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491B1 -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491B1
KR100298491B1 KR1019990008617A KR19990008617A KR100298491B1 KR 100298491 B1 KR100298491 B1 KR 100298491B1 KR 1019990008617 A KR1019990008617 A KR 1019990008617A KR 19990008617 A KR19990008617 A KR 19990008617A KR 100298491 B1 KR100298491 B1 KR 100298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b
call state
call
stat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886A (ko
Inventor
박동원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ublication of KR1999007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31Pulse code modulation, P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6Fault pre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7Redundant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6Connection circuit/link/trunk/junction, bridge, router, gatew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2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Inter-exchange conn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에 호절단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호절단을 감지하여 운용자에 보고함으로써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환기에서 호절단이 발생되는 경우 자체적으로 호 절단의 발생여부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해당 호절단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통화로의 품질유지 및 교환기의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통화중인 채널에 대한 호상태 데이터를 확인하여 해당 채널의 호절단을 감지하고, 감지된 호절단 정보와 채널 정보를 운용자에게 보고함으로써, 해당 호절단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어 교환기 통화로의 품질유지 및 교환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및 방법{Circuit And Method For Call Cut-Off Detection In Exchange System}
본 발명은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에 호절단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호절단을 감지하여 운용자에 보고함으로써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절단(Call Cut-Off)이란 통화중에 끊어진 호를 의미한다. 즉, 전화단말기에서 발신된 호가 기지국에서 음성채널로 할당되어 교환기의 트렁크까지 점유한 후 끊어진 경우와, 사용자에 의해 전화단말기의 종료버튼이 눌려지기 전에 외부적 조건에 의해 통화가 끊어진 경우를 총칭하여 호 절단이라 한다.
종래의 전자식 교환기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와, 타임 스위칭부(20)와, 로컬 링크부(30)와, 중앙 링크부(40) 및 스페이스 스위칭부(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프로세서(10)는 해당 교환기의 호처리 및 유지보수를 관장하고, 타임 스위칭부(20)를 제어한다.
로컬 링크부(30)는 타임 스위칭부(20)에서 출력된 8비트의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STM(Synchronous Transfer Mode)-1 프레이머(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하여 중앙 링크부(40)로 출력하고, 중앙 링크부(40)로부터 입력된 8비트의 PCM 데이터를 타임 스위칭부(20)로 출력한다.
그리고, 스페이스 스위칭부(50)는 중앙 링크부(40)로부터 입력된 8비트의 PCM 데이터를 하이웨이별로 스위칭하고, 다른 가입자 또는 다른 교환기로부터 입력되는 8비트의 PCM 데이터를 중앙 링크부(40)로 출력한다.
또한, 타임 스위칭부(20)는 가입자로부터 8비트의 PCM 데이터를 입력받아 타임슬롯 교환 기능을 수행하되, 8비트의 PCM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화메모리(21)와, 소정의 클럭신호(CP2)와 프레임 펄스신호(FP2)에 따라 통화메모리(21)로 기록(write) 및 판독(read)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기록 어드레스 발생기(22)와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식 교환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의 전화단말기로부터 입력된 8비트의 PCM 데이터(채널 데이터)는 기록 어드레스 발생기(22)에서 출력된 기록 어드레스(WA)에 따라 채널별로 통화메모리(21)에 저장되고, 저장된 8비트의 PCM 데이터는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3)에서 출력된 판독 어드레스(RA)에 따라 로컬 링크부(30)로 출력된다.
이때,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3)는 프로세서(10)에 의해 제어되며, 로컬 링크부(30)는 통화메모리(21)에서 출력된 8비트의 PCM 데이터를 155.52Mbps의 고속 링크를 통하여 중앙 링크부(40) 및 스페이스 스위칭부(50) 측으로 전송한다.
한편, 스페이스 스위칭부(50)에서 스위칭된 8비트의 PCM 데이터가 중앙 링크부(40)와 로컬 링크부(30)를 통해 타임 스위칭부(20)로 입력되면, 해당 8비트의 PCM 데이터는 기록 어드레스 발생기(22)에서 출력된 기록 어드레스(WA)에 따라 채널별로 통화메모리(21)에 저장된다.
