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054A -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054A
KR20210047054A KR1020190130640A KR20190130640A KR20210047054A KR 20210047054 A KR20210047054 A KR 20210047054A KR 1020190130640 A KR1020190130640 A KR 1020190130640A KR 20190130640 A KR20190130640 A KR 20190130640A KR 20210047054 A KR20210047054 A KR 2021004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ovement
maintenance
information
unit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266B1 (ko
Inventor
구교진
조동현
박상헌
배창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2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관리 장치는 교육 기관의 유지 보수에 대한 보수 단가 및 보수 이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관리 정보가 보관된 보관 유니트; 상기 교육 기관에 대한 환경 개선 사업을 관리하는 관리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유니트는 상기 관리 정보를 이용해서 복수의 상기 교육 기관 중 상기 환경 개선 사업을 적용받을 특정 교육 기관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본 발명은 초, 중, 고 국공립 시설물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 개선 사업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1차 베이비붐 세대의 학령기에 맞춰 1980년대 학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로부터 30~40년이 지난 지금 노후화된 학교의 관리방안이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은 노후화된 교육시설을 개선하기 위해 크게 시설 건축(신축, 증개축)과 교육환경개선사업으로 구분하여 개선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교육환경개선사업은 교육시설의 노후화에 따른 시설의 교체 및 보수/보강사업으로 목표 사용연수까지 학교시설의 상태를 개선하고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유지관리 사업을 의미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00554호에는 생애주기비용(LCC) 예측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LCC 예측 시스템을 사용하여 학교 시설의 생애 비용을 예측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00554호
본 발명은 환경 개선 사업의 기간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교육 기관의 유지 보수에 대한 보수 단가 및 보수 이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관리 정보가 보관된 보관 유니트; 상기 교육 기관에 대한 환경 개선 사업을 관리하는 관리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유니트는 상기 관리 정보를 이용해서 복수의 상기 교육 기관 중 상기 환경 개선 사업을 적용받을 특정 교육 기관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교육 기관에 대한 환경 개선 사업을 관리하는 관리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유니트는 유지 보수 대상에 대한 전면 보수가 필요한 경우, 건물을 기본 단위로 사업 규모를 설정하고, 건물 단위로 상기 환경 개선 사업에 포함된 복수의 공종을 상기 환경 개선 사업의 대상으로 함께 선정하며, 상기 관리 유니트는 상기 유지 보수 대상에 대한 부분 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건물 단위에 추가적으로 공간 단위 또는 부위 단위를 이용해서 상기 환경 개선 사업에 포함된 복수의 공종을 상기 환경 개선 사업의 대상으로 함께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BIM 기반의 실태 조사 점수를 바탕으로 우선 순위 초안을 작성하는 단계; 과거의 사례 자료를 바탕으로 공종별 평균 예산 배정 건수를 조사하고,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공종별 우선 순위에 대해 예산 배정의 가능성을 설정하는 단계; 학교명을 기준으로 소팅하고, 학교별 사업 요구 신청 건수 또는 금액을 파악하고, 제1 우선 순위를 생성하는 단계; 학교내 같은 공간에서 발생된 유지 보수 사업을 파악하는 단계; 연관 공종 사업군에 속하는지 파악하는 단계; 상기 연관 공종 사업군에 속하는 경우 연계 진행을 위한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 예산 배정 범위 중 속한 범위에 따라 사업 연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우선 순위가 수정된 제2 우선 순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선 순위와 상기 제2 우선 순위를 비교하는 단계; 개선안을 통해 바뀐 사업 순서에 의해 사업 기간의 단축 상태를 산출하는 단계; 단축 상태의 산출 결과가 설정값을 만족하면, 상기 제2 우선 순위에 따라 환경 개선 사업을 적용받을 학교와 공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 교육 환경 개선 사업에서 공간의 개념을 활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간 정보 이외에 BIM 모델에 입력이 필요한 정보를 정의하고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의 실태 조사 단계를 BIM 모델을 활용하여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실태 조사 점수를 바탕으로 우선순위 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우선 순위 개선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입력(Input)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공간/공종 연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우선 순위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방학 기간 내에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사업간 공간/공종 연계성을 고려하여 사업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프레임워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분 보수 사례의 증가, 관련 데이터의 사용성 증대를 위해 공간 개념을 도입하였고 이를 위해 BIM이 활용될 수 있다. BIM 모델의 공간 정보를 사용하고 더 나아가 교육 환경 개선 사업 요구 신청, 실태 조사시에 필요한 정보 중 BIM 모델에 입력되어야 하는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BIM 도입을 통해 공간 개념을 활용한 부분 보수의 이력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둘째, 방학 기간 내에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공간/공종 연계성을 고려하여 연관 공종 사업군이 정의될 수 있다. 연관 공종 사업군을 활용하여 공간/공종 연계 알고리즘이 생성되고, 교육 환경 개선 사업에 적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도출된 우선 순위 개선안과 기존안을 비교하여 사업 기간 단축 여부가 비교될 수 있다. 미실시된 사업의 기간을 추측하기 위해 4개년 공사 대장 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관 공종 사업군의 평균 사업 기간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사업 기간을 활용하여 알고리즘이 적용된 우선순위 개선안의 사업 기간이 비교될 수 있다. 매년 평균적으로 314일의 사업 기간이 단축되었으며 이는 약 37.4%가 단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교육 환경 개선 사업 주요 업무 흐름도이다.
도 3은 DG 초등학교 사업 요구 신청 현황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4는 바닥 개선 사업 일람표이다.
도 5는 냉난방 사업 일람표이다.
도 6은 교실 출입문, 중연창, 벽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예상되는 예산 범위 설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학교별 소팅도이다.
도 10은 사업군 분류에 따라 우선 순위가 조정된 도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관리 장치는 보관 유니트(110) 및 관리 유니트(130)를 포함할 있다.
보관 유니트(110)에는 초, 중, 고 국공립 학교시설의 유지 보수에 대한 보수 단가 및 보수 이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관리 정보가 보관될 수 있다.
보관 유니트(110)에는 보수 단가가 기록 보관되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 보수 이력이 기록 보관되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가 마련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교육 기관에 대한 환경 개선 산업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보관 유니트(110)에 보관된 관리 정보를 이용해서 개선사업 요구 신청한 복수의 교육 기관 중 환경 개선 사업 예산을 배정받을 특정 교육 기관 및 요구신청항목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다.
