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804B1 -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 모듈 - Google Patents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804B1
KR100349804B1 KR1020000063610A KR20000063610A KR100349804B1 KR 100349804 B1 KR100349804 B1 KR 100349804B1 KR 1020000063610 A KR1020000063610 A KR 1020000063610A KR 20000063610 A KR20000063610 A KR 20000063610A KR 100349804 B1 KR100349804 B1 KR 10034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dtmf
signal processing
proces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886A (ko
Inventor
윤태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3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80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0P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보코더의 내부에 압축·변조 상태의 음성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 음성 데이터의 어드레스 진행상황을 기록하며, 이와 동시에, 음성 데이터의 저장상태를 제어부로 보고하는 제 1 듀얼 엑세스 램을 내장시킴과 아울러, DTMF/Tone 신호 검출부의 내부에 DTMF/Tone 신호의 수·발신 영역을 제공하는 제 2 듀얼 엑세스 램을 내장시킨다. 이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은 종래의 통신 모듈과 거의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결국,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상술한 제어부는 별도의 통신모듈을 배치하지 않고서도, 음성/신호 처리모듈과 좀더 안정적인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음성/신호 처리모듈은 종래와 달리, 별도의 통신모듈 없이, 단지, 상술한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제어부와 안정적인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내선 가입자는 통신모듈의 개재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지출이 미리 차단되는 효과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Voice/Signal controlling module of a voice mailing service apparatus}
본 발명은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고가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제어부와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 종래의 사설 교환기는 국선을 통해 임의의 내선 가입자를 호출하는 착신호가 인가되거나, 내선 가입자가 다른 내선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 이 "국선과 내선" 또는 "내선과 내선"간의 통화로를 스위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사설 교환기에는 이른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Voice mailing service apparatus)"라 명명되는 별도의 모듈이 장착되는데, 이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는 만약, 내선 가입자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인 경우, 해당 내선 가입자의 상태를 일련의 음성 메시지를 통해 발신측 단말기에 안내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는 예컨대, 제어부, 시스템 정합부, 음성/신호 처리모듈, 음성 데이터 저장부 및 통신 제어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어부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시스템 정합부는 이러한 제어부와 상위 시스템, 예컨대, 사설 교환기와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음성/신호 처리모듈은 상술한 제어부와 지속적인 데이터 교환을 이루면서, 내선 가입자의 음성 데이터를 압축·재생시키거나, 내선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선택 신호, 예컨대, 키 입력신호 등을 분석·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음성 데이터 저장부는 내선 가입자의 음성을 메일링(Mailing)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신 제어부는 앞서 언급한 시스템 정합부, 음성/신호 처리모듈, 음성 데이터 저장부 등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초기화하거나, 각포트의 상태를 관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여러 구성요소들 중, 특히, 음성/신호 처리모듈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선 가입자의 음성 데이터를 압축·재생시키거나, 내선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선택 신호를 분석·처리하는 등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 음성/신호 처리모듈의 동작에 따라,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는 자신의 전체적인 기능에 막대한 영향을 받는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음성/신호 처리모듈에 제어부와의 통신관계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별도의 통신 모듈을 배치하고, 이 별도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가 별다른 유실 없이 음성/신호 처리모듈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성/신호 처리모듈의 전체적인 동작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보다 정교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별도의 통신 모듈은 그 가격이 고가인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음성/신호 처리모듈에 이러한 통신 모듈을 별도로 배치하는 경우, 내선 가입자는 고가의 추가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물론, 이러한 추가 비용의 지출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신 모듈의 사용을 아예 배제시키는 것이 최우선이긴 하겠지만, 이 경우, 제어부 및 음성/신호 처리모듈 사이의 데이터 교환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내선 가입자는 상술한 비용 지출의 문제점을 깊이 인식하면서도 별도의 통신 모듈을 어쩔 수 없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음성/신호 처리모듈의 구조를 일부 개선하여, 음성/신호 처리모듈이 고가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제어부와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모듈의 개재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의 지출을 미리 억제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통신망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기용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정합부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의 상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듀얼 엑세스 램의 어드레스 맵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듀얼 엑세스 램의 어드레스 맵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련의 펄스 부호 변조(PCM:Pulse Code Modulation) 하이웨이를 통해 인가되는 내선 가입자의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변조함과 아울러, 착신호를 인가한 발신자측으로 송출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복조하는 보코더(Vocoder)와, 상술한 PCM 하이웨이를 통해 인가되는 기능선택용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Tone 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DTMF/Tone 신호 검출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을 개시한다.
