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851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추적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추적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851B1
KR100606851B1 KR1020040009325A KR20040009325A KR100606851B1 KR 100606851 B1 KR100606851 B1 KR 100606851B1 KR 1020040009325 A KR1020040009325 A KR 1020040009325A KR 20040009325 A KR20040009325 A KR 20040009325A KR 100606851 B1 KR100606851 B1 KR 100606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gps
navigation device
po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1080A (ko
Inventor
김형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851B1/ko
Priority to CNB2004100782005A priority patent/CN100378467C/zh
Publication of KR2005008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5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with a supplementary measurement
    • G01S19/47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with a supplementary measurement the supplementary measurement being an inertial measurement, e.g. tightly coupled inerti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있어서의 위치 추적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와, 상기 GPS 신호의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상기 수신한 GPS 신호와 관성 항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 엔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를 제공한다.
GPS, 항법, 단말기, 외장, 관성항법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추적 제어방법{A Navigation Device For Mobile Handset Mounted Outside Of Which And A Control Method For Tracking Of Position Thereby}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항법장치의 내부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항법장치를 휴대시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항법장치의 위치 추적 제어방법을 예시한 블럭다이그램.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항법장치의 위치 추적 제어방법을 예시한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외장 항법장치 110.........GPS 안테나
120..........GPS 엔진 130.........연결부
131..........플러그 140.........지자기 센서
150..........속도센서 200..........이동통신 단말기
210..........잭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 추적 제어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며, GPS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도 관성항법에 의한 위치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 추적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에 착탈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단말기(20)에 설치하여 GPS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한 항법장치(10)이다.
종래의 외장 항법장치(10)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11)와, 수신된 GPS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를 계산하는 GPS 엔진(미도시)과, GPS 엔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3)와, GPS 엔진에서 산출된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타연결부(15)를 포함한다.
종래의 외장 항법장치(10)의 전원공급부(13)는 항법장치(10)와 차량의 전원 공급단자가 연결되는 부분이며, 외장 항법장치(10)의 데이타 연결부(15)는 단말기의 충전 및 데이타 통신용 인터페이스(21)에 연결된다.
그리고, 종래의 GPS 안테나(11)는 차량 외부에 설치된 GPS 안테나(16)를 항법장치에 케이블(17)로 연결시킨 것으로 차량 내부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연 결이 가능하게 된다.
단말기(2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종래의 외장 항법장치(1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장 항법장치(10)의 데이타 연결부(15)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및 데이타통신용 인터페이스(21)에 연결하고, 전원공급부(13)를 차량의 충전용 단자에 연결시키고,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GPS안테나(16)에 연결된 케이블(17)을 외장 항법장치(10)에 연결시킨다.
차량의 충전용 단자를 통하여 GPS 엔진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GPS 엔진이 동작을 시작한다. GPS 엔진은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GPS 안테나(16)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GPS엔진에 의해 산출된 위치 정보는 데이타 연결부(15)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전송되며, 전송된 데이타는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메인 표시부(23)에 표시되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외장 항법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서 차량의 전원 공급단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차량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GPS 안테나(11)도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것을 연결시켜 사용하기 때문 에 불편한 점이 있고, 안테나를 연결한 항법장치(10)를 다시 단말기(20)에 연결시켜야 하므로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휴대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충전 및 데이타 통신용 인터페이스(21)에 외부 항법장치(10)의 데이타연결부(15)를 연결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휴대할 경우 외장 항법장치(10)가 인체의 몸체에 가까운 위치에 놓여지므로 GPS 신호의 수신감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의 항법장치는 GPS 신호의 수신이 불가한 지역에서는 항법장치로서 작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공보 1999-0022751 에는 GPS 안테나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여 GPS 통신을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구비하여 이동방향과 이동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통하여 GPS 통신이 불가한 지역에서도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한 항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실용신안공보 1999-0022751의 항법장치는 그 자체로 독립되어 액정표시부와 배터리를 구비하는 항법장치이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장 항법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동일 연결부를 통하여 데이타 통신과 전원공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 추적 제어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방향과 속도를 탐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GPS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도 관성에 의한 항법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 추적 