관리 정보는 보수 단가, 보수 이력 및 교육 기관의 관리자가 추가로 입력한 입력 정보, BIM 모델에 포함된 시설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시설 정보에는 교육 기관 내의 건물에 대한 건축 연도, 설비 기기의 설치 연도, 각 항목별(또는 공종별) 내용 연수, 조명 개수, 계약 전력, 전체 수량, 재질, 면적, 길이, 높이, 폭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환경 개선 사업은 복수의 항목 또는 공종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용 연수는 건물, 기계, 설비 따위의 고정 자산을 계속하여 쓸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에는 조사부(131) 및 선정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조사부(131)는 교육 기관의 유지 보수 필요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조사 결과를 이용해서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선정부(133)는 실태 조사 점수를 이용해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환경 개선 사업을 적용받을 특정 교육 기관을 자동 선정할 수 있다.
교육 기관의 유지 보수를 지원하는 환경 개선 사업의 지원 자금은 제한적일 수 있다. 제한된 지원 자금으로 인해, 복수의 교육 기관에서 요구하는 모든 유지 보수 사업을 한번에 모두 지원하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의 긴급도 등을 기초로 복수의 교육 기관 또는 시설별로 유지 보수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유지 보수용 자금이 지원될 수 있다. 이때, 조사부(131)에 의해 산출되는 실태 조사 점수는 유지 보수의 긴급도를 나타내거나, 교육 기관의 유지 보수 필요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선정부(133)는 실태 조사 점수를 이용해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환경 개선 사업을 적용받을 특정 교육 기관을 자동 선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환경 개선 사업을 적용받을 특정 교육 기관을 '수혜 기관'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1960~70년대 출생한 베이비붐 세대를 수용하기에 당시 학교 수가 부족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학교의 양적 확대 정책을 수립하였다. 1980년대 학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이 시기에 설립된 학교 시설은 30~40년이 지나 내구 연한이 경과되었다. 현재 이러한 노후화된 건물의 관리 방안이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는 노후화된 교육 시설물의 상태와 기능을 보존하고자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 시설물은 방학 기간 이외에 학생들과 교직원이 사용하기 때문에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을 방학 기간 내에 수행해야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일부 사업 규모가 큰 경우, 방학 기간 외에도 사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공사의 규모가 크거나 공사가 지연되어 방학 기간 내에 끝내지 못한 경우 다음 학기에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용자, 즉 학생과 교직원의 불편함이 증가하게 된다. 더 나아가 뒤따르는 교육 환경 개선 사업에 연쇄적인 지연을 초래하여 향후 유지 보수 계획에 차질이 발생한다.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은 12개의 공종으로 분류하여 수행된다. 12개의 공종 중 일부 공종은 서로 연관성이 높아 사업을 동시 또는 일부 겹치는 기간을 두어 진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관 공종간의 연계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과거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은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전면 보수에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2018년 화장실 개선 사업을 전면 보수와 부분 보수를 나누어 사업 요구 신청을 받기 시작했고 2019년 신설된 급식 시설 개선 사업 역시 전면 보수와 부분 보수를 나누어서 사업 요구 신청을 받고 있다. 공식적으로 전면 보수, 부분 보수를 나누지 않더라도 화장실 개선, 급식실 개선 외 다른 공종들의 사례에서도 일부 부분 보수로 집행되고 있다. 부분 보수의 '부분'범위는 일반적으로 건물 단위의 '~동', '~관', '~센터'이며 이보다 한 단계 낮아진 공간(실) 단위와 같은 공간 내 다른 공종을 구별하기 위해 엘리먼트(부위) 단위로 구분된다.
학생들과 교직원의 불편함을 최소화해야하는 교육 시설물 특성상 방학 기간 내에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을 최대한 실시해야 하지만 현재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은 12개의 공종으로 구분하여 진행되고 공종간 연계성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의 소요 기간 및 소요 자금이 증가하는 문제가 연속해서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제한된 기간 내에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공간별, 공종별 연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방학 기간 내에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사업간 공간/공종 연계성을 고려하여 사업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프레임 워크가 제공될 수 있다.
건축물(시설물) 유지 관리는 건축물의 성능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시설을 일상 점검하고 손상된 부분을 원상 복구하여 초기 준공된 상태로 유지한다. 동시에 경과 시간에 따라 요구되는 시설물의 개량과 추가 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건축물(시설물)은 준공 후 시간이 경과하면 성능이 저하된다. 건축물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청소와 유지 관리 및 점검을 한다. 유지 관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건축물의 성능을 신축 당시 성능에 도달하도록 보수/보강 공사를 진행한다. 더 이상 건축물로서 성능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개축/리모델링/철거를 하여야 한다.
유지 관리는 시점에 따라 사후 보전 관리와 예방 보전 관리로 구분한다. 사후 보전 관리는 건물의 성능 및 기능이 손상되었을 때 보수/보강을 하는 관리 방법이며, 예방 보전 관리는 점검을 통해 손상 정도를 예측하고 사전에 보수/보강을 하는 관리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유지 보수의 대상이 되는 교육 기관 또는 교육 시설은 초/중/고등학교 교육을 위한 물리적 환경으로써 학교 부지, 교사, 보통 교실, 특별 교실, 관리실, 실험/실습실 등의 교육 기본 시설과 체육관, 강당, 급식실, 도서실, 전산실 등의 지원 시설 및 부속 시설을 말한다.
교육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은 학교 신설, 교실 증/개축을 제외하고 냉난방 개선, 창호 개선, 바닥 공사, 방수 공사, 전기 공사, 급식 시설 개선, 화장실 개선, 외벽 개선, 소방 시설 개선, 외부 환경 개선, 도장 공사, 기타 사업 총 12개 공종으로 분류하여 수행된다. 교육 환경 개선 사업 대상 공종별로 목표 사용 연수(전면보수주기)를 설정하고 목표 시기까지 시설물의 기능/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유지 보수 공사를 수행한다.
교육 환경 개선 사업 주요 업무 흐름도는 도 2와 같다. 각 학교 단위로 개선사업 요구신청을 받고 이를 취합하여 교육 환경 개선 사업 기본 계획을 수립한다. 환경 개선 대상 사업 실태 조사 및 타당성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청, 본청 심의를 거처 교육 환경 개선 사업 우선 순위를 선정한다. 시의회 예산 심의를 거쳐 예산이 배정되면 설계 용역을 주고 공사 집행을 한다.