그리고, 해당 통화메모리(21)에 저장된 8비트의 PCM 데이터는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3)에서 출력된 판독 어드레스(RA)에 따라 전화단말기 측으로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환기에서 호절단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교환기 운용자는 가입자들의 신고에 의해서만 호절단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 자체적으로 호 절단의 발생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에 따라, 해당 교환기 운용자는 통화중에 호절단이 발생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통화로의 품질유지 및 교환기의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통화중인 채널에 대한 호상태 데이터를 확인하여 해당 채널의 호절단을 감지하고, 감지된 호절단 정보와 채널 정보를 운용자에게 보고함으로써, 해당 호절단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교환기 통화로의 품질유지 및 교환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교환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에서 호절단 검출 회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048 채널의 PCM 데이터에 대한 기록/판독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9비트의 PCM 데이터에 대한 링크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로세서20 : 타임(Time) 스위칭부
21 : 통화메모리22 : 기록 어드레스 발생기
23 :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30 : 로컬 링크(Local Link)부
40 : 중앙 링크(Central Link)부50 : 스페이스(Space) 스위칭부
60 : COB(Cut-Off call Bit) 처리회로61 : COB 처리부
62 : COB 기록메모리63 : COB 판독메모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화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제1PCM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타임 스위칭부와, 입력된 제2PCM 데이터를 중앙 링크부와 스페이스 스위칭부로 전송하거나, 스페이스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제2PCM 데이터를 중앙 링크부를 통해 입력받아 전송하는 로컬 링크부를 구비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제1PCM 데이터에 제1호상태 데이터를 결합하거나, 상기 로컬 링크부로부터 전송되는 제2PCM 데이터를 제1PCM 데이터와 제2호상태 데이터로 분리하는 COB 처리회로와; 상기 전화단말기의 버튼 변화를 감지하여 생성한 제1호상태 데이터를 상기 COB 처리회로에 기록하고, 상기 COB 처리회로에서 분리된 제2호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채널의 호절단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채널의 통화상태를 나타내는 제1호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과; 전화단말기 측에서 입력된 제1PCM 데이터와 상기 제1호상태 데이터를 결합하여 제2PCM 데이터를 스페이스 스위칭부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페이스 스위칭부로부터 스위칭된 제2PCM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스페이스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된 제2PCM 데이터를 제1PCM 데이터와 제2호상태 데이터로 분리하는 과정과; 분리된 제2호상태 데이터와 제1호상태 데이터를 비교하여 채널의 호절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는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와, 타임 스위칭부(20)와, 로컬 링크부(30)와, 중앙 링크부(40)와, 스페이스 스위칭부(50) 및 COB(Cut-Off call Bit) 처리회로(60)를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 교환기에서, 타임 스위칭부(20)와 로컬 링크부(30) 사이에 COB 처리회로(60)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여기서, 종래의 기능과 동일한 타임 스위칭부(20)와, 로컬 링크부(30)와, 중앙 링크부(40)와, 스페이스 스위칭부(50)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0)는 호처리 및 교환기의 유지보수를 관장하고, 전화단말기 측의 통화상태(Idle/Busy)를 나타내는 제1COB 데이터(호상태 데이터)를 COB 처리회로(60)에 저장하며, 스페이스 스위칭부(50) 측으로 스위칭 네트워크의 통화상태를 나타내는 제2COB 데이터(호상태 데이터)를 COB 처리회로(60)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의 내용과 비교하여 해당 채널의 호절단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해당 데이터베이스는 프로세서(10)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존재하여 전화단말기 측의 통화상태를 관리한다.
