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275A - 교육시설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육시설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275A
KR20010044275A KR1020010004686A KR20010004686A KR20010044275A KR 20010044275 A KR20010044275 A KR 20010044275A KR 1020010004686 A KR1020010004686 A KR 1020010004686A KR 20010004686 A KR20010004686 A KR 20010004686A KR 20010044275 A KR20010044275 A KR 20010044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ool
educational
facilities
statu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창기
Original Assignee
민창기
주식회사 시티월드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창기, 주식회사 시티월드닷컴 filed Critical 민창기
Priority to KR1020010004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275A/ko
Publication of KR2001004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275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 중등 교육시설의 구조체 안전과 부위별 재료의 현재 상태를 알아보고 정밀 안전 진단에 의하지 않고도 부위별 노후화 상태를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하여 개축 여부를 판단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합리적인 보수의 우선순위를 알아내어 교육시설 계획자에게 노후 건물의 개축여부 판단에 대한 정책 형성의 기반을 제공하는 학교 시설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이용한 교육시설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학교단위에서 교육시설의 각종 자료를 등록,수정 또는 열람 할 수 있는 학교관리자 단말기(5)들과, 시, 군,구 교육청에서 교육시설의 각종 자료를 등록,수정 또는 열람 할 수 있는 교육청관리자 단말기(4)들과, 상기 단말기들에서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통하여 전송된 자료들을 저장하는 교육시설 데이타베이스(2)와, 상기 교육시설 데이타베이스(2)의 각종자료를 분석하는 분석수단에 의하여 노후화 정도의 표준화 값을 계산하고, 건물개축여부를 판정하여 이를 학교관리자 단말기(5)들과 교육청관리자 단말기(4)들에게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서버(1)와, 상기 서버(1)과 직접 연결, 또는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통하여 자료를 등록,수정 또는 열람 할 수 있는 전체관리자 단말기(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육시설 관리시스템{Educational facili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초, 중등 교육시설의 구조체 안전과 부위별 재료의 현재 상태를 알아보고 정밀 안전 진단에 의하지 않고도 부위별 노후화 상태를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하여 개축 여부를 판단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합리적인 보수의 우선순위를 알아내어 교육시설 계획자에게 노후 건물의 개축여부 판단에 대한 정책 형성의 기반을 제공하는 학교 시설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초, 중등 건물의 개축 판정은 구조 안전 정밀진단에 의존하고 있다. 안전문제 이외의 다른 문제로 개축하여야 하는 건물도 안전진단을 거치지 않고는 철거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구조 안전진단은 심각한 구조체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필요로 하겠지만 구조적인 면만을 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심한 구조적인 하자가 없이 어느 정도만 노후된 교육시설에 대하여 정밀 안전진단을 해야함은 시설관리 행정상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다. 구조적 하자는 철거할 만큼은 않되지만 교육적, 시대적 경제적, 재료 물리적으로 심각한 하자가 있을 경우는 개축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러가지 형태의 개축 여부를 판정하는 모델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시설을 구성하는 각 부위별 재료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여 정밀 안전 진단에 의하지 않고도 개축여부를 판단하는 모델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학교시설 노후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교육부에서 1993년에 학교시설 전산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상기 프로그램은 초, 중등학교 학교시설의 도면과 부위별 재료, 수량, 보수년도, 노후상태가 모든 실마다 조사되어 입력되었고. 