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864B1 - 통신회선정합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회선정합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864B1
KR960010864B1 KR1019930023064A KR930023064A KR960010864B1 KR 960010864 B1 KR960010864 B1 KR 960010864B1 KR 1019930023064 A KR1019930023064 A KR 1019930023064A KR 930023064 A KR930023064 A KR 930023064A KR 960010864 B1 KR960010864 B1 KR 960010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lay
signal
controller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059A (ko
Inventor
오윤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ublication of KR94001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04Q1/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 H04Q1/4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 H04Q1/45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신회선정합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종래 컴퓨터시스템과 공중전화통신망 간을 정합하는 통신장치의 접속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회선정합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회선정합장치의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선정합방법의 흐름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단말기 호출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회선정합장치가 적용된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컴퓨터시스템 16 : HDLC회로
18 : 멀티포인트중계기 20 : HDLC통신제어기
22 : 중계제어부 24 : 단말기중계기
26 : 직렬제어기 28 : DTMF장치
30 : 모뎀장치
본 발명은 데이타 베이스(Data Base) 및 컴퓨터시스템을 포함하는 주제어장치와, 공중전화 통신망에 접속된 다수의 단말장치간의 통신에 있어서, 특히 상기 주제어 장치 하나와 다수의 단말기 간의 동시통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호간을 정합시키는 통신회선장합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데이터베이스 및 컴퓨터시스템과 같은 주제어장치는 공중전화통신망에 접속된 원거리 단말장치와의 데이타통신 및 상기 단말장치의 제어를 위하여, 모뎀장치와 같은 통신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주제어장치를 공중전화통신망과 정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제어장치와의 접속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주제어장치로 하여 다수의 단말장치와 동시통신을 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통신장치의 문제점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컴퓨터시스템(10) 및 공중전화통신망(11)의 사이에 접속된 모뎀을 포함한 통신장치(1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컴퓨터시스템(10)으로부터 디지털 제어명령 및 디지털 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의 형태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아날로그신호를 상기 공중전화통신망(11)을 경유하여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쪽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장치(12)는 상기 공중전화통신망(11)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아날로그신호에 포함된 디지털 데이타를 복조하고 복조된 디지털 데이타를 주제어장치쪽으로 전달한다. 디지털 데이타의 변조 및 아날로그신호에 실린 디지털 데이타의 복조를 위하여, 상기 모뎀을 포함하는 종래의 통신정합장치는 통신기간동안 주제어장치와 접속상태를 유지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주제어장치로 하여금 다수의 단말장치와의 동시 통신을 할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종래의 통신장치는 단말장치의 전송속도와 자신의 전송속도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단말장치에 모뎀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장치와 통신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주제어장치와 다수의 단말장치와의 동시통신이 가능하도록 주제어장치 및 공중전화통신망을 정합시킬 수 있는 통신회선정합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복조장치가 없는 단말장치와 주제어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제어장치 및 공중전화통신망을 정합시킬 수 있는 통신회선정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장치의 전송속도와 무관하게 주제어장치를 공중전화통신망에 정합시킬 수 있는 통신회선정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회선정합장치는 주제어장치 및 공중전화통신망간의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제어수단과, 상기 주제어장치 및 상기 중계제어수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주제어장치의 주기적인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주제어장치 및 상기 중계제어수단간의 패킷단위의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중계하는 HDLC제어수단과,상기 중계제어수단 및 공중전화통신망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중계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쪽으로 전송될 디지털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변조하고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신호로부터 상기 중계제어수단쪽으로 전송될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변복조수단과,상기 변복조수단 및 중계제어수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중계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변복조수단쪽으로 전송될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직렬의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복조수단으로부터 상기 중계제어수단쪽으로 전송될 직렬의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병렬의 형태로 변환하는 직렬제어수단과, 상기 중계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전화번호를 DTMF신호로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DTMF신호를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쪽으로 전송하는 DTMF송신수단과,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으로부터의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중계제어수단에 공급하는 링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회선정합장치는 상기 공중전화통신에 접속된 단말장치로부터의 DTMF신호로부터 디지털 데이타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데이타를 상기 중계제어수단쪽으로 전송하는 DTMF수신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DTMF송신수단이 상기 중계제어수단으로부터의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DTMF신호로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DTMF신호를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에 