교육 환경 개선 대상 사업의 실태 조사에서 고려되는 세부 산출 요소를 11개의 사업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화장실 개선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 사용 연수, 노후율, 관리 상태 그리고 안전성이 있다.
사용 연수는 화장실 내용 연수인 20년과 건축 연도(유지 보수 이력이 있다면 보수 연도)에서 실태 조사가 이뤄지는 기준 연도를 뺀 값을 비교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노후율은 적정 보수 물량 산출로 전체 수량(물량)대비 개선 대상 수량(물량)으로 계산한다. 세부 공종으로는 칸막이, 타일, 위생기구, 천장, 기타(난방기구, 급탕기구, 조명기구 등)로 구분하여 노후율을 산출하고 합계 퍼센트(%) 기준으로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관리 상태는 최근 3년간 노후로 인한 보수 횟수로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안전성은 비내식성 관과 석면 마감재의 유무에 따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2) 전기 시설 개선
전기 시설 개선은 조명 기구 개선과 수배전 시설 개선으로 나눠 진행한다. 조명 기구 개선의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 사용 연수, 교실 조명수, 시설 기준, 안전성이 있고 수배전 시설 개선의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는 사용 연수, 피크율, 관리 상태, 안정성이 있다. 사용 연수는 각 개선 사업의 내용 연수와 건축 연도(보수연도)에서 실태 조사가 이뤄지는 기준 연도를 뺀 값을 비교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피크율은 계약 전력 대비 피크 전력으로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관리 상태는 최근 3년간 노후로 인한 보수 횟수로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안전성은 석면 마감재의 유무 또는 전기 안전 관리자 의견에 따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3) 냉난방 개선
냉난방 개선은 GHP(Gas Engine Heat Pump), EHP(Electric Heat Pump), 개별 냉난방기 그리고 중앙 집중식 냉난방으로 나눠 진행한다. 냉난방 개선의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 사용 연수, 수리율, 분해 청소 및 화학 세척이 있다. 사용 연수는 Heat Pump별 내용 연수와 건축 연도(보수 연도)에서 실태 조사가 이뤄지는 기준 연도를 뺀 값을 비교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수리율은 전체 수량(물량) 대비 개선 대상 수리 대수로 계산한다. 분해 청소 및 화학 세척은 이전 청소 또는 세척 횟수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4) 창호 개선
창호 개선은 외부창, 교실 출입문, 중연창으로 나눠 진행한다. 창호 개선의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 사용 연수, 재질, 노후율 그리고 안전성이 있다. 사용 연수는 창호 재질별 내용 연수와 건축 연도(보수 연도)에서 실태 조사가 이뤄지는 기준 연도를 뺀 값을 비교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노후율은 전체 수량(물량) 대비 개선 대상 수리 대수로 창호(출입문) 불량, 개폐 불량, 코킹 불량으로 나눠서 계산한다. 안전성은 누수 및 탈락 우려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5) 외벽 개선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 사용 연수, 관리 상태 그리고 안전성이 있다. 사용 연수는 외벽 재질(치장 벽돌, 판넬/석재, 타일, 미장, 드라이비트)별 내용 연수와 건축 연도(유지 보수 이력이 있다면 보수 연도)에서 실태 조사가 이뤄지는 기준 연도를 뺀 값을 비교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관리 상태는 최근 3년간 노후(탈락)로 인한 보수 횟수로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안전성은 미관 저해, 미단열, 누수, 탈락 우려 등에 따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6) 소방 시설 개선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 사용 연수, 관리 상태 그리고 안전성이 있다. 사용 연수는 내용 연수인 20년과 건축 연도(유지보수 이력이 있다면 보수연도)에서 실태 조사가 이뤄지는 기준 연도를 뺀 값을 비교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세부 공종으로는 옥내 소화전과 발신기로 구분한다. 관리 상태는 최근 3년간 노후로 인한 보수 횟수로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안전성은 유지 보수/개선 요구와 소방서 개선 요구로 나누고 이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7) 방수 공사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 사용 연수, 누수 규모, 누수 정도 그리고 노후 정도가 있다. 사용 연수는 방수 공사의 내용 연수인 15년과 건축 연도(유지 보수 이력이 있다면 보수 연도)에서 실태 조사가 이뤄지는 기준 연도를 뺀 값을 비교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누수 규모는 누수가 발생한 공간(실)을 기준으로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누수 정도는 스며듦/도장탈락/부식으로 나눠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노후 정도는 상부 코팅 손상/기초 코팅 손상/균열로 나눠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8) 바닥 개선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 사용 연수, 노후도가 있다. 사용 연수는 사용 재질별 내용 연수와 건축 연도(유지 보수 이력이 있다면 보수 연도)에서 실태 조사가 이뤄지는 기준 연도를 뺀 값을 비교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노후도는 적정 보수 물량 산출로 전체 수량(물량) 대비 개선 대상 수량(물량)으로 계산한다. 재질은 목재 후로링, 비닐 계열, 테라죠 타일(인조석)로 구분한다.
9) 도장 공사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 사용 연수, 건물별, 노후 정도 그리고 건물 위치가 있다. 사용 연수는 도장 공사 내용 연수인 6년과 건축 연도(유지 보수 이력이 있다면 보수 연도)에서 실태 조사가 이뤄지는 기준 연도를 뺀 값을 비교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건물별은 교사동, 체육관, 강당, 부속동 기타로 구분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노후 정도는 단순 오염, 탈색/벗겨짐, 벽체 미세 균열로 구분하여 노후 정도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건물 위치는 인근 몇차선 도로가 있는지에 따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10) 외부 환경 개선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 사용 연수, 노후율 그리고 안전성이 있다. 사용 연수는 세부 대상별/재질별 내용 연수와 건축 연도(유지 보수 이력이 있다면 보수 연도)에서 실태 조사가 이뤄지는 기준 연도를 뺀 값을 비교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외부 환경 개선 세부 대상으로는 U형 측구 및 흄관 배수로, 축대, 철재 및 조적 담장, 포장으로 구분한다. 노후율은 적정 보수 물량 산출로 전체 수량(물량)대비 개선 대상 수량(물량)으로 계산한다. 안전성은 미관 저해, 민원 유발 증빙서, 보도와 차도 미분리, 균열, 파손, 침하, 물고임에 따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11) 급식 시설 개선
급식 시설 개선은 2019연도에 새롭게 추가된 공종으로 학교 시설 통합 정보 시스템에 추가되었다.
