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997B1 -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 - Google Patents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997B1
KR100605997B1 KR1019990037466A KR19990037466A KR100605997B1 KR 100605997 B1 KR100605997 B1 KR 100605997B1 KR 1019990037466 A KR1019990037466 A KR 1019990037466A KR 19990037466 A KR19990037466 A KR 19990037466A KR 100605997 B1 KR100605997 B1 KR 100605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transmitting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242A (ko
Inventor
홍일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97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0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 H04M3/302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using modulation techniques for copper pairs
    • H04M3/303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using modulation techniques for copper pairs and using PCM multiplexers, e.g. pair gai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0PC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CID 및 CLIP등의 정보를 FSK 데이타로서 타임슬롯에 맞게 전송하여 착신 가입자에게 다양한 정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FSM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FSM은 교환기 시스템의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채널별로 요구되어지는 송수신제어정보 및 수신되어지는 데이타를 정합하는 정합부와, 상기 정합부로부터 수신되는 채널별 송수신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해당 채널의 CID(calling identify delivery) 및 CLIP의 데이타를 PCM 데이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해당 CID 및 CLIP에 대한 FSK 데이타를 생성하여 직렬의 PCM 데이타로 변환 출력하고 이의 송신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sending/receiving part)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PCM 직렬 데이타를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로 전송하는 송수신정합부로 구성된다.
씨엘아이피(CLIP), 씨아이디(CID), 발신가입자 정보전송

Description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FREQUENCY SHIFT KEYING SERVICE MODULE OF EXCHANG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FSM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M의 정합부의 상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M의 제어부의 상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M의 송수신부의 상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M의 송수신 정합부의 상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직렬 포트 송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교환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신 가입자 식별자 정보 제공 장치(calling line identification presentation: 이하 "CLIP"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FSK 데이타(frequency shift keying data)를 타임슬롯에 맞게 전송하여 착신 가입자에게 다양한 정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FSM(FSK Service Module)에 관한 것이다.
교환기 시스템은 발신 가입자의 정보, 예를 들면, 발신 가입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착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 기술 분야에서는 CLIP기능이라 한다. 상기와 같은 CLIP정보는 PCM 데이타로 타임슬롯으로 전송된다. 상기 CLIP는 발신가입자의 정보를 착신가입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중화주파수(DTMF)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타가 내장된 롬(ROM)을 가지고 있으며, 차상위 프로세서인 라인프로세서(line processor)의 제어에 의해 상기 롬내의 PCM 데이타를 타임슬롯을 통해 착신가입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현재 대다수의 CLIP는 단순히 PCM 데이타가 저장된 롬을 이용하여 서비스하므로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예를 들면, 1디지트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약 100㎳정도가 소요되어 발신 가입자 번호만을 전송할 수 있게되며, 그 밖의 다양한 메시지의 전송이 불가능하였다. 즉, 호출 당시의 시각(년, 월, 일 및 시간) 및 발신 가입자의 성명 등의 다양한 정보 메시지를 착신 가입자측으로 전 송할 수 없어 단순한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 가입자에게 다양한 발신 가입자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에프에스엠(FSK service module : 이하 "FSM"이라 칭함) CLIP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임슬롯을 통해 FSK방식으로 착신 가입자에게 발신 가입자의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FSM CLIP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에 있어서, 교환기 시스템의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채널별로 요구되어지는 송수신제어정보 및 수신되어지는 데이타를 정합하는 정합부와, 상기 정합부로부터 수신되는 채널별 송수신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해당 채널의 CID(calling identify delivery) 및 CLIP의 데이타를 PCM 데이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해당 CID 및 CLIP에 대한 FSK 데이타를 생성하여 직렬의 PCM 데이타로 변환 출력하고 이의 송신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sending/receiving part)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PCM 직렬 데이타를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로 전송하는 송수신정합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FSK CLIP의 데이타를 서브하이웨이를 통해 타임 스위치로 전송하는 동작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상세한 항목들이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자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이러한 상세한 항목들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FSM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2는 송수신 정합부로서 입력되는 직렬의 PCM 데이타를 교환기의 스위칭부(도시하지 않았음)의 송신하이웨이(Dx)로 전송하고, 수신하이웨이(Dr)로부터의 PCM 데이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정합부(12)에 접속된 송수신부(14)는 상위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해당 채널의 CID 및 CLIP에 대한 FSK 데이타를 생성한 후 직렬의 PCM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송수신정합부(12)로 제공하고, 그 결과의 송신정보를 상위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조번호 16은 제어부로서 상위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채널별 송수신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해당 채널의 CID 및 CLIP의 데이타를 PCM 데이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송수신부(14)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끝으로, 참조번호 18은 정합부로서, 상위 프로세서인 LPM(도시하지 않았음)과 상기 제어부(16)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LPM과 제어부(16)간의 데이타를 정합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M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지금, 상위 프로세서인 LPM가 착신 가입자에게 CLIP 서비스를 행하기 위하여 발신 가입자의 전화번호(calling number), 날짜, 시간, 발신 가입자의 성명 등의 정보 및 채널별로 요구되어지는 각종 송수 및 수신에 관련된 정보를 정합부(18)로 전송하면, 정보들은 정합부(18)내의 레지스터 등에 저장된다. 상기 정합부(18)내의 레지스터 등에 저장된 상기 정보들은 제어부(16)의 독출 동작에 의해 읽혀진다.