접속된 단말장치쪽으로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회선정합장치는 상기 중계제어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에 접속된 단말장치로부터의 반송파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변복조수단의 전송속도를 제어하도록 하여 상기 변복조수단의 전송속도를 상기 단말장치와 일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회선 정합방법은 주제어장치로부터의 초기동작명령에 의하여 통신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 상기 주제어장치로부터의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디지털 데이타 및 명령을 포함하는 패킷데이타와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으로부터의 링신호의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 상기 링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의 루우프를 형성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의 루우프를 개방하는 과정과 ;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타를 상기 주제어장치쪽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 상기 주제어장치로부터 패킷데이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주제어장치쪽으로의 데이타 전송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타를 패킷화하고 상기 패킷화된 데이타를 상기 주제어장치쪽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의 루우프를 형성하고, 상기 패킷데이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상으하는 단말장치를 호출하는 과정과 ; 상기 호출된 단말장치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패킷데이타에 포함된 디지털 데이타 및 명령을 상기 호출된 단말장치쪽으로 순차적으로 전송한 후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의 루우프를 개방하는 과정과 ; 상기 호출된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타를 상기 주제어장치쪽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특징,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2도를 참조하면, 멀티포인트버스(15)를 경유하여 컴퓨터시스템(14)에 접속된 하이 레벨 데이타 인터페이스(High Level Data Interface Control ; 이하 HDLC라 함)회로(16)와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상기 HDLC회로(16)와 접속된 중계제어부(22)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시회선정합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상기 HDLC회로(16)는 상기 컴퓨터시스템(14)으로부터 상기 멀티포인트버스(15)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패킷단 위의 명령 및 데이타를 상기 중계제어부(22)쪽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중계제어부(22)로부터 상기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다수의 명령 및 데이타를 패킷화하여 패킷화된 데이타를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전송한다.
상기 패킷단위의 데이타의 양방향전송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HDLC회로(16)는 상기 멀티포인트버스(15)에 접속된 멀티포인트중계기(18)와 상기 멀티포인트중계기(18) 및 상기 중계버스(17)의 사이에 접속된 HDLC통신제어기(20)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포인트중계기(18)는 상기 멀티포인트버스(15)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데이타프레임을 상기 HDLC통신제어기(20)쪽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HDLC통신제어기(20)로부터의 데이타프레임을 상기 멀티포인트버스(15)쪽으로 전송한다. 상기 HDLC통신제어기(20)는 상기 멀티포인트버스(15)로부터의 데이타프레임에 포함된 선택어드레스가 자신에 부여된 고유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데이타프레임에 포함된 패킷단위의 명령 및 데이타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명령 및 데이타이 패킷들을 상기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상기 중계제어부(22)쪽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HDLC통신제어기(20)는 상기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상기 중계제어부(22)로부터의 명령 및 데이타를 패킷화하고, 패킷화한 명령 및 데이타에 자신의 고유 어드레스 및 시그널링비트를 부가하여 데이타프레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HDLC통신제어기(20)는 상기 형성된 데이타프레임을 상기 멀티포인트중계기(18) 및 상기 멀티포인트버스(15)를 경유하여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타프레임의 작성 및 상기 데이타프레임으로부터 패킷단위의 명령 데이타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HDLC통신제어기(20)는 상기 중계제어부(22)에 포함된 메모리를 억세스하기 위한 다이렉트 메모리 억세서(Direct Memory Accessor ; 이하 DMA라 함) 및 HDLC 입출력 신호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회선정합장치는 상기 중계버스(17) 및 공중전화통신망(21)의 사이에 접되어 상기 중계제어부(22) 및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에 접속된 단말장치(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의 데이타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단말기중계부(24)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중계부(24)는 상기 중계제어부(22)로부터의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의 형태로 변조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듀얼-톤 다중 주파수(Dual Tone Multi-Frequency ; 이하 DTMF라 칭한다)신호의 형태로 인코딩하여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에 접속되는 단말장치쪽으로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중계부(24)는 공중전화통신망(21)으로부터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의 형태로 복조하거나, 또는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으로부터의 DTMF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신호의 변조 및 복조와 상기 DTMF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하여, 상기 단말기중계부(24)는 상기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상기 중계제어부(22)에 공통 접속된 직렬제어기(26) 및 HDLC장치(28)와,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 직렬제어기(26) 및 상기 DTMF장치(28)의 사이에 접속된 모뎀장치(30)를 구비한다. 상기 직렬제어기(26)는 상기 중계제어기(22)로부터의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직렬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직렬형태의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상기 모뎀장치(30)에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모뎀장치(30)로부터의 직렬의 형태를 갖는 복조된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병렬 형태의 데이타로 변환한 다음 상기 변환된 병렬 데이타를 상기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상기 중계제어부(22)에 공급한다.