12) 기타 사업
점수 산출 세부 요소로 사용 연수, 안전성, 시급성, 노후율, 그리고 관리 상태가 있다. 사용 연수는 사업별 내용 연수와 건축 연도(유지 보수 이력이 있다면 보수 연도)에서 실태 조사가 이뤄지는 기준 연도를 뺀 값을 비교하여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안전성은 미관 저해, 민원 유발 증빙서, 관계 법령 저촉, 안전 관련 사항에 따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시급성은 몇 년 이내로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하는지에 따라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노후율은 적정 보수 물량 산출로 전체 수량(물량) 대비 개선 대상 수량(물량)으로 계산한다. 관리 상태는 최근 3년간 노후로 인한 보수 횟수로 1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의 12개 공정별로 예산 배정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안전과 크게 연관되어 있는 소방 시설 개선과 시설물을 사용함에 있어 큰 불편함을 끼칠 수 있는 방수 공사의 경우, 높은 예산 배정률을 볼 수 있다. 그에 반해 노후화됨에 따라 사용성에는 큰 무리가 없지만 유지 보수가 필요한 다른 공종들은 예산 배정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도 3은 DG 초등학교 사업 요구 신청 현황을 나타낸 도표이다.
DG 초등학교에서는 창호 개선 사업 2건, 기타 사업 2건을 신청했으며 이 중 2개의 사업에 대해 예산을 배정받았다. 창호 개선 사업의 경우, 본관/신관동에 대해 교실 중연창 교체와 교실 출입문 교체 사업을 신청했다. 각각의 사업은 우선 순위 18위, 59위에 선정되었으며 우선 순위 차이에 따라 본관/신관동 교실 중연창 교체 사업은 당해 연도 예산을 배정받고 본관동 및 신관동 노후 창호(교실 출입문) 교체 사업은 다음 연도로 사업이 연기되었다. 같은 공간(동)에 공사 부위가 일치하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두 공사는 동시에 진행되지 않았다.
평균적으로 매년 44%에 달하는 학교가 사업 요구 신청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선 순위에 밀려 예산을 배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에 반해 예산을 배정받은 학교 중에는 적게는 3건, 많게는 7건에 해당하는 예산을 배정받았다. 예산을 많이 받은 학교가 노후화가 많이 진행된 학교임을 추측할 수 있으나, 학교라는 공간 특성상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기간이 한정적인 부분이 문제될 수 있다. 예산을 받아서 진행하는 큰 공사일 경우, 여름 방학과 겨울 방학 기간을 최대한 활용해서 공사를 한다. 따라서 예산을 많이 배정받아도 한 해에 모든 공사를 진행할 수가 없어서 예산의 낭비가 발생한다.
사업 요구서를 제출했을 때는 이미 사용성이 떨어진 시기이며 유지 보수가 바로 이뤄져야하는 시기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성이 떨어진 상태로 있는 동안 학생, 선생, 기타 학교 시설물 사용자들의 불편함이 증가한다. 같은 공간에서 발생한 복수의 유지 보수 건은 최대한 같은 기간 내에 진행하여 공기를 단축하는 것이 사용자의 불편함 해소에 유리할 수 있다.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은 각 공종별로 일괄적으로 보수하는 전면 보수를 기본으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전면 보수로 신청한 사업 요구 신청을 부분 보수로 전환하여 예산을 배정하는 사례가 생겼다. 더 나아가 화장실 개선 사업과 급식 시설 개선 사업은 공식적인 사업 요구 신청 절차에서 전면 보수와 부분 보수를 구분지어 신청을 받고 있다. 이처럼 부분 보수가 증가하는 와중에 기존의 2D 도면과 기타 텍스트 정보만으로는 이력 관리 및 관리자의 사업 검토 및 신청이 어렵다. 따라서, BIM을 도입하여 기본적인 공간 정보 이외에 정보들을 BIM 모델에 연계시켜 사업 요구 신청시, 실태 조사시에 관련 자료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해야 한다.
현행 교육 환경 개선 사업은 12개의 공종별로 구분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같은 공간, 같은 부위에서 진행되는 사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개로 사업 요구 신청을 해야 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불합리함이 존재한다. 해당 불합리함을 해소하기 위해 우선 같은 공간, 같은 부위에서 진행되는 연관 공종임을 확인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연관 공종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업 내역에 공간의 정보를 명시하거나 공간 정보를 다른 곳에서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 속성 정보 중 공간을 명시하는 정보를 활용하여 실제 같은 공간 또는 같은 부위에서 발생되는 사업임을 확인해야 하고 해당 사업들을 연계 진행함으로써 제한된 방학 기간 내에 사업을 수행하도록 사업 기간을 단축시켜야 한다.
BIM 기반으로 교육 환경 개선 사업 실태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4가지 요소가 있다. BIM 모델에 입력되어 있어야 하는 정보,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 보수 항목 단가 데이터베이스, 마지막으로 시설 관리자가 추가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정보가 있다. 시설 관리자가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정보는 구축된 데이터로 확인할 수 없고 육안으로 확인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BIM 기반의 관리 정보를 추출해서 조사 대상의 사용 연수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 연수는 기준 연도와 최종 보수 연도 간의 차이값일 수 있다.
조사부(131)는 조사 대상의 내용 연수를 사용 연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설정된 실태 조사 배점표의 가중치를 적용해서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부분 보수의 유무에 따라 조사 대상의 범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부분 보수의 유/무에 따라 건물 또는 별도의 Zone(공간)이 아닌 엘리먼트별(창, 벽, 바닥 등) 관리가 필요하다. 석면 포함 여부에 따른 안전성 항목은 BIM 모델의 LOD((Level of Detail) 수준에 따라 BIM모델에 포함될 수도 있고 시설 관리자의 입력 항목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조사부(131)는 교육 기관에 대한 환경 개선 사업 분야를 화장실 개선, 전기 시설 개선, 냉난방 개선, 창호 개선, 외벽 개선, 소방 시설 개선, 방수 공사, 바닥 개선, 도장 공사, 외부 환경 개선, 기타 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각 항목별 조사 또는 평가에 필요한 정보로 BIM 기반의 관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1) 화장실 개선
조사부(131)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화장실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건축 연도,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화장실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화장실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화장실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개선 수량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개선 대상의 수량(개선 수량)은 시설 관리 담당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고 입력할 수 있다.
2) 전기 시설 개선
조사부(131)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전기 시설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건축 연도, 계약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전기 시설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전기 시설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전기 시설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개선 수량, 시설 기준, 안전성, 피크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3) 냉난방 개선
조사부(131)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냉난방 설비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설치 연도,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냉난방 시설에 대한 분해 청소, 화학 세척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냉난방 설비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냉난방 설비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수리 대수를 파악할 수 있다.