상기 정합부(18)에 저장된 정보들을 읽은 상기 제어부(16)는 수신된 채널별 송수신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해당 채널의 CID 및 CLIP의 데이타를 PCM 데이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송수신부(14)로 공급한다.
상기 송수신부(14)는 상기 제어부(1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해당 채널의 CID 및 CLIP에 대한 FSK 데이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FSK 데이타를 직렬 PCM 데이타로 변환하여 해당 타임슬롯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상기 송수신정합부(12)로 제공한 후, 그 결고 메시지 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4)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는 송수신부(14)로부터 전송된 결과 메시지 데이타를 정합부(18)를 통해 상위 프로세서인 LPM으로 전송하여 그 결과를 LPM이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송수신 정합부(12)는 타임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동기신호(frame synchornization pulse)와 타이밍 클럭(clock: 4.096MHz)을 상기 송수신부(14)로 제공하며, 상기 송수신부(14)로부터 출력되는 PCM 데이타를 상기 해다 타임슬롯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된 FSM 장치는 LPM의 제어에 의해 해당 착신 가입자의 타임슬롯으로 발신가입자의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발신 가입자의 전화 번호, 발신시각 및 이름 등의 CID 및 CLIP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FSM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6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M의 정합부의 상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부(18)은 LPM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LPM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고 독출제어신호에 의해 선입된 데이타를 선출하는 제1피포(이하 "FIFO"라 칭하며 숫자를 붙여 제1 및 제2를 구분함)(20)와, 제어부(1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선입하며, 상기 LPM의 제어에 의해 선입된 데이타를 선출하는 FIFO2(22)와, 상기 LPM으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및 독출제어신호를 각각 상기 FIFO1(20) 및 FIFO2(22)로 공급하는 경로제어기(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부호 16은 제어부의 일부분의 블럭도로서, MPU(micrioprocessor)(30)와, 상기 MPU(3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상기 FIFO(20) 및 FIFO(22)에 리드(FIFO RD) 및 라이트(FIFO WR)를 각각 제공하는 디코더(26)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8은 상기 경로제어기(24) 및 상기 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해 송수신부(16)로부터 출력되는 알람을 경보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도 2와 같이 구성된 정합부(18)의 간략한 동작을 살피면 하기와 같다.
지금, LPM으로부터 각 포트, 예를 들면, 착신 가입자 포트에 동작해야할 모드정보아 송출할 주파수를 지정하는 데이타를 출력함과 동시에 기록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도 2에 도시된 경로 제어기(24)는 상기 기록제어신호에 의해 FIFO(20)의 동작모드를 기록모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LPM으로부터 데이타가 출력되면 상기 데이타는 FIFO(20)에 기록된다. 상기 FIFO(20)에 기록된 데이타는 제어부(16)에서 소정의 주기로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읽혀진다. 예를 들어, 제어부(16)가 데이타를 독출하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디코더(26)가 상기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피포 리드 제어신호(FIFO RD)를 발생한다. 이때, 제어부(16)는 상기 필포(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데이타 버스를 통해 수신한다.