상기 DTMF장치(28)는 DTMF송신기(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DTMF수신기(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상기 DTMF송신기는 상기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상기 중계제어부(22)로부터의 공중전화통신망(21)에 접속된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및 단말장치쪽으로 전송할 디지털 데이타를 DTMF신호로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DTMF신호를 상기 모뎀장치(30) 및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을 경유하여 단말장치쪽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DTMF수신기는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 및 모뎀장치(30)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DTMF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상기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상기 중계제어부(22)에 공급한다.
상기 모뎀장치(30)는 상기 중계제어부(22)로부터 모드제어라인(19)을 경유하여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데이타를 변복조하거나 또는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 및 상기 DTMF장치(28)간의 DTMF신호에 대한 통신을 중계한다. 변복조모드시, 상기 모뎀장치(30)는 상기 직렬제어기(26)로부터의 직렬형태의 디지털 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의 형태로 변조한 다음, 이 변조된 아날로그신호를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을 경유하여 단말장치쪽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으로부터의 아날로그신호를 직렬형태의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복조하고 복조된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상기 직렬제어기(26)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장치(30)는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으로부터의 아날로그신호에 포함된 반송파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반송파주파수를 직렬중계기(26) 및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상기 중계제어기(22)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제어기(22)에서는 입력된 반송파 신호의 주파수를 판별한 다음 제어라인(19)을 통해 모뎀장치(30)의 전송속도를 현재 입력되는 반송파 속도와 매치되도록 제어하며, 모뎀장치(30)는 상기 신호가 입력되면 전송속도를 변경하여 현재 접속된 단말기와의 통신을 가능케 한다.
참고로 상기 모뎀장치(30)에서 전송속도를 가변적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은 모뎀장치(30)에 내장된 속도가 변 조절용 칩이 있어 가능한 바, 이는 이미 제품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일예를 들면 락웰(ROCKWELL) 사(社)에서 제조된 R9696에 칩이 있으며, 이 칩은 V시리즈 계통의 인터페이스 버스들을 모두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이외의 칩중 상기 칩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칩들은 본 발명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한편, DTMF신호전송모드에 있어서, 상기 모뎀장치(30)는 상기 DTMF장치(28)의 DTMF송신기로부터의 DTMF신호를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쪽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으로부터의 DTMF신호를 상기 DTMF장치(28)의 DTMF수신기쪽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모뎀장치(30)는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는 링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바,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으로부터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링출신호를 상기 중계제어부(22)에 공급하고, 상기 중계제어부(22)로부터 상기 제어라인(19)를 통하여 인가되는 통화로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의 루우프를 훅크-온 또는 오프(Hook-On/Off)시킨다.
그리고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멀티포인트버스(15), HDLC회로(16), 및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 전송할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와 함게 전송요구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의 루우프를 형성하도록 상기 모뎀장치(30)을 제어하고, 상기 DTMF장치(28)의 DTMF송신기에 통신하고자 하는 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타 및 명령을 상기 직렬제어기(26) 또는 DTMF장치(28)의 DTMF송신기에 공급하여 상기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가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에 접속된 단말장치쪽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으로부터의 아날로그명령 및 데이타를 상기 모뎀장치(30) 및 직렬 제어기(26)는 또는 상기 모뎀장치(30) 및 상기 DTMF장치(28)의 DTMF수신기를 경유하여 입력한다.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모뎀장치(30)으로부터 제어라인(19)을 경유하여 링검출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모뎀장치(30)를 제어하여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의 루우프를 형성하고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을 경유하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명령 및 데이타를 상기 모뎀장치(30) 및 직렬제어기(26) 또는 상기 모뎀장치(30) 및 DTMF장치(28)을 경유하여 수신한다.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 상기 멀티포인트버스(15), 멀티포인트중계구동기(18) 및 상기 HDLC제어기(20)을 경유하여 명령 및 데이타가 입력될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지털 화된 명령 및 데이타를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 입력되는 단말장치쪽으로 전송될 디지털 데이타 및 명령을 일시저장하고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전송될 디지털화 된 데이타 및 명령을 일시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소자를 구비하고 기타 동작모드 및 제어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각종 레이스터등을 구비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통신회선정합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제3도에 도시된 통신회선정합장치는 직렬제어기(26)가 제1의 중계버스(17)을 경유하여 중계제어부(22)에 접속되고, DTMF장치가 직렬형태의 제2의 중계버스(23)을 경유하여 중계제어부(22)에 접속되어 있다는것을 제외하고는 제2도에 도시된 통신회선정합장치와 동일한 기능 및 부호를 갖는 구성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중계버스를 다르게 사용하는 이유는 DTMF장치에 사용되는 칩 입/출력 포트가 병렬 포트인 것도 있고, 직렬 포트인 것도 있기 때문이며, 현재 제3도에서는 직렬 포트이기 때문에 별도의 중계버스를 제공하여 통신회선정합장치를 구현한 것이다.