4) 창호 개선
조사부(131)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창호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재질,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창호에 대한 보수 연도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창호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창호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개선 대상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5) 외벽 개선
조사부(131)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외벽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재질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외벽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외벽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외벽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보수 물량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6) 소방 시설 개선
조사부(131)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소방 시설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소방 시설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소방 시설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소방 시설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보수 물량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7) 방수 공사
조사부(131)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방수 설비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방수 설비에 대한 보수 연도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방수 설비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방수 설비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보수 물량, 누수 규모, 누수 정보, 노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8) 바닥 개선
조사부(131)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바닥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재질,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바닥에 대한 보수 연도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바닥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바닥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개선 대상을 파악할 수 있다.
9) 도장 공사
조사부(131)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도장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건물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도장에 대한 보수 연도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도장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도장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노후 정도 및 건물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10) 외부 환경 개선
조사부(131)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외부 환경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재질,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외부 환경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외부 환경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외부 환경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노후 정도, 개선 대상 및 미준설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11) 기타 사업
조사부(131)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기타 사업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공종,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기타 사업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기타 사업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부(131)는 기타 사업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개선 대상, 시급성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BIM 모델, 기계 설비 유무, 시설 관리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의 설정 개수 만족 여부 중 하나에 따라 교육 기관의 유지 보수에 필요한 물량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 유니트(130)는 BIM 모델을 통해 유지 보수 대상의 종류, 재질, 면적 또는 보수 물량, 내용 연수를 추출하고, 추출 정보를 이용해서 환경 개선 사업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바닥 개선 사업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태 조사 점수 산출시 필요한 바닥 재질과 내용 연수는 BIM 모델 내 바닥 엘리먼트에 입력된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BIM 모델을 통해 도 4와 같은 바닥 개선 사업 일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일람표에는 바닥 엘리먼트 종류, 사용된 재질, 실명, 면적, 내용 연수가 포함될 수 있다. 재질별 유지 보수 단가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소요액은 전면 보수일 경우, 전체 면적과 단가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부분 보수일 경우, 소요액은 보수 물량(면적)과 단가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건축 연도(유지 보수 이력이 있다면 보수 연도) 값을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추출하고, 실재 조사 기준 연도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보수 연도가 2001년이고 기준 2019년이면, 둘의 차이가 18년이며 이는 내용 연수인 8년과 비교하였을 때 10년의 차이가 발생되므로, 사용 연수는 10점으로 환산될 수 있다.
위 산출 과정과 별개로 학교 내 시설 관리 담당자는 노후도를 산정하기 위해 개선 대상의 물량(면적)을 조사하고 입력할 수 있다. 실태 조사 배점표에 정의되어 있는 가중치가 활용될 수 있다. 사용 연수는 가중치 8을 가지며, 노후도는 가중치 2를 가질 수 있다. 총 100점 만점으로 바닥 개선 사업의 실태 조사 점수가 산출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유지 보수 대상에 기계 설비가 존재하면, 유지 보수 대상의 관리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를 이용해서 환경 개선 사업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기계 설비가 포함된경우, BIM 모델을 통해 물량 산출을 하지안는다. 예를들어, 전기 시설 개선과 냉난방 시설 개선, 외부 환경 개선 등이 있다. BIM 모델을 통해 물량 산출을 하지 않기에 현황에 대한 정보는 텍스트 값으로 공간 엘리먼트에 속해 있으며, 실태 조사 점수 산출을 위한 일련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관리 유니트(130)는 BIM 모델을 통해 도 5와 같은 일람표를 생성할 수 있다. 냉난방 시스템, 실명, 면적, 내용 연수, 냉난방 대수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시스템별 유지 보수 단가는 단가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값을 활용할 수 있다. 소요액은 전면 보수일 경우 전체 냉난방 기기 대수와 단가의 곱으로 계산되고, 부분 보수일 경우 보수 물량(대수)과 단가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사용 연수는 건축 연도(유지 보수 이력이 있다면 보수 연도) 값을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에서 갖고 와서 실태 조사 기준 연도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냉난방 기기 보수 연도가 2003년이고 기준 연도가 2019년이다. 둘의 차이는 16년이며 이는 내용 연수인 15년과 비교하였을 때 사용 연수는 8점으로 환산될 수 있다.
위 산출 과정과 별개로 학교 내 시설 관리 담당자는 수리율을 산정하기 위해 개선 대상의 물량(면적)을 보일러와 팬코일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입력할 수 있다. 분해 청소 및 화학 세척 횟수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를 활용하여 카운팅할 수 있다. 사용 연수는 가중치 7을 가지며, 수리율은 가중치 2, 분해 청소/화학 세척은 가중치 1값을 가질 수 있다. 총 100점 만점으로 냉난방 개선 사업의 실태 조사 점수가 산출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유지 보수 대상의 관리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가 설정 개수를 만족하면, BIM 모델을 이용해 유지 보수가 필요한 공간의 개수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유니트(130)는 입력 정보를 이용해서 환경 개선 사업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 공사가 해당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해당 방수 공사가 부분 보수일 경우는 BIM 모델을 통해 물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방수 공사는 실 단위로 유지 보수를 수행하기에 BIM 모델을 통해 유지 보수가 필요한 공간(실)의 개수만 파악하면 충분하다. 실태 조사 점수 산출시 필요한 내용 연수는 BIM 모델 내 바닥 엘리먼트에 입력된 정보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사용 연수는 건축 연도(유지 보수 이력이 있다면 보수 연도) 값을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113)에서 갖고 와서 실태 조사 기준 연도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난방 기기 보수 연도가 2007년이고 기준 연도가 2019년이다. 둘의 차이는 12년이며 이는 내용 연수인 15년과 비교하였을 때 사용 연수는 5점으로 환산될 수 있다.
위 산출 과정과 별개로 학교내 시설 관리 담당자는 누수 규모와 누수 정도, 노후 정도를 조사하고 입력할 수 있다. 사용 연수는 가중치 3을 가지며, 누수 규모, 누수 정도, 노후 정도는 각각 가중치 1값을 가진다. 총 60점 만점으로 방수 공사 사업의 실태 조사 점수가 관리 유니트(130)의 조사부(13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선정부(133)는 조사부(131)에 의해 산출된 실태 조사 점수를 이용해서 신청 사업에 대한 우선 순위를 파악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수혜 기관을 선정할 수 있다.