만약, 상기 제어부(16)가 데이타를 LPM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타를 출력함과 동시에 기록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디코더(26)가 상기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피포 라이트 제어신호(FIFO WR)를 발생한다. 이때, FIFO2(22)는 상기 제어부(1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선입선출방식으로 내부 레지스터 영역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도 3과 같이 구성된 정합부(18)는 LPM과 제어부(16)간의 송수신 데이타 정합을 피포를 통해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 3과 같은 정합부(18)는 FSM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는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를 알람부(28)내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알람부(28)내의 상태 레지스터의 제어는 제어부(16) 및 경로 제어기(2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알람부(28)에 억세스되는 알람 데이타는 송수신부(14) 및 LPM으로부터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M의 제어부(16)의 상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도 2에서 설명한 구성에서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송수신 제어회로(32)와 리세트 제어부(36)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송수신 제어부(32)는 송수신부(14)에 접속되어 데이타를 전송하거나 그로부터의 데이타를 수 신하는 송수신 제어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도 3과 같이 구성된 제어부(16)는 소정의 주기로 입출력용 디코더(2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도 2에서 설명한 경로를 통해 LPM으로부터 프로세싱 채널 정보와 수행 기능 동작 모드 정보를 받아서 각 채널별로 지정된 동작 모등 정보에 따라 FSK 데이타를 발생시키기 위한 데이타를 송수신 제어회로(32)로 전송함과 동시에 디코더(26)에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디코더(26)는 상기 송수신에 관련된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송수신부(14)를 억세스하기 위한 활성화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송수신 제어회로(32)는 상기 MPU(3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송수신부(14)로 입력시키거나, 상기 송수신부(1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하여 MPU(30)에 입력시킨다.
따라서, 도 3과 같은 제어부(16)는 LPM으로부터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FSK 데이타를 발생시키기 위한 데이타를 송수신부(14)로 전송하며, 상기 송수신부(1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LPM으로 전송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M의 송수신부의 상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신호처리회로(38)는 도 3의 디코더(2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송수신 제어회로(3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분석하여 각 채널에 대해 각각 필요한 FSK, 알라트(alert) 및 PCM 데이타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신호처리회로(38)는 교환시스템의 32채널에 대해 각각 필요한 기능을 위해 듀얼(dual)로 구성되며, 각각의 신호처리회로(38)는 데이 타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메모리(40)와, 신호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마스크된 EPROM(42)과, 상기 EPROM(42)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된 데이타를 억세스하여 각채널에 대한 FSK, 알라트 등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칭함)(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DSP(44)는 상기 메모리(40)를 ??해 각각의 할당된 채널 영역의 데이타를 읽어들여 송출하게될 알라트 신호, FSK-CLIP정보를 송수신 정합부(12)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동기신호 및 전송클럭에 의해 해당 타임슬롯의 채널에 맞게 처리하며, PCM데이타의 처리가 완료되면 해당 채널에 맞게 알라트, FSK CLIP 송출 완료 데이타를 포맷화하여 상기 메모리(40)를 통해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6)내의 MPU(30)은 상기 송수신부(1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LPM이 읽어 갈 수 있도록 FIFO2(22)에 라이트한다.
한편, 상기 신호처리회로(38)에 접속된 송수신 정합부(12)는 타임스위치(도시하지 않았음)에 접속되어 그로부터 인입되는 동기신호 FSX와 클럭 CLKR을 TTL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처리회로(38)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회로(38)로부터 출력되는 PCM 데이타를 상기 타임스위치를 통해 송신(Dx)한다. 이의 동작을 설명하면 도 5 및 도 6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M의 송수신 정합부의 상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직렬 포트 송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신호치리회로(38)내의 DSP(44)로부터 출력되는 CLIP를 위한 데이타 및 알라트 PCM 데이타가 루프백 제어회로(46)로 입력되면, 상 기 루프백 제어회로(46)는 입력되는 제어 데이타에 따라 각 채널별의 데이타를 루프백(loop back)하여 상기 신호처리회로(38)로 피드백 할 것인지 혹은 출력단에 접속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LDR1)(48)를 통해 타임 스위치의 하이웨이로 전송할 r것인지를 결정하여 동작한다. 예를 들어, 타임 스위치의 하이웨이로 전송하는 경우의 동작 타이밍도는 도 6과 같다. 또다른 라인 드라이버/리시버(50)는 상기 타임 스위치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로부터 제공되는 동기신호(FSX)와 클럭(CLKR)를 TTL레벨로 변환하여 송수신부(14)로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FSK로서 CID 및 CLIP 데이타를 발생하여 이를 PCM으로 변환하여 해당 채널로 전송하므로써 발신자 정보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착신가입자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PM의 제어에 의해 CID 및 CLIP의 정보를 FSK의 데이타로 발생시켜 PCM 데이타로 변환하여 해당 채널로 전송하므로써 착신 가입자에게 보다 많은 발신 가입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착신 가입자는 발신 가입자의 정보를 단말기의 표시창등을 통해 모니터링하므로써 악의 호 등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러 형태로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2)

