007-09-04 주식회사 명진 아이앤씨 피디에이를 이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 시스템
KR101041779B1 (ko) * 2008-12-26 201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불확실성 기반의 비용 효율적인 보강공법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방법
US8670939B2 (en) 2009-12-18 2014-03-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cility information
KR101312576B1 (ko) * 2009-12-18 2013-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설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044252B1 (ko) * 2010-09-14 2011-06-28 주식회사 티엠이앤씨 공간모델을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KR101230602B1 (ko) * 2010-12-23 2013-02-06 주식회사 케이티 시설물 관리를 위한 관리 데이터 구조,관리 데이터 처리 방법,및 관리 데이터 검색 방법.
KR101339399B1 (ko) * 2011-11-28 2013-12-09 한국공항공사 공항 포장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39368B1 (ko) * 2011-11-28 2013-12-09 한국공항공사 공항 포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55028B1 (ko) * 2012-09-18 2013-04-16 한국도로공사 구조물 점검 관리 시스템 및 구조물 점검 관리 방법
KR101330004B1 (ko) * 2013-03-29 2013-11-15 음종욱 감정원가내역 보고서 생성 방법
KR101721682B1 (ko) * 2016-06-15 2017-03-30 모바일기술연구소(주)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KR101953681B1 (ko)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지더블유캐드코리아 구조물 외관도 작성 방법 및 서버
KR101887095B1 (ko) * 2017-11-22 2018-08-09 정현호 건축물 안전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103408A1 (ko) * 2017-11-22 2019-05-31 정현호 건축물 안전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72959B1 (ko) * 2017-12-29 2019-04-26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교량 유지관리 이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12687B1 (ko) * 2022-06-24 2023-03-22 주식회사 홈이너스 공동주택 안전관리 시스템
KR102634016B1 (ko) * 2022-12-26 2024-02-06 주식회사 아브로소프트코리아 웹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275A (ko) * 2001-01-31 2001-06-05 민창기 교육시설 관리시스템
KR20030068619A (ko) * 2002-02-15 2003-08-25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현장조사 지원서비스 방법
KR20040110911A (ko) * 2003-06-21 2004-12-31 (주) 지육공팔 컨설팅그룹 위치정보를 이용한 고정물 관리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및그 장치
KR20050002298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자산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36509A (ko) * 2003-10-16 2005-04-20 장용학 시설물에 대한 민원 접수 처리 및 자동 제어, 점검 시스템및 이 시스템의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275A (ko) * 2001-01-31 2001-06-05 민창기 교육시설 관리시스템
KR20030068619A (ko) * 2002-02-15 2003-08-25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현장조사 지원서비스 방법
KR20040110911A (ko) * 2003-06-21 2004-12-31 (주) 지육공팔 컨설팅그룹 위치정보를 이용한 고정물 관리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및그 장치
KR20050002298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자산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36509A (ko) * 2003-10-16 2005-04-20 장용학 시설물에 대한 민원 접수 처리 및 자동 제어, 점검 시스템및 이 시스템의 운용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3221A1 (en) * 2008-11-07 2010-05-14 Solideo System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ies management
KR101398027B1 (ko) * 2013-12-03 2014-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관점 정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시설물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436423B1 (ko) * 2013-12-03 2014-09-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 유지보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5237A (ko) 2015-02-02 2016-08-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회기반시설물의 성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9666B1 (ko) 2018-08-06 2019-11-01 (주)바인테크 사고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036792B1 (ko) 2018-08-09 2019-10-25 (주)바인테크 업무안내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5339A (ko) 2020-08-24 2022-03-03 에이아이안전연구원 주식회사 Qr코드를 활용한 자율비행 드론에 의한 시설물 점검시스템
KR20220084575A (ko)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Catia를 이용한 코드화된 디지털외관망도 구축을 위한 bim 모델 구축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67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861B1 (ko)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US8972876B2 (e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640165B2 (en) Web 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compliance assurance information
CN105303306B (zh) 电力物资调度平台系统
US7716244B2 (en) Multi-organiz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82142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prise risk management
US20060288014A1 (en) Method and software for mobile data collection having managed workflow
US20050278386A1 (e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same
KR100993469B1 (ko) 개인 휴대용 단말기 및 지리정보시스템를 연계한 실시간 현장공사관리시스템 및 방법
US200401994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r a product
WO2003050656A2 (en) Rules based method and system for project performance monitoring
GB2369216A (en) Schedule management system
CN111709707A (zh) 一种应用于项目交付施工现场的管控系统和方法
US20140055625A1 (en) Compliance management
CN101916398A (zh) 基于web gis的区域桥梁信息化管理系统
US20220101235A1 (en) Automated, integrated and complete computer program/project management solutions standardizes and optimizes management processes and procedures utilizing customizable and flexible systems and methods
US8527550B1 (en) Bridge inspection diagnostic system
US20140245158A1 (en) Virtual Interoperability and Information Sharing Engine
KR101837664B1 (ko) 하천 스마트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0815603B1 (ko) 통합건설정보 통보시스템에서의 건설공사현황 알림방법
US202101424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service to facilitate regulatory compliance
KR101330519B1 (ko) 도심재생 종합 사업관리 시스템
KR102184048B1 (ko)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US2004019346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infrastructure asset information
KR101365481B1 (ko) 도심재생사업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별 포털 생성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