제어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GPS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관성항법에 의해 산출된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의 산출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 추적 제어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와, 상기 GPS 신호의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상기 수신한 GPS 신호와 관성 항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 엔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GPS 엔진은, 상기 GPS 신호가 수신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또는, 상기 GPS 엔진은, 상기 외장 항법장치에 구비된 방향 센서와 속도 센서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GPS 신호를 수신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방향 센서와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탐지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성 항법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특히, 상기 방향 센서는, 지자기를 측정하여 이동 방향을 탐지하는 지자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장 항법장치는, 상기 GPS 엔진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위치 필터, 방향 필터, 속도 필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필터, 방향 필터 및 속도 필터는, 상기 관성 항법에 의한 위치 정보와 상기 GPS 신호에 의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보정된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위치 정보는, 위치 값, 방향 값, 속도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GPS 안테나는, 내장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형성된 잭에 선택적으로 꽂아지는 플러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에 있어서의 위치 추적 제어방법은, GPS 신호의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a)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GPS 신호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수신하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b)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GPS 신호를 수신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관성 항법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c)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탐지된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추적 제어방법은,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와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보정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d) 단계는, 상기 보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외장 항법장치에 구비된 위치 필터, 방향 필터, 속도 필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장 무선 항법장치사이의 데이타통신과 전원연결을 동일 연결부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편해지게 된다. 그리고, 방향센서와 속도센서를 구비하여 이동의 위치와 방향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GPS 수신 불가능지역에서도 관성항법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항법장치의 내부구성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외장 항법장치를 휴대시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100)는, 단말기(200)에 착탈가능하여 위치 추적이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항법장치이며, 위성 위치 확인시스템(GPS:Global Positionsing System)을 이용하여 단말기(200)의 위치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외장 항법장치(100)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110)와, 수신된 GPS신호를 이용하여 현위치를 산출하는 GPS 엔진(120)과, 이 GPS 엔진(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 그리고, GPS 엔진(120)에 의해 산출된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장 항법장치(100)를 차량등의 내부에서 사용할 때 뿐만 아니라, 휴대용으로도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도록 GPS안테나(110)는 항법장치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항법장치(100) 사용시에는 차량의 GPS 안테나(110)를 별도로 연결시키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외장 항법장치(100)는 차량의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직접 공급받는 것이 아니며, 단말기(20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본 실시예의 항법장치(100)의 연결부(130)로는 GPS 엔진(120)에 의해 산출된 데이타 정보의 전송과 전원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데이타 전송수단과 전원공급수단은 일체로 이루어져 있고, 하나의 선로를 통하여 전원공급과 데이타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외장 항법장치(100)는 단말기에 형성된 잭(210)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연설되 플러그(131)를 포함하며, 이 플러그(131)와 단말기(200)의 잭(210)을 통하여 데이타의 전송이 이루어지며, 전원공급은 단말기(200) 배터리를 통하여 이루어져 휴대시에도 외장 항법장치(1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외장 항법장치(100)를 차량등의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200)의 충전 및 데이타 통신용 인터페이스(240)에 차량의 전원공급장치 플러그(250)를 연결하게 되며, 단말기(100)로 공급되는 전원이 다시 항법장치(100)의 플러그(131)를 통하여 GPS 엔진(120)에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GPS 엔진(120)에는 단말기(200)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센서로 지자기 센서(140)와 이동 속도변화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150)가 각각 연결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자기 센서(140)는 항법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지구 자기장을 측정하여 북쪽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단말기(200)의 이동 방향을 계산하여 GPS 엔진(120)에 전달하며, 속도센서(150)는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진행방향의 성분을 추출하는 것으로 속도를 계산하여 GPS엔진(120)으로 전달한다.
지자기 센서(140)와 속도센서(150)에서 전달된 정보를 토대로 GPS 엔진(120)은 관성항법을 수행하며, 이에 의해 단말기(200)의 현재위치를 GPS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외장 항법장치(100)에서는 GPS 수신신호에 의한 위치정보와 상기 지자기센서(140)과 속도센서(150)에 의해 관성항법을 통해 산출된 위치 정보데이타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 데이타를 추출할 수 있도록, 위치필터(125), 방향필터(145), 그리고 속도필터(155)를 각각 GPS엔진과 상기 연결부(130) 사이에 연결시키고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 기의 외장 항법장치에 의한 위치 추적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그리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항법장치의 위치 추적 제어방법을 예시한 블럭 다이아그램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항법장치의 위치 추적 제어방법을 예시한 플로차트이다.