상기 제1중계버스(17)는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가 아날로그신호의 형태로 송신 및 수신될 경우에 상기 직렬제어기(26) 및 상기 중계제어부(22)간의 디지털 데이타 및 명령의 전송통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중계버스(23)는 전화번호의 전송 및 데이타명령 및 데이타가 DTMF신호의 형태로 송신 및 수신될 경우에 상기 중계제어부(22) 및 상기 DTMF장치(28)간의 전송통로로서 제공된다. 제3도에 도시된 제1 및 제2중계버스(17,23)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2도에 도시한 구성요소들과 동일 기능 및 동작을 갖고 있음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중계제어부(22)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회선정합 방법의 흐름도이며, 제4도를 제2도에 도시된 통신회선정합장치와 결부시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중계제어부(22)는 전원-온(Power-On)될 때에는 자체내의 각종 레지스터 및 메모리를 초기화한다(제S1단계).
상기 제S1단계 수행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시험용 데이타를 HDLC제어기(20)을 경유하여 멀티포인트중계구동기(18)쪽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멀티포인트중계구동기(18)로부터 상기 HDLC제어기(20)를 경유하여 귀환되는 데이타를 검색하여 컴퓨터시스템(14) 및 자신과의 통신통로의 이사유무를 진단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시험용 디지털데이타를 직렬제어기(26)을 경유하여 모뎀장치(30)쪽으로 전송하고 상기 모뎀장치(30)로부터 상기 직렬제어기 및 DTMF장치(28)을 경유하여 귀환되는 데이타를 검사하여 공중전화통신망(21)과 자신과의 통신통로의 이상유무를 진단한다(제S2단계).
상기 제S2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 멀티포인스버스(15), 멀티포인트중계구동기(18), HDLC제어기(20) 및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초기동작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제S3단계).
상기 제S3단계에서 초기동작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할당한 통신대기모드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통신대기 모드를 설정한다(제S4단계).
상기 제S4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 멀티포인트버스(15), 멀티포인트중계구동기(18), HDLC제어기(20) 및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명령 및 전송데이타가 입력되어 있는가 검사한다(제S5단계).
상기 제S5단계에서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의 명령 및 전송용 데이타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모뎀장치(30)으로부터 제어라인(19)를 경유하여 링검출신호가 입력되는가 검사한다(제S6단계).
상기 제S6단계에서 링검출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제어라인(19)를 경유하여 상기 모뎀장치(30)에 하이논리의 통화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뎀장치(30)로 하여금 공중전화통신망(21)을 훅크-오프하도록 한다(제S7단계).
상기 제S7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모뎀장치(30)으로부터 직렬제어기(26) 및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반송파신호의 주파수의 값이 0인가 검사하여 통신을 요구한 단말장치가 모뎀을 구비하고 있는가 및 상기 단말장치가 구비한 모뎀의 전송속도를 판단한다(제S8단계).
상기 제S8단계에서 상기 반송파신호의 주파수가 0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할당한 DTMF통신모드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DTMF통신모드를 설정한다(제S9단계).
반대로 상기 제S8단계에서 상기 반송파신호의 주파수가 0의 값을 갖지 않을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할당한 DTMF통신모드플래그 대신에 모뎀통신모드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모뎀통신모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반송파신호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송 속도 조절신호를 상기 제어라인(19)를 경유하여 상기 모뎀장치(30)에 인가하여 상기 모뎀장치(30)의 전송속도를 조절한다(제S10단계).
상기 제S9단계 또는 제S10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에 접속된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모뎀장치(30), 직렬제어기(26) 또는 상기 DTMF장치(28)의 DTMF수신기,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중계통신요구메세지가 입력되었는가 검사한다(제S11단계).
상기 제S11단계에서 상기 중계통신메세지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에 접속된 단말장치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입력하여 입력된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자체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제S12단계).