이때, 보코더에는 압축·변조 상태의 음성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 음성 데이터의 어드레스 진행상황을 기록하며, 이와 동시에, 음성 데이터의 저장상태를 제어부로 보고하는 제 1 듀얼 엑세스 램(DARAM:Dual Access Ram)이 내장되며, DTMF/Tone 신호 검출부에는 DTMF/Tone 신호의 수·발신 영역을 제공하는 제 2 듀얼 엑세스 램이 내장된다. 이러한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의 작용에 따라, 제어부는 별도의 통신모듈을 배치하지 않고서도, 음성/신호 처리모듈과 좀더 안정적인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모듈의 경우, 종래와 달리, 별도의 통신모듈 없이, 상술한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제어부와 안정적인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내선 가입자는 통신모듈의 추가 설치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지출이 미리 차단되는 효과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400)는 음성 데이터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단일 모듈로 구현된 상태에서, 사설 교환기(300)의 내부에 실장됨으로써, 사설 교환기(300)의 상위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 경우, 사설 교환기(300)는 국설 교환기(200)와 내선 가입자용 단말기(500) 사이의 통신로를 스위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400)는 제어부(10), 시스템 정합부(20), 음성/신호 처리모듈(30), 음성 데이터 저장부(50), 통신 제어부(60) 및 전원 공급부(6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어부(10)는 시스템 정합부(20)를 매개로 하여, 상위 시스템인 사설 교환기(300)와 호 관련 메시지를 교환하는 역할, 음성/신호 처리모듈(30)를 매개로 하여, 사설 교환기(300)와 음성 메시지를 교환하는 역할, 음성 데이터 저장부(50)를 제어하여, 일련의 처리과정이 완료된 음성 데이터를 녹음 및 재생시키는 역할등을 수행함으로써, 모듈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원만하게 제어시킨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정합부(10)는 제어부(10)와 상위 시스템인 사설 교환기(300)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 시스템 정합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설 교환기(300)와 제어부(10)를 인터페이스하는 시스템 콘트롤러(21)와, 사설 교환기(300)로부터 제어부(10)측으로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부(10)로부터 사설 교환기(300)측으로 출력되는 데이터 등을 완충시키는 시스템 정합버퍼(23)와, 사설 교환기(300) 및 제어부(30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요지를 이루는 음성/신호 처리모듈(30)은 예컨대, 내선 가입자용 단말기(500)를 통해 사설 교환기(300)에 접속하는 내선 가입자의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호 연결된 상대방에게로 송출되는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출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음성/신호 처리모듈(30)은 상술한 내선 가입자용 단말기(500)를 통해 사설 교환기(300)에 접속하는 내선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일련의 기능선택 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모듈(30)은 보코더(31), 제 1 듀얼 엑세스 램(35), DTMF/Tone 신호 검출부(36), 제 2 듀얼 엑세스 램(4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보코더(31)는 상술한 사설 교환기(300)와 일련의 PCM 하이웨이(700) 및 시스템 인터 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내선 가입자용 단말기(500) 및 PCM 하이웨이(700)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내선 가입자의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변조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술한 압축·변조과정을 통해 압축·변조된 음성 데이터가 착신호를 인가한 발신자측으로 송출될 때, 이 음성 데이터를 PCM 데이터로 복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DTMF/Tone 신호 검출부(36)는 상술한 보코더(31)와 유사하게, 사설 교환기(300)와 일련의 PCM 하이웨이(700)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내선 가입자용 단말기(500) 및 PCM 하이웨이(700)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내선 가입자의 기능선택용 DTMF/Tone 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은 상술한 보코더(31)에 내장된 상태에서,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 제어신호를 상위 시스템인 보코더(3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보코더(31)의 제어에 따라, 압축·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와 더불어, 상술한 음성 데이터의 어드레스 진행상황을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이 음성 데이터의 저장상태를 제어부(10)로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2 듀얼 엑세스 램(40)은 상술한 DTMF/Tone 신호 검출부(36)에 내장된 상태에서,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 제어신호를 상위 시스템인 DTMF/Tone 신호 검출부(36)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DTMF/Tone 신호 검출부(36)의 제어에 따라, 상술한 DTMF/Tone 신호의 수·발신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35,40)의 배치구조는 본 발명의 요지를이루는 부분으로, 이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35,40)은 