특히 건축부분과 전기부문의 노후화 정도를 "아주좋다,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 아주 나쁘다"으로 5단계로 그 상태를 구분하여 입력되어, 상기 입력된 데이타에 의하여 오프라인으로 각급 학교 및 교육청에서 자료를 관리하면서 각 실의 부위별 노후도를 파악하여 학교시설의 유지관리 정책을 위하여 활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프로그램은 막대한 데이타의 입력에 비하여 실질적인 보수 또는 개축 여부를 판정하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판별 모델이 없어 여전히 주먹구구식의 개보수를 하는데 그쳤고, 각급학교나 관할 교육청에서도 단지 현황 파악을 종래보다 손쉽게 할 수 있다는 것외에는 활용도가 낮았으며, 오프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부기관의 행정 보고자료 및 서식에 의한 예산요구자료 등이 종래와 같이 디스켓이나 서면자료로 제출하게 되는 등 활용도가 극히 미미한 실정이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 한 것으로, 각급 학교의 교육시설의 학교현황 및 건축현황, 토목현황, 전기설비현황, 기계설비현황 등의 각종 데이타와 그 부위별 노후화 정도를 10등급으로 세분화하여 입력하고, 이를 분석하여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노후화 결정 모델에 의하여 시설물 보수 및 개축여부를 판정하게 하는 시설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교육시설의 각종 서지적 현황 데이타 뿐만 아니라 도면, 정지화상, 동화상 등을 해당 학교 뿐만 아니라 감독청인 시, 군, 구 교육청 및 광역시,도 교육청 등에서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온라인상으로도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설물 안전도를 학교현장 및 감독기관에서 온라인으로 실시간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설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터넷 공간의 활용 및 기존의 모니터링 기술과 결합하여, 기존의 각급학교 단위의 모니터링 기술 및 설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유지하게 하며, 각급학교단위의 모니터링에 대한 설비투자 및 유지에 따른 경제적, 기술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모니터링 운영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 관리시스템의 전체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관리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수정 및 열람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면관리 업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동화상 업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개축여부 판정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화 값 계산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서버 2 : 교육시설관리 데이타베이스
3 : 전체관리자 단말기 4 : 교육청관리자 단말기
5 : 학교관리 단말기 21 : 학교시설관리 데이타베이스
22 : 교육청시설관리 데이타베이스
본 발명인 학교관리 시스템의 입력 항목은 학교정보, 일반 시설 현황, 건물시설 현황, 전기시설 현황, 토목시설 현황, 기타 시설 현황, 도면관리, 사진관리, 영상관리, 사용자 관리, 학교 신설 현황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에서 학교정보는 일반 정보, 건물정보 및 개축여부 비중치 항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반 정보 항목은 해당학교에 수록되는 일반적인 정보로서 개교년월일, 우편번호,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담당자, 학교설립형태, 학교구분, 소속도시, 관할 교육청, 학생성별, 일련번호, 본/분교여부의 항목이 수록된다. 상기 건물정보 항목에는 학교내에 위치한 각 건물에 대한 정보로서 동번호, 건물명, 사용목적, 구조, 지하 및 지상층 수, 건축면적, 연면적, 건축년도의 항목이 수록된다. 상기 개축여부 비중치 항목은 소속 교육청에 모두 적용되는 수치데이타로 관할 교육청 관리자와 전체 관리자만이 수정할 수 있다. 입력된 건물의 사용목적을 교실, 실험실, 화장실, 창고, 강당 및 체육관, 실습실, 사택, 기타로 항목이 수록되며 건물개축여부판정에 그 수치값이 적용된다.
일반 시설현황에는 학생, 직원, 학급수, 교지보유, 교지소유 항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 항목은 학생수를 각 학년 그리고 주야간, 남녀로 구분된 자료이고, 직원 항목은 직원수를 성별 그리고 교장, 교감, 주임, 교사, 사무관, 주사, 주사보, 서기, 서기보, 기능직으로 구분지은 자료이며, 학급수 항목은 학급수를 학년 그리고 초, 중, 고, 특수, 야간으로 구분된 자료이다. 또 교지보유 항목은 교지보유 현황을 교사부지, 체육장, 실습지, 교외실습지로 구분하고 보유 수량을 기준, 보유를 수록한 항목이고, 교지소유 : 교지소유현황을 지번, 지목, 각 면적(학교, 공공, 개인, 기타), 소유자, 주소, 취득일, 기준시가로 구분한 항목이다.