상기 제S12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에 접속된 단말장치로부터 메세지종료신호가 입력되는가 검사하여 상기 메세지종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 제S12단계로 되돌아간다(제S13단계).
상기 제S13단계에서 메세지종료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제어라인(19)을 경유하여 상기 모뎀장치(30)에 로우논리의 통화로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뎀장치(30)로 하여금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를 훅크-온하도록 한다(제S14단계).
상기 제S14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의 영역을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전송될 메세지로서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표시하고(제S15단계).
상기 제S15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할당된 컴퓨터메세지전송모드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의 메세지전송모드를 설정한다(제S16단계).
한편, 상기 제11단계에서 상기 중계통신요구메세지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 폴링(Polling)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제S17단계).
상기 제S17단계에서 상기 폴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중계통신요구메세지를 상기 중계버스(17), HDLC제어기(20), 멀티포인트중계구동기(16) 및 멀티포인트버스(15)를 경유하여,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전송하고(제S18단계).
그리고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 중계통신허락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제S19단계).
상기 제S19단계에서 상기 중계통신허락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중계통신모드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중계통신모드를 설정하고(제S20단계).
중계통신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중계통신준비완료메세지를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송출한다(제S21단계).
상기 제S21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 상기 멀티포인트버스(15), 멀티포인트중계구동기(18), HDLC제어기(20) 및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가 직렬제어기(26), 모뎀장치(30) 및 공중전화통신망(21)을 경유하여 또는 DTMF장치, 모뎀장치(30) 및 공중전화통신망(21)을 경유하여 단말장치쪽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단말자치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가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전송되도록 한다(제S22단계).
또한, 상기 제S22단계의 수행중,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컴퓨터시스템(14)에서 발생된 중계통신종료메세지 또는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된 중계통신종료메세지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제S23단계).
반면에, 상기 제19단계에서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의 상기 중계통신허락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중계통신불가메세지를 발생하여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에 접속된 단말장치쪽으로 송출한다(제S24단계).
상기 제S24단계의 수행후나 또는 상기 제S23단계에서 중계통신종료메세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할당한 상기 중계통신모드플래그를 0으로 리세트하여 중계통신모드를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제어라인(19)을 경유하여 상기 모뎀장치(30)에 로우논리의 통화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뎀장치(30)로 하여금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을 훅크-온하도록 한다(제S25단계).
상기 제S25단계에서 상기 HDLC제어기(20)에 의하여 자체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가 있을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할당한 상기 컴퓨터메세지전송모드 플래그가 1로 세트되어있는가 검사하여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전송할 메세지가 있는가 판단한다(제S26단계).
상기 제S26단계에서 상기 컴퓨터메세지전송모드플래그가 1로 세트되어 있는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표시된 전송 메세지 영역에 저장된 자체내의 메모리상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순차적으로 전송한다(제S27단계).
상기 제S27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전송할 메세지영역의 최종번지에 저장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디지털데이타가 전송될 때까지 대기한다(제S28단계).
상기 제S28단계에서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전송될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가 모두 전송되었거나 또는 상기 제S26단계에서 상기 컴퓨터메세지전송모드플래그가 0인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컴퓨터메세지전송모드플래그를 0으로 리세트하고, 그리고 상기 제S5단계에서 입력된 명령이 원격전송요구메세지 또는 중계통신요구메세지인가 검사한다(제S29단계 및 제S30단계).
상기 제S29단계 및 제S30단계에서 상기 컴퓨터시스템(14)으로부터의 명령이 원격전송요구메세지 및 중계통신요구메세지가 아닌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입력된 명령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한 다음 상기 제S5단계로 되돌아 간다(제S31단계).
그리고 상기 제S29단계에서 상기 컴퓨터시스템(14)으로부터의 명령이 원격전송요구메세지인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제어라인(19)를 경유하여 상기 모뎀장치(30)에 하이논리의 통화로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한편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 입력된 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상기 중계버스(17)을 경유하여 상기 DTMF장치(28)의 DTMF송신기에 인가하여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의 루우프를 형성시킨다(제S32단계).
상기 제S32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호출된 단말장치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입력하여 입력된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자체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제S33단계).
상기 제S33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호출된 접속된 단말장치로부터 메세지종료신호가 입력되는가 검사하여 상기 메세지종료시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제S33단계로 되돌아간다(제S34단계).