종래의 통신 모듈과 거의 동일하게, 음성/신호 처리모듈(30)와 제어부(10) 사이를 인터페이스하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제어부(10)는 별도의 통신모듈을 배치하지 않고서도, 음성/신호 처리모듈(30)와 좀더 안정적인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본 발명의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35,40)을 이용하여, 별다른 유실 없이, 음성/신호 처리모듈(30)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결국, 음성/신호 처리모듈(30)은 자신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부(10)의 콘트롤에 의해 보다 정교하게 제어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음성/신호 처리모듈(30)이 종래와 달리, 별도의 통신모듈 없이도,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35,40)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제어부와 안정적인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내선 가입자는 통신모듈의 개재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지출이 미리 차단되는 효과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보코더(31) 및 DTMF/Tone 신호 검출부(36)에는 각각 다수개, 예컨대, 3개의 신호전달 레지스터들(32,33,34,37,38,39)이 더 배치되는데, 이 신호전달 레지스터들(32,33,34,37,38,39)은 제어부(10)가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35,40)과 직접적인 신호교환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35,40)으로 간접 전달하거나,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35,40)으로부터 출력되는 보고신호를 제어부(10)로 간접 전달함으로써, 제어부(10)가 제 1·제 2 듀얼 엑세스램(35,40)과 안정적인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신호전달 레지스터들(32,33,34,37,38,39)은 예컨대, 데이터 레지스터(Data resister;32,37), 어드레스 레지스터(Address resister;33,38), 콘트롤 레지스터(Control resister:34,39)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술한 본 발명의 음성/신호 처리모듈(30)에는 앞서 언급한 보코더(31), DTMF/Tone 신호 검출부(36) 이외에도, 음성/신호 처리버퍼(41)가 더 내장되는데, 이 음성/신호 처리버퍼(41)는 예컨대, "제어부(10) 및 보코더(31)" 사이, 또는, "제어부(10) 및 DTMF/Tone 신호 검출부(36)"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음성 데이터 및 DTMF/Tone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보코더(31) 및 DTMF/Tone 신호 검출부(36)의 연산부담을 경감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은 다수의 채널영역, 예컨대, 4개의 채널영역으로 분할되며, 각 채널영역은 상술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뱅크들 및 앞서 언급한 제어부(10)와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한 레지스터들로 구성된다.
이 레지스터들은 예컨대, 상술한 제어부(1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명령 수신 레지스터, 음성 데이터의 어드레스 진행상황을 기록하는 어드레스 보고 레지스터, 각 채널영역의 상태를 제어부(10)로 보고하는 상태 보고 레지스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음성/신호 처리모듈 이외에,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400)를 이루는 나머지 구성요소, 예컨대, 음성 데이터 저장부(50)는 내선 가입자용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사설 교환기에 접속하고 있는 임의의 내선 가입자가 일련의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는 경우, 이 음성 메시지를 신속하게 저장함으로써, 해당 내선 가입자에게 일련의 음성 사서함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음성 데이터 저장부(50)는 예컨대, 읽기·쓰기가 모두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메모리 뱅크 단위로 저장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제어부(60)는 상술한 제어부(10)의 통신포트와 예컨대, 랜(LAN;10BASE-T), RS-232C 송수신기 등을 이용하여 접속된 상태에서, 상술한 시스템 정합부(20), 음성/신호 처리모듈(30), 음성 데이터 저장부(50) 등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초기화하거나, 각 포트의 상태를 관리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전원 공급부(70)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4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로 전기적인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400)용 음성/신호 처리모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이 적용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400)를 이용하여, 내선 가입자의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임의의 내선 가입자가 내선 가입자용 단말기(500)에 구비되어 있는 키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의 녹음을 요구하는 일련의 기능선택용 키 입력신호, 예컨대, DTMF 신호를 입력하면, 사설 교환기(300)는 이 DTMF 신호를 PCM 하이웨이(700)를 통해 음성/신호 처리모듈(30)의 DTMF/Tone 신호 검출부(36)로 입력한다.
이때, DTMF/Tone 신호 검출부(3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듀얼 엑세스 램(40)의 수신영역을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하고 있다가, 사설 교환기(300)로부터 DTMF 신호가 출력된 것이 확인되면, 이 DTMF 신호를 분석한다.