건물시설 현황에는 건물층별, 동별 공사, 동별 보수, 공사 이력, 동별 마감, 동별 창호, 외부 마감, 화장실 항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물층별 항목에는 각 건물을 층으로 구분한 항목으로 층수, 층면적, 층고에 대한 자료이고, 동별 공사 항목은 각 건물에 대한 공사내역을 증축일련번호, 구조, 층수(지하, 지상), 용도, 실수, 단위면적, 연면적, 증감년월일, 증감사유, 투자액으로 구분한 항목이며, 동별보수 항목은 각 건물에 대한 보수내역을 보수실명, 보수내용, 실수, 면적, 연면적, 보수년월일, 보수사유, 투자액, 집행기관, 비고로 구분한 항목이다. 또 공사 이력 항목에는 동명, 증개축번호, 공사명, 공사기간, 하자보수기간, 공사금액, 관급금액, 시공사명, 주소, 대표이사, 현장대리인, 설계자명, 주소, 대표이사, 현장대리인, 감리자명, 주소, 대표이사, 현장대리인, 감독관, 준공검사자를 수록하고, 동별 마감 항목에는 동명, 면적, 건립연도 그리고 바닥, 벽, 천정의 재료, 수량, 보수년도, 상태을 수록하며, 동별 창호 항목에는 동명 그리고 교실측창(외부), 교실측창(내부), 중간창, 복도측창(외부), 복도측창(내부), 중간(현관)문, 교실문, 복도측문의 재료, 규격, 개소, 수량, 보수년도, 상태를 수록하며, 외부마감 항목에는 동명, 재료 그리고 정면, 좌측면, 우측면, 배면, 지붕/옥상의 수량, 보수년도, 상태를 수록하며, 화장실 항목에는 동명, 대소변 칸막이(재료, 수량, 보수년도, 상태), 대소변 출입문(재료, 규격, 개소, 수량, 보수년도, 상태) 그리고 수세식, 수거식의 소변기수, 대변기수를 수록한다. 여기에서, 동별마감, 동별창호, 외부마감, 화장실 등에는 노후상태에 대한 해당 관리자의 주관적인 면을 보정하고 전체 교육청의 표준화를 위한 최소/최대(MIN/MAX)값이 추가 되어있다. 이 표준화 최소/최대(MIN/MAX) 값은 전체관리자 및 해당 교육청 관리자만이 지정해주며 이 표준화 최소/최대(MIN/MAX)값이 없으면 기본값을 사용한다.
설비시설 현황는 상수도 설치, 상수도 지하저수조, 상수도 고가저수조, 지하수 지하저수조, 지하수 고가저수조, 옥외 급배수, 소방설비, 위생설비, 실내 급수대, 옥외 급수대, 교실난방, 펌프류, 도시가스, 저장시설, 정화조 항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수도 설치 항목은 계량기(설치년도, 구경, 개소), 수압상태(양호개소, 불량개소), 미인입개소, 비고를 수록한 항목이고, 상수도 지하저수조, 상수도 지하저수조, 상수도 고가저수조, 지하수 지하저수조 및 지하수 고가저수조 항목은 순번, 개소, 용량, 재질, 노후등급 및 개소, 개량개수 및 용량을 수록한 항목이다. 옥외급배수 항목은 구간, 급수관, 배수관으로 구분되며 급수관과 배수관의 순번, 설치(보수)년도, 재질, 보유수량, 노후등급, 노후수량을 수록한 항목이고, 소방설비 항목은 옥내소화전(기준수량, 보유수량 정상 및 노후), 소방용펌프(수량, 동력, 노후등급, 노후수량), 소화기(기준수량, 보유수량 정상 및 노후), 옥외소방설비를 수록한 항목이며, 위생설비 항목은 세면기, 각종 싱크, 샤워기, 특별교실실험대의 수량, 노후수량 노후등급을 수록한 항목이며, 실내급수대 항목 및 옥외급수대 항목은 개소, 급수전, 노후 급수전의 등급 및 수량을 수록한 항목이며, 교실난방 항목은 난방공급현황(전체교실수, 난방공급교실수의 정상, 노후등급 및 교실수), 난방형태별교실수(중앙난방, 개별난방), 사용연료별교실수(유류, 도시가스, 폐열, 전기, 탄류, 기타, 계)를 수록한 항목이며, 펌프류 항목은 번호, 도출구경, 동력, 수량, 노후등급에 따른 낮음, 중간, 높음을 수록한 항목이며, 도시가스 항목은 인입년도, 계량기 용량, 매립관(재질, 구경, 길이, 노후등급 및 수량), 정압시설(학교전용, 지역공용, 노후등급 및 수량)을 수록한 항목이며, 저장시설 항목은 구분명, 유류저장시설(유류종별, 개소, 저장량, 노후저장시설의 등급 및 개소), LPG저장시설(개소, 보유수량 20kg과 50kg, 가스집합장치의 개수 및 상태, 가스누설경보장치, 가스차단장치), 용도, 비고를 수록한 항목이며, 정화조 항목은 번호, 정화조명, 처리방식, 용량, 설치일, 구조, 재료, 노후등급, 최종청소일, 개선사항, 개선소요액, 보수년도, 비고를 수록한 항목이다.