상기 제S34단계에서 메세지종료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독출된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상기 호출된 단말장치쪽으로 전송한다(제S35단계).
상기 제S35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자체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시스템(14)으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의 끝부분이 전송되었는가 검사한다(제S36단계).
상기 제S36단계에서 상기 컴퓨터시스템(14)으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의 끝부분이 상기 호출된 단말장치쪽으로 전송되었을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제어라인(19)를 경유하여 상기 모뎀장치(30)에 로우논리의 통화로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뎀장치(30)로 하여금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를 훅크-온하도록 한다(제S37단계).
상기 제S37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자체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호출된 단말장치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영역을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전송될 메세지로서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표시하고(제S38단계).
상기 제S38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할당한 컴퓨터메세지전송모드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의 메세지전송모드를 설정한다(제S39단계).
또한, 상기 제S30단계에서 상기 컴퓨터시스템(14)으로부터의 명령이 중계통신요구메세지인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제어라인(19)를 경유하여 상기 모뎀장치(30)에 하이논리의 통화로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한편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 입력된 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상기 중계버스(17)을 경유하여 상기 DTMF장치(28)의 DTMF송신기에 인가하여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의 루우프를 형성시킨다(제S40단계).
상기 제S40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중계통신모드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중계통신모드를 설정하고(제S41단계), 중계통신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중계통신준비완료메세지를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송출한다(제S42단계).
상기 제S42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컴퓨터시스템(14)으로부터 상기 멀티포인트버스(15), 멀티포인트중계구동기(18), HDLC제어기(20) 및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가 직렬제어기(26), 모뎀장치(30) 및 공중전화통신망(21)을 경유하여 또는 DTMF장치, 모뎀장치(30) 및 공중전화통신망(21)을 경유하여 단말장치쪽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단말자치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가 상기 컴퓨터시스템(14)쪽으로 전송되도록 한다(제S43단계).
또한, 상기 제S43단계의 수행중,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컴퓨터시스템(14)에서 발생된 중계통신종료메세지 또는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된 중계통신종료메세지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제S44단계).
상기 제S44단계에서 중계통신종료메세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할당한 상기 중계통신모드플래그를 0으로 리세트하여 중계통신모드를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제어라인(19)을 경유하여 상기 모뎀장치(30)에 로우논리의 통화로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뎀장치(30)로 하여금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을 훅크-온하도록 한다(제S45단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단말기호출단계에 대한 상세한 흐름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제어라인(19)를 경유하여 상기 모뎀장치(30)에 하이논리의 통화로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뎀장치(30)로 하여금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을 훅크-오프하도록 한다(제S46단계).
상기 제S46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모뎀장치(30)으로부터 상기 제어라인(19)를 경유하여 다이얼톤(Dial Tone)검출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제S47단계).
상기 제S47단계에서 상기 다이얼톤검출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자체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시스템(14)로부터의 호출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상기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상기 DTMF장치(28)의 DTMF송신기에 공급하여 상기 DTMF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호출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DTMF신호를 상기 모뎀장치(30)를 경유하여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쪽으로 송출하도록 한다(제S48단계).
상기 제S48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모뎀장치(30)로부터 상기 제어라인(19)를 경유하여 비지톤(Busy Tune) 검출신호가 입력되는가 검사한다(제S49단계).
상기 제S49단계에서 상기 비지톤검출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로우논리의 통화로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라인(19)을 경유하여 상기 모뎀장치(30)에 인가하여 상기 모뎀으로 하여금 상기 공중전화통신망(21)을 훅크-온하도록 한다(제S50단계).
상기 제S50단계의 수행 후,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일정시간동안 대기 한 후 상기 제S46단계로 되돌아간다(제S51단계).
한편, 상기 제S49단계에서 상기 비지톤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모뎀장치(30)으로부터 직렬제어기(26) 및 중계버스(17)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반송파신호의 주파수의 값이 0인가 검사하여 통신을 요구한 단말장치가 모뎀을 구비하고 있는가 및 상기 단말장치가 구비한 모뎀의 전송속도를 판단한다(제S52단계).
상기 제S52단계에서 상기 반송파신호의 주파수가 0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할당한 DTMF통신모드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DTMF통신모드를 설정한다(제S53단계).
반대로 상기 제S52단계에서 상기 반송파신호의 주파수가 0의 값을 갖지 않을 경우,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자체내의 레지스터에 할당한 DTMF통신모드플래그 대신에 모뎀통신모드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모뎀통신모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제어부(22)는 상기 반송파신호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송속도조절신호를 상기 제어라인(19)를 경유하여 상기 모뎀장치(30)에 인가하여 상기 모뎀장치(30)의 전송속도를 조절한다(제S54단계).