한편, 12개의 공종별로 나누어진 우선 순위를 살펴보면 일부 공종은 연관성이 높다. 같은 공간(또는 같은 부위)에 다른 사업이 있다면 공기 단축을 위해 서로 연관성이 높은 사업은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일 예로, 관리 유니트(130)에 의해 12개의 공종은 4개의 사업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환경 개선 사업 분야에 포함된 외벽 개선, 외부 창호 개선, 외부 도장 공사를 외벽 사업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환경 개선 사업 분야에 포함된 중연창 개선, 교실 출입문 개선, 내부 도장 공사를 복도벽 사업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환경 개선 사업 분야에 포함된 냉난방 개선, 전기 시설 개선, 석면 천장을 천장 사업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환경 개선 사업 분야에 포함된 바닥 개선, 방수 공사를 바닥 사업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특정 교육 기관의 특정 공종이 환경 개선 사업에 선정되면, 특정 공종과 동일한 사업군에 포함된 특정 교육 기관의 다른 공종에 대한 우선 순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우선 순위가 상승된 특정 교육 기관의 다른 공종에 대한 선정 여부를 재평가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과 같이 교실 출입문, 중연창, 벽체는 모두 같은 공간 내에 존재하지만, 서로 다른 사업으로 취급되어 처리되고 있다.
이때, 관리 유니트(130)는 교실 출입문, 중연창, 벽체의 도장 공사 모두 하나의 복도벽 사업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동일 사업군에 포함된 항목이 연관 공종임을 고려하여 동일 사업군에 포함된 복수의 사업 항목을 최대한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불필요한 중복 작업이 배제되고 공사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유니트(130)는 기본 우선 순서에 따라 수혜 기관으로서 특정 교육 기관의 교실 출입문(제1 사업)이 선정되면, 해당 수혜 기관에서 교실 출입문이 속한 복도벽 사업군(제1 사업군)에 포함된 다른 항목(제2 사업)에 대한 신청이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제2 사업이 존재하면, 제2 사업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값만큼 향상시킬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설정값만큼 향상된 우선 순위를 가지고 제2 사업에 대한 환경 개선 사업 지원 여부를 재평가할 수 있다. 재평가 결과 제2 사업 역시 수혜 기관의 조건을 만족하면, 제1 사업과 제2 사업이 동시에 선정될 수 있다. 만약, 재평가 결과에도 불구하고 제2 사업이 수혜 기관이 되지 못하면, 제1 사업만 선정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유지 보수 대상에 대한 전면 보수가 필요한 경우, 건물을 기본 단위로 사업 규모를 설정하고, 건물 단위로 환경 개선 사업에 포함된 복수의 공종을 환경 개선 사업의 대상으로 함께 선정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유지 보수 대상에 대한 부분 보수가 필요한 경우, 건물 단위에 추가적으로 공간 단위 또는 부위 단위(복도벽, 바닥 등)를 이용해서 환경 개선 사업에 포함된 복수의 공종을 환경 개선 사업의 대상으로 함께 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관리 방법은 도 1의 관리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BIM 기반의 실태 조사 점수를 바탕으로 우선 순위 초안을 작성할 수 있다(단계 ①). 관리 유니트(130)의 조사부(131) 및 선정부(133)는 12개 공종에 대한 배점표에 근거해서 BIM 모델의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이용해 사업 신청건에 대한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하고, 각 사업 신청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정책적으로 환경 개선 사업의 우선 순위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환경 개선 사업의 실질적인 지원 여부는 정책 관리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순위에 따라 특정 사업이 실제로 실행될지 여부에 따라 사업군 별로 묶어서 한꺼번에 처리할 다른 사업이 특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실행되지도 않을 사업을 대상으로 동종 사업군의 다른 사업의 우선 순위를 향상시키는 과정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과거의 사례 자료를 바탕으로 공종별 평균 예산 배정 건수를 조사하고,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공종별 우선 순위에 대해 예산 배정의 가능성을 설정할 수 있다(단계 ②).
학교명을 기준으로 소팅하고, 학교별 사업 요구 신청 건수 또는 금액을 파악하고, 제1 우선 순위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③).
관리 유니트(130)는 학교내 같은 공간에서 발생된 유지 보수 사업을 파악할 수 있다(단계 ④).
관리 유니트(130)는 연관 공종 사업군에 속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단계 ⓐ).
연관 공종 사업군에 속하는 경우 연계 진행을 위한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⑤).
예산 배정 범위 중 속한 범위에 따라 사업 연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우선 순위가 수정된 제2 우선 순위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⑦). 만약, 예상 배정 범위 중 '배정X'에만 있는 연관 공종은 매칭에서 제외될 수 있다(단계 ⑥).
제1 우선 순위와 제2 우선 순위를 비교할 수 있다(단계 ⑧).
개선안을 통해 바뀐 사업 순서에 의해 사업 기간의 단축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단계 ⓑ).
단축 상태의 산출 결과가 설정값을 만족하면, 제2 우선 순위에 따라 환경 개선 사업을 적용받을 학교와 공종(수혜 기관)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⑨). 제2 우선 순위에 따른 개선안이 적용되더라도 사업 기간의 단축 일수가 설정값을 만족하지 못하면 연관 공종 간의 매칭 대상이 되는 일부 사업이 제외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우선 순위 대신 제1 우선 순위에 따라 수혜 기관이 결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관리 방법은 우선 순위 개선 알고리즘으로 지칭될 수 있다.
2017년도 교육 환경 개선 사업 우선 순위 개선 알고리즘 적용에 대한 Input 데이터는 2016년도 우선 순위 개선안에서 예산이 배정된 사업을 제외하고 2017년도 신규 요청된 사업을 더하여 2017년도 우선 순위 초안을 작성하였다. 개선안과 비교하기 위한 기존안은 현행 방식 그대로 적용한 2017년도 교육환경개선사업 우선 순위를 사용하였다.
공종별 우선 순위 초안에 각 공종별 예산 배정 평균 건수를 활용하여 예산 배정이 예상되는 컷트라인을 설정한다. 공종별 우선 순위 건수의 ±5% 범위를 주어 예산 배정시 고려해야 하는 범위를 설정한다.