전기시설 현황에는 전체1, 전체2, 동별 항목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체1 항목은 : 계약용량(일반, 동력, 심야), 부족용량, 수전방식 및 전압(단상 2선, 단상3선, 3상3선, 3상 4선, 기타), 수전설비(수변전, DM설비, 일반), 송출방식(일원화, 다원화), CCTV, 공청안테나를 수록한 항목이고, 전체2 항목은 부위, 종별, 규격, 수량, 개선필요개소(상, 중, 하), 보수년도, 개선 소요액을 수록한 항목이며, 동별 항목은 등기구, 전열기구, 스피커, 화재탐지기, TV수상기, 전화인터폼의 재료, 수량, 보수년도, 상태를 수록한 항목이다.
토목시설 현황은 배수로현황, 담장현황, 교내 포장 현황, 정출입문 현황, 기타 구조물 현황, 지하수 개발 현황, 경사보호면 현황 항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로현황, 담장현황, 교내 포장 현황, 정출입문 현황, 기타 구조물 현황 및 경사보호면 현황 항목은 이름, 재료, 규격, 설치년도, 보유수량, 노후상태 및 수량, 미설치수, 비고를 수록한 항목이고, 지하수 개발 현황 항목은 수량, 심도, 구경, 유량 충분 및 부족개소, 식수 가능 및 불가개소, 수중펌프의 규격, 수량, 노후등급 및 대수, 개발대상개소를 수록한 항목이다.
기타 시설 현황은 책상, 걸상, 목재사물함 및 철재사물함 항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책상, 걸상 및 철제 사물함 항목은 연도, 목재 구입 및 처분개소, 철재 구입 및 처분개소, 필요수량, 노후수량을 수록한 항목이고, 목재사물함 항목은 연도, 고정 구입 및 처분개소, 이동 구입 및 처분개소를 수록한 항목이다.
그밖에 도면관리항목은 기존에 입력된 건물정보에 추가로 층별, 도면작성일, 도면분류, 도면종류, 도면이름, 도면상세, 도면정보, 도면파일(mdw형식)을 수록한 항목이고, 사진관리 항목은 사진설명, 비고, 사진파일을 수록한 항목이며, 영상관리 항목은 영상설명, 비고, 동영상파일을 수록한 항목이며, 사용자 관리 항목은 최초 전체 관리자가 각 교육청별 관리자를 등록 및 관리하고 등록된 교육청 관리자가 해당 교육청의 학교 관리자들을 등록 및 관리하는 항목이다. 또, 학교 신설 현황 항목은 학교명, 공사개요, 연면적, 공사금액, 설계자, 시공자, 설계완료일, 공사완료일, 학교사진을 수록한 항목이다.