여기서, 사설 교환기(300)로부터 제 2 듀얼 엑세스 램(40)의 수신영역으로 전송된 DTMF 신호가 "DTMF/Tone 신호 검출부(36)의 자가 진단을 요구하는 신호"인 것으로 분석되면, DTMF/Tone 신호 검출부(36)는 현재 자신의 상태를 진단한 후, 그 진단 결과를 발신영역 및 PCM 하이웨이(700)를 차례로 경유시켜, 사설 교환기(300)로 입력시킨다.
그러나, 사설 교환기(300)로부터 제 2 듀얼 엑세스 램(40)의 수신영역으로 전송된 DTMF 신호가 "음성 메시지의 녹음을 진행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분석되면, DTMF/Tone 신호 검출부(36)는 그 분석 결과를 예컨대, 발신영역과 신호전달 레지스터들(37,38,39), 그리고, 음성/신호 처리버퍼(51)를 차례로 경유시켜, 제어부(10)로 입력시킨다. 이 경우, 전송되는 분석 결과 데이터는 예컨대, 단일 DTMF 값 또는 단일 Tone 값을 갖는다.
이 상태에서, 사설 교환기(300)로부터 수신된 DTMF 신호가 "음성 메시지의 녹음을 진행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밝혀지면, 제어부(10)는 음성녹음을 진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음성/신호 처리버퍼(41), 신호전달 레지스터들(32,33,34)을 차례로 경유시켜, 음성/신호 분석부(30)의 보코더(31)로 인가한다.
이때, 음성/신호 분석부(30)의 보코더(31)는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명령 수신 레지스터를 예컨대, 125㎲의 주기로 폴링하고 있다가, 음성 메시지의 녹음을 진행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검출되면, 사설 시스템(300) 및 PCM 하이웨이(700)를 차례로 경유하여 빠르게 입력되는 내선 가입자의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각 채널 뱅크에 저장한다.
이때, 보코더(31)는 음성 데이터의 압축 시작 시점을 제어부(10)의 "음성/신호 분석부 제어 로직"에서 제공되는 인터럽트로 인지하며, 각 타임 슬롯(Time slot)은 버스트(Burst)로 들어오는 프레임 동기 신호(Frame sync signal)를 참조하여 결정한다. 이 경우, 인터럽트는 첫 번째 프레임 동기 신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예컨대, 3.5㎲ 전에 발생한다.
여기서, 음성 데이터가 압축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상태 보고 레지스터에 기록된 후, 제어부(10)측에 보고되며, 이 "보고 이벤트"는 음성 데이터의 녹음이 시작되는 시점과 끝나는 시점에 한번씩 수행된다.
이때, 보코더(31)는 음성 데이터가 예컨대, 10㎳ 분량, 즉, 10 바이트 분량으로 압축되면, 이를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해당 채널 어드레스에 16비트로 기록하고, 현재까지 증가한 제 1 듀얼 엑세스 램의 어드레스 값을 어드레스 보고 레지스터에 기록한다.
이후, 보코더(31)는 상술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음성 데이터의 압축 과정을 진행하면서,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명령 수신 레지스터를 예컨대, 125㎲의 주기로 폴링하여, 다음 명령의 전달을 기다린다.
한편, 제어부(10)는 상태 보고 레지스터에 의해 보고된 내용을 파악하여, 보코더(31)에 내장된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해당 채널 상태가 녹음 중에 있는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해당 채널의 어드레스 보고 레지스터를 예컨대, 10㎳의 주기로 판독하여, 해당 채널의 뱅크가 "압축된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모두 채워져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해당 채널의 뱅크가 "압축된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모두 채워져 있는 경우, 제어부(10)는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해당 어드레스 보고 레지스터를 판독하여, 음성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저장부(50)로 옮겨 저장하는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일련의 음성 데이터 녹음 과정을 부분적으로 마무리한다. 이 경우, 어드레스 보고 레지스터로부터 읽혀지는 어드레스는 1 어드레스가 1 워드 데이터 사이즈이다.
한편, 임의의 내선 가입자가 내선 가입자용 단말기(500)에 구비되어 있는 키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의 녹음중단을 요구하는 일련의 기능선택용 키 입력신호, 예컨대, DTMF 신호를 입력하면, 사설 교환기는 이 DTMF 신호를 PCM 하이웨이(700)를 통해 음성/신호 처리모듈(30)의 DTMF/Tone 신호 검출부(36)로 입력한다.