제6도를 참조하면, 멀티포인트버스(33)을 경우하여 컴퓨터시스템(32)에 공통적으로 접속된 본 발명에 따른 제1-3통신회선정합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통신시스템이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통신회선정합장치 갯수를 n개라 하고, 단말기의 갯수를 m개라 하면 nm인 수치를 가지며, 이것은 통신회선정합장치와 단말기가 1 : 1 통신을 하지만 통화량의 트래픽을 따져 통신회선정합장치가 너무 적은 갯수가 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설차 비용을 줄이기 위함이고, 단말기가 많아지면 그에 따라 통신정합장치를 더 증설하면 된다.
상기 제1-3통신회선정합장치(34-38)은 공중전화통신망(40)에 접속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공중전화통신망(40)에 접속된 제1-3통신회선정합장치(34-38)와 통신하기 위한 제1-3단말장치(42-46)가 상기 공중전화통신망(40)에 접속되어있다. 상기 컴퓨터시스템(32)은 상기 일정주기로 상기 제1-3통신회선정합장치(34-38)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상기 단말장치(42-48)쪽으로 전송될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와 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전송하여 상기 통신회선정합장치로 하여금 상기 공중전화통신망(40)을 경유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장치쪽으로 상기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시스템(32)는 상기 제1-3통신회선정합장치(34-38)를 주기적이고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상기 통신회선정합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입력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시스템(32)는 상기 제1-3통신회선정합장치(34-38)를 순차적으로 주기적으로 호출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회선정합장치에 부여된 고유어드레스와 함께 호출신호를 인가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과 같은 주제어장치와 독립적으로 공중전화통신망에 접속된 단말장치들과 통신하여 상기 주제어장치의 업무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신회선정합장치는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DTMF신호의 형태로 송수신하여 주제어장치를 모뎀이 없는 단말장치와 정합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회선정합장치는 단말장치에 포함된 모뎀의 전송속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송속도를 조절하여 단말장치의 전송속도와 무관하게 주제어장치를 단말장치와 정합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공중전화통신망에 접속된 단말장치와 주제어장치를 중제하기 위한 통신회선 정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 및 상기 공중전화통신망간의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제어수단과, 상기 주제어장치 및 상기 중계제어수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주제어장치의 주기적인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주제어장치 및 상기 중계제어수단간의 패킷단위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중계하는 HDLC제어수단과, 상기 중계제어수단 및 공중전화통신망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중계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쪽으로 전송될 디지털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의 형태로 변조하고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신호로부터 상기 중계제어신호수단쪽으로 전송될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변복조수단과, 상기 변복조수단 및 중계제어수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중계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변복조수단쪽으로 전송될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직렬의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복조수단으로부터 상기 중계제어수단쪽으로 전송될 직렬의 디지털 명령 및 데이타를 병렬의 형태로 변환하는 직렬제어수단과, 상기 중계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전화번호를 DTMF신호로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DTMF신호를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쪽으로 전송하는 DTMF송신수단과,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으로부터의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중계제어수단에 공급하는 링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회선정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에 접속된 단말장치로부터의 DTMF신호로부터 디지털데이타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디지털데이타를 상기 중계제어수단쪽으로 전송하는 DTMF수신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DTMF송신수단이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디지털명령 및 데이타를 DTMF신호로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DTMF신호를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에 접속된 단말장치쪽으로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회선정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복조수단이 상기 중계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공중전화통신망과 상기 DTMF송수신수단과의 DTMF신호를 중계하고 상기 직렬제어수단 및 공중전화통신망과의 사이에 전송되는 디지털데이타를 변복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회선정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복조수단은 공중전화통신망으로부터 반송파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DTMF신호의 중계를 실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회선정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제어수단은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에 접속된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반송파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변복조수단을 통해 입력받아 그 주파수를 판별한 후, 상기 주파수에 따라 상기 변복조수단의 전송속도를 가변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변복조수단과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와의 전송속도를 일치시키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회선정합장치.