도 8은 예상되는 예산 범위 설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위 예시는 도장 공사의 평균 예산 배정 건수가 5건임을 활용하여 예산 배정이 예상되는 컷트라인을 설정한 것이다. 예상 고려 범위 지정 시, 전체 우선 순위 건수에 ±5%만큼 지정하여 소수점 자리일 경우 올림을 하였다. 위 예시는 ±1건이므로 위 그림과 같이 설정하였다. 예산 배정이 예상되는 범위를 기준으로 상단 쪽은 예산 배정이 확실시되는 구간, 하단 쪽은 예산 배정이 안되는 구간으로 나누었다.
공종별 예산 배정 범위를 설정하고 학교별로 Sorting하였다. 도 9는 학교별 소팅도이다. 연관공종 사업군에 속하는 사업끼리 연결하였다.
도 9의 예시는 2017년 AGJ 고등학교의 사업 요구 신청 목록이다. 본관동 외부 창호 교체 사업과 본관동 외벽 개선이 공간/공종 연계가 필요하지만 외부 창호 교체 사업의 경우 창호 개선 내 공종별 우선 순위 25위로 예산이 배정되지 않는 구간에 속해 있다. 공간/공종 연계에 할당된 27은 연계가 필요한 사업군 매칭에서 27번째 매칭이라는 의미이다.
도 10은 사업군 분류에 따라 우선 순위가 조정된 도표이다.
예산 배정이 예상되는 범위에 속해 있는 본관동 외벽 개선 사업과 동시에 진행하기 위해 창호 개선 내 우선 순위를 조정하였다. 기존 25위에 위치해 있던 사업을 12위로 조정함으로써 예상 배정이 예상되는 범위에 위치하게 되었다.
그 결과, 창고 개선 사업의 추가 수행 가능성이 대폭 향상되며, 예산 배정이 확정된 본관동 외벽 개선과 동시에 해당 사업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관리 장치 등) 일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보관 유니트 111...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
113...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 130...관리 유니트
131...조사부 133...선정부

Claims (10)

  1. 교육 기관의 유지 보수에 대한 보수 단가 및 보수 이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관리 정보가 보관된 보관 유니트;
    상기 교육 기관에 대한 환경 개선 사업을 관리하는 관리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유니트는 상기 관리 정보를 이용해서 복수의 상기 교육 기관 중 상기 환경 개선 사업을 적용받을 특정 교육 기관을 자동으로 선정하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보수 단가, 상기 보수 이력 및 상기 교육 기관의 관리자가 추가로 입력한 입력 정보, BIM 모델에 포함된 시설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시설 정보에는 교육 기관 내의 건물에 대한 건축 연도, 설비 기기의 설치 연도, 각 항목별 내용 연수, 조명 개수, 계약 전력, 전체 수량, 재질, 면적, 길이, 높이, 폭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기관의 유지 보수 필요 여부를 조사하는 조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조사부는 조사 결과를 이용해서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실태 조사 점수를 이용해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환경 개선 사업을 적용받을 상기 특정 교육 기관을 자동 선정하는 선정부가 마련된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기관의 유지 보수 필요 여부를 실태 조사 점수로 산출하는 조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조사부는 BIM 기반의 상기 관리 정보를 추출해서 조사 대상의 사용 연수를 산출하며,
    상기 사용 연수는 기준 연도와 최종 보수 연도 간의 차이값이고,
    상기 조사부는 상기 조사 대상의 내용 연수를 상기 사용 연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설정된 실태 조사 배점표의 가중치를 적용해서 상기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하는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상기 교육 기관에 대한 상기 환경 개선 사업 분야를 화장실 개선, 전기 시설 개선, 냉난방 개선, 창호 개선, 외벽 개선, 소방 시설 개선, 방수 공사, 바닥 개선, 도장 공사, 외부 환경 개선, 기타 사업으로 분류하고,
    상기 보관 유니트에는 상기 보수 이력을 보관하는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 상기 보수 단가를 보관하는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가 마련되며,
    상기 조사부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화장실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건축 연도,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화장실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화장실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하고, 상기 화장실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개선 수량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조사부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전기 시설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건축 연도, 계약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전기 시설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전기 시설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하고, 상기 전기 시설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개선 수량, 시설 기준, 안전성, 피크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조사부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냉난방 설비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설치 연도,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냉난방 시설에 대한 분해 청소, 화학 세척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냉난방 설비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하고, 상기 냉난방 설비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수리 대수를 파악하며,
    상기 조사부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창호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재질,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창호에 대한 보수 연도를 파악하며, 상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창호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하고, 상기 창호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개선 대상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조사부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외벽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재질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외벽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외벽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하고, 상기 외벽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보수 물량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조사부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소방 시설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소방 시설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소방 시설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하고, 상기 소방 시설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보수 물량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조사부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방수 설비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방수 설비에 대한 보수 연도를 파악하며, 상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방수 설비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하고, 상기 방수 설비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보수 물량, 누수 규모, 누수 정보, 노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조사부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바닥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재질,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바닥에 대한 보수 연도를 파악하며, 상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바닥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하고, 상기 바닥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개선 대상을 파악하며,
    상기 조사부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도장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건물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도장에 대한 보수 연도를 파악하며, 상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도장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하고, 상기 도장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노후 정도 및 건물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조사부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재질,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하고, 상기 외부 환경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노후 정도, 개선 대상 및 미준설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조사부는 BIM 기본 정보로부터 상기 기타 사업에 대한 공간 정보, 내용 연수, 공종, 전체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보수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기타 사업에 대한 관리 상태, 보수 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보수 단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기타 사업에 대한 소요 금액을 파악하고, 상기 기타 사업의 관리자의 입력 정보로부터 개선 대상, 시급성 및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는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는 상기 BIM 모델을 통해 유지 보수 대상의 종류, 재질, 면적 또는 보수 물량, 내용 연수를 추출하고, 추출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환경 개선 사업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하는 관리 장치.