외장 항법장치(100)의 플러그(131)를 단말기(200)의 잭(210)에 연결시키고, 단말기 표시부(230)의 메뉴화면을 통하여 GPS 기능을 선택하게 된다. 플러그(131)를 통하여 단말기(200)로부터 외장 항법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GPS 엔진(120)이 작동하게 된다(제 300 단계, 제 310 단계).
GPS 엔진(120)은 GPS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GPS안테나(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고,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데이타를 산출하게 된다(제 320 단계, 제 320 단계).
그리고, GPS 엔진(120)에 의해 산출된 결과는 플러그(131)와 단말기(200)의 잭(210)을 통하여 단말기(200)로 전달된다(제 340 단계). 단말기(200) 제어부는 외장 항법장치(100)를 통해 입력되는 위치,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에 관한 데이타를 표시 화면(230)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제 350 단계).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라 데이타의 산출과 전달과정을 살펴보면, GPS 엔진(120)의 제어에 의해 GPS 안테나(110)를 통하여 GPS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
전송된 정보 데이타는 GPS 엔진(120)에 의해 디코딩되고, 일정 연산과정을 통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되고, 이 위치정보는 플러그(131)를 경유하여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위치 추적 제어방법에 의하는 경우에는, GPS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도 지자기센서(140)와 속도센서(150)에서 측정된 이동방향 및 속도데이타를 이용하여 GPS 엔진이 관성항법을 수행하여 위치를 산출하며, 이 위치, 방향, 속도 값을 GPS 안테나(11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타와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 방향, 속도 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 방향, 속도값의 보정은 GPS 엔진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 데이타가 각각 위치필터(125), 방향필터(145), 속도필터(15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행된다. 그리고 이 보정된 위치, 방향, 속도 값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되게 된다.
GPS 통신이 불가능한 장소에서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GPS 엔진(120)은 GPS 수신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게 된다(제 320 단계).
이 경우에는 GPS 안테나(110)를 통하여는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GPS 엔진(120)의 제어에 의하여 방향센서(140)와 속도센서(150)에 의해 감지된 데이타들을 토대로 관성항법을 수행하여 단말기의 현위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제 360 단계, 제 370 단계).
GPS 엔진(120)이 관성항법을 수행하여 산출된 위치 값은 플러그(131)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지자기센서(140)와 속도센서(150)에서 파악된 이동방향과 이동속도 값도 GPS 엔진(120)의 제어에 의해 이동통신 단 말기(200)로 전송된다(제 380 단계).
그리고, GPS 수신이 불가한 경우이므로 위치, 방향, 속도필터(125,145,155)는 GPS엔진(120)으로부터 전달되는 관성항법에 의해 산출된 위치, 방향, 속도 값을 그대로 선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게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외장 항법장치(100)로부터 위치 정보 데이타가 전송되면, 이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200)의 표시부(230)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제 350 단계).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성 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장 무선 항법장치사이의 데이타통신과 전원연결을 동일 연결부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편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항법장치는 방향센서와 속도센서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동의 위치와 방향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GPS 수신 불가능지역에서도 관성항법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외장 항법장치에 의하는 경우는 방향센서와 위치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과 GPS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데이타를 서로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와 이동 방향 및 속도 데이타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2)

  1.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
    상기 GPS 신호의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상기 수신한 GPS 신호와 관성 항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 엔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엔진은,
    상기 GPS 신호가 수신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 센서와 속도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GPS 엔진은, 상기 GPS 신호를 수신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방향 센서와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탐지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성 항법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센서는,
    지자기를 측정하여 이동 방향을 탐지하는 지자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엔진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위치 필터, 방향 필터, 속도 필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필터, 방향 필터 및 속도 필터는, 상기 관성 항법에 의한 위치 정보와 상기 GPS 신호에 의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보정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위치 값, 방향 값, 속도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안테나는,
    내장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형성된 잭에 선택적으로 꽂아지는 플러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
  9. (a) GPS 신호의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 결과 상기 GPS 신호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수신하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판단 결과 상기 GPS 신호를 수신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관성 항법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에 있어서의 위치 추적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탐지된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에 있어서의 위치 추적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e)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와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보정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보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에 있어서의 위치 추적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외장 항법장치에 구비된 위치 필터, 방향 필터, 속도 필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에 있어서의 위치 추적 제어방법.
