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215A -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215A
KR20090062215A KR1020070129340A KR20070129340A KR20090062215A KR 20090062215 A KR20090062215 A KR 20090062215A KR 1020070129340 A KR1020070129340 A KR 1020070129340A KR 20070129340 A KR20070129340 A KR 20070129340A KR 20090062215 A KR20090062215 A KR 20090062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reckoning
location information
mobile device
sens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215A/ko
Publication of KR2009006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 외부에서 추측항법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측항법기기가 휴대기기와 별도 구비된다. 추측항법기기는 추측항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와, 휴대기기가 GPS 신호에 의해 위치정보를 미제공하는 경우 상기 센서의 의해 계산된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기기에 소정 통신방식으로 전달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추측항법기기는 차량 내부에 장착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모듈, 또는 시거잭이나 휴대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반 모듈 또는 거치대로 추측항법기기를 구성한 경우에는 휴대기기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시거잭인 경우에는 시거잭에서 휴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동작이 안정되게 되어 보다 정확하게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크기가 작은 휴대기기에서도 추측항법에 따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추측항법(Dead Reckoning), 휴대기기, 거치대, 시거잭, 추측항법 센서.

Description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DEAD RECKONING APPARATUS, DEAD RECK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추측항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장치 외부에서 구현된 추측항법 신호를 제공받아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장치에는 GPS 수신기가 필수적으로 장착된다. GPS 수신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그 위치정보를 디지털 지도에 일치시켜 현재 위치 및 속도 등의 항법정보와 길안내, 위험지역 알림 등의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한다.
상기 GPS 수신기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에서만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그래서 GPS 수신기를 사용하는 위치기반서비스는 터널, 지하주차장, 도심지역 등에서와 같이 GPS 위성신호의 완전/부분적인 차단이 생기는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이에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산출이 어려운 경우에 대비하여, 차량의 이동거리와 이동방향을 측정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추정해나가는 추측항법(Dead Reckoning)이 도입되었다.
추측항법은 차량에 장착되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또는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된다.
도 1에는 종래 추측항법 기능을 적용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구성을 참조하여 종래 추측항법 기능을 설명한다. 도 1의 구성은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와도 유사하다. 그렇기 때문에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설명하면서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텔레매틱스 단말기(10)가 온 구동하면, GPS 안테나(12) 및 GPS수신기(14)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GPS 위성신호는 제어부(16)로 전달되고, 제어부(16)는 GPS 위성신호의 수신감도가 좋은 경우 상기 GPS 위성신호를 적용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표시부(18)에 표시한다.
반면, 제어부(16)는 GPS 위성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수신감도가 약한 구간에서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20) 및 주행기록계(Odometer)(22)를 사용하여, 그 자이로스코프(20) 및 주행기록계(22)로부터 출력되는 상대 각속도와 상대 주행거리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대위치를 계산하고 그에 따른 위치를 표시한다. 즉 GPS 위성신호의 수신이 약한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자이로스코프(20) 및 주행기록계(22)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위치를 표시부(18)에 표시하였다. 이때 자이로스코프(20)의 상대 각속도 정보는 A/D변환기(24)에 의해 디지털 변환된 후 제어부(16)로 전달되고, 주행기록계(22)의 상대 주행거리 정보는 카운터(26)를 매개하여 제어부(16)로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도 상대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자이로스코프(20)가 사용된다. 다만,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의 주행기록계(22)와 직접 연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비접촉 센서(28)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비접촉 센서(28)는 가속도계(accelerometer) 또는 중력계(Gravimeter-sensor)의 센서를 말한다.
마찬가지로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도 자이로스코우프(20), 가속도계 및 중력계의 비접촉센서(28)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상대위치를 계산하고 현재 위치를 표시부(18)에 표시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는 주행기록계(22)의 사용이 어렵다. 즉 차량의 주행기록계에 직접 연결해야 하지만, 실제 차량 운전자가 이를 연결하기에는 복잡하고 어려운점이 있다. 이에 차량 A/S센터를 방문하여 연결해야하지만 설치비용이 추가로 발생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장치에 가속도계 및 중력계와 같은 비접촉 센서(28)를 장착할 수 있지만, 이러한 비접촉 센서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장착되면 제품 가격이 상승한다. 이러한 비용문제가 해결된다 하더라도 실제 비접촉 센서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장치 내부에 장착하기가 어렵다. 7인치 정도의 대형 네비게이션 장치에는 장착이 가능하나 3.5인치, 4.3인치 정도의 크기를 갖는 네비게이션 장치인 경우에는 장착 자체가 어렵다.