이때, DTMF/Tone 신호 검출부(36)는 제 2 듀얼 엑세스 램(40)의 수신영역을 주기적으로 폴링하고 있다가, 사설 교환기(300)로부터 DTMF 신호가 수신된 것이 확인되면, 이 DTMF 신호를 분석한다.
여기서, 사설 교환기(300)로부터 제 2 듀얼 엑세스 램(40)의 수신영역으로 수신된 DTMF 신호가 음성 메시지의 녹음을 중단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분석되면, DTMF/Tone 신호 검출부(36)는 그 분석 결과를 예컨대, 발송영역과 신호전달 레지스터들(37,38,39), 그리고, 음성/신호 처리버퍼(41)를 차례로 경유시켜, 제어부(10)로 입력시킨다.
한편, 제어부(10)는 상술한 음성 데이터 녹음과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가, 상술한 과정을 통해, 사설 교환기(300)로부터 수신된 DTMF 신호가 음성 메시지의 녹음을 중단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밝혀지면, 음성녹음을 중단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음성/신호 처리버퍼(41), 신호전달 레지스터들(32,33,34)을 차례로 경유시켜, 음성/신호 분석부(30)의 보코더(31)로 인가한다.
이때, 음성/신호 분석부(30)의 보코더(31)는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명령 수신 레지스터를 예컨대, 125㎲의 주기로 폴링하고 있다가, 음성 메시지의 녹음을 중단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검출되면, 진행중이던 음성 데이터의 압축과정을 즉시 중단함과 아울러, 현재까지 진행한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보고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그 기록 상태를 상태 보고 레지스터를 통해 제어부(10)에 보고한다.
이후, 제어부(10)는 최종 어드레스까지의 음성 데이터와 그 크기를 음성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일련의 음성 데이터 녹음 중단과정을 마무리한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이 적용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400)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내선 가입자의 음성 메시지를 외부로 송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임의의 가입자는 가입자용 단말기(100) 및 이 가입자용 단말기(100)와 접속된 국설 교환기(200)의 호 중계를 이용하여, 사설 교환기(300)에 접속되어 있는 임의의 내선 가입자를 호출한다.
이때, 사설 교환기(300)에 접속되어 있는 해당 내선 가입자용 단말기(500)가 통화중인 상태이거나, 내선 가입자의 부재로 인하여, 장시간 통화가 지연되는 경우, 사설 교환기(300)는 가입자용 단말기(100)와 연결된 호를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400)의 시스템 정합부(20)로 전달한다.
계속해서, 시스템 정합부(20)는 사설 교환기(300)의 중계를 통해 인가되는 호 관련 메시지 및 그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2)에 일시 저장한 다음, 제어부(10)측으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송출하도록 요구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시스템 정합부(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이 신호가 "음성 안내 서비스를 송출하도록 요구하는 신호"인 것으로 밝혀지면, 즉시, 보코더(31)에 내장된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에 안내 음성 멘트를 기록함과 아울러, 이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명령 수신 레지스터에 음성 재생 명령을 기록하고, 상태 보고 레지스터의 보고과정을 통해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현재 채널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서, 음성/신호 분석부(30)의 보코더(31)는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명령 수신 레지스터를 예컨대, 125㎲의 주기로 폴링하고 있다가, 음성 안내 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검출되면,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에 압축·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예컨대, 5워드씩 판독하여, 이 음성 데이터를 PCM 데이터로 복원한 다음, PCM 데이터로 복원이 완료된 음성 데이터를 PCM 하이웨이를 통해 착신호를 인가한 가입자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음성/신호 분석부(30)의 보코더(31)는 음성 데이터가 예컨대, 5워드씩 판독될 때마다, 진행된 어드레스를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어드레스 보고 레지스터에 기록한다.
여기서, 보코더(31)는 "PCM 데이터가 PCM 하이웨이를 점유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제어부(10)의 "음성/신호 분석부 제어 로직"에서 제공되는 인터럽트로 인지하며, 각 타임 슬롯은 버스트로 들어오는 프레임 동기 신호를 참조하여 결정한다. 이 경우, 인터럽트는 첫 번째 프레임 동기 신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예컨대, 3.5㎲ 전에 발생한다.
이후, 보코더(31)는 상술한 과정을 지속적을 반복하여, PCM 데이터로 복원된 음성 데이터의 송출과정을 진행하면서,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명령 수신 레지스터를 예컨대, 125㎲의 주기로 폴링하여, 다음 명령의 전달을 기다린다.