  7. 제1항에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는 유지 보수 대상에 기계 설비가 존재하면, 상기 유지 보수 대상의 관리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환경 개선 사업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하는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는 유지 보수 대상의 관리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가 설정 개수를 만족하면, BIM 모델을 이용해 유지 보수가 필요한 공간의 개수만 파악하고, 상기 입력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환경 개선 사업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실태 조사 점수를 산출하는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는,
    상기 환경 개선 사업 분야에 포함된 외벽 개선, 외부 창호 개선, 외부 도장 공사를 외벽 사업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환경 개선 사업 분야에 포함된 중연창 개선, 교실 출입문 개선, 내부 도장 공사를 복도벽 사업군으로 분류하며,
    상기 환경 개선 사업 분야에 포함된 냉난방 개선, 전기 시설 개선, 석면 천장을 천장 사업군으로 분류하고,
    상기 환경 개선 사업 분야에 포함된 바닥 개선, 방수 공사를 바닥 사업군으로 분류하며,
    상기 관리 유니트는 상기 특정 교육 기관의 특정 공종이 상기 환경 개선 사업에 선정되면, 상기 특정 공종과 동일한 사업군에 포함된 상기 특정 교육 기관의 다른 공종에 대한 우선 순위를 상승시키고,
    상기 관리 유니트는 우선 순위가 상승된 상기 특정 교육 기관의 다른 공종에 대한 선정 여부를 재평가하는 관리 장치.
  10.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관리 방법에 있어서,
    BIM 기반의 실태 조사 점수를 바탕으로 우선 순위 초안을 작성하는 단계;
    과거의 사례 자료를 바탕으로 공종별 평균 예산 배정 건수를 조사하고,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공종별 우선 순위에 대해 예산 배정의 가능성을 설정하는 단계;
    학교명을 기준으로 소팅하고, 학교별 사업 요구 신청 건수 또는 금액을 파악하고, 제1 우선 순위를 생성하는 단계;
    학교내 같은 공간에서 발생된 유지 보수 사업을 파악하는 단계;
    연관 공종 사업군에 속하는지 파악하는 단계;
    상기 연관 공종 사업군에 속하는 경우 연계 진행을 위한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
    예산 배정 범위 중 속한 범위에 따라 사업 연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우선 순위가 수정된 제2 우선 순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선 순위와 상기 제2 우선 순위를 비교하는 단계;
    개선안을 통해 바뀐 사업 순서에 의해 사업 기간의 단축 상태를 산출하는 단계;
    단축 상태의 산출 결과가 설정값을 만족하면, 상기 제2 우선 순위에 따라 환경 개선 사업을 적용받을 학교와 공종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KR1020190130640A 2019-10-21 2019-10-21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102266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640A KR102266266B1 (ko) 2019-10-21 2019-10-21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640A KR102266266B1 (ko) 2019-10-21 2019-10-21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054A true KR20210047054A (ko) 2021-04-29
KR102266266B1 KR102266266B1 (ko) 2021-06-17

Family

ID=7572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640A KR102266266B1 (ko) 2019-10-21 2019-10-21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2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03657A (zh) * 2023-08-08 2023-09-05 克拉玛依市鼎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bim模型的房建工程施工管理系统
KR102673321B1 (ko) * 2023-06-16 2024-06-11 원종철 4d bim 및 3d 스캐닝을 이용한 안전교육콘텐츠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275A (ko) * 2001-01-31 2001-06-05 민창기 교육시설 관리시스템
KR20130062382A (ko) * 2011-10-17 2013-06-13 (주)엘씨씨코리아 건축물 유지 관리의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500554B1 (ko) 2014-05-28 2015-03-12 (주)엘씨씨코리아 학교시설의 조건별 생애주기비용 예측 방법 및 역추적 방법
KR101823544B1 (ko) * 2016-12-02 2018-01-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3d bim 기반의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처리 시스템 및 유지관리 업무 처리방법
KR20180136359A (ko) * 2017-12-07 2018-12-2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275A (ko) * 2001-01-31 2001-06-05 민창기 교육시설 관리시스템
KR20130062382A (ko) * 2011-10-17 2013-06-13 (주)엘씨씨코리아 건축물 유지 관리의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500554B1 (ko) 2014-05-28 2015-03-12 (주)엘씨씨코리아 학교시설의 조건별 생애주기비용 예측 방법 및 역추적 방법
KR101823544B1 (ko) * 2016-12-02 2018-01-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3d bim 기반의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처리 시스템 및 유지관리 업무 처리방법
KR20180136359A (ko) * 2017-12-07 2018-12-2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상민 외 8명.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학교시설 현황 데이터 활용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8년 12월.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321B1 (ko) * 2023-06-16 2024-06-11 원종철 4d bim 및 3d 스캐닝을 이용한 안전교육콘텐츠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6703657A (zh) * 2023-08-08 2023-09-05 克拉玛依市鼎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bim模型的房建工程施工管理系统
CN116703657B (zh) * 2023-08-08 2023-11-03 克拉玛依市鼎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bim模型的房建工程施工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266B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stellano et al. Integrated system approach to evaluate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s impacts of buildings for users of housings
Eweda et al. Space-based condition assessment model for buildings: Case study of educational buildings
Victoria et al. Parametric embodied carbon prediction model for early stage estimating
Dotzler et al. Methods for optimising energy efficiency and renovation processes of complex public properties
KR102266266B1 (ko)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Gilner et al.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sustainable building design-optimisation methods
JP7466922B2 (ja) 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antos et al. Assessment of health and comfort criteria in a life cycle social context: Application to buildings for higher education
US84289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acilities
Pope et al. Renovation versus new construction and building decision tool for educational facilities
Kaashi et al. Development of a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ased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green retrofitting of existing buildings
US8612277B2 (en) Configurabl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acilities
Chu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gap: an evaluation of the energy efficiency of three high-performance buildings in British Columbia
Radziejowska et al. Assessment of large-panel prefabricated buildings in the social aspect of sustainable construction
JP6831122B2 (ja) 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84318A (ja) 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資産マネジメン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jebbar et al. Assessment of energy performance using bottom-up method: Exemplified by multi-storey buildings in Tlemcen (Algeria)
Serrano-Jiménez et al. Ensuring proper management of building renovation based on an optimised decision-making model: Application in schools and social housing from southern Europe.
Sharifi et al. Evaluation of the future adaptive reuse of Mashrooteh house using the adaptSTAR model
Becker Measuring the Adaptability of University Campus Building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Sharpe et al. Hab-Lab: Development of a light touch BPE methodology for retrofit
Peñalvo López et al. University training in energy efficiency to respond to European EPBD objectives. USE Efficiency Project
VAROLGÜNEŞ EVALUATION OF BUILDING DESIGN QUALITY BY QFD METHOD: AN EXAMPLE OF A PRIMARY SCHOOL IN TURKEY
Wismayer The Impact of Occupant Behaviour on Passive Environmental Design Strategies in Heritage Buildings: A Case Study of San Anton Palace, Malta
Zhang Occupant-aware Energy Management: Energy Saving and Comfort Outcomes Achievable Through Application of Cooling Setpoint Adjust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