  6. 공중전화통신망에 접속된 단말장치와 주제어장치를 중계하기 위한 통신회선 정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로부터의 초기동작명령에 의하여 통신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주제어장치로부터의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디지털데이타 및 명령을 포함하는 패킷데이타와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으로부터의 링신호의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링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의 루우프를 형성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디지탈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의 루우프를 개방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타의 상기 주제어장치쪽으로의 전송모드를 설정하는과정과, 상기 주제어장치로부터 패킷데이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주제어장치쪽으로 전송딜 데이타의 전송모드가 설정되어있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데이타를 패킷화하고 상기 패킷화된 데이타를 상기 주제어장치쪽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의 루우프를 형성하고, 상기 패킷데이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단말장치를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된 단말장치로부터의 디지털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패킷데이타에 포함된 디지털데이타 및 명령을 상기 호출된 단말장치쪽으로 순차적으로 전송한 후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의 루우프를 개방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된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데이타의 상기 주제어장치쪽으로의 전송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회선정합방법.
KR1019930023064A 1992-11-02 1993-11-02 통신회선정합장치 및 그 방법 KR960010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20412 1992-11-02
KR920020412 1992-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59A KR940013059A (ko) 1994-06-25
KR960010864B1 true KR960010864B1 (ko) 1996-08-10

Family

ID=1934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064A KR960010864B1 (ko) 1992-11-02 1993-11-02 통신회선정합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68481A (ko)
JP (1) JP2659511B2 (ko)
KR (1) KR960010864B1 (ko)
CN (1) CN103289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414A (ko) * 1999-09-11 2001-04-06 양재룡 전화와 컴퓨터를 사용하여 여러 사람에게 동시에 전화,
US6681284B1 (en) * 2000-11-27 2004-01-20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ial bus interface using distributed driver execu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344A (ja) * 1985-07-31 1987-02-07 Toshiba Corp モデム装置
JPS6462063A (en) * 1987-09-01 1989-03-08 Nec Corp Telephone set switching device
JPH01222559A (ja) * 1988-03-01 1989-09-05 Nec Corp 警備情報の受信装置
FR2637440B1 (fr) * 1988-08-18 1994-05-13 Bull Sa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sur un bus interne d'une station de travail, dispositif a bus interne,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t circuit d'adaptation pour ce bus interne
US5134611A (en) * 1988-09-30 1992-07-28 Microcom, Inc. Analog/digital data device and method
FR2641925B1 (fr) * 1988-12-27 1994-06-17 Bull Sa Controleur de communications rnis multiprotocoles
JPH03198499A (ja) * 1989-12-26 1991-08-29 Tamura Electric Works Ltd 自動応答機能付通信端末装置
US5305312A (en) * 1992-02-07 1994-04-19 At&T Bell Laboratories Apparatus for interfacing analog telephones and digital data terminals to an ISDN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59A (ko) 1994-06-25
JPH0758879A (ja) 1995-03-03
JP2659511B2 (ja) 1997-09-30
CN1032890C (zh) 1996-09-25
CN1087767A (zh) 1994-06-08
US5568481A (en)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1417B1 (en) Radio telephone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4776001A (en) Radio telephone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4580291A (en)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and subscriber station for telecommunication and teledistribution
US5367564A (en) Storage-and-forward apparatus
KR930000722B1 (ko) 무선전화장치에서의 식별정보 조합방법
EP0214810B1 (en) Radio telephone system control apparatus
US5325420A (en) Cordless phone haaving a plurality of personal stations
CA2055828C (en) Arbitrary selecting of a terminal to be called in key telephone systems
KR960010864B1 (ko) 통신회선정합장치 및 그 방법
US5283786A (en) Burst architecture time-division switch and equipment access module for use in a switch of this kind
KR100492961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디티엠에프송출장치및방법
KR100258255B1 (ko) 브이5.2 정합의 공통 제어 프로토콜 처리 방법
US6381253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sending and receiving analog devices primarily through data channels
JP2826369B2 (ja) ファクシミリ/モデム自動切替装置
KR100266382B1 (ko) 교환기의원격모니터링장치
KR920003375B1 (ko) 일반 교환 회선용 화상 정보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JP2629599B2 (ja) ファクシミリ同時同報機能付きボタン電話装置
FI109074B (fi) Tilaajamultipleksointilaite
KR100584339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호 재시도 방법
JP2983342B2 (ja) 通信端末装置
KR100208765B1 (ko) 키폰시스템에서 키폰전화기에 부재 내선 및 부재 메시지 표시방법
JPH0427290A (ja) 静止画像伝送装置
JPS61116453A (ja) デ−タ呼識別方式
JPS588786B2 (ja) 蓄積変換通信方式
JPH10164268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