또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에 고정된 것이 아니고 사용할 때마다 그 위치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를 보는 각도에 따라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가 있고, 또 네비게이션 장치를 탈착하고 다시 부착하는 경우에는 이전 위치가 변경된다. 이러한 위치 변경으로 인해 센서 방향이 매번 틀어지게 되고, 센서들이 갖고 있는 측정오차의 누적으로 인해 위치가 부정확하게 측정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측항법 기능을 제공하는 센서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추측항법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측항법 센서의 오차 미발생으로 인해 추측항법에 의한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한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면서도 추측항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추측항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그리고, 별도 설치된 휴대기기가 GPS 신호에 의해 위치정보를 미제공하는 경우 상기 센서의 의해 계산된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기기에 소정 통신방식으로 전달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추측항법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추측항법기기는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GPS 신호에 의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대가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추측항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GPS 신호에 의해 위치정보가 미제공되는 경우 상 기 센서에 의해 계산된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기기에 소정 통신방식으로 전달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GPS 신호에 의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시거잭이 구비되되, 상기 시거잭은, 추측항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GPS 신호에 의해 위치정보가 미제공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계산된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기기에 소정 통신방식으로 전달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거잭은 차량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휴대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는 직렬방식에 의해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는, 자이로스코우프, 가속도계, 중력계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GPS 신호에 의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 적어도 하나의 추측항법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기기와 연결되는 추측항법기기;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기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GPS 수신부에 의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다가 GPS 신호 감도가 약한 경우, 상기 추측항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계속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추측항법 기기가 상기 휴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 모듈 또는 상기 휴대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대인 경우, 상기 추측항법 기기 또는 거치대는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추측항법 기기가 시거잭인 경우, 상기 시거잭은 차량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휴대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추측항법 기기와 휴대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추측항법 기기와 휴대기기는 유선통신수단 또는 무선통신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구성된다.
상기 추측항법 센서는, 자이로스코우프, 가속도계, 중력계 중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GPS 신호에 의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 적어도 하나의 추측항법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기기와 연결되는 추측항법기기;가 구성된 추측항법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휴대기기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GPS 신호가 미수신되면 상기 추측항법기기로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추측항법센서에서 계산된 상대위치를 휴대기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대기기는 현재 위치를 추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대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추측항법기기에도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추측항법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휴대기기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휴대기기와 추측항법기기 상호간은 시리얼 방식에 의해 정보가 전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네비게이션 장치와 별도로 추측항법 센서가 구비된 기기가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추측항법 센서로부터 안정적인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어 오차 없이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추측항법 센서가 구비된 모듈에 따라 간단하게 네비게이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받도록 구성이 가능하여 설치가 간단하다.
또 사이즈가 작은 네비게이션 장치에서도 추측항법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네비게이션 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디자인 설계에 용이한 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추측항법기기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에서는 추측항법기기(100)가 소정 모듈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모듈의 외양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추측항법기기(100)는 차량 전면 유리 내부 또는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추측항법기기(100)에는 추측항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측항법센서(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기인 네비게이션 장치(400)와 연결되어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120)가 구비된다. 통신인터페이스(120)는 네비게이션 장치(400)로부터 위치정보를 요청받으면 상기 추측항법센서(110)에 의해 계산된 상대위치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추측항법기기(100)에는 네비게이션 장치(400)와 연결되었을 때 그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이는 별도의 전원단자(미도시)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통신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추측항법 센서(110)는, 자이로스코우프, 가속도계, 중력계를 말한다. 그러나 이 센서 이외에도 추측항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센서들도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에는 추측항법기능을 갖는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거치대(200)는 유리흡착식 거치대, 대쉬보드 거치대 등과 같이 차량 유리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고정시키고 네비게이션 장치를 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거치대(200)는 고정된다. 네비게이션 장치(40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400)만을 거치대(200)에서 탈착시킬 뿐 대부분 거치대(200)는 그대로 고정된 상태를 갖는다.