  1.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에 있어서,
    교환기 시스템의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채널별로 요구되어지는 송수신제어정보 및 수신되어지는 데이타를 정합하는 정합부와,
    상기 정합부로부터 수신되는 채널별 송수신 제어정보에 응답하여 해당 채널의 CID 및 CLIP의 데이타를 PCM 데이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해당 CID 및 CLIP에 대한 FSK 데이타를 생성하여 직렬의 PCM 데이타로 변환 출력하고 이의 송신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PCM 직렬 데이타를 교환기의 서브하이웨이로 전송하는 송수신정합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부는 상기 LPM과 상기 제어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LPM과 제어부의 제어 의해 각각 선입선출되는 두 개의 피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
KR1019990037466A 1999-09-03 1999-09-03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 KR10060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466A KR100605997B1 (ko) 1999-09-03 1999-09-03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466A KR100605997B1 (ko) 1999-09-03 1999-09-03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242A KR20010026242A (ko) 2001-04-06
KR100605997B1 true KR100605997B1 (ko) 2006-07-26

Family

ID=1961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466A KR100605997B1 (ko) 1999-09-03 1999-09-03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9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647A (ja) * 1996-05-16 1997-11-28 Hitachi Ltd 発呼者情報通知システム
JPH1093712A (ja) * 1996-06-05 1998-04-10 Fujitsu Ltd 交換機システムにおける発信加入者情報通知システム
KR100200572B1 (ko) * 1996-12-30 1999-06-15 서평원 전자교환기의 하이웨이 pcm 모니터 장치
KR100201287B1 (ko) * 1995-08-07 1999-06-15 윤종용 사설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 번호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287B1 (ko) * 1995-08-07 1999-06-15 윤종용 사설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 번호 검출장치
JPH09307647A (ja) * 1996-05-16 1997-11-28 Hitachi Ltd 発呼者情報通知システム
JPH1093712A (ja) * 1996-06-05 1998-04-10 Fujitsu Ltd 交換機システムにおける発信加入者情報通知システム
KR100200572B1 (ko) * 1996-12-30 1999-06-15 서평원 전자교환기의 하이웨이 pcm 모니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242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3195A (en)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with specific information transmitting function
CA1311286C (en) Digital key telephone system
KR100605997B1 (ko) 교환기 시스템의 에프에스엠
US4221935A (en) Control circuit for telephone subscriber station
US5956388A (en) Security system with two signal reporting
KR10079770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발신자 정보 송수신 장치
KR950035476A (ko) 전전자 교환기의 하이웨이 레이트 변환장치
JPH01222559A (ja) 警備情報の受信装置
KR100727757B1 (ko) 전전자교환기의 가입자제어랙에 실장되는 주파수편이회로팩
KR10063985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발신자 정보표시 서비스 장치
KR960010864B1 (ko) 통신회선정합장치 및 그 방법
CN1025805C (zh) 微机报警信号发送装置及其控制方法
SU17342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информации дл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й кольцевой сети св зи
JPS61179632A (ja) 情報伝送システム
KR100298491B1 (ko)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및 방법
KR100512376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가입자의일정관리방법
JP2958860B2 (ja) 警報送信装置
KR0154473B1 (ko) 전전자교환기의 녹음안내방송장치를 시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H0431238B2 (ko)
KR920007490B1 (ko) 전자교환기용 범용신호 송수신 회로팩의 신호서비스 방법
EP1005210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essages to subscribers during the set-up stage of incoming telephone calls
KR100349804B1 (ko)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 모듈
KR910002632B1 (ko) 키폰 시스템과 키폰 가입자간의 인터페이싱 방법
KR19980017197A (ko) 발신측 전화번호 수신 및 출력장치
JPH03139966A (ja) ファクシミリ送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