COB 처리회로(60)는 8비트의 PCM 데이터에 1비트의 제1COB 데이터를 결합시키거나, 9비트의 PCM 데이터로부터 8비트의 PCM 데이터와 1비트의 제2COB 데이터를 분리시키되, 프로세서(10)에서 제공된 제1COB 데이터를 저장하는 COB 기록메모리(62)와, 타임 스위칭부(20)에서 출력된 8비트의 PCM 데이터와 COB 기록메모리(62)에서 출력된 제1COB 데이터를 결합하거나, 9비트의 PCM 데이터를 8비트의 PCM 데이터와 1비트의 제2COB 데이터로 분리하는 COB 처리부(61)와, 해당 COB 처리부(61)에서 분리된 제2COB 데이터를 저장하는 COB 판독메모리(6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의 전화단말기로부터 8비트의 PCM 데이터(채널 데이터)가 타임 스위칭부(20)로 입력되면, 해당 타임 스위칭부(20)의 통화메모리(21)는 기록 어드레스 발생기(22)에서 출력된 기록 어드레스(WA)에 따라 8비트의 PCM 데이터를 채널별로 저장하고,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3)에서 출력된 판독 어드레스(RA)에 따라 기저장된 8비트의 PCM 데이터를 COB 처리회로(60) 측으로 출력한다.
즉, 첨부한 도면 도 3의 타이밍도와 같이, 기록 및 판독 어드레스(WA, RA)에 따라 통화메모리(21)는 프레임 펄스신호(FP2)의 1구간 동안 소정의 클럭신호(CP2)에 동기되어 2048 채널의 PCM 데이터를 기록/판독한다.
이에, 프로세서(10)에서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3)를 제어하고, 각 채널에 대한 전화단말기 측의 통화상태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제1COB 데이터를 COB 처리회로(60)의 COB 기록메모리(62)에 차례로 기록하면, 해당 COB 기록메모리(62)는 프로세서(10)의 제어에 따라 2048 채널에 대한 1비트의 제1COB 데이터를 COB 처리부(61)로 순차 출력한다.
이때, 해당 제1COB 데이터는 채널이 통화중(busy)이면 '0', 아이들(idle)이면 '1'로 설정되며, 각 채널의 제1COB 데이터는 사용자가 전화단말기의 버튼을 누를 때 감지되며,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된다.
그러면, 해당 COB 처리부(61)는 8비트의 PCM 데이터와 1비트의 제1COB 데이터를 9비트의 PCM 데이터로 결합하여 로컬 링크부(30)로 출력하고, 해당 로컬 링크부(30)는 입력된 9비트의 PCM 데이터를 155.52Mbps의 고속 링크를 통해 중앙 링크부(40) 및 스페이스 스위칭부(50)로 전송하면, 해당 스페이스 스위칭부(50)는 중앙링크부(40)로부터 입력된 9비트의 PCM 데이터를 하이웨이별로 스위칭한다.
이때, 해당 로컬 링크부(30)에서 출력되는 9비트의 PCM 데이터에 대한 링크 프레임 구조는 첨부한 도면 도 4와 같은데, 해당 링크 프레임 구조는 2048 채널의 PCM 데이터를 갖으며, 1바이트(8비트)의 PCM 데이터에 대해 1개의 제1COB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호상태 데이터는 256바이트가 된다.
이후, 스페이스 스위칭부(50)에서 9비트의 PCM 데이터가 출력되어 중앙 링크부(40)와 로컬 링크부(30)를 통해 COB 처리회로(60)로 입력되면, 해당 COB 처리회로(60)의 COB 처리부(61)는 9비트의 PCM 데이터로부터 8비트의 PCM 데이터와 스위칭 네트워크의 통화상태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제2COB 데이터를 분리한 후, 8비트의 PCM 데이터는 통화메모리(21)에 저장하고, 1비트의 제2COB 데이터는 COB 판독메모리(63)에 채널별로 순차 저장한다.
이때, 프로세서(10)는 COB 판독메모리(63)로부터 현재 통화중인 채널들의 제2COB 데이터를 판독하여 데이터베이스상의 해당 채널에 대한 제1COB 데이터와 비교한 후, 비교한 결과 제2COB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상의 제1COB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으면 프로세서(10)는 해당 채널에서 호절단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상에서 제1COB 데이터가 채널이 통화중인 경우 '0', 채널이 아이들인 경우 '1'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해당 프로세서(10)는 제2COB 데이터가 '1'인 경우에 해당 채널에서 호절단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호절단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프로세서(10)는 교환기 운용자에게 해당 채널 정보와 호절단 정보를 출력하고, 호절단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즉, 제2COB데이터가 '0'인 경우에는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3)를 제어하여 통화메모리(21)에 저장된 8비트의 PCM 데이터가 전화단말기 측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세서(10)는 해당 채널의 통화상태(Busy/Idle)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제1COB 데이터를 검출하여 COB 기록메모리(62)에 저장하는데(스텝 S1), 이때, 해당 제1COB 데이터는 채널이 통화중이면 '0', 채널이 아이들이면 '1'로 설정된다.