그래서 거치대(200)에 자이로스코우프, 가속도계, 중력계 등의 추측항법센서를 구성하면, GPS 신호가 미수신되어 추측항법을 해야할 경우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거치대(200)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측항법 센서(110)가 구비되고, 또 네비게이션 장치(400)와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120)가 구비된다. 추측항법 센서(110)와 통신인터페이스(120)의 도면부호를 도 2와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그 기능이 동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는 후술하는 시거잭에도 적용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장치(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단자(미도시)가 구비된다. 전원단자 대신 통신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거치대(200)가 추측항법기기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통신인터페이스(120)는 유선방식인 것이 좋다. 즉 네비게이션 장치(400)와 거치대(200)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장착되었을 때 서로 밀착되기 때문이다. 물론, 거치대(200) 본체와 네비게이션 장치(400)가 이격되는 경우에는 무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는 추측항법기능을 갖는 시거잭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시거잭(300)은 본래 기능보다도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사용하는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시거잭(300) 일단에는 장치 예컨대 네비게이션 장치(400)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310)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310)는 시거잭(300)과 네비게이션 장치(400)가 상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120) 역할을 수행한다. 또 커넥터(310)는 차량 배터리 전원을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400)에 공급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거잭(300)은 배터리 전원을 네비게이션 장치(400)에 공급할 때 전원 변환을 하여 적정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시거잭(300) 내부에는 상기한 추측항법센서(110)가 구비된다.
한편, 도 5에는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추측항법기기가 네비게이션 장치와 연결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거치대 형태이든 시거잭 형태이든 내부에는 추측항법센서가 내장된 추측항법기기이기 때문에, 도면부호 '100'으로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추측항법기기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장치(400)는, GPS 안테나(410)를 통해 지피에스(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420)가 구비된다.
또 사용자(운전자 또는 탑승객)가 원하는 목적지를 결정하여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스크린 및 키패드 등의 입력부(430)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430)는 재탐색 명령을 위한 정보 입력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운전자 조작을 위한 키보드와 같은 키패드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나, 터치스크린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표시장치인 표시부(450)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네비게이션 장치(400)의 운영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탐색된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44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440)에는 네비게이션 장치(400)의 운용에 있어 경로 안내에 필요한 각 지역별 도로망 및 주변 시설물들에 대한 상세 지도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저장부(440)는 저장된 지도 데이터의 수정이나 갱신 등의 업그레이드에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착탈이 용이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네비게이션 장치(4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되, 일반 경로 탐색을 수행하여 획득한 경로의 저장 및 표시를 제어하며, 표시된 경로선상에 진행 방향을 지시하는 지시자(화살표)의 표시를 표시부(45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6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GPS 수신부(420)로부터 전달받은 GPS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추측항법기기(100)에서 전달받게 되는 신호에 의해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GPS 신호가 미약한 경우 상기 추측항법기기(10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460)는 통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나타낸다.
이어, 이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와 추측항법기기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구성에서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추측항법시스템 제어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설명한다.
일단 네비게이션 장치(400)가 온 구동하면(s100), 추측항법기기(100)에도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구동상태가 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측항법기기(100)가 일반 모듈이거나 거치대로 구성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장치(400)에 전원이 공급된 다음 추측항법기기(100)로 전원이 공급된다. 반면 추측항법기기(100)가 시거잭인 경우에는 먼저 시거잭(300)에 전원이 공급되고 네비게이 션 장치(400)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400)와 추측항법기기(100)에 전원이 모두 공급되어 구동상태가 되면, 제어부(460)는 먼저 네비게이션 장치(400)의 GPS 수신부(420)를 제어하여 GPS 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한다(s102).
상기 수신감도가 양호한 경우(s104의 '예'), 제어부(460)는 상기 GPS 수신부(420)가 전달해준 위치정보를 표시부(450)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GPS 수신부(420)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표시하면서, 계속하여 GPS 수신부(420)의 수신감도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GPS 신호가 약한 경우(s104의 '아니오'), 예컨대 터널, 도심지역을 주행함으로써 GPS 신호에 의해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추측항법기기(100)에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106).
그러면 추측항법기기(100)의 추측항법센서(110)는 가장 최근 시점의 GPS 수신 위치를 기초로 하여 상대위치를 계산한다(s108). 예컨대, 가장 최근 시점의 GPS 수신위치 산출 결과로부터 이동방향각과 이동거리 등의 정보를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새로운 위치 결과를 추정하는 것이다.
상기 추정된 위치 결과는 통신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제어부(460)로 전달된다. 상기 위치 결과 전달은 시리얼 방식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달 방식은 무선 또는 유선 방식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460)는 추정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표시부(450)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s110).