또 본 발명의 출력에 관련된 항목은 입력 화면 형식과 같은 항목과 구성을 갖고 있으며 출력형식을 전체, 교육청별, 초중고등학교별, 단일학교와 같은 형태로 화면상에서 보여주고 각 항목의 구성요소중 중요한 것은 우선순위를 정해 오름 및 내림차순으로 정렬할수 있게 되어 있어 현황 파악 및 실태 분석함에 있어서 용이하게 되어 있다. 입력에서 추가되었거나 달라진 부분은 건물시설현황, 도면 등록현황, 사진 등록현황 등으로 , 상기 건물 시설 현황은 입력된 데이터와 개축 여부 비중치를 바탕으로 분석한 건물 개축여부판별 결과가 건물동별에 추가되고, 입력된 데이터와 재료별 내구기간을 통해 분석된 남은 기간이 표시되며, (동별마감, 동별창호, 외부마감, 화장실) 교육청 관리자가 입력한 학교별 표준화값 최소/최대(MIN/MAX)값과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값이 추가된다. (동별마감, 동별창호, 외부마감, 화장실) 상기 도면 등록 현황은 전체보기 및 도면 종류별로 건축, 기계, 전기, 소방, 통신, 특수설비, 토목에 관한 항목을 따로 확인 할수 있으며 도면 파일의 내용을 다운하지 않고 미리 볼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사진등록현황은 페이지당 9개씩 묶어서 화면상에 보여주며(예를 들면 섬네일 방식), 마우스의 클릭을 통하여 원래 크기로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 관리시스템의 전체 계통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시설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학교단위에서 교육시설의 각종 자료를 등록,수정 또는 열람 할 수 있는 학교관리자 단말기(5)들과, 시, 군,구 교육청에서 교육시설의 각종 자료를 등록,수정 또는 열람 할 수 있는 교육청관리자 단말기(4)들과, 상기 단말기들에서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통하여 전송된 자료들을 저장하는 교육시설관리 데이타베이스(2)와, 상기 교육시설관리 데이타베이스(2)의 각종자료를 분석하는 분석수단에 의하여 노후화 정도의 표준화 값을 계산하고, 건물개축여부를 판정하여 이를 학교관리자 단말기(5)들과 교육청관리자 단말기(4)들에게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서버(1)와, 상기 서버(1)과 직접 연결, 또는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통하여 자료를 등록,수정 또는 열람 할 수 있는 전체관리자 단말기(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교육시설관리 데이타베이스(2)는 각급 학교의 교육시설에 대한 각종 자료를 저장허고 있는 학교시설 데이타베이스(21)과 단위 시,군,구 교육청 별로 일반 서지적 사항의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교육청시설관리 데이타베이스(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하나의 데이타 베이스로 통합관리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터넷 뿐 만 아니라 전용망을 통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관리 계통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관리는 광역시,도의 교육시설 관리자인 전체 관리자(이하 '전체 관리자'라 한다)가 관할 시,군 교육청의 교육시설 관리자(이하 '교육청 관리자'라 한다)를 등록 및 수정을 하고, 또 교육청 관리자는 관할 교육청의 감독을 받고 있는 초, 중등교의 명칭과 그 곳의 관리자(이하 '학교 관리자'라 한다)를 등록 및 수정을 하며, 최종적으로 학교 관리자는 학교시설 정보를 입력, 수정, 갱신하도록 하여 사용자 관리가 계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시설 등에 관한 각종 자료를 등록, 수정 또는 열람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 교육청 관리자와 학교 관리자는 교육 시설 등에 관한 각종 자료를 입력, 수정 또는 열람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단말기에서 웹브라우져를 구동시킨 뒤, 교육시설관리 시스템 홈페이지를 접속하여 초기화면에서 주어진 교육청 관리자또는 학교 관리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등록된 ID이면 등록, 수정 또는 열람을 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고, 등록된 ID가 아니면 "관리자 등록 후 접속하십시요" 라는 메세지를 전송하고 종료시키게 된다. 