한편, 제어부(10)는 상태 보고 레지스터에 의해 보고된 내용을 파악하여, 보코더(31)에 내장된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해당 채널 상태가 송출 중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해당 채널의 어드레스 보고 레지스터를 예컨대, 10㎳의 주기로 판독하여, 해당 채널 뱅크의 음성 데이터 송출이 예컨대, ⅔ 정도 진행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해당 채널 뱅크의 음성 데이터 송출이 예컨대, ⅔ 정도 진행된 경우, 제어부(10)는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명령 수신 레지스터에 음성 재생 명령을 기록함으로써, 차기의 음성 데이터 송출과정을 미리 준비한다.
다른 한편, 앞서 언급한 음성 데이터의 송출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임의의 내선 가입자가 내선 가입자용 단말기(500)에 구비되어 있는 키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일련의 DTMF 신호를 입력하면, 사설 교환기(300)는 이 DTMF 신호를 PCM 하이웨이(700)를 통해 음성/신호 처리모듈(30)의 DTMF/Tone 신호 검출부(36)로 입력한다.
이때, DTMF/Tone 신호 검출부(36)는 제 2 듀얼 엑세스 램(40)의 수신영역을 주기적으로 폴링하고 있다가, 사설 교환기(300)로부터 DTMF 신호가 수신된 것이 확인되면, 이 DTMF 신호를 분석한다.
여기서, 사설 교환기(300)로부터 제 2 듀얼 엑세스 램(40)의 수신영역으로 수신된 DTMF 신호가 "서비스를 분기시키거나, 다른 음성 토큰(Voice token)을 호출하는 신호"인 것으로 분석되면, DTMF/Tone 신호 검출부(36)는 그 분석 결과를 예컨대, 발송영역과 신호전달 레지스터들, 그리고, 음성/신호 처리버퍼(41)를 차례로 경유시켜, 제어부(10)로 입력시킨다.
한편, 제어부(10)는 상술한 음성 데이터 송출과정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가, "서비스를 분기시키거나, 다른 음성 토큰을 호출한다"는 내용을 담은 DTMF 신호가 입력되면, 일련의 제어신호를 음성/신호 분석부(30)의 보코더(31)로 인가하여,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해당 채널을 아이들(Idle)시킨 후, 새로운 음성 토큰을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초기 어드레스에 기록하고,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명령 수신 레지스터에 음성 재생 명령을 다시 기록하여, 상술한 음성 데이터 송출과정이 다시 진행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0)는 시스템 정합부(20)를 지속적으로 관측하여, 가입자용 단말기(100)로부터 송출되는 호가 종료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가입자용 단말기(100)로부터 송출되는 호가 종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즉시, 음성 데이터의 송출을 중단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전달레지스터들, 음성/신호 처리버퍼(41) 등을 경유시켜, 음성/신호 분석부(30)의 보코더(31)로 인가한다.
이 경우, 음성/신호 분석부(30)의 보코더(31)는 제 1 듀얼 엑세스 램(35)의 명령 수신 레지스터를 예컨대, 125㎲의 주기로 폴링하고 있다가, 음성 데이터의 송출을 중단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검출되면, 음성 데이터의 송출과정을 즉시 중단함과 아울러, 현재의 아이들 상태를 상태 보고 레지스터를 통해 제어부(10)에 보고한다.
이후, 제어부는 상태 보고 레지스터를 통해 음성/신호 분석부의 현재 상태를 보고 받음으로써, 일련의 음성 데이터 송출과정을 마무리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음성/신호 처리모듈의 구조를 일부 개선함으로써, 음성/신호 처리모듈이 고가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제어부와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생산라인에서 제조되는 다양한 기종의 사설 교환기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에서는 보코더의 내부에 압축·변조 상태의 음성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 음성 데이터의 어드레스 진행상황을 기록하며, 이와 동시에, 음성 데이터의 저장상태를 제어부로 보고하는 제 1 듀얼 엑세스 램을 내장시킴과 아울러, DTMF/Tone 신호 검출부의 내부에 DTMF/Tone 신호의 수·발신 영역을 제공하는 제 2 듀얼 엑세스 램을 내장시킨다.