그리고 네비게이션 장치(400)의 전원이 오프될 때까지(s112), GPS 수신감도 를 체크하여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GPS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차량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바, 추측항법 센서(110)가 네비게이션 장치(400) 내부에 구성되어 있을 때보다 탈부착으로 인한 방향의 변동이 없어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를 정확하게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추측항법 기능을 적용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추측항법기기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는 구성도.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추측항법기기가 네비게이션 장치와 연결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추측항법시스템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추측항법기기 110 : 추측항법센서
120 : 통신인터페이스
200, 300 : 추측항법기기로 사용되는 거치대 및 시거잭
400 : 네비게이션 장치
420 : GPS 수신부 460 : 제어부

Claims (17)

  1. 추측항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그리고,
    별도 설치된 휴대기기가 GPS 신호에 의해 위치정보를 미제공하는 경우 상기 센서의 의해 계산된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기기에 소정 통신방식으로 전달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항법기기는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기기.
  3. GPS 신호에 의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가 거치되고 추측항법기기로서 상기 휴대기기에 추측항법신호를 공급하는 거치대가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추측항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그리고,
    상기 GPS 신호에 의해 위치정보가 미제공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계산된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기기에 소정 통신방식으로 전달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기기.
  5. GPS 신호에 의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가 연결되고 추측항법기기로서 상기 휴대기기에 추측항법신호를 공급하는 시거잭이 구비되되,
    상기 시거잭은,
    추측항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그리고, 상기 GPS 신호에 의해 위치정보가 미제공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계산된 위치정보를 상기 휴대기기에 소정 통신방식으로 전달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거잭은 차량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휴대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기기.
  7.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는 직렬방식에 의해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기기.
  8.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자이로스코우프, 가속도계, 중력계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추측항법기기.
  9. GPS 신호에 의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추측항법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기기와 연결되는 추측항법기기;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기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그리고,
    상기 GPS 수신부에 의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다가 GPS 신호 감도가 약한 경우, 상기 추측항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계속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항법 기기가 상기 휴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 모듈 또는 상기 휴대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대인 경우, 상기 추측항법 기기 또는 거치대는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항법 기기가 시거잭인 경우, 상기 시거잭은 차량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휴대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항법 기기와 휴대기기는 유선통신수단 또는 무선통신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항법 센서는, 자이로스코우프, 가속도계, 중력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시스템.
  14. GPS 신호에 의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추측항법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기기와 연결되는 추측항법기기가 구성된 추측항법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휴대기기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GPS 신호가 미수신되면 상기 추측항법기기로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추측항법센서에서 계산된 상대위치를 휴대기기에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기기는 현재 위치를 추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추측항법기기에도 전원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항법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휴대기기에 전원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와 추측항법기기 상호간은 시리얼 방식에 의해 정보가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측항법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70129340A 2007-12-12 2007-12-12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90062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40A KR20090062215A (ko) 2007-12-12 2007-12-12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40A KR20090062215A (ko) 2007-12-12 2007-12-12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15A true KR20090062215A (ko) 2009-06-17

Family

ID=4099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340A KR20090062215A (ko) 2007-12-12 2007-12-12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2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4644B2 (en) 2011-01-19 2014-06-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of vehicle
KR102146737B1 (ko) * 2019-11-21 2020-08-21 (주)지오투정보기술 통신망을 활용한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위한 매핑 정보 수집 장치 및 동작 방법
WO2021118102A1 (ko) * 2019-12-12 2021-06-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센서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4644B2 (en) 2011-01-19 2014-06-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of vehicle
KR102146737B1 (ko) * 2019-11-21 2020-08-21 (주)지오투정보기술 통신망을 활용한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위한 매핑 정보 수집 장치 및 동작 방법
WO2021118102A1 (ko) * 2019-12-12 2021-06-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센서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2598B1 (en) Navigation system with fuel consumption calculation
EP28982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deviation in the course of a navigable stretch
EP22916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rking information
US20120053823A1 (en) Navigation device & method
US8838377B2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US20110178703A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20221247A1 (en) Navigation device & method
US20110131154A1 (en) Navigation device, method & system
US20070265769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utilizing a last docked location
KR101484814B1 (ko) 차량 위치 측정 장치 및 차량 위치 측정 방법
KR20090062215A (ko) 추측항법기기, 추측항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6850838B2 (en) Navigation system
KR20100040398A (ko) 진동 감지 네비게이션 및 그 방법
JP451928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WO2011063860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WO2009132682A1 (en) Navigation device & method
KR20080050843A (ko) 항법 방법 및 그 장치
JP3078154U (ja) 車両速度計測装置探知機能つき自動地図検索装置
KR19990027796A (ko) 차량용 네비게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주유소위치 확인장치 및 그방법
KR20150070504A (ko) 장애물 투시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의 주행 안내 시스템
WO2010075876A1 (en) Navigation system with means for indicating the lateral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