상기 등록, 수정 또는 열람을 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면 등록, 수정 또는 열람 중 하나를 선택하고, 등록, 수정을 선택하게 되면 등록, 수정 화면이 모니터 상으로 표시되고 등록,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열람을 선택하게 되면 열람 화면이 모니터 상으로 표시되고 교육시설에 대한 각종 자료를 열람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에 대한 각종 도면을 관리하는 관리 업무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서 등록, 수정을 선택하여 등록, 수정 화면이 모니터 상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도면관리를 선택하고, 화면상에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도면분류의 여러가지 형식(포맷)이 표시되고 그 중에서 적합한 것을 선택한 뒤, 도면을 작성하여 파일(예를 들면 mdw파일)로 만들며 서버로 업로드 시키면 도면을 등록하게 된다. 이때 서버에서는 관리자 단말기로 부터 업로드된 도면 파일의 파일명을 도면 분류에 맞게 재작성 한 뒤 썸네일 형식에 따른 bmp형식으로 변환된 복사본과 함께 저장한다. 단말기에서 도면을 열람할 때에는 해당 학교와 분류에 따라 도면의 썸네일 형식으로 9개씩 한 화면에 표시하게 하고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며 도면 뷰어(viewer)를 통해서도 볼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에 대한 각종 사진/동화상을 관리하는 업무 흐름도로서, 도 3에서 등록, 수정을 선택하여 등록, 수정 화면이 모니터 상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사진/동화상 관리를 선택하고, 화면상에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사진/동화상 분류의 여러가지 형식(포맷)이 표시되고 그 중에서 적합한 것을 선택한 뒤, 사진/동화상을 작성하여 파일로 만들며 서버로 업로드시키면 사진/동화상을 등록하게 된다. 이때 서버에서는 관리자 단말기로 부터 업로드된 사진/동화상 파일을 사진/동화상 파일명을 사진/동화상 분류에 맞게 파일명을 재작성 한 뒤 저장한다. 단말기에서 사진/동화상을 열람할 때는 해당학교와 분류에 따라 9개씩 한 화면에 표시하게 하고 사진은 작은 크기로 보여주며 동영상은 플레이할 수 있는 형태로 보여준다. 각 사진 또는 동영상 파일은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하며 큰 사진으로 보거나 동영상을 브라우져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건물의 개축여부를 판정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노후 건물에 개축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즉 부위별 노후화 정도는 바닥 상태a, 외부창 상태b, 옥상 상태c, 전등 상태d, 창문 상태e, 약전설비 상태f 로 하였다. 이는 교육청의 1만2천개 교실을 통계분석하여 개축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바닥 상태, 외부창 상태, 옥상 상태, 전등 상태, 창문 상태, 약전설비 상태이며 다른 수 많은 변수는 이들과 유사하거나 이들로 인하여 설명될 수 있어서 개축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아 내었다. 이들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축 여부에 각기 다른 정도로 영향을 미침을 알아내었고, 개축여부 정도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한계 또한 통계학의 판별 분석과 실제 경험치를 통해 알아내었으며, 또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하여 각 변수의 가중치 등을 얻을 수 있었다. 노후 건물에 개축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해당건물의 상기 바닥 상태a, 외부창 상태b, 옥상 상태c, 전등 상태d, 창문 상태e, 약전설비 상태f 변수 들을 교육시설 관리 데이타베이스로 부터 가져와 각 변수들의 값이 유효한가를 판별한 뒤 유효한 값이면
결과치인 result =(0.4785379*a/2 + 0.6723014*b/2 - 0.8652742*c/2 - 0.9907551*d/3.3 + 1.0654281*e/2 + 0.9132354*f/3.3 - 1.826793)*g
로 구하고, 상기 결과치 result가
result〈1.433236 이면 "존치",
result〈2.085242 이면 "부분보수1",
result〈2.737247 이면 "부분보수2",
result〈3.389253 이면 "부분보수3",
result〈4.041259 이면 "부분보수4",
result〈4.693265 이면 "개축1",
result〉=4.693265 이면 "개축2"으로 판정한다.