그리고, 소정의 전화단말기 즉, 소정의 채널로부터 스위칭부(20)의 통화메모리(21)에 8비트의 PCM 데이터가 입력되었다가 COB 처리회로(60)의 COB 처리부(61) 측으로 출력되면, 해당 COB 처리부(61)는 통화메모리(21)에서 출력된 8비트의 PCM 데이터와 COB 기록메모리(62)에서 출력된 1비트의 제1COB 데이터를 결합하여(스텝 S2), 9비트의 PCM 데이터를 로컬 링크부(30) 측으로 출력하면, 해당 로컬 링크부(30)는 9비트의 PCM 데이터를 155.52Mbps의 고속 링크를 통해 중앙 링크부(40) 및 스페이스 스위칭부(50) 측으로 전송한다(스텝 S3).
이후, 해당 스페이스 스위칭부(50)에서 스위칭된 9비트의 PCM 데이터가 출력되어 중앙 링크부(40)와 로컬 링크부(30)를 통해 COB 처리회로(60)로 입력되면(스텝 S4), 해당 COB 처리회로(60)의 COB 처리부(61)는 입력된 9비트의 PCM 데이터를 8비트의 PCM 데이터와 1비트의 제2COB 데이터로 분리한 후(스텝 S5), 8비트의 PCM 데이터는 통화메모리(21)로 출력하고, 1비트의 제2COB 데이터는 COB 판독메모리(63)에 채널별로 순차 저장한다(스텝 S5).
이때, 프로세서(10)는 COB 판독메모리(63)로부터 현재 통화중인 채널들의 제2COB 데이터를 판독한 후, 판독한 제2COB 데이터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스텝 S6).
만약, 판독한 제2COB 데이터가 '1'인 경우 해당 프로세서(10)는 현재 사용중인 채널에서 호절단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여 해당 호절단된 채널 정보와 호절단 정보를 교환기 운용자에게 출력한다(스텝 S7).
그런데, 만약 판독한 제2COB 데이터가 '0'인 경우 해당 프로세서(10)는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23)를 제어하여 통화메모리(21)에 저장된 8비트의 PCM 데이터가 전화단말기 측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스텝 S8).
본 발명에서 선행된 실시예들은 단지 한 예로서 청구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며, 여러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들이 통상의 지식을 갖춘자에게 자명한 것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통화중인 채널에 대한 호상태 데이터를 확인하여 해당 채널의 호절단을 감지하고, 감지된 호절단 정보와 채널 정보를 운용자에게 보고함으로써, 해당 호절단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어 교환기 통화로의 품질유지 및 교환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전화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제1PCM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타임 스위칭부와, 입력된 제2PCM 데이터를 중앙 링크부와 스페이스 스위칭부로 전송하거나, 스페이스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제2PCM 데이터를 중앙 링크부를 통해 입력받아 전송하는 로컬 링크부를 구비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제1PCM 데이터에 제1호상태 데이터를 결합하거나, 상기 로컬 링크부로부터 전송되는 제2PCM 데이터를 제1PCM 데이터와 제2호상태 데이터로 분리하는 COB 처리회로와; 상기 전화단말기의 버튼 변화를 감지하여 생성한 제1호상태 데이터를 상기 COB 처리회로에 기록하고, 상기 COB 처리회로에서 분리된 제2호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채널의 호절단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상태 데이터는 전화단말기측 채널의 통화상태를 '0' 또는 '1'로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2호상태 데이터는 상기 스페이스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채널의 통화상태를 '0' 또는 '1'로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분리된 제2호상태 데이터와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호상태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채널의 호절단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OB 처리회로는, 프로세서에서 제공된 제1호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COB 기록메모리와; 타임 스위칭부에서 출력된 제1PCM 데이터와 상기 COB 기록메모리에서 판독한 제1호상태 데이터를 결합하고, 제2PCM 데이터를 제1PCM 데이터와 제2호상태 데이터로 분리하는 COB 처리부와; 상기 COB 처리부에서 분리된 제2호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COB 판독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5. 채널의 통화상태를 나타내는 제1호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과; 전화단말기 측에서 입력된 제1PCM 데이터와 상기 제1호상태 데이터를 결합하여 제2PCM 데이터를 스페이스 스위칭부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페이스 스위칭부로부터 스위칭된 제2PCM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스페이스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된 제2PCM 데이터를 제1PCM 데이터와 제2호상태 데이터로 분리하는 과정과; 분리된 제2호상태 데이터와 제1호상태 데이터를 비교하여 채널의 호절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상태 데이터는 전화단말기측 채널의 통화상태를 '0' 또는 '1'로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2호상태 데이터는 상기 스페이스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채널의 통화상태를 '0' 또는 '1'로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호절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통화중인 채널로부터 분리된 제2호상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한 제2호상태 데이터와 해당 채널에 대한 제1호상태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2호상태 데이터와 제1호상태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분리된 제1PCM 데이터를 전화단말기 측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방법.