이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은 종래의 통신 모듈과 거의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결국,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상술한 제어부는 종래와 달리, 별도의 통신모듈을 배치하지 않고서도, 음성/신호 처리모듈과 좀더 안정적인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본 발명의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을 이용하여, 별다른 유실 없이, 음성/신호 처리모듈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결국, 음성/신호 처리모듈은 자신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부의 콘트롤에 의해 보다 정교하게 제어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음성/신호 처리모듈은 종래와 달리, 별도의 통신모듈 없이, 단지, 상술한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제어부와 안정적인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내선 가입자는 통신모듈의 개재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지출이 미리 차단되는 효과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Claims (7)

  1. 임의의 사설 교환기와 일련의 펄스 부호 변조(PCM:Pulse Code Modulation) 하이웨이 및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PCM 하이웨이를 통해 인가되는 내선 가입자의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변조함과 아울러, 상기 음성 데이터를 PCM 데이터로 복조하여, 일련의 착신호를 인가한 발신자측으로 송출하는 보코더(Vocoder)와;
    상기 사설 교환기와 정합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코더로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보코더의 제어에 따라, 압축·변조 상태의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의 어드레스 진행상황을 기록하며, 상기 음성 데이터의 저장상태를 상기 제어부로 보고하는 제 1 듀얼 엑세스 램과;
    상기 PCM 하이웨이를 통해 인가되는 기능선택용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Tone 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DTMF/Tone 신호 검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DTMF/Tone 신호 검출부로 전달하고, 상기 DTMF/Tone 신호 검출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DTMF/Tone 신호의 수·발신 영역을 제공하는 제 2 듀얼 엑세스 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얼 엑세스 램은 다수의 채널영역으로 분할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얼 엑세스 램의 각 채널영역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뱅크들 및 상기 제어부와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한 레지스터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들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명령 수신 레지스터, 상기 음성 데이터의 어드레스 진행상황을 기록하는 어드레스 보고 레지스터, 상기 각 채널영역의 상태를 상기 제어부로 보고하는 상태 보고 레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코더 및 DTMF/Tone 신호 검출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으로 간접 전달하거나, 상기 제 1·제 2 듀얼 엑세스 램의 보고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간접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전달 레지스터들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 레지스터들은 데이터 레지스터, 어드레스 레지스터, 콘트롤 레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 처리모듈에는 상기 제어부 및 보코더, 상기 제어부 및 DTMF/Tone 신호 검출부 사이에서, 상기 음성 데이터 및 DTMF/Tone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음성/신호 처리버퍼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모듈.
KR1020000063610A 2000-10-27 2000-10-27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 모듈 KR100349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610A KR100349804B1 (ko) 2000-10-27 2000-10-27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610A KR100349804B1 (ko) 2000-10-27 2000-10-27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886A KR20020032886A (ko) 2002-05-04
KR100349804B1 true KR100349804B1 (ko) 2002-08-24

Family

ID=1969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610A KR100349804B1 (ko) 2000-10-27 2000-10-27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8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886A (ko) 200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828689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JPH0341854A (ja) 自動交換機の音声メッセージ伝達装置
US69590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voice message in exchange system having internet gateway
CA1238734A (en) Speech response interface circuit
KR100349804B1 (ko)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용 음성/신호 처리 모듈
KR100325389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에 음성 사서함 기능 제공장치
KR950012588B1 (ko) 교환시스템의 자동 중계대 기능 구현 방법
JP3022244B2 (ja) 加入者収容システム
CN201114293Y (zh) 一种实现主被叫通话前预留言重复播放的系统
JP2756134B2 (ja) トーキ装置
KR100212745B1 (ko) 키폰주장치와 음성사서함을 연계한 시스템에서 녹음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방법
JPS6023535B2 (ja) フアクシミリの同報通信方式
JP3183903B2 (ja) 交換機及び交換機システム
KR100512376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가입자의일정관리방법
JPS5840963A (ja) 無音圧縮方式
KR100584370B1 (ko) 다수의 음성사서함에서 음성정보 자동 녹음방법
JP3565049B2 (ja) 通信装置
JPH0340643A (ja) 留守番機能付電話機
KR19990005829A (ko) 메시지 처리가 가능한 도어폰 장치
JPS6023536B2 (ja) 構内フアクシミリシステム
JPH02194760A (ja) 通信端末装置
JPH04100470A (ja) 電話交換システム
KR20000042222A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메모 확인 방법
KR19980084984A (ko)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단말장치에서 아웃고잉 메시지를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KR19990053843A (ko) 구내교환기의 라인 안정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