KR1020040009325A 2004-02-12 2004-02-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추적제어방법 KR100606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325A KR100606851B1 (ko) 2004-02-12 2004-02-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추적제어방법
CNB2004100782005A CN100378467C (zh) 2004-02-12 2004-09-17 移动通信终端的外置导航装置及其位置追踪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325A KR100606851B1 (ko) 2004-02-12 2004-02-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추적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080A KR20050081080A (ko) 2005-08-18
KR100606851B1 true KR100606851B1 (ko) 2006-08-01

Family

ID=3490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325A KR100606851B1 (ko) 2004-02-12 2004-02-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추적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6851B1 (ko)
CN (1) CN10037846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519B1 (ko) 2007-09-27 2009-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Gps용 송수신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0579B (zh) * 2009-02-27 2013-08-21 杭州辰林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节点定位方法及系统
CN104833351A (zh) * 2014-02-08 2015-08-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指南针、便携式电子装置及方向定位系统
CN105891772B (zh) * 2014-09-26 2018-09-25 日本电气株式会社 一种用于导航的方法和设备
CN105738655A (zh) * 2015-12-23 2016-07-0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方向传感器校准方法及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037A (ko) * 2000-04-19 2001-11-08 서평원 지피에스 위치추적 시스템
JP2004020347A (ja) * 2002-06-14 2004-01-22 Sony Corp 情報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248A (en) * 1994-08-19 1996-06-18 Trimble Navigation, Ltd. Personal digital location assistant including a memory cartridge, a GPS smart antenna and a personal computing device
US6484096B2 (en) * 2000-06-06 2002-11-19 Satellite Devices Limited Wireless vehicle monitoring system
CN2526859Y (zh) * 2002-03-08 2002-12-18 天津泰科特科技有限公司 便携式gps卫星定位仪
WO2004070962A1 (en) * 2003-02-07 2004-08-19 Vhf Group As Microphone/speaker unit for use with a wireless transcei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037A (ko) * 2000-04-19 2001-11-08 서평원 지피에스 위치추적 시스템
JP2004020347A (ja) * 2002-06-14 2004-01-22 Sony Corp 情報端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519B1 (ko) 2007-09-27 2009-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Gps용 송수신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080A (ko) 2005-08-18
CN1654975A (zh) 2005-08-17
CN100378467C (zh)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7484B2 (en) Navigation system, hand-held terminal, data transfer system and programs executed therein
KR10042446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향 및 위치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25165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20253663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navigation
KR101610690B1 (ko) 단말기 헤딩 정보를 이용한 보행자 항법 장치 및 방법
EP22916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jectory display
JPH06148308A (ja) 移動体位置検出装置
CN102401660A (zh) 高架道路的定位方法
JP2015127674A (ja) Gpsスマートシステム
KR19980014213A (ko) 네비게이션장치에서 위치상태에 따른 표시방법
KR1006068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항법장치와 그에 의한 위치추적제어방법
KR20120056696A (ko) 사용자 단말의 변위 추정방법 및 장치
JP4055716B2 (ja) 電波送信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40288819A1 (en) Navig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2445204A (zh) 高架道路的定位方法
KR20090062215A (ko)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TWI426234B (zh) 藉由汽車的噪音判斷該汽車之位置的手持式導航裝置及方法
JP4779852B2 (ja) 携帯型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08020352A (ja)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プログラム
JP4734997B2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システム、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KR101006618B1 (ko) 3차원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항법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2031541A (ja) 歩行者ナビゲーション用携帯型電話端末装置
KR20050048926A (ko) 휴대형 티브이-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0759160B1 (ko) 복합 네비게이션 시스템
JP3609017B2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