  8.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호상태 데이터와 제1호상태 데이터가 다른 경우 해당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와 호절단 정보를 운용자 측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방법.
KR1019990008617A 1998-03-27 1999-03-15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및 방법 KR100298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10831 1998-03-27
KR1019980010831 1998-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886A KR19990077886A (ko) 1999-10-25
KR100298491B1 true KR100298491B1 (ko) 2001-09-26

Family

ID=1953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617A KR100298491B1 (ko) 1998-03-27 1999-03-15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49546B1 (ko)
KR (1) KR100298491B1 (ko)
CN (1) CN115074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69B1 (ko) * 2001-09-27 2008-03-20 엘지노텔 주식회사 교환기의 컷 오프 콜 검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0217A (en) * 1979-12-26 1981-07-21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US5450485A (en) * 1993-03-08 1995-09-12 Dialogic Corporation Detecting whether a telephone line has been disconnected
JP3045076B2 (ja) * 1996-07-17 2000-05-22 日本電気株式会社 非電話呼接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49546B1 (en) 2003-04-15
CN1150744C (zh) 2004-05-19
KR19990077886A (ko) 1999-10-25
CN1231560A (zh) 199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64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isting 1ESS and 1AESS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 with the capability of using the SS7 protocol
US48539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isting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 with the capability of using the SS7 protocol
US4922484A (en) ISDN remote switching unit for accommodating analog and digital lines
EP0341687B1 (en)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system
US4953195A (en)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with specific information transmitting function
US4979164A (en) Switching system reliability
US6345309B2 (en) Communication-terminal management system with storage-processing-system network and real-time-processing-system network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se networks
US63666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 routing of subscriber calls
KR100298491B1 (ko) 교환기의 호절단 검출 회로 및 방법
US5566223A (en)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 host exchange and a mate exchange and a method for managing maintenance state of subscriber accommodated in the mate exchange
JP3004130B2 (ja) メッセージ情報終端方式
KR100223376B1 (ko) 사설교환기에서 착신측 상태 음성안내방법
US5982871A (en) Transmission of originator subscriber number after communication channel is established
JP2536380B2 (ja) 可聴音制御方法
KR100222796B1 (ko) 음성우편장치가 접속된 키폰시스템에서 통화내용 녹음 경보방법
US5651062A (en) Automatic private branch exchange apparatus
KR100353965B1 (ko) 전송장비의 가입자 선로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JP2993393B2 (ja) 障害加入者回路切換装置
KR10018782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제어회로에서 통화중 호절단 확인 장치
KR10024478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절단 호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639854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fsk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인터페이스 방법
KR100297288B1 (ko) 교환시스템의국선군기능제어방법
KR0135536B1 (ko) 음성 녹음 편집 전송 장치
KR0154473B1 (ko) 전전자교환기의 녹음안내방송장치를 시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809244B2 (ja) 非常回線接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