이렇게 각급학교의 해당 건물에 대하여 그 부위별 노후화 정도를 10등급으로 세분화하여 그 부위별 상태를 입력하고, 이를 분석하여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얻어진 가중치 및 수식으로 나온 결과치로 시설물 보수 및 개축여부를 판정하게 함으로써 교육시설을 구성하는 각 부위별 재료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여 정밀 안전 진단에 의하지 않고도 노후건물의 개축 여부에 영향을 다수개의 변수만으로 개축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각 부위별 노후화 정도(각 부위별 상태)의 정확도에 따라 노후건물의 개축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고, 이들의 정확도를 위하여 또다른 표준화기법이 필요하다. 교육시설 건물의 각 부위별 노후도 정도의 판정에 있어서 해당 학교에서 학교관리자가 노후화 정도를 10등급으로 세분화하여 판별하여 각 부위별 노후화 정도(각 부위별 상태)를 입력하면 관할 교육청교육청 관리자는 해당 학교에서 노후화 정도를 과다 또는 과소 입력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학교에서 입력한 노후화 정도를 표준화시켜서 표준화 값을 계산하여 보정하는 방식을 하여 노후도 정도를 판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화값을 계산하는 업무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본래 노후도값을 in, 최대값을 max, 최소값을 min으로 할 때, 표준화값은 (노후도값-최소값) /(최대값-최소값) x 10[(in-min) /(max-min) x 10]으로 하고, 노후도 값이 최소값보다 낮거나 같을 때에는 최소값을 표준화 값을 정하고, 노후도 값이 최대값 보다 크거나 같을 때에는 최대값을 표준화 값으로 정한다. 이렇게 하면 각급 학교의 교육시설 건물에서의 각 부위별 노후화 정도가 객관화시킬 수 있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내구기간은 각 부위별 재료별 내구기간을 통계적으로 추출하되 로그식, 직선식, 엑스포넨셜식 중 가장 맞는 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식으로 부터 시작점에서부터 5분의 4지점을 항목점으로 설정하여 내구기간으로 하고, 또 현재 각급학교에서 보수의 우선순위와 건물의 기능을 고려하여 보수하는 것에 착안하여 건물에 가중치를 기능에 따라 달리하여 내구기간을 보정하여 조정한다.
본 발명은 각급학교의 교육시설의 학교현황 및 건축현황, 토목현황, 전기설비현황, 기계설비현황 등의 각종 데이타와 그 부위별 노후화 정도를 세분화(예를 들면 10등급)하여 입력하고, 이를 분석하여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노후화 표준화값에 의하여 시설물 보수 및 개축여부를 판정하게 함으로서 정밀 안전진단을 하지않고 개축시기를 알 수 있으며 효율적인 예산집행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교육시설의 각종 서지적 현황 데이타 뿐만 아니라 도면, 정지화상, 동화상 등을 해당 학교 뿐만 아니라 감독청인 시, 군, 구 교육청 및 광역시,도 교육청 등에서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온 라인상으로 열람이 가능하게되어, 시설물 안전도 및 예산 편성에 실질적인 자료를 학교현장 및 감독기관에서 온라인으로 실시간 점검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 공간의 활용 및 기존의 모니터링 기술과 결합하여, 기존의 각급학교 단위의 모니터링 기술 및 설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유지하게 하며, 각급학교단위의 모니터링에 대한 설비투자 및 유지에 따른 경제적, 기술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이용한 교육시설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학교단위에서 교육시설의 각종 자료를 등록,수정 또는 열람 할 수 있는 학교관리자 단말기(5)들과, 시, 군,구 교육청에서 교육시설의 각종 자료를 등록,수정 또는 열람 할 수 있는 교육청관리자 단말기(4)들과, 상기 단말기들에서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통하여 전송된 자료들을 저장하는 교육시설관리 데이타베이스(2)와, 상기 교육시설관리 데이타베이스(2)의 각종자료를 분석하는 분석수단에 의하여 노후화 정도를 계산하고, 건물개축여부를 판정하여 이를 학교관리자 단말기(5)들과 교육청관리자 단말기(4)들에게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서버(1)와, 상기 서버(1)과 직접 연결, 또는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통하여 자료를 등록,수정 또는 열람 할 수 있는 전체관리자 단말기(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정되는 각종 자료는 학교정보, 일반 시설 현황, 건물시설 현황, 전기시설 현황, 토목시설 현황, 기타 시설 현황, 도면관리, 사진관리, 영상관리, 사용자 관리, 학교 신설 현황 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후화 정도의 계산은 표준화값에 의하여 하되, 상기 표준화값은 (노후도값-최소값) /(최대값-최소값) x 10으로 하고, 노후도값이 최소값보다 낮거나 같을 때에는 최소값을 표준화 값을 정하고, 노후도값이 최대값 보다 크거나 같을 때에는 최대값을 표준화 값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관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개축여부의 판정은 노후건물의 바닥 상태a, 외부창 상태b, 옥상 상태c, 전등 상태d, 창문 상태e, 약전설비 상태f의 변수를 이용하여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개축여부의 판정은 "존치", "부분보수1", "부분보수2", "부분보수3", "부분보수4", "개축1", "개축2"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교관리자 단말기(5)들과 교육청관리자 단말기(4)들 및 전체관리자 단말기(3)는 교육시설의 도면, 사진, 동화상을 등록,수정 또는 열람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관리 시스템.
KR1020010004686A 2001-01-31 2001-01-31 교육시설 관리시스템 KR20010044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686A KR20010044275A (ko) 2001-01-31 2001-01-31 교육시설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686A KR20010044275A (ko) 2001-01-31 2001-01-31 교육시설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75A true KR20010044275A (ko) 2001-06-05

Family

ID=1970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686A KR20010044275A (ko) 2001-01-31 2001-01-31 교육시설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27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861B1 (ko) * 2004-07-16 2006-08-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KR100732474B1 (ko) * 2004-08-31 2007-06-27 조현섭 전기 사고 방지를 위한 교육용 컨텐츠의 제공 방법
KR101580867B1 (ko) * 2015-03-09 2016-01-11 유제원 어린이 놀이시설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7054A (ko) * 2019-10-21 2021-04-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861B1 (ko) * 2004-07-16 2006-08-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KR100732474B1 (ko) * 2004-08-31 2007-06-27 조현섭 전기 사고 방지를 위한 교육용 컨텐츠의 제공 방법
KR101580867B1 (ko) * 2015-03-09 2016-01-11 유제원 어린이 놀이시설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7054A (ko) * 2019-10-21 2021-04-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linari et al. Ex post damage assessment: an Italian experience
Hamann et al. Valuing the multiple benefits of blue-green infrastructure for a Swedish case study: contrasting the economic assessment tools B£ ST and TEEB
Contreras Fuzzy boundaries between post-disaster phases: The case of L’Aquila, Italy
Ho et al. Achieving sustainable urban renewal in Hong Kong: Strategy for dilapidation assessment of high rises
JP52607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Nguyen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to temporary educational facilities: A case study of relocatable modular school in South Korea
JP7466922B2 (ja) 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chinke et al. Damage estimation of subterranean building constructions due to groundwater inundation–the GIS-based model approach GRUWAD
Edelman et al. Resiliency of prefabricated daycares and schools: Finnish perspective to relocatable education facilities
Pope et al. Renovation versus new construction and building decision tool for educational facilities
KR20010044275A (ko) 교육시설 관리시스템
Andritsou et al. Merging BIM, Land Use and 2D Cadastral Maps into a Digital Twin Fit—For—Purpose Geospatial Infrastructure
JP6992998B2 (ja) 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31122B2 (ja) 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Vatougiou et al. An evidence review of data associated with non-domestic buildings
Leao et al. Monitoring exposure to traffic noise with mobile phones in China: a review of context
Oguntimehin et al. Upgrading the Old Traditional Neighbourhood in Nigerian Cities: A Case Study of Oke-Itoku Area of Abeokuta
Maan et al. Environmental evaluation of the alternative housing environments of slums
Santangelo et al. NEW APPROACHES FOR SEISMIC IMPROVEMENT AND RENOVATION OF ADRIATIC AND IONIAN HISTORIC URBAN CENTRES. ADRISEISMIC in a nutshell
Mohd et al. A Model to Determine the Degree of Housing Damage for Flood-Affected Area: A Preliminary Study
Anatolyevna et al.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FOR PROGRAM IMPLEMENTATION HOUSING EDUCATION OF THE MAGADAN REGION
Peprah Gregory Amoah, Owusu Amponsah &
Campbell-Templeman A Methodology for Rapid Energy Modelling and Maintenance Request Data Informed Building Retrofit Opportunity Analysis
JP2019087289A (ja) 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elpoliti et al. Energy consumption of UAE public schools. Mapping of a diversified sector assessing